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valuation of agreement between intradermal skin test and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 in canine atopic dermatitis

        남혜연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알레르겐 동시 검사법(MAST)을 통하여 피내피부검사법(IDST)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IDST는 수의학에서 아토피성 피부염(CAD)을 진단을 위한 표준 검사법으로 간주되며, 최근 특정 면역글로불린 E(IgE)에 대한 체외검사법인 MAST가 대체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일한 개에 대한 IDST와 MAST의 결과를 비교한 보고는 없다. Favrot 진단기준에 따라 CAD로 진단된 16마리의 개에서 12개의 중복된 알레르겐에 대해 IDST와 MAST을 모두 실시하였다. 두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여 IDST와 MAST에 대한 일치도와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MAST의 민감도, 특이도 및 정확도는 각각 76.2%, 64%, 66.7%으로 확인되었다. 고양이 상피, 집먼지, 집먼지 진드기와 같은 실내 알레르겐에 대해서는 중간 양성 예측도과 높은 민감도가 확인되었으며, 대조적으로 환경 알레르겐과 곰팡이에 대해 높은 음성 예측도과 특이도가 관찰되었다. IDST와 MAST 사이의 전체 알레르겐에 대해서는 약한 수준의 일치도(fair, κ = 0.301)와 낮은 상관관계(ρ = 0.308)가 관찰되었다. 자작나무(κ = 0.158)를 제외한 각 알레르겐에 대해 매우 약한 수준의 일치도(κ <0.01)를 보였으며, 상관관계는 없다(ρ ±<0.3). IDST 결과와 비교했을 때, MAST는 원인 알레르겐을 식별하기에 불충분한 검사법이다. 그러나 MAST에서 음성 예측도와 특이도가 높은 환경 알레르겐과 곰팡이에 대해서는 음성 결과가 확인될 경우, IDST가 필요하지 않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또한, 중간 양성 예측도와 높은 민감도를 가진 실내 알레르겐에 대해서는 양성 결과가 확인될 경우, IDST를 통해서 원인 알레르겐의 감별이 필요할 수 있다. IDST is generally considered “the gold standard”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atopic allergic dermatitis in veterinary medicine. MAST, in vitro testing for specific immunoglobulin E, is currently used as an alternative method. However, there is no report comparing the results between IDST and MAST for the same do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to predict the result of the intradermal skin tests (IDST) through multiple allergen simultaneous tests (MAST).Both IDST and MAST were concurrently performed with 12 overlapping allergens in 16 client-owned dogs who were diagnosed with canine atopic dermatitis (CAD) based on Favrot’s criteria. Through comparing the results of both tests, agreement and correlation were evaluated for IDST and MAST.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ccuracy of the MAST were 76.2%, 64%, and 66.7%, respectively. Moderate positive predicted value (PPV, 50 to 75%) or high sensitivity (80 to 100%) were identified for indoor allergens, such as cat epithelia, house dust, and house dust mites. In contrast, high negative predicted value (NPV, 93.3 to 100%) or specificity (60 to 100%) were observed for environmental allergens and fungi . Between IDST and MAST, the agreement for all allergens was fair (κ = 0.301) and the correlation was low (ρ = 0.308). The agreement for each allergen was poor (κ <0.01), with exception of birch (κ = 0.158),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wo tests (ρ ±<0.3).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IDST, MAST was insufficient to identify the causative allergens. The IDST procedure may not be necessary for environmental allergens and fungi with high NPV and specificity when a negative result is identified on MAST. It also could indicate that IDST may be needed for indoor allergens with moderate PPV and high sensitivity when a positive result is identified.

      • 신체 인터페이스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 표현 연구 : 작품 '설음(舌音/Tongue Music)'을 중심으로

        남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novation in digital technology throughout various industries has brought an upheaval not only in our everyday lives but also in art and in the viewers’ assessment methodology. Unlike conventional wall-framed drawings, interactive artworks are not subject to the time-space limitations due to presence of computer-aided multimedia. This research discusses the viewer’s approach and adjustment to a body-based, not computer-based, interactive artwork with visual, audible, and touchable interfaces. These body-interfaces, distinct from other types, catalyze direct interaction with the viewers; and I reason such causation from a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I highlight direct cognitive responses via body-interfaces and reflect it in an interactive artwork via human tongues: Tongue Music. Lastly, I analyze information filtering process via aforementioned tongue-interface, and shed light on organic symbiosis between mankind and information in the prospective digital society. 산업 전반에 걸친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일상뿐 아니라 예술분야에도 영향을 전파하여 기존의 관객이 작품을 감상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대상에도 변혁을 가져왔다.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은 전통적인 방법으로 표구되어 벽에 걸리는 예술 작품의 표현 방식을 넘어,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토대로 시공의 제약을 초월한다. 본 논문은 관객이 컴퓨터가 아닌 신체에 기반을 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에 접근하고 적응해나가는 과정을 다루며,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에서 감각 기관의 확장인 신체 인터페이스를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으로 사용한 인터페이스로 분류하여 논의한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아트의 신체 인터페이스는 현상학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른 물질적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상호작용을 도래하며, 이러한 검증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신체를 인터페이스로 사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작업의 직접적 인지과정의 효과성을 부각시키고, 이 이점을 반영시켜 혀(舌)를 새로운 신체 인터페이스로 제안하는 설음(舌音/Tongue Music) 작품의 표현을 연구하려고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더 나아가서 ‘혀’ 인터페이스를 통한 정보인식 과정을 통한 향후 디지털 사회에서 인간과 디지털 정보와의 유기적인 상호작용 또한 조망하고자 한다.

      • Maurice Ravel의 <Tzigane>에 관한 고찰

        남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에서의 새로운 양식이나 형식은 그 시대 특유의 상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성립되었으며, 동시대 타 예술의 기법적 특징과 상호 연관성을 가진다. 특히, 인상주의 음악에서는 다른 양식의 음악보다 이러한 관계를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19세기 전반의 프랑스에서는 변혁의 시기로 다양한 발전과 자각이 여러 분야에서 나타났는데 인상주의의 태동은 이로써 가능했다. 이 시대에는, 봉건적 구제도에서 벗어나 근대 공화정으로의 변화, 과학의 발달, 자본주의의 성립 등에 의하여 근대국가로의 이행이 가속화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미술 분야를 시작으로 문학, 음악 등 예술분야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는데 이는, 이전시대의 예술에 반목하는 경향이 있었다. 각 분야별로, 미술에서는 사실주의, 자연주의가 인상주의로, 문학에서는 사실주의, 자연주의가 상징주의로, 음악에서는 낭만주의가 인상주의로 변하였다. 라벨 - Maurice Ravel ( 1875~1937 ) 은 드뷔시 - Achille Claude Debussy (1862~1918) 와 함께 19세기 프랑스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중요한 작곡가이다. 드 반면 라벨의 음악은 고전주의 음악 양식을 토대로 하여 명확하고 깨끗한 선율구조, 이지적인 감정표현 등 자신의 개성적인 음악세계를 형성하였다. 라벨의 [Tzigane] 는 그의 작품 시기 중 제3기에 속하는 작품으로 1924년 런던에서 작곡되었고 헝가리의 바이올리니스트 젤리 다라니(Jelly d,Aranyi, 1895~1966)에 의해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헝가리 랩소디 양식으로 바이올린의 뛰어난 기법을 펼치는 곡이다. 빠른 하모닉스와 피치카토, 4중 스톱, 끊임없이 진행하는 화려한 패시지, 템포의 미묘한 변화, 리듬적인 음형, 순차적인 화성, 집시풍의 선법 등의 사용으로 이 작품이 ‘정격 선법적인’ 운치가 느껴지도록 하고 있다. 무반주 바이올린의 서주 - Lento, quas : cadenza 에서는 각각의 주제가 제시되고 변형되어 출현한다. 후반부의 Moderato - Mento vivo, gragioso - Moderato 에서는 이전의 요소들을 참조 하여 끊임없는 진행을 보이며 종결한다. Maurice Ravel ( 1875~1937 ) was a leading music composer in 19th century French impressionism along with Achille Claude Debussy(1862~1918). Music of Debussy, innovated uniqueness with features of missing tonality, mixed rhythm, impressionistic aspects whereas Ravel's classical based music formed his own musical philosophy with explicit melody and distinguished expressions. Ravel's music is commonly known as 3 differential periods; for the first period, Ravel tried to express his own musical philosophy which based upon impressionism. Second period, it was the time for him and his musical uniqueness was formed by expressing both ethnic and non-ethnic perspectives. Throughout this stage, he uses conspicuous harmony and approach with blurred tonality. Lastly, the third period was the time in which his musical individuality had finally established, adding romanticism and jazzy rhythms. In 1924, London, Ravel composed as his third period compose, 'Tzigane', and this grand musical piece was staged for the first time by a Hungarian violinist Jelly d. Aranye(1895~1966). Unaccompanied violin introduction - Lento, Quas: In cadenza, it is a place for a given and changed subject. Moderato of later part, - Mento vivo, gragioso - In Moderato, it ends with presenting infinite progress by adopting pre-existing components. This musical piece in a form of rhapsody portrays unbelievably outstanding harmonic technicality through violin. Rapid harmonies, pizzicatos, quartet stops, splendid endless passages, slight changes in musical tempo, rhythmic forms, consonance one after another, and gypsy-like musical fashion are creating authentic state as a whole.

      • 여성한부모의 양육죄책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남혜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한부모의 양육죄책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관계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양육죄책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관계만족도가 매개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경기를 비롯하여 경남, 충남 등의 지역 단체에 소속된 여성한부모와 자녀를 대상으로 일대일 한 쌍으로 하여 총 140쌍에게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여성한부모에게는 양육죄책감과 자녀의 자아존중감 및 자녀와의 관계만족도를, 자녀에게는 자신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모와의 관계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방법은 연구가설에 따라 여성한부모가 평가한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자녀 스스로 지각한 자아존중감, 모-자녀가 각자 평가한 관계만족도에 대해 차이를 분석하였다. 여성한부모의 양육죄책감이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자녀의 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각각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양육죄책감과 관계만족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만족도가 매개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자녀의 지각과 모의 평가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녀가 지각하는 자아존중감과 모가 평가하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녀의 관계만족도와 모의 관계만족도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넷째, 양육죄책감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다섯째, 양육죄책감은 관계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여섯째, 양육죄책감과 관계만족도는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었으며, 관계만족도는 양육죄책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하였다.

      • Neuroprotective and antiepileptic effects of oleamide as a novel calpain inhibitor against kainc acid-induced excitotoxicity and behavioral epilepsy

        남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Oleamide known as a sleep-inducing fatty acid amide compound has been shown to produce wide ranges of neuropharmacological actions upon different neurochemical systems. However, effects of oleamide on the brain damage are scarcely studied, and the molecular mechanisms and site of its action remain elusive. Kainic acid (KA) is a neurotoxin that is known to produce an epileptic animal model mimicking human temporal lobe epilepsy and induce excitotoxicity occurring in numerous neurodegenerative disorder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oleamide on KA-induced excitotoxic brain damage accompanying behavioral seizure activity and neuronal cell death, especially leaded by calpain activity-related cellular mechanisms. The KA-induced epileptic rats were produced by an intrastriatal injection of KA (5 nmol). Oral administration of oleamide (0.5, 2 and 10 mg/kg suspended in 0.2% methyl cellulose) 30 min before the KA injection, followed by repeats daily for next 4 days after the surgery produced the dose-dependent inhibition of the KA-induced behavioral seizure activity. Oleamide blocked the KA-induced calpain-mediated cleavage of cyclin-dependent kinase-5(cdk5) coactivator (p35) and collapsin response-mediated protein (CRMP)-2, and dose-dependently reversed the KA-caused reduction of expression levels of an endogenous calpain inhibitory protein, calpastatin, and a synaptic activity marker protein, synapsin 2, in striatal brain tissues dissected from the epileptic rats. In addition, neuroprotective effects of oleamide against the disrupted neuronal integrity resulting from the KA-induced excitotoxicity were demonstrated by staining of striatal tissue sections with cresyl violet, hematoxylin/eosin (H & E) and fluoro-Jade B (FJB). I hypothesized that the calpain inhibition (direct and/or indirect) by oleamide is an unveiled novel mechanism for neuroprotection, and this was demonstrated through in vitro calpain assays in brain tissue and calpain overexpressed neuronal cell system. These findings together suggest that oleamide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excitotoxicity-caused neuronal death and behavioral seizure, partly via its own calpain inhibitory activity. Oleamide는 수면을 유도하는 지방산아마이드 (fatty acid amide)로 광범위한 신경 약리학적 작용을 보이며 신경화학 시스템과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뇌 손상에서의 oleamide의 효과는 거의 연구되지 않았고, 분자적 메커니즘과 작용 사이트는 아직까지 이해하기 어려운 채로 남아 있다. Kainic acid (KA)는 흥분세포독성 (excitotoxicity)을 일으켜 퇴행성신경질환(neurodegenerative disorders)을 유도하는 물질로, 사람의 측두엽간질 (temporal lobe epilepsy)을 모방 할 수 있는 동물 모델을 만들 수 있다. 이 연구는, KA에 의해 흥분세포독성이 일어나 뇌 손상이 야기됨에 따라 나타나는 경련행동과 특히, calpain 활성에 연관하여 세포의 메커니즘으로부터 초래되는 신경세포의 사멸에 있어서 oleamide가 나타내는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먼저, 경련 쥐 모델은 뇌의 선조체에 (intrastriatal) 정위적 수술 (stereotactic surgery)을 통해 KA 5 nmol을 주입하여 만들었다. Oleamide는 0.5, 2 그리고 10 mg/kg의 용량으로 0.2% 메틸셀룰로오즈 (0.2% methyl cellulose)에 현탁하여 KA 주입 30분 전에 경구로 투여하였으며, 수술한 날부터 4일간 용량 별로 매일 경구투여를 반복해주었다. KA에 의한 경련행동의 정도는 3시간 동안 관찰되었으며, KA 단독 투여군에 비해 oleamide를 함께 투여한 군에서 용량 의존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경련 쥐를 해부하여 얻은 뇌의 선조체 조직에서 calpain 매개로 나타나는 calpain 기질 단백질, cyclin-dependent kinase-5 (cdk5)와 collapsin response-mediated protein (CRMP)-2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oleamide는 KA로 유도되는 Cdk5와 CRMP-2의 분열을 막았으며, 추가적으로 확인한, 내인적인 calpain 억제제인 calpastatin과 시냅스 활성의 지표인 synapsin 2의 레벨을 용량의존적으로 control 수준까지 회복 시켰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KA로 유도된 흥분성세포독성의 결과로 신경세포의 괴사에 대한 oleamide의 보호효과를 선조체 조직 섹션으로부터 cresyl violet, hematoxylin & eosin (H & E) and fluoro-jade B의 염색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KA에 의해 유발된 뇌 선조체 신경괴사는 oleamide에 의해 차단되는 경향이 관찰됨으로써 oleamide가 뇌신경 보호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입증 되었다. 이 연구의 가설은 뇌 신경 보호작용에 대한 oleamide의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메커니즘으로 calpain을 직/간접적으로 억제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calpain을 과발현 시킨 세포시스템과 동물의 선조체 조직에서 in vitro calpain 분석을 통하여 oleamide가 calpain의 활성을 상당히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oleamide는 KA에 의한 calpain 매개 신경조직의 손상과 사멸 메커니즘에 대해 보호 효과를 갖는데, 이는 calpain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저해함으로써 항 경련효과와 신경보호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의 결과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oleamide가 새로운 calpain 저해제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 F. Liszt의 "Apres une lecture du Dante"의 분석과 연주기법 연구

        남혜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리스트(F. Liszt 1811-1886)는 문학과 음악을 접목시키고, 피아노 음악을 발전시켜 낭만주의와 20C 인상파음악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친 작곡가이다.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리스트의 피아노곡 가운데 「소나타풍 환타지(Fantasia quasi sonata)」 라는 부제를 갖고 있으며, 표제음악의 성격과 피아노의 다양한 기법이 서로 조화되어 작곡된 「Anne`s de pe`lerinage : Anne`e(순례의 연보)」 제 2년 이탈리아 중 제 7곡인 「Apre`s une lecture du Dante(단테를 읽고)」의 분석과 연주기법을 연구하여 작품의 올바른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함에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적 배경으로 리스트의 피아노 음악의 특징과 작품 배경, 일반적인 작곡기법을 살펴보고, 또한 이 작품의 형식, 조성, 화성 및 리듬, 빠르기와 셈여림 등을 분석하고 연주기법을 연구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악보는 춘추사(Chunchoo Edition) 1983년도 판이다. 이 곡의 분석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식은 소나타형식으로 도입부-제시부-발전부-재현부-코다로 되어 있으며 대규모의 곡에서는 주제 변형(Transformation of theme)기법을 사용하였다. 둘째, 증화음과 감화음, 7화음과 9화음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조성은 d minor와 F^(#)Major, C^(#)Major, D Major로 나타난다. 또한 자연배음에서 얻어지는 새로운 화성의 실험과 반음계건 진행, 두껍게 쌓여진 화음 등을 썼다. 셋째, 16분음표리듬과 셋잇단음표리듬, 붓점리듬을 사용하여 주제를 확대 시키거나 축소시키고 있다. 넷째, 느리게-빠르게-느리게의 속도 변화로 되어 있으며, 전반적으로 음량이 매우 크고 극단적으로 강약을 대비시키고 있다. 다섯째, 능숙하게 훈련된 팔과 손목의 회전기교를 가지고 거칠지 않은 음질을 만들어야 폭 넓은 울림과 호려한 기교를 표현할 수 있다. 여섯째, 손의 부자유스러운 동작을 없애고 손가락과 손목, 팔의 움직임을 쉽게 만들 수 있는 편안한 운지법을 사용해야 한다. 일곱째, 페달링(Pedaling)은 소프트페달, 반페달, 스타카토페달, 비브라토페달 등의 섬세한 페달링을 사용해야 음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작품은 피아노를 오케스트라적으로 다룸으로써 관현악적인 강렬한 음향과 색채를 만들어내는 리스트의 화려함과 고도의 테크닉을 표현한 작품이다. F. Liszt (1811-1886) is a composer who connected literature and music, wonderfully developed piano music,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Romanticism and Impressionism in the 20th century.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analysis and study of the performance 「Apre`s une lecture du Dante」 in the two sessions of 「Anne´es de pe`lerinage : Anne`e」, which had the subtitle 「Fantasia quasi sonata」, h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tle music and was composed by harmonizing various techniques. And it is aimed at giving technique on of help for the right performance. For the studying method, it was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Liszt's piano musics, the background of the work, and the general composing technique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for formation, key, harmony and rhythm, tempo, and dynamics, while examining the performance technique. And the music book that was used for this analysis is Chunchoo Edition published in 1983. A study of Analysis and Performing Technic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rmation of this music is sonata. and it is composed of Introduction,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Coda. It uses Transformation of theme in the large scale music. Second, this music used a lot of Augmented chord and Diminished chord, and it also used the seventh chord and ninth chord. The key is d minor and F^(#) Major, C^(#) Major, and D Major. Moreover, it experiments the new key which can obtain from the natural overtone, and it uses a chromatic scale progress and large chord. Third, it sometimes magnifies or reduces the theme by using 16notes rhythm, Triplet rhythm, dotted rhythm. Fourth, the music changes the tempo, slow-fast-slow. the volume is generally very high, and it extremely contrasts the Dynamic. Fifth, Wide range of sound and the brilliance in the music can be expressed by making smooth tone quality with the turning skill of the well trained arms and wrist. Sixth, the comfortable fingering should be used, which is enough to make the moving of fingers, wrist and arms easy after eliminating the uncomfortable movement of the hands. Seventh, Pedaling such as soft Pedal, half-pedal, staccato pedal, vibrato pedal, etc. should be used in order in to prevent from making the sound unclear. This music is the piano work that expresses the brilliance and the high technique of Liszt's music making the strong orchestral sound add color by treating orchestrally.

      • 온라인 플랫폼 기반의 비대면 공연예술 소비자의 선호요인 IPA 분석

        남혜연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out two years have already passed since the COVID-19 confirmed patient was first reported in Korea. Since February 2020, it has been pandemic- re-emerged three times, and ordinary daily lives such as work, school, and home have been newly changed due to unexpected COVID-19.In line with this, communication between artists and audiences is important, and new reproduction methods have begun to emerge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which has offline characteristics such as realism and one-off. Now that the situation has changed, performances that were performed face-to-face in the same space have been converted to non-face-to-face, untact content has emerged rapidly.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new non-face-to-face performance formats and online platforms in the era of COVID-19 an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derive the audience's preference factor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the performance environment that will gradually change in the future.Therefore, this paper derived consumer preference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studies on the newly changed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in the COVID-19 era to measure preference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a total of six factors: usability, fieldality, technology, convenience, workability, and innov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60 people who watched both face-to-face performa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a self-entry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10 days from October 15 to October 25, 2022.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cross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as data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all six component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satisfaction.First, in terms of ease of us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easy and easy to watch performances through platforms', 'clear and easy to remember platform use', 'convenient viewing with smart devices', 'synopsis and music of performances (works)', and innovation are all high.Second, the importance of 'watching videos from various angles', 'smooth video transmission', 'high-quality sound music delivery', and 'synopsis and music of performance (work)' in work quality are high, but satisfaction is low, so this should be intensively improved in the future. The response to the non-face-to-face performing arts was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ree viewing environment, but the biggest regret was that the immersion was reduced due to the unstable network condition and the vivid sense of reality was not felt.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even if non-face-to-face performances are enjoyed and online platforms can be a medium of creation, they cannot replace the desire for the realism of art.In a rapidly changing culture and arts market environment, consumer-centered service innovation that can satisfy consumers' expected values by reflecting consumers' opinions along with works that reflect the trend of the times is an important task.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ese non-face-to-face performance arts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will be the basic data necessary to direct non-face-to-face performances in the future,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performing arts as a new genre that only online can give.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가 국내에 최초 보고된 이후 팬데믹 상황에 이른지 어느덧 약 2년이라는 시간이 경과 되었다. 2020년 2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대유행-재유행 되며 직장, 학교, 가정 등 개인의 삶 안에 평범했던 일상들이 예상하지 못한 COVID-19로 인해 새롭게 변화되었다. 이에 맞춰 예술가와 관객의 소통이 중요시되며 현장성, 일회성등 오프라인 특성을 띄고 있는 공연예술분야에 있어서도 새로운 재현 방식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같은 공간에서 대면으로 이루어졌던 공연들이 상황이 변한 지금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언택트 콘텐츠가 급부상하였다. 본 연구는 COVID-19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새롭게 나타나는 비대면 공연형식과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연구하고 이에 관객들의 선호 요인을 도출하여 앞으로 점차 변화될 공연 환경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COVID-19 시대의 새롭게 변화된 비대면 문화예술에 대한 선행연구와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선호요인을 도출하여 사용용의성, 현장성, 기술성, 편의성, 작품성, 혁식성 총 6가지 요인에 따른 선호도와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COVID-19 이전의 대면 공연과 이후 비대면 공연을 모두 관람한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22년 10월 15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10일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통계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계수,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6개의 구성요소 모두 중요도가 만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첫 번째, 사용용이성에 있어서는 ‘플랫폼을 통한 쉽고 간편한 공연 관람’, ‘명확하고 기억하기 쉬운 플랫폼 이용방법’, 편의성에 있어 ‘스마트기기로 편리한 관람’, 작품성에 있어 ‘공연(작품)의 시놉시스 및 음악’, 혁신성에 있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없는 연출’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는 모두가 높게 나타나므로 지속적으로 유지해야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현장성에 있어서는 ‘다양한 각도의 영상 관람’, 기술성에 있어서는 ‘원활한 영상 송출’, ‘고음질 사운드의 음악 전달’, 작품성에 있어 ‘공연(작품)의 시놉시스 및 음악’에 대한 중요도는 높으나 만족도가 낮게 평가되어 이는 향후 집중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비대면 공연예술에 대한 반응은 대체적으로 자유로운 관람환경에 만족하지만 원활하지 못한 네트워크 상태로 몰입도가 떨어지며 생생한 현장감을 느끼지 못한다는 아쉬움이 가장 컸다. 이처럼 시간을 따로 들여 대면하지 않고 쉽고 간편하게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편의성에 만족하며 비대면 공연이 향유되고 온라인 플랫폼이 창작의 매개체가 될 수 있어도, 예술이 가지는 현장성에 대한 갈망을 대체할 순 없다는 것을 확일 할 수 있는 연구 결과이다. 빠르게 시시각각 변화하는 문화예술시장 환경에서 그 시대의 흐름을 반영한 작품과 함께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소비자의 기대 가치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소비자 중심의 서비스 혁신은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비대면 공연예술의 선호도와 만족도 결과가 앞으로 이루어질 비대면 공연의 방향성을 잡아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하며 온라인만이 줄 수 있는 새로운 장르로서 공연예술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희망한다.

      • Neuroprotective effects of eleutherin against oxidative glutamate toxicity in hippocampal HT22 cells

        남혜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15

        Eleutherin은 eleutherine Americana (Iridaceae)에서 추출된 1,4-naphtopyran 부분을 포함한 naphthoquinone 구조의 유도체로써, 항염증과 항암작용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중추신경계 시스템에서의 eleutherin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우리 연구실의 이전 실험결과, eleutherin은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beta: Aβ)의 응집(oligomerization)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또한 마우스 기관형 해마 조각배양(mouse hippocampal slice culture)에서 NMDA로 상승된 Aβ독성으로 인한 해마조직의 세포사멸을 유의적으로 막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Aβ독성으로 기인된 산화적 스트레스 (oxidative stress)는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AD)의 발병 및 악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신경퇴화에 대한 신경보호의 많은 접근법이 항산화 시스템에 초점을 맞추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해마조직에서 유래한 HT22 세포 시스템에서의 글루탐산(glutamate)으로 유도되는 산화적 스트레스 매개 신경독성에 대한 eleutherin의 방어효과를 평가하고 그 잠재적인 메커니즘을 탐색하여 신경세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약물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먼저, eleutherin이 Aβ와 NMDA독성으로 유도되는 마우스 해마조직의 세포사멸을 억제시키는 이전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뇌에서 신경흥분성, 시냅스 가소성 및 세포생존을 조절하고 베타절단효소(β-secretase)의 활성을 억제, Aβ 형성을 저해하여 신경손상을 예방한다고 알려져 있는 sAPPα 레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eleutherin은 정상상태의 HT22 세포에서도 sAPPα 생성을 촉진시켰으며, 과산화수소 (H2O2) 처리에 의해 감소된 sAPPα의 레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를 통해 eleutherin이 신경보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예측해 보았다. 다음으로, 글루탐산으로 유도되는 HT22 세포사멸을 사용하여 eleutherin이 세포를 보호할 수 있는지 여부와 작용 가능한 메커니즘을 조사하였다. 과도하게 증가된 세포 내 활성산소 수준은 단백질 산화, 지질 과산화, 과도한 소포체 스트레스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ER stress)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의 손상을 통해 많은 뇌 질환에서 신경세포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HT22 세포에서 글루탐산 독성의 주요 기전으로 여겨져 왔다. 이번 연구에서는 글루탐산을 5 mM 또는 10 mM로 처리하여 유도되는 세포독성에서 eleutherin을 한시간 전 처리 함으로써 동일한 보호효과를 나타내는지 여부와 세포 내 활성산소 레벨변화, 소포체 스트레스의 지표 단백질 변화 및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글루탐산 처리에 의해 세포생존율이 50% 또는 80%까지 떨어진 조건에서 eleutherin은 세포사멸의 심각성과는 상관없이 완벽하게 세포생존율을 유지시켰다. 실험결과에서 흥미로운 것은 eleutherin이 낮은 농도인 1 µM에서 세포 보호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난 것이다. 또한 과도하게 증가된 활성산소의 레벨도 eleutherin의 전처리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들을 통해 eleutherin의 뛰어난 세포보호작용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러한 보호효과가 GSK3β-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signaling-CRMP-2 기전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다고 추측하였다. mTOR signaling은 신경세포의 활성, 단백질 전사 및 합성을 조절하여 세포의 정상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세포 항상성을 조절하는 주요 조절자로써 뉴런의 생존 및 사망에 밀접하게 관련 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mTOR signaling의 비정상적인 활성화 및 억제는 많은 뇌질환을 야기한다고 보고되고있다. 따라서 후속 실험에서는 글루탐산을 처리하고 eleutherin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mTOR pathway 단백질들 (GSK3β, P70S6k, S6, CRMP-2)의 레벨 변화를 통해 eleutherin이 나타내는 신경보호작용에 대한 주요 메커니즘으로서 역할을 하는지 그 연관성을 조사해 보았다. 글루탐산의 농도에 따라 mTOR signaling은 과도하게 활성화 되거나 반대로 억제되게 된다. P70S6k와 S6의 인산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글루탐산 5 mM을 처리한 조건에서는 정상의 인산화 레벨보다 더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것은 mTOR signaling의 과도한 활성화를 의미한다. 글루탐산 10 mM을 처리한 경우는 극심한 세포독성으로 인해 정상 단백질 수준이 완전히 없어졌다. 반면에, eleutherin을 전처리한 그룹은, 과도하게 활성화된 단백질 레벨은 정상수준으로 낮춰주고 반대로 단백질 발현이 완전히 없어진 것은 정상수준으로 올려 회복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eleutherin이 mTOR pathway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여 세포보호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하고 직접적인 mTOR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라파마이신 (rapamycin)을 처리하였을 때, eleutherin의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mTOR signaling을 조절할 수 있는 약물로써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했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eleutherin은 라파마이신에 의한 세포사멸에는 전혀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으며 억제된 mTOR signaling도 회복시키지 못했다. 이 결과들을 통해, eleutherin의 세포보호작용은 mTOR의 상위단계에서 조절되어 나타나거나 또 다른 메커니즘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것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글루탐산 세포독성에 대한 eleutherin이 나타내는 강력한 신경세포 보호작용이 다른 종류의 세포독성물질로 유도된 세포사멸에서도 나타날 수 있는지 범위를 확장하여 관찰해 보았다. 외인적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킬 수 있는 과산화수소,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손상시켜 활성산소를 증가시키는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억제제, rotenone 또는 antimycin-A로 유도한 세포사멸에서 eleutherin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흥미롭게도 eleutherin은 이들 세가지 독성물질에 대한 세포사멸은 글루탐산-유도 세포사멸을 막는 보호효과보다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eleutherin의 효과가 굉장히 특이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생각 할 수 있었다. 최근 연구에서 철 대사와 아밀로이드전구체 단백질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사이의 밀접한 관련성을 보고하였는데, 이번 결과에서 언급된 eleutherin의 sAPPα 촉진효과는 철 이온의 안정화 또는 대사를 조절하여 산화적 스트레스 및 신경손상을 예방할 또 다른 기전으로 간주 될 수 있다고 가정했다. 따라서 철 의존성 세포사멸 메커니즘인 ferroptosis에 주목하여 eleutherin의 작용기전을 살펴보았다. Ferroptosis 유도물질로 알려진 erastin 또는 buthionine sulfoximine (BSO)를 HT22 세포에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이 20% 이하로 심각한 손상을 주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eleutherin의 전처리는 놀랍게도 글루탐산에 대한 강력한 보호작용과 마찬가지로 거의 완벽하게 세포사멸을 차단하는 효과를 보였다. Ferroptosis로 유도되는 심각한 세포사멸이 글루타치온의 결핍으로 인한 항산화기전의 억제로 나타난다는 연구를 바탕으로, eleutherin이 세포내에 글루타치온 농도를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키는지 측정하였는데, 기대와 달리, eleutherin은 글루타치온 레벨을 높이지 못했다. 결론적으로, eleutherin이 강력하게 ferroptosis를 차단하는 효과는 글루타치온 농도와는 관련성이 없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ferroptosis는 지방의 과산화를 유도하여 세포내 활성산소의 작용을 촉진한다. 이번 실험에서는 지방 과산화를 유도하는 아라키돈산을 처리하였고 이 물질은 저농도의 글루탐산 (2 mM)의 독성을 더욱 상승시켰다. 그 결과, 80%이상 세포사멸이 일어났고 eleutherin의 전처리는 앞선 결과들과 마찬가지로 세포생존율을 정상수준으로 회복시켰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볼 때, 글루탐산으로 유도된 세포 독성에서eleutherin의 강력한 보호작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 작용기전으로는 철에 의존하는 세포사멸 기전에서 eleutherin이 세포 내 sAPPα 레벨을 증가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eleutherin의 ferroptosis-세포사멸 방어효과에 대한 정확한 표적 메커니즘을 추가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eleutherin이 알츠하이머 및 기타 여러가지 산화독성 유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후보약물로써 평가된다는 중요한 in vitro 증거들을 제시하였다. Eleutherin is one of the major naphthopyran components isolated from Cipura paludosa (Iridacea),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well presented by their anti-infectious and anti-tumorigenic effects. However, the CNS effects of elutherins have been less studied. Previously, our laboratory found the eleutherin’s in vitro antiamyloidogenic effect (antioligomerization) and preventive effects on neurotoxicity induced by co-treatment of Aβ+NMDA in mouse hippocampal slice culture. Oxidative stress caused by Aβ toxicit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onset and deterioration of Alzheimer's disease (AD). Therefore, many approaches to investigate neuroprotection have been focused on antioxidant systems. The present study generally aimed to assess protective effects of eleutherin against oxidative glutamate toxicity in hippocampal HT22 cells and explore its potential mechanism. Based on our previous result for the protective effects of eleutherins against Aβ toxicity, whether the non-amyloidogenic pathway product, sAPPα, which is known to control neuronal survival, synaptic plasticity and inhibit Aβ formation, could be involved in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eleutherins were examined. Eleutherins stimulated basal sAPPα production in normal HT22 cells, and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APPα level reduced by hydrogen peroxide (H2O2) treatment. The glutamate-induced HT22 cell death that has been extensively used as endogenous oxidative stress model was utilized to investigate possible protective mechanisms of eleutherin. Abnormally increased intracellular ROS level induced by glutamate toxicity in HT22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eleutherin. Among the many mechanisms that cause glutamate-induced cell death, because change referring mitochondrial damage leading to oxidative stress-mediated neuronal death was significantly recovered by eleutherin, it can be expected that eleutherin would also protect against toxicities induced by interfering with complex I or Ⅲ of the electron transport chain in mitochondria with inhibitors such as rotenone and antimycin-A. Unexpectedly, protective effects of eleutherin against toxicity induced by rotenone, antimycin-A and exogenous H2O2 were much weaker than its effect on toxicity induced by Aβ+NMDA or glutamate-induced toxicity. It was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 GSK3β-mTOR signaling-CRMP-2 protein expression that are closely involved in neuronal survival/death as master regulators to control cellular homeostasis are involved in the eleutherin’s neuroprotective effects. Eleutherin restored the glutamate-induced decreased expression and activity of GSK3β to the control level. Eleutherin also significantly recovered the dysregulated mTOR downstream signals, and enhanced the CRMP-2 expression reduced by glutamate. It is not likely that eleutherin directly activates mTOR, because of no inhibitory effect of the mTOR inhibitor, rapamycin, on the eleutherin’s function recovering the glutamate-induced decreases in mTOR signals and CRMP-2. Additional study addressed whether the iron-dependent ferroptotic death mechanism that is distinct from apoptosis, necrosis or autophagy, and leaded by enhanced lipid peroxidation play roles as important mechanisms for the eleutherin’s neuroprotection against glutamate-induced toxicity. Eleutherin completely blocked severe cell death induced by two ferroptosis-inducing agents, erastin and buthionine sulfoxamine (BSO). In addition, the arachidonic acid-induced cell death that was further accelerated by adding low concentrations of glutamate was completely restored by eleutherin. Although eleutherin reduced the glutamate-induced ROS levels and blocked glutamate- or BSO-induced neurotoxicity, eleutherin did not restore the glutathione (GSH) level reduced by glutamate or BSO, suggesting that the protective impact of eleutherin was not mediated by an antioxidant mechanism via restoration of GSH levels.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eleutherin produces potent preventive effects against glutamate-induced toxicity. An underlying mechanism proposed is that eleutherin increase sAPPα that can protect ferroptotic neuronal death by modulating iron stability. This thesis provided important in vitro evidences for eleutherin’s potential 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agent possibly for AD and many other oxidative toxicity-induced disea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