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실태 :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를 중심으로

        나오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 소속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 조사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종교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1) 종교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2) 종교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3) 종교교육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4) 종교교육에서 교사의 역할은 어떠한가? (5) 종교교육의 환경구성은 어떠한가? (6) 종교교육에 대한 평가는 어떠한가? (7) 종교교육시 어려운 점과 학부모 반응은 어떠한가? (8) 종교교육을 위한 교사의 현직교육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대교구와 의정부교구 소속 유치원 36곳의 종교교육 담당 교사 36명이다.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전반적인 종교교육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문용은(1992)과 이응찬(2005)의 연구에서 사용한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의 실태 조사 설문지를 참고하고, 가톨릭계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의 현직교육(종교교육의 이론, 교수방법, 개인적 노력)에 대한 문항을 첨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도 교사들이 생각하는 유아기 종교교육의 목적이 신앙의 발달보다는 인격 성형과 인성 발달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교교육의 목적에 대한 교사들의 명확한 인식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둘째, 종교교육에 있어서는 예수님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들에게 예수님에 대한 내용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내용이고, 또 교사들에게도 친근한 내용이며, 교사들이 종교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셋째, 종교교육 내용과 방법을 계획할 때 중점이 되는 것은 ‘전례주년’이었는데 이는 ‘전례주년’을 통한 종교행사를 실제로 체험하게 함으로써 교실에서 교사의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전례주년의 중심인 성탄과 부활을 중심으로 종교교육을 실시하며, 더불어 성탄과 연결된 대림시기, 부활과 연결된 사순시기에 대한 내용을 연계해서 교육함도 알 수 있었다. 넷째, 종교교육의 교수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에서, 종교교육시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이전의 실태조사와 큰 차이점이 ‘노틀담 실천교리’를 사용하는 유치원이 27.8%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또 비치되어 있는 종교교육 교구에 대한 결과도 이전의 실태조사와 비교해서 ‘노틀담 실천교리 셋트’와 ‘착한목자 교구 셋트’, ‘종교행사에 따라 제작한 교구’ 등의 교구의 비치 비율이 30.6%로 나타났다. 이는 이전 연구에서 지적된 프로그램의 개발 없이 과거에 제작된 교재나 교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대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급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다섯째, 종교교육시 어려운 점은, ‘종교교육에 대한 자료들이 부족함’이 첫 번째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교육의 기회와 교육과정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종교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종교교육의 교재·교구에 대한 연구와 개발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여섯째, 종교교육의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종교교육 후에 구체적으로 평가하지 않는 비율이 50%로 나타났다. 교육은 의도적이므로 교육과정에 평가를 포함하는데 50%의 유치원에서 평가를 하지 않는 것은 평가를 하는 데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겠지만 교육의 평가가 교육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 되는 것을 간과한 측면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러므로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종교교육의 내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항목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 요구된다 하겠다. 일곱째, 종교교육을 위해 교사가 참여하는 현직 교육 방법에 대한 내용에서 ‘교구·수도원 교사연수 참여’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이는 교구와 수도원에서 교사교육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하겠다. 또한 개인적인 노력인 ‘종교교육 전문서적과 간행물 읽기’가 다음으로 높은 빈도로 나타나 교사 개인으로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치원 내 자체 교사연수’와 ‘유치원 내 소그룹활동’과 같이 개별 유치원에서도 종교교육을 위해 자체 교사 연수나 소그룹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종교교육을 위해서 교구와 수도원, 개별 유치원과 교사 개개인들이 많은 노력을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d the overall conditions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e archdioceses of Seoul and Uijeongbu. The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ccording to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current situation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1) What is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2) What is the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3) What is the teaching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4) What is the role of the teacher in religious education? (5) How is the religious education environment constructed? (6) How is religious education evaluated? (7) What are the difficulties in religious education and what are parents’ responses? (8) How do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receive on-the-job training? The subjects for this research are 36 religious education teachers in 36 kindergartens which belong to the archdioceses of Seoul and Uijeongbu. The conditions questionnaire for Catholic early education institutions used by Moon Yong-eun (1992) and Lee Eung-chan (2005) was used as a reference, and questions regarding on-the-job training (religious education theory, teaching method, individual effort) in Catho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dded.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from the collectedinform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s in previous research, this research showed that teachers perceived the purp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developing character and personality rather than developing faith. Therefore, clea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is required for teachers. Second, it appeared that content about Jesus was dealt with most often in religious education. This shows that content about Jesus can be easily approached with young children, and is most familiar to teachers and thought to be most important by teachers in religious education. Third, plann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had been centered on the ‘Annus liturgicus’ this is because it is more effective to actually experience religious occasions through the ‘Annus liturgicus’ rather than just listening to the stories of teachers in the classroom. Also, in most kindergartens religious education centers on the bir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which is at the center of the annus liturgicus. In addition, it was observed that content about Advent and Lent could be taught in connection to Christmas and Easter. Fourth, regarding teaching methods, the results of analyzing programsused in religious education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in existingresearch...That..is..to..say,..27.8%..of..kindergartens..used..the..“NotredameRPP(Religionspädagogische Praxis).” Also, results regarding religious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showed that materials such as ‘Notredame RPP materials’, ‘GSTS(The Good Shepherd Toy Set)’, and ‘Teaching material produced for religious occasions’ were equipped in 30.6%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 In response to the criticism in existing research which pointed out that materials developed in the past were continually used, it is meaningful that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and disseminated. Fifth, in terms of difficulties in religious education, the foremost difficulty was the ‘lack of material for religious education.’ It is evident that teachers consider opportunity of education and curriculum as important, but they are more in need of material that can be utilized in religious education. Therefore, efforts towards researching and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for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increased. Sixth, regarding the evaluation of religious education, 50% of respondents appeared to have no detailed evaluation method for religious education. Education is deliberate, so evaluation is included in the curriculum the 50% of kindergartens that have no evaluation method may not have one due to the realistic difficulties in evaluation, or because they are overlooking the fact that evaluation becomes a tool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should be perceived, and evaluation criteria that can assess the content of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eventh, regarding on-the-job training for teachers of religious education, a high percentage of participants acknowledged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in diocese or monasteries.’ This shows that the dioceses and monasteries are working hard to train teachers. Individual efforts of ‘reading religious education books and periodicals’ appeared with the second-highest frequency, so it was evident that teachers were also putting in a lot of effort individually. It appeared that individual kindergartens also had self-organized teacher training or small group activities, as seen in the responses ‘teacher training within kindergarten’ and ‘small group activities within kindergarten.’ Thus it can be observed that dioceses, monasteries, individual kindergartens, and each of the teachers exerted a lot of effort toward religious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