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국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에 관한 연구

        김희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analysis Obama policy toward North Korea write the paper substitute about offshore balance and selective engagement of Dr. Mearsherimer who offensive realist, the offshore balance theory is regard important national target in contrast US core exercised dominion over rimland important area (Europe,Northeast Asia,the Persian Gulf) to US, any another country never exercised dominion over any area in the world. The policy that other area which is dangerous competition state, may as well involve US stake in the regions affect as coactive cop their neighboring a strong nation. For example, at August, 2011, China aircraft carrier had flight test string up neighboring countries nerves, US nuclear aircraft carrier was enter Vietnam area clear up a case, it also the important roll over a oceanic blocking. The selective engagement was a realism alternative which Bush govement push forward about 'blind faith in a militery power' major core content is when make a decision that content of intervation about US major profit and relative region decide after consider 'a menaces strength of the way. Lately, the US air strike that decisive role Livia civil war cessation US carry out assist role, over hand leadship to France and England. It was different aspect that war, US had initiative at the Afghanistan and Iraq war, before Bush govement. The selective engagement have mean supplement dimension that offshore balance, when involve, that US major profit reative religon, consider a menaces strenth of national interest and a menaces proportion of involve that application militry power. For compare that obama govement diplomatic policy. compare to before Bush govement diplomatic policy 1.change unilateral leadership diplomacy to multilateral diplomacy 2.change hard power to soft power 3.change to realism, all thoes are seems try to change from Bush govement that rouge US fellow countrymen based on progressive internationalism. Northeast Asia policy is contineu influence based on offshore balance, expedite benefit to region ally and strategic partner national on the basis of peaceful stable security enviroment. And for China's rush at the northeast asia US's action is prudently policy involve that accord with offshore balance and selective engagement. Obama govement police toward North Korea is strategic patience policy that carefully achieve policy model of before two govement fault, Obama 1st govement policy was too inflexive come from Lee myung bak govement policy denuclearization, open-door, 3000 plan but 2nd govement won't change politically, look forward seek change to some degree. Obama govement not only cooperation with ally but try to solve North Korea peoblem through the multilateral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big part of roll will be China, it appear at the UN Security Resolution. After xi jinping system, obviously relation with China will be working big variable to North Korea and Northeast Asia problem. However until now amicable settlement problem put up multual benefit. The ultimate object of US toward North Korea is get solve circumstance problem through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with North Korea, US's determination stance is not be deceived by North Korea anymore, begin with North Korea appear change attitude truly. In the circumstances, Obama govement will solve the North Korea problem that keep the large enviroment as strategic patient, and arrage lever and inconsistent of selective engagement. 오바마 정부의 대북정책을 분석하기 위해 공세적 현실주의자인 미어샤이머 교수의 역외 균형과 선택적 개입의 내용을 대입하여 논문을 작성하였는데, 역외 균형 이론은 미국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역(유럽, 동북아시아, 페르시아만)에 미국이 핵심적인 지배권을 행사하는데 반해 다른 어느 국가도 세계의 나머지 지역들에 대해 지배력을 행사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것을 미국의 중요한 국가적 목표로 간주하는 것이다. 다른 지역의 위험한 경쟁국들은 해당 지역에서 미국이 지니는 이해관계에 개입하기보다는 그들과 이웃한 강대국들에게 주목하도록 강제돼야 한다는 정책입니다. 가령 예를들어 11년 8월 중국의 항공모함이 남중국해에 시험운행에 나서 주변국들이 긴장했는데 미국의 핵항공모함이 베트남지역으로 진입하여 원만하게 해결된 사건이 있었는데 이또한 역외 균형 개념이 제시하는 중요한 조건인 대양의 차단력입니다. 선택적 개입은 전 부시 행정부하에 추진했던, ‘군사력 맹신’에 대한 현실주의적 대안인데 핵심내용은 미국의 주요 이익과 관련된 지역에 있어 개입의 내용을 결정할 때 ‘국익에 대한 위협의 강도’와 비례성을 고려하여 그 수단을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미국이 리비아 내전 종식에 결정적 역할을 한 공습에서도 미국은 프랑스와 영국군에 주도권을 넘긴 채 보조적 역할만 수행한 것도 이와 관련된 내용이다. 전 부시 행정부 시절의 아프가니스탄과 이라크 전쟁에서 미국이 주도권을 가지고 수행한 전쟁과 사뭇 다른 양상이다. 선택적 개입은 역외 균형개념을 보완하는 차원에서의 의미를 지니며, 미국의 주요 이익과 관련된 지역에 개입할 때는 국익에 대한 위협의 강도와 위협과 개입의 비례성을 고려하여 군사력 사용에 신중성을 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오바마 행정부의 외교정책을 비교하기 위해 전 부시 행정부와의 외교정책을 비교했을때 1. 일방주의적 외교에서 다자주의적 외교로의 전환 2. 하드파워에서 소프트 파워로의 전환 3. 진보적 국제주의에 근거한 실용주의적 현실주의노선으로 정책을 변경하였는데, 이 모든 것이 어떻게 보면 자국민에게 반감을 산 부시 행정부의 정책에서 변화를 시도한 내용이다. 동북아 정책은 역외 균형에 입각한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가져오고 있는데 지역의 동맹국과 전략적 파트너 국가의 이익을 촉진할 수 있는 평화롭고 안정적인 안보환경을 토대로 지역전략에 그대로 투영된 것이다. 그리고 동북아에서의 중국의 약진에 대한 미국의 대응도 역외균형과 선택적 개입에 잘 부합하여 정책을 신중하게 개입하고 있다. 오바마 행정부의 대북정책은 전략적 인내의 대북정책으로 이전 두 개 정부의 과오를 거울삼아 신중하게 정책을 펴고 있는데, 오바마 행정부 1기의 정책은 이명박 전 정부의 정책인 비핵·개방·3000 구상으로 말미암에 너무 경직된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기 행정부도 크게 정책적으로 변화하지는 않을 것이나 어느 정도의 변화는 모색하지 않을까하는 기대를 해본다. 오바마 행정부는 동맹국과의 공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다자주의적 국제 협력을 통해 북한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것이다. 이에 가장 큰 역할을 할 것은 당연 중국이라 할 수 있는데 그런 역할적인 부분이 최근 UN 안보결의에 나타났다. 시진핑 체계이후의 중국과의 관계가 북한과 동북아 문제의 큰 변수로 작용할 것이 자명한데 현재까지는 상호실리를 내세우며 원만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미국의 대북정책의 최종목적은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을 통한 제반 문제의 해결이라고 볼 수 있는데 미국의 확고한 입장은 더 이상 북한에 속지 않겠다는 것이고, 북한이 먼저 진정한 태도변화 노력을 보이라는 것입니다. 이렇게 볼 때 오마바 행정부는 전략적 인내라는 큰 틀의 기준선을 고수하면서 선택적 개입의 수준과 내용을 조정해 가면서 북한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이다.

      •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성 분석

        김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 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효과성을 살펴보는데 있으며 이를 위해 교육 가능급 특수학급 아동 중 한국교육개발원(1987)의 기초학습 기능검사 읽기Ⅰ(문자와 낱말의 재인)과 쓰기(철자의 재인) 검사 결과, 5세 이전의 언어 능력을 가지고 있는 비슷한 수준의 아동 4명을 대상으로 멀티미디어 자료와 학습지를 이용한 읽기·쓰기 학습을 하였을 경우, 각각이 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 및 학습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하였을 경우, 상향식과 하향식 모형 중 어느 것이 아동의 읽기와 쓰기 능력 향상에 보다 더 효과적인 모형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서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을 더 많이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읽기 학습에서는 하향식 모형이, 쓰기 학습에서는 상향식 모형이 각각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서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특수아동의 학습 참여도를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모형에 상관없이 두 가지 모형 모두 특수아동의 학습 참여도를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서 멀티미디어 자료가 학습지보다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을 더 많이 향상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율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학습지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다. 넷째, 멀티미디어 자료가 학습지보다 특수아동의 학습 참여도를 더 높은 수준으로 유지시킬 것이라는 가설은 입증되었다. 연구 결과 멀티미디어 자료는 학습 참여도를 보다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시킨 반면 학습지는 처치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학습 참여도 감소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얻은 결론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에 상향식,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를 각각 적용하였을 때 두 가지 모형 모두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 참여도를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시켰다. 이것은 멀티미디어 자료가 가지는 반복학습, 개별학습, 즉각적인 피드백, 영상과 음향 등의 특성들이 자극의 수용과 외적 투입에 있어서 주의집중에 문제가 있는 특수아동들에게 효과적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학습 방법이 전통식 수업보다 특수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박규섭(2002) 등의 선행 연구 결과를 다시 한 번 재확인 시켜준다. 둘째, 특수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서는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효과적이며, 특수아동의 쓰기 능력 향상에서는 상향식 멀티미디어 자료가 하향식 멀티미디어 자료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는 읽기·쓰기 학습 이론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멀티미디어 자료에 따라 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이 달라짐을 보여준다. 이것은 특수아동의 읽기·쓰기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을 위한 정보로 제공되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사실을 보다 더 확증할 만한 후속 연구들이 계속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본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들이 있다. 먼저 위에서 말한 상향식, 하향식 모형의 읽기·쓰기 능력 향상율은 그 차이의 폭이 작기 때문에 읽기·쓰기 능력 향상에 반드시 어느 한 쪽 모형이 다른 쪽 모형보다 효과적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으며 또한 두 가지 모형 모두 특수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은 확실하나 그 원인이 꼭 멀티미디어 자료 때문 만이라고 확신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특수아동의 읽기 능력 향상에는 지능과 같은 개인의 능력 차이, 읽기·쓰기 학습과 관련된 실험 처치 이외의 학습이 실시되었는가의 여부, 교사 개개인에 따른 교수방법의 차이 등 실험 통제와 관련된 여러 가지 원인이 작용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과 관련된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아스파탐의 모발 침투특성

        김희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융합대학원 미용향장학과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aspartame)은 페닐알라닌(phenylalanine)을 포함하는 2 아미노산(di-aminoic acid)이며, 아스파탐의 방향족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의 자가형광(autofluorescence) 특성을 이용하여 실크 아미노산과 같은 유효 물질의 모발 내 침투 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판되는 실크 아미노산(0.5%) 헤어 트리트먼트(TS), 1 wt% 아스파탐(TA) 수용액, 그리고 TS에 1 wt%의 아스파탐을 더한 헤어 트리트먼트(TSA)를 탈색모(bleached hair)에 처리 하였다. 무처리 탈색모와 처리모 큐티클의 화학적 변화는 FT-IR (ATR)을 통하여 TA처리모가 정상모(UB, unbleached hair)와 가장 가까운 화학적 구조를 가짐을 확인 하였다. FE-SEM을 이용한 큐티클의 모폴로지는 TSA처리모(treated hair)의 큐티클 표면이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TSA처리모(treated hair)의 큐티클 내부(inner cuticle)로의 침투 특성이 가장 우수하며, 각각 1 wt% 아스파탐 수용액(TA)과 시판 실크아미노산(TS)을 처리한 모발 내부의 형광 물질 강도보다 더 강함을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을 이용하여 관찰 하였다. 결과적으로 아스파탐은 방향족 아미노산의 모발 내 침투 특성을 조사할 수 있는 유용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To study the penetration characteristics of active materials like silk amino acids, the autofluorescence properties of phenylalanine in Aspartame was used. Damaged hair was treated with commercially available silk amino acids (0.5%) hair Treatment(TS), 1 wt% aspartame(TA) aqueous solution and TS+1%TA(TSA). Chemical changes of the treated hair cuticle is investigated with FT-IR(ATR) and it was confirmed that TA treated cuticle comes closed to the structure of unbleached hair(UB). Penetration into inner cuticle was studied by confocal microscopy and TSA treated hair shows the highest fluorescent intensity compare to TA and TS treated hairs.

      • 유아의 스마트폰 몰입정도에 따른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 분석

        김희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아의 스마트폰 노출 정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특히 유아의 스마트폰 노출 정도에 따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유아의 스마트폰 노출 정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은 어떠하며 유아의 스마트폰 노출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정도, 몰입 정도 등 스마트폰 노출에 있어 부모의 역할에 따라 그 효과는 매우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또래유능성 간의 관련성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률이 확산되면서 스마트폰은 현대 사회 속에서 없어서는 안 될 대중의 필수품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오늘날 스마트폰의 활용은 우리 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상생활이 되었다. 이동성과 휴대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어느 장소에 가더라도 어린 아이부터 노인까지 스마트폰에 몰입해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육아라는 말이 생겨날 정도로 부모들의 휴식과 편리를 위해서 또는 자녀를 돌보기 힘들 경우 보상 또는 통제의 수단과 같은 양육의 방편으로 스마트폰을 활용하고 있다. 유아들이 식당에서 스마트폰을 앞에 두고 식사를 하는 모습이나 유모차, 자동차 안에서 스스로 스마트폰을 작동하며 몰입해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어 스마트폰은 더 이상 성인의 전유물이 아닌 유아들에게도 가장 매력적인 놀잇감으로 부상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우리 생활을 편리함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사람들 간 소통 단절, 과몰입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김환남 외(2014)에 의하면 스마트폰 미디어에 노출된 시기와 기기 조작을 허용한 시기가 빠를수록 스마트미디어에 대한 금단 및 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김환남 외,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에 있어 사용 시간에 한도를 정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스마트폰 사용에 한도를 정해주지 않은 집단의 유아가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한도를 정해둔 집단의 유아보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횟수가 많고 스마트폰 중독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신영미, 2011). 따라서 스마트폰 사용 연령대가 낮아져 유아들에게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효율적인 사용 방법에 대한 적극적인 지도와 대처가 필요할 것이다. 스마트 폰의 사용은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영향은 연령이 어릴수록 부정적 영향의 정도가 깊고 빠른 속도로 늘어난다. 스마트폰 사용의 부정적 영향이 성인기로 이어질 경우에 여러 가지 사회적 문제와 갈등으로 커질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정도 또는 노출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유아의 자기조절력, 또래관계 등 사회․정서발달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영유아들의 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대한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사회에서 가정 및 유치원 생활에서 유아들에게 스마트폰은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존재로 자리 잡고 있다.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및 몰입 정도와 부모의 스마트폰 사용 정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력 및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어 가정 및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및 부모의 올바른 스마트폰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에 대한 부모교육의 기본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