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ed LED를 이용한 광조사에 따른 인간 치은 섬유모세포의 세포 반응

        김희정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63

        With in-office bleaching therapy, various light sources have been proposed for light activation of bleaching products. The light sources can activate peroxide to accelerate the chemical redox reactions of the bleaching process. This study examined cellular responses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HGF) exposed to red LED light (wave length 610~630nm) generated from tooth bleaching lamp. HGF were exposed to red light source with clinically relevant intensity and distance for various times ranging from 12~48min. The data from MTT assay showed that the light exposure inhibited cell viability in dose -dependant manner. The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was also reduced in the light exposed cells. In contrast,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cytotoxicity and cell cycle progres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ed light exposure used in tooth whitening therapy can cause unexpected effects on cells depending upon the exposure time. 전문가 미백 치료에서 여러 종류의 광원이 미백제의 광 활성을 위해 소개되어져왔다. 미백과정에서 광원은 과산화수소의 산화 환원 반응을 가속화시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가 미백에서 사용되고 있는 광원 중 하나인 red LED light가 인간 치은섬유모세포에 세포독성을 발휘하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전북대학교병원 치과 교정과에서 사용하는 퀵 스마일(Quick Smile)을 red LED 광원으로 사용하였고, 본원 내원 환자의 발치된 구치로부터 치은 섬유 세포를 배양하여 실험하였다. Red LED light의 광조사 시간을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대조군은 광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그룹으로 설정하고, 실험군은 광조사 시간에 따라 12분, 24분, 48분 조사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세포독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MTT, PI staining, TdR uptake, DiOC6 staining 등의 실험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 광조사 시 MTT 감소와 TdR uptake의 감소를 보였으며, DiOC6 staining에서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의 감소를 보였다. 하지만 PI staining 결과 광조사에 따른 apoptosis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red LED light는 인간치은섬유모세포의 cell viability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cell apoptosis를 일으키지는 않는다고 생각된다.

      • 고온용융 무연 칠보유약

        김희정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내의 기존 칠보에 사용되는 불투명 백색유약은 첫째 대부분 유해한 납성분을 포함한 유연 유약이고, 둘째 불투명 백색 유약으로 1차 소성하여 밑작업을 하고 그 위에 본 디자인을 위한 칠보 작업을 하는 경우 상부에 유색유약을 얹어서 반복된 열처리를 하는 동안 상부 유약의 연화온도와 유사한 범위에 있기 때문에 동시에 연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연 소재이면서, 기존 유약의 연화점보다 높아 그 상부에 유색유약을 올려 여러 번 열처리하여도 유약의 모양이 퍼지지 않는 불투명 백색의 바탕 유약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유약의 연화점은 Pb, Na, Bi 성분을 가감하여 조절하였다. 유약조성에서 Pb를 제거하는 것 자체로서 유약의 연화점을 840oC 이상으로 높일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 유약의 일반적인 소성온도가 750oC이므로 810oC 부근으로 낮추기 위하여 0.1~1.0 wt% 범위의 Bi2O3 첨가와 4.6 wt% Na2CO3 를 가감하였다. 제조된 유약의 DSC-TGA에 의한 열분석 결과는 800oC부근에서 결정의 상전이가 관찰되어 결정화 유리임을 보여주었고 Na의 첨가는 예상대로 연화점을 낮추고 감량은 연화점을 상승시키지만 Bi의 첨가는 첨가되는 양이 실험한 조성 중 0.1~0.4% 까지는 연화점을 낮추지만 그이상의 첨가는 연화점을 상승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XRD를 이용한 상분석 결과는 Sb3O6(OH)〔Stibiconite〕, CaF2〔Fluorite〕 , NaF〔Villaumite〕결정상의 존재를 보여 주었다. 이 결과는 열분석결과에서 800oC 부근에 나타나는 흡열 peak 가 eutectic 조성에 의한 상전이일 것이라는 추정을 뒷받침하고 있다. 알칼리 첨가는 알칼리 감소 보다 Na에 의해 형성된 NaF의 결정이 더 많이 포함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CaF2 결정의 intensity는 거의 유사하게 존재하였다. Enameling 상태와 퍼짐성 비교 결과에서도 Bi가 0.1wt%과 0.4wt% 첨가된 조성에서 연화점이 낮아지고 그 이상의 Bi 첨가 시에는 오히려 연화점이 높아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DSC-TGA에서 DT 곡선에서 보이는 결과와 거의 유사하였다. 또한 Na의 첨가는 연화점을 낮추고 감량은 연화점을 높이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표면 거칠기 측정 결과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위 분석 결과로 10.5~10.8wt% F, 20.1~22.3wt% Na2O, 8.7~9.0wt% Al2O3, 45.2~46.4wt% SiO2, 1.1~1.2wt% K2O, 4.7~4.8wt% CaO, 0.3wt% TiO2, 0.1wt% Fe2O3, 6.9~7.0wt% Sb2O3, 0.1wt%BaO, 0.0~0.4wt% Bi2O3 조성의 유약을 최적의 유약으로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바탕의 무연 불투명 백색유약은 연화점이 810oC 부근으로 기존 유약의 연화점과는 작업이 용이하기에 충분한 차이가 있었다. 연화점은 수분내의 열처리에 의해 완성되는 칠보작업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서 바탕유약과 상부유약의 연화점차이는 작품의 다양성과 작업성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된다. Most of the domestic commercial opaque white frits contains hazardous lead component. Frits for ground coat and decorations are in the same range of softening point and the close temperature range caused problems during multiple heat treatments for enam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ead-Free and Higher Softening Point ground coat frit for better application. In this study, softening point was controlled with addition and reduction of Pb, Na, Bi components. The elimination of Pb from the commercial frit increased the point too high and the softening point of the frit was lowered to about 810oC by adjusting the contents of Na, Bi on the base of the commercial frit. Thus prepared opaque white ground coat frit was analysed with thermal analysis, XRD, surface roughness tester and enameled to compare with commercial ground coat frit by enameling decorative frit on each plates with different ground coat frit. DSC-TGA results showed phase transition at around 800oC by the exothermic reaction. Bi addition of 0.1 ~ 0.4% decreased it but the addition above the range and up to 1 % resulted in the increase of the softening point. Na addition decreased the softening point and its reduction increased the point as expected. XRD analysis showed crystal phases of Sb3O6(OH)〔Stibiconite〕, CaF2〔Fluorite〕, NaF〔Villaumite〕 through most of the samples. These results approved the frits developed were crystallized glass. The appearances of enameling, wettability, and surface roughness tests were conducted to estimate each softening points indirectly and the results were similar to DSC-TGA analysis. After all these results, the optimum ground coat frit was selected and the composition is 10.5~10.8wt% F, 20.1~22.3wt% Na2O, 8.7~9.0wt% Al2O3, 45.2~46.4wt% SiO2, 1.1~1.2wt% K2O, 4.7~4.8wt% CaO, 0.3wt% TiO2, 0.1wt% Fe2O3, 6.9~7.0wt% Sb2O3, 0.1wt%BaO, 0.0~0.4wt% Bi2O3 . Thus selected frit was used for ground coat and compared to prove the effect of increased softening point. In this study lead-free opaque white frit with softening point of about 810oC was developed, and which has higher softening point than that of commercial ground coat frits. Softening point is the important parameters in enameling since heat treatment is done within a few minutes. The difference allow the artists to have broader working range and versatility.

      •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

        김희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나는 유년기 때 학급 내에서 따돌림을 당하는 경험을 겪었다. 따돌림이 주는 소외감은 언제나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었고, 이 경험은 이후 자신의 부재, 죽음에 대한 상상 에 사로잡히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상에 시달렸던 나는 평소 좋아하던 신화와 상상의 동물들을 그리는 것으로 불안을 해소했다. 특히 나만의 상상 속 동물들을 창조하고 그들만의 이야기를 상상하여 낙서로 남기는 행위는 그 시절의 본인에게 유일한 위안이 되 었다. 이 행동은 10대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오직 낙서로만 이루어졌던 이미지들이 본격적으로 화면에 나타나기 시작한 때는 학부 재학 시절부터였다. 당시 연속적으로 꾸었던 꿈이 계기 가 되었는데, 이때 꾸었던 꿈 이미지들은 잠에서 깨어난 직후에도 가끔씩 현실과 꿈을 구 별하지 못하게 영향을 줄 때가 있었다. 이 경험은 무의식적으로 품고 있었던 죽음에 대한 공포를 다시 느끼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4년 동안 꿈의 내용을 정리한 꿈 일기를 기록하게 되었다. 불안을 바탕으로 작성된 꿈 일기는 초기작인 <Oineroi>의 바탕이 되었고, 꿈 일기를 통 한 작업을 진행하면서 내가 두려워하던 불안의 잔재는 작품 활동을 통해 소멸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이후 작업에서는 소재를 꿈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여러 신화에 등장한 상징물을 대상으로 확장하여 작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고대인들은 본능으로 점철된 짐승들을 통해서 언제나 예상치 못한 위험들을 겪었고, 자연 안에 내재되어 있는 삶과 죽음의 반복적인 순환을 보았다. 이러한 위험들을 피하고 극복하 려는 염원과 바램의 결과물로, 수많은 신화와 종교, 예술에는 온갖 동물의 형태와 속성을 섞어 만든 ‘몬스터(Monster/怪物)’라는 형상들이 존재하게 되었다. 초월적인 힘을 가진 몬 스터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그 자체이자 생사의 순환을 내포하고 있는 자연의 이면이기도 하다. 몬스터들은 원초적인 공포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수호의 상징이나 숭배의 대상으 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효과는 여러 개체가 혼합된 ‘하이브리드 몬스터’에서 부각된 다. 본인의 작품에 등장하는 생명체들은 개체와 개체의 혼합이 이루어진 존재, 하이브리드 (Hybrid)된 몬스터다. 하이브리드 몬스터에서 드러난 각 개체들의 분절된 신체는 고유의 속성을 지니고 있고, 서로 상반된 속성조차 그대로 공존시킨다. 하나의 몸으로 재구성된 몬 스터들이 내포하고 있는 동물성 에너지는 창조자인 사람의 심리를 대변한다. 따라서 하이 브리드 몬스터는 삶에서 경험하는 예상치 못한 위험들뿐만 아니라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 고자 하는 염원까지 담고 있는 인간의 대변자라 할 수 있다. 이것들은 비록 죽음에 대한 공 포에서 비롯된 존재지만, 존재를 환기시켜 다시 삶으로 회귀하려는 과정을 담고 있다. 전통적으로도 이러한 이미지는 초월적인 힘을 빌어 삶의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주술적 상 징물인 벽사부적(僻邪符籍)의 형식으로 그려졌다. 사람에게 닥치는 세 가지 재해인 삼재 (三災)는, 병난(兵難)·역질(疫疾)·기근(飢饉) 또는 수재(水災)·화재(火災)·풍재(風災)를 말한다. 이때 액을 해결하기 위해 해결책을 구하는데, 그중 하나가 부적이다. 삼재부적 중 대표적인 것은 호랑이 그림과 머리가 셋 달린 매 그림인 삼두일족응부(三頭一足鷹符)다. 매는 무용, 재앙소멸, 사신의 역할을 담당하고, 호랑이는 맹수와 수호신이라는 토템적 이중 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류의 원초적인 이미지는 주로 신화적 상징체계 속에 자리 잡고 있 다. 오래된 무덤의 부장품이나 벽화, 부적에 이러한 이미지들이 주로 등장하는 것은 이들이 인간의 무의식에 깃들어 있는 원형을 자극하기 때문이며, 우리는 이들을 통해서 원초적인 생명력에 대한 암시를 받는다.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The tale of disaster and his tail)>는 본인의 작품 속에 등장 하는 몬스터와 그들을 통해 구현되고 있는 이야기의 명칭이다. 몬스터들은 서로 상반된 신 체와 고유의 속성을 지니면서 하나의 모습으로 구성되어 있다. 몬스터들이 내포하고 있는 신체의 모습과 속성들은 각 동서고금의 문화에서 생겨난 여러 신화에서 영향을 받았다. 이 미 존재하는 이미지를 빌려와서 다시 재창조하는 이유는, 신화 속의 이미지와 상징물이 본 인의 작품세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지금까지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게 한 계기가 되어주었 기 때문이다.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2>에서는 등장하는 삼두매(三頭鷹)와 뱀 꼬리는 작품 속에 등 장하는 대표적인 몬스터다. 몸통인 삼두매는 삼재 부적에 등장하는 삼두일족응부와 서양 의 중세 동물지에 등장하는 바실리스크(Basilisk)의 모습을 혼합시킨 이미지다. 몸통은 삼 재(병난, 역질, 기근)를 상징하는 세 개의 머리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가 잘려도 재난의 속 성은 없어지지 않는다. 삼두매는 외형적으로 뱀과 새를 혼합시킨 바실리스크의 모습을 가 지고 있어 주변에 나쁜 영향을 주지만, 그가 언제나 죽음이라는 단일한 속성만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몸통은 뱀의 모습을 한 꼬리를 가짐으로써 복합적인 속성을 나타낸다. 뱀은 오래된 허물을 벗어서 늙음을 버리고 젊음을 되찾는다는 말이 있다. 뱀독 때문에 뱀 은 죽음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생명과 재생의 상징이기도 하다. 따라서 몸통과 꼬리는 선과 악, 삶과 죽음의 이미지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복합적인 상징물이라고 할 수 있다. 서로 상반된 속성을 가진 몸통과 꼬리는 언제나 대립하는데, 이 모습은 죽음의 위협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치열하게 싸우는 삶의 모습을 상징한다. <재난과 그의 꼬리 이야기4>에서는 뱀의 협력자인 족제비가 등장한다. 족제비는 생명을 상징하는 뱀에게 속한 존재로, 죽음에 맞서고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을 상징한다. 족제비는 치아교정기를 끼고 있는데, 삐뚤어진 치아를 가지런하게 하는 것은 정신의 안정과 신적인 교류 및 합일을 달성하려는 수행의 과정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족제비가 이상적인 신체 에 도달하려는 과정은 새로운 깨달음, 즉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족제비는 온갖 세속의 것들에 사로잡히는 어리석은 사람을 나타내기도 하는데,4 이는 수행을 하는 그가 언제든지 세속에 빠져 타락할 수 있음을 암시하기도 한다. 나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몬스터들의 행보는 36개의 연작으로 이어진다. 이 연작 시리즈 는 36달 동안 세상에 머무르는 몬스터인 재난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죽음과도 다름없는 재난의 곁에는 언제나 그에게 적대적인 꼬리가 존재하는데, 재난과 그의 꼬리는 끊임없이 서로 대립하여 죽고 환생을 반복한다. 환생한 몬스터가 공포를 조장하거나 수호자의 역할 을 자처하는 모습은 삶과 죽음에 대한 경외심, 그리고 두려움을 나타낸다. 원래 한 몸이었 던 재난과 꼬리는 이야기가 진행되면서 여러 마리의 몬스터로 환생을 반복하다 마지막 장 면에서 다시 하나가 된다. 이는 생사의 순환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죽음과 생명의 에너지를 동시에 내포하고 있는 자연의 모습과 삶으로 회귀하려는 사람의 염원을 함축적 으로 그려내고자 했다. 부적은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주는 의미 있는 상징물이다. 영화나 드라마에서는 군인 이나 경찰, 소방관 등 위험에 노출되는 직업군을 가진 캐릭터들이 자신만의 부적을 몸에 소지하고 다니는 연출이 가끔씩 나온다. 이는 가상 속 이야기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고대에서부터 이어온 일종의 관습이기도 하다. 이와 유사한 경험을 한 일반인들도 존재할 것이다. 나에게는 작업들이 부적의 역할을 했다. 작품을 기획하고 그려내는 과정들은 몬스 터를 그리기 위한 여러 조합과 속성들을 생각하며 자신만의 창조물을 만드는 카타르시스 를 느끼게 만들었다. 또한 작품 속 몬스터들은 내 삶에 머물고 있던 죽음에 대한 공포에서 벗어나게 도와주었고, 삶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게 해주었다. 이를 통해서 나는 삶으로 회 귀하고자 하는 소망을 실현할 수 있게 되었다. 이렇게 내가 나타내고자 했던 주제를 드러 냄으로써 작품을 바라보는 타인에게도 화면 속 몬스터를 통해 느꼈던 카타르시스와 에너 지를 느끼게 하고 위로를 주고자 한다.

      • Detection of enteric viruses in surface water, finished water, and tap water by total culturable virus assay and integrated cell culture-PCR

        김희정 강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surface water, finished water, and tap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randomly selected water treatment plants in Korea from August 2001 through July 2005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Collection Rule were evaluated by standard total culturable virus assay-most probable number method for monitoring viruses. All the cytopathic effect-positive cultures identified by the total culturable virus assay method were also subjected to integrated cell culture-PCR method, respectively, for enteroviruses, hepatitis A virus, adenovirus, and reoviruses. A total of 348 samples were analyzed by performing total culturable virus assay method for enteroviruses. Most probable numbers of infectious units per 100 liters for surface water samples and finished water samples ranged from 1.024 to 47.340. Ten of fourteen cytopathic effect-positive cultures of water samples (71.4%) identified by integrated cell culture-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human enteroviruses. Each eight of ten enteroviruses (80%) was different serotypes of coxsakieviruse type B, and the others were echovirus type 30, and vaccine strain poliovirus type 3, respectively. Among them, twelve of 14 cytopathic effect-positive cell cultures (85.7%) by integrated cell culture-polymerase chain reaction were found to be positive for reoviruses. All the types of reoviruses were the reovirus type 1. It was observed that both enteroviruses and reoviruses were concurrently detected in eight cytopathic effect-positive environmental water samples (57.1%).

      • Incidence of virus infection on grafted cactus in Korea

        김희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actus is a popular ornamental plant throughout the world. Particularly, grafting cactus produced in the South Korea has been well-known as high quality product and it has a market share in world market of about 80%. However, due to serious virus infection to the rootstock of Hylocereus trigonus, the exporting yield of grafting cactus has been decreased for few years. Currently, four potexviruses, Cactus virus X (CVX), Opuntia virus X (OVX), Zygocactus virus X (ZVX) and Schlumbergera virus X (SVX), three tobamoviruses Cactus mild mottle virus (CMMoV), Sammons' Opuntia virus (SOV) and Rattail cactus necrosis associated virus (RCNaV) and one carmovirus, Saguaro cactus virus (SCV) have been known in cactu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incidence of virus infection in the green house farm of Korea, the cactu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actus farms located on Goyang-si Gyeonggi-do,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in Suwon-si, Gyeonggi –do, Eumseong-gun Chungbuk. Most of the collected cacti were the rootstock cactus H. trigonus and the graft cactus, Gymnoc-alcium mihanovichii. A total of 294 samples were processed to perform reverse transcript-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infected plants, contained SCV, with an incidence of 43%. The next most prevalent infection was by CVX followed by SVX, ZVX, CMMoV, RCNaV, and OVX in the order of detection frequency. The highest incidence of infection was 49.5% in Goyang-si, and the host analysis showed that the rootstock, H. trigonus, was more susceptible than the grafting cactus, Gymnocalcium mihanovichii. Nevertheless the graft cactus, G. mihanovichii was most susceptible to multiple infections. Because the virus infection is symptomles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At the moment, cacti virus detection techniques are based on structural properties. Using RT-PCR, the largest problem is optimal primer design, especially since many cacti viruses have very similar properties and sequences.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it will be necessary to simultaneously detect the seven viruses using multiplex PCR systems. This is the first analysis of there 7 cacti viruses involving a nationwide survey of the of state viral infection in Korea. This work has contributed to the agricultural development of cactus in Korea. 선인장에 감염하는 바이러스는 네 가지 CVX, OVX, SVX, ZVX; potexvirus와 두 가지 CMMoV, RCNaV tobamoviruses, 및 SCV carmovirus 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선인장을 대상으로 7가지 선인장 바이러스의 감염 상태를 조사하는 최초의 보고이다. 선인장은 세계적으로 사랑 받고 있고 그 중 한국산 선인장은 최고를 자랑하며 접목선인장은 우리나라가 세계 시장 거래량의 약 80%를 점유하고 있다. 선인장에 바이러스가 감염되면 가장 큰 문제는 접목률이 떨어지기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필요하다. 경기도 고양시, 수원의 원예연구소 그리고 충북 음성에 있는 선인장 농장들을 직접 방문하여 수출선인장 위주로 수집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수집한 선인장은 주로 대목으로 쓰이는 삼각주 (Hylocereus trigonus), 모수 (종자) 선인장으로 쓰이는 비모란 (Gymnocalcium mihanovichii) 등, 총 294개의 접목선인장을 대상으로 바이러스를 검정하기 위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7개의 선인장 중 SCV가 43% 로 가장 높은 감염률을 보였고, CVX 와 SVX, ZVX, CMMoV, RCNaV 및 OVX 순서로 감염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지역별로는 경기도 고양시의 선인장이 가장 많이 감염되어 있었고, 기주별 분석결과는 대목으로 쓰이는 삼각주가 모수 선인장 비모란 보다 높은 감염을 나타냈다. 하지만, SCV는 주로 모수 선인장에 많이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으며, 무병징 바이러스이기 때문에 무병주로 오인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바이러스의 조기진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선인장에 감염되는 바이러스들은 염기서열이 매우 유사한 특징이 있기 때문에 현재 선인장 바이러스를 검정할 수 있는 분자적 검정방법인 RT-PCR은 최적의 primer 디자인이 가장 중요하다. 또한 기존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온 단독 바이러스의 검정에 대한 한계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선인장에 감염되고 있는 7가지 바이러스를 동시진단 할 수 있는 multiplex PCR 시스템이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