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김희경 유아교육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교사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교사 행복감은 교사의 변인(연령, 결혼여부, 학력, 교육경력, 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 효능감, 교사 행복감의 관계는 어떠한 가? 3.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교사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경기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3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이명주(1984)가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사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김유정(2004)의 OSTES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을 측정하기 김명소, 김혜원과 차경호(2001)의 PWB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연령, 교육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 효능감은 연령, 결혼여부, 최종학력, 교육경력, 교육기관 유형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인 배경에 따른 교사 행복감은 결혼여부, 최종학력, 교육기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 직무만족도 전체와 교사 행복감 간에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사 효능감과 교사 행복감 간에도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은 행복감을 설명하는데 있어 전체 변량의 32.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직무자체와 교사 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수업전략과 학급경영에 대한 교사의 능력이 행복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사 효능감이 높을수록 유치원 교사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시사한다. Abstract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n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Hee-Kyeong Ki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n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The research questions based on this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according to teachers’ general background such as teachers’ age, marriage, career, level of education, and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2. What are the relations among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teacher efficacy, and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3. What are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on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304 teachers working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Gyeonggi area. The tool by Myeongjoo Lee (1984)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job satisfac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OSTES tool of Yookyung Kim (2004) was used to measure the teacher efficacy. And, PWBS of Myungsoh Kim, Hyewon Kim, Kyungho Cha (2001)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below. First,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age and careers. Teacher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age, marriage, level of education, career,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e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eachers’ marriage, level of education, and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And also,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fficacy and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Third,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accounted for about 32.4% of variance in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The ‘job-related-task’ in job satisfaction,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apacity of class management’ in teacher efficacy predicted positively teachers’ happiness. The results imply that as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teacher efficacy increase, kindergarten teachers’ happiness also increases.

      • 통합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

        김희경 대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n in-depth investigation into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s of inclusive education and propose some implications for the search of directions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A focus-group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and dre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had the following overall recogni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y had relatively good knowledge of the concept of inclusive education with the expans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high schools. Experiences with inclusive education worked positively to help them change their perspectiv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recogni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 teachers were aware that their roles in inclusive education should include "taking courses on the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ooperating with special teachers and parents," and "providing students with personality and study guidance." But it was almost impossible that they would perform their roles responsibly in the area of "cooperation with special teachers" and "study guidance for students" under the current conditions in the high school system. Second,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had the following recognitions of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inclusive education: The general teachers mentioned the following realistic difficulties with inclusive education: intervention of problem behavior on the par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normal students, lack of professionalism about special education and poor guidance, absence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special teachers, lack of perceptions of colleagues and general parents, and burden with increasing workload. Particularly in high school, there were problems with "opposite ideas about study" between normal stud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The teachers regarded "absence of career guidance and transition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the biggest problem. Finally,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had the following ideas about desirable development directions of inclusive education: They pointed out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s for desirable inclusive education: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student support for creating inclusive school culture, building a cooperation system among the subjects of education, enhancing th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general teachers, and improving the treatments of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They also emphasized the following conditions to implement desirable inclusive education: changing the concerned perceptions across the society, equipping school with facilities and equipments, setting up a system to produce specialized teachers for inclusive education, granting benefits to teachers in charge of inclusive classes, and providing supports to borderline class students in inclusive education.

      •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인 대학생의 극복력

        김희경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Background: The individual resilience levels of the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can lead to differences in adaptability levels. Purpos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resilience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ACOA)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 This study is a cross sectional descriptive study to find the distribution of adult children of alcoholics(ACOA) and the determinants of resilience in ACOA including social support, self-esteem,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Study subjects were enrolled in a university located in Incheon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6, 2010 to April 30, 2010 using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ACOA were determined using CAST-K. The researcher measured the resilience using Resilience Scale, social support using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MSPS), self esteem using the Self-Esteem Scale(SES), an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using the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FACES III). Results: This study’s subjects included total 459 college students. Their mean age was 21.15(±2.47), 59% were male, and 22.9% were ACOA. Being ACOA was associated with low scores of resilienc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Among ACOAs, resilience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lf-esteem(.532, p<.000), social support(.433, p<.000), and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245, p<.013), but not with demographics and drinking behavio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including social support, self-esteem, age, sex, and religion explained 45.0% of ACOA’s resilience(Adj R2=.45). ACOAs with higher resilience were more likely to be older and female, and have higher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not likely to be Christian. Conclusions : The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be the main determinants of ACOA resilience, and the researcher proposes developing and evaluating resilience training programs that enhance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to increase resilience. Keywords: Resilience, social support, self-esteem, Adult children

      • 유치원 지도서에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 분석

        김희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치원 지도서의 생활주제와 활동유형에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지도서의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지도서의 활동유형에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분석 대상은 2007년 개정 유치원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 2009년에 발행한「유치원 지도서」중 ‘총론’과 ‘종일반'을 제외한 생활주제별 유치원 지도서 11권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준거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선행연구(김숙자, 김희경, 2010)에서 제시한 것을 사용하였고, 시장 경제의 이해 영역, 소비자 자원관리 영역, 소비자 의사결정 영역, 소비자 권리와 책임 영역, 공동체적 소비문화의 5개 영역과 영역별 하위 교육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유치원 지도서의 각 생활주제에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유치원과 친구'의 생활주제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소비자 자원 관리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자기 물건을 정리하고 간수한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와 가족', ‘우리 동네', ‘건강과 안전', ‘교통기관', ‘우리나라', ‘세계 여러 나라'의 생활주제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행위임을 안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식물과 자연'의 생활주제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소비하기 전에 생산되어야 함을 안다'와 공동체적 소비문화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다시 쓸 수 있는 물건을 재활용한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생활도구'의 생활주제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여러 가지 자원의 종류를 안다'로 분석되었다. ‘환경과 생활'의 생활주제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공동체적 소비문화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다시 쓸 수 있는 물건을 재활용한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봄·여름·가을·겨울'의 생활주제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소비하기 전에 생산되어야 함을 안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유치원 지도서의 각 활동유형에 나타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을 분석한 결과, 역할, 조형, 언어, 수․조작, 과학, 바깥놀이, 쌓기, 음률, 이야기나누기, 요리, 동시·동화·동극, 게임, 현장학습, 음악활동, 신체활동, 가족 및 지역 사회와의 연계의 활동유형에서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이 나타났다. ‘역할'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행위임을 안다'와 ‘시장에는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형', ‘바깥놀이', ‘음률', ‘신체'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공동체적 소비문화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다시 쓸 수 있는 물건을 재활용한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학'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소비자 자원 관리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물건의 올바른 사용법을 알고 따른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언어'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행위임을 안다'와 소비자 의사결정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광고를 통해 재화와 용역에 대한 바른 정보를 얻고, 꼭 필요한 물건인지 생각하고 소비한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조작', ‘쌓기'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행위임을 안다'와 공동체적 소비문화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다시 쓸 수 있는 물건을 재활용한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야기나누기', ‘요리', ‘동시·동화·동극', ‘게임',‘가족 및 지역사회와의 연계'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행위임을 안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장체험'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시장이란 재화와 용역을 사고 팔거나, 교환이 이루어지는 곳임을 안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음악'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유아 소비자 교육 관련 교육내용은 시장경제의 이해 영역의 하위 교육내용 중 ‘자원, 돈, 시간, 상품이 한정되어 있음을 안다'와 ‘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재화나 용역을 사용하는 행위임을 안다'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김희경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연구 김희경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초등학교 학습자의 영어 학습동기와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양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3-4학년 동아리 학생을 대상으로 5개월간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실시되었다. 이 수업에서는 영어 학습동기 강화를 위한 수업과 학습동기 강화활동을 활용한 영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 수업이 진행되었다.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 적용을 위해 연구자는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 내용을 구안하였으며,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영어 학습동기 설문지를 통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실제로 영어 학습동기가 강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고, 또 이 프로그램이 영어 학업 성취도와 영어 학습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ELT Jr.와 영어 학습태도 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교수일지, 학습일지, 교사와 학생인터뷰를 통하여 양적연구 결과를 뒷받침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 적용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영어 학습동기를 강화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이상적 제2언어 자아 및 필연적 제2언어 자아 측면에서의 동기와 도구적 동기를 높이는 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영어 학습태도(흥미, 열의, 참여태도, 기대감 및 중요성 인식, 자신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일지, 학습일지, 교사 및 학생 인터뷰를 통해 질적 분석 결과 역시 학습자들은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을 때 이상적 제2언어 자아, 도구적 동기 등의 측면에서 영어 학습동기가 향상되었으며, 흥미, 열의, 참여태도, 기대감 및 중요성 인식, 자신감 등의 영어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영어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3-4학년의 듣기와 읽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초등 영어 수업에서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후속 연구를 실행하기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아직 많은 연구가 되지 않은 교실상황에 맞는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채택한 여러 가지 활동들을 재구성하여 학교 동아리 활동뿐 아니라 일반 영어 교과시간에도 적용해 보면 더욱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3-4학년에 제한하여 프로그램을 적용한 한계가 있었는데, 후속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으로 영어 학습의 동기가 많이 상실되어가는 5-6학년에도 영어 학습동기 강화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적용 실시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소수의 학생들에게 단기간에 적용된 연구라는 제한점이 있으므로 좀 더 많은 수의 학생들에게 좀 더 장기적인 기간을 두고 연구한다면 더욱 의미있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이다.

      • 경찰의 집회․시위에 대한 효율적 관리 방안 연구

        김희경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the fundamental rights of a constitution that have realized to democratic government for the profit and purpose of union with group form that builds up communication with others takes the shape expression. The promoter and attendance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have made use of the struggle to build one's claim that prefer to public opinion than the justice and legality of the method, whinh the illegal violence demonstration has actually spreaded with extreme operation. But,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and surrounding. The recent assembly and demonstration culture is doing changed to the illegality violence that is effected with the future site of u.s. military headquarters in the Pyeong-tack, in 2006, the Korea and America FTA demonstration, the big candlelit rally. The illegality and violence demonstration has charged the society over common sense to loudspeaker, labor loss increase and then the fall of the national foreign image and reliability, increase of domestic economy distrust. There are in danger of that the social expense is increasing to 12 billion 3 thousand million with the illegal assembly. The law on assembly and demonstration is so weak that the illegality and violence is growing activity. So, It should be strictly justical punishment for the illegality and violence protesters with mask for identity disguise so that will be come to the peaceful violence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the assembly and violence with development will be attribute to the peace of public and preserve order that come to reshape with a social analysis with correspondence to issue for search of foreign legislation, the assembly and violence to the limit of the police authority. So, in this study the present countermeasure of the police has empasised with theoretical which has changed with the field importance and field management spot whic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recently we are going to examine the present condition and issue of assembly and demonstration, going to indicate at the efficient improvement program. Eventually, in this study I have arranged with settle down in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that has aroused weekend downtown traffic jam and several noise arouse, social curtail expense, physical preservation of collision between the police and demonstrator, peaceful assembly and demonstration in law is necessary for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that will be consist the 'Law Equipment Plan and Assembly Demonstration Law" to the long term subject 집회 및 시위는 타인과 의사를 형성․표현하기 위해 집단적인 형태로 공동의 이익과 목적을 추구함으로써 민주정치를 실현하는 헌법상 보장된 기본권이지만, 집회․시위의 주최자나 참석자들은 그 방법의 정당성․적법성 보다는 사회적 여론을 형성하여 다중의 위세를 이용하여 요구사항을 관철시킬 수 있을지 우선시하는 투쟁적 성격으로 집회․시위가 남발되고 다양화되면서 과격 돌출행동으로 불법폭력시위가 만연되고 있는 현실이다. 반면, 경찰은 이러한 불법․폭력 시위로부터 일반 시민의 생명․신체․재산․그 밖에 기본권을 지켜야 할 의무 또한 있다고 할 것이고, 합법적인 집회․시위의 자유를 적극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의무와 법과원칙에 따라 엄격하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와 환경에 따라 최근 집회 및 시위문화가 평화적인 기조 양상에서 2006년 평택 미군기지 이전, 한미FTA 반대 시위, 촛불집회를 비롯한 도심 집회에서 불법․폭력 시위가 도를 넘어 인명손실 및 상해, 재물파괴, 교통채증 등 직접적인 피해 이 외도 국가 대외 이미지와 신인도 하락으로 국내 경제 불안정성 증가 등 다양한 형태의 피해를 유발시켜 법․질서의 정비 및 준수 정도는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고, 비용 또한 12조 3천여억원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이처럼 집회․시위와 관련된 정치적․사회적 여건 변화 추이에 정부, 경찰, 언론, 시민단체 모두는 시위에 대한 인식과 역할이 바뀌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새로운 페러다임을 구축하고, 경찰은 법률상 집회․시위 관리에 있어 제도적 재정비 및 점검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고, 언론이나 시민단체도 역할인식을 새롭게 하여 공정한 보도와 집회․시위가 가지는 사회적 의미에 대해 인식 전환의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 경찰은 집회․시위 관리에 있어 불법․폭력 시위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 등 현행 처벌 규정이 미약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복면 및 마스크 등을 착용한 신분위장 행위자 등 불법․폭력 시위자들은 철저한 채증․판독을 통해 사후 엄정한 사법처리를 함으로서 건전한 평화시위 문화를 정착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화적인 집회․시위 문화의 형성을 구축하는데 있어 현재의 경찰대응방식은 이론적 방법에 치중하였다면 현장중심과 사안별 현장관리 중심으로 최근 우리나라 집회․시위 실태 및 현황,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으며, 궁극적으로는 평화적인 집회 및 시위문화 정착을 위해 실무적인 입장에서 정리하였으며, 주말 도심 교통채증과 반복적인 소음야기, 사회적 비용절감, 경찰과 시위대간 물리적 충돌 방지, 평화적 준법시위문화 정착에 따른 대외신인도 제고를 위해 장기적인 과제로 관련 ‘법령 정비방안과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