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傳統 倉庫의 建築特性에 關한 硏究 : 官營 및 宗敎建築의 倉庫를 中心으로

        김흥섭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류 역사상 저장시설(貯藏施設)은 원시시대부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수렵·채집의 경제단계에서 벗어나 식량을 직접 재배하여 생존을 유지하게 된 이후 저장시설은 작게는 수혈 주거 내에 식량을 저장하는 저장공(貯藏孔)으로 나타났으며 크게는 별도의 형태를 갖는 부락의 공동 저장시설로서 나타나기도 하였다. 이러한 저장 공간은 식량뿐만 아니라 생활에 필요한 도구 또는 물품을 저장, 정리하여 보관하는 성격을 갖는 등 다양한 용도를 갖는 건축으로서 자리 잡게 되었으며 사회, 정치, 경제, 종교, 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들이 지역적인 특성과 더불어 저장을 위한 건축물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창고건축은 지극히 그 필요성으로 인하여 기능이 우선시되는 건축이라 할 수 있기에 창고건축의 특성과 그 형태 등을 살펴보는 것은 당시 사회가 건축에 요구하고 있는 최소한의 기능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비록 부속시설에 불과하나 저장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건축이 필요로 하는 내구성이 단순한 재료적 의미에서 더 나아가 공간 구성적인 측면이나 증축 또는 변형을 위한 구조적 고안 등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건축물 자체가 소멸되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 창고건축에 있어서 그 자료를 정리하는 것 또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식량 및 물품의 저장, 보관시설인 창고 건축물을 조사하고 사회, 인문학 등 다양한 관점을 가지고 창고 건축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함이며 이를 위해 건축적으로 창고 건축을 유형별로 정리, 비교, 분석하여 입지선정, 구성방식, 건축형태, 그리고 마감 재료들의 특징을 파악하여 종합적으로 창고건물의 건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위의 건축특성분석 자료를 통해 각 창고의 건축특성을 비교, 정리하여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전의 창고(倉庫) 건축의 택지선정 및 건물의 배치는 주로 방어적 이유, 지리적 요인, 그리고 운송의 편리성에 의해서 결정 되어졌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시기와 보관하는 물품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우선 방어적 이유에서는 전시에 적의 공격으로부터 창고를 방어하기 유리한 위치가 고려되었다. 즉 몇 차례의 전란을 통해 피해를 경험한 사찰의 경판고(經板庫)나 사고(史庫)는 도난 및 병화(兵火)로부터 안전한 삼재불입지(三災不入地)의 지형을 택하여 분산, 배치되어 세워 졌으며, 도성 및 관아소속의 창은 행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고 운반 및 유지관리가 쉬운 도성과 관아의 주위를 택하여 건축되었다. 조창(漕倉)인 경우는 조운이 편리한 강가나 육로가 편리한 지점에 세워졌으며, 도성 및 관아소속의 창은 행정적인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고 운반 및 사용, 관리가 쉬운 도성과 관아의 주위와 강가나 바닷가를 택하여 분산, 배치하여 건축되었다. 대개 백성들이 왕래하며 사용하기 편한 거리에 위치하였으며 그 규모는 창고의 용도나 지역적 요구에 따라 크게도 혹은 작게도 지어졌다. 이와 같은 분산 배치방법은 화재 시 창고가 전소되는 피해를 방지하며 도성과 지방 군, 현의 창고와 관련된 인구를 골고루 분산 배치함으로서 도시적 면모를 갖출 수도 있었으며 경제활동을 활성화 할 수 있었다. 즉 물류 교통이 발달되지 못한 시기의 창고 주변에는 숙박업, 위탁 판매업, 운송업, 은행업 등과 물품을 교환, 판매하는 대규모 시장이 형성되어 그와 관련된 상업이 발달하였다. 이처럼 지역에 창고가 설치됨으로써 경제가 발달된 지방에서는 그 주변에 부유한 사대부의 집이 많이 생겼고 인구 증가의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다. 즉 창고는 지역도시 발전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찰의 대표적 창고인 경판고는 해인사 경판고의 경우처럼 가장 위계가 높은 곳에 위치하거나, 대웅전 전면 쪽에 위치하여 학승들의 도서관 역할을 하였다. 사찰창고 건물의 배치위치는 가람배치 방식에 의한 요사의 위치가 결정되고 대개 식량과 같은 곡물이나 음식물을 단기간 보관하는 기능으로 자주 드나들기 쉽고 관리가 수월하도록 승려들의 생활공간 또는 주거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지니며 있었다. 향교의 제기고 등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예제에 의해 배치되었으며, 서고와 판고는 강학공간 내, 또는 가까운 근처에 위치하였다. 대부분의 창고 중, 식량 및 생활용품을 보관하는 경우는 그 가까운 주변에 위치하여 수납 및 동선이 편리하도록 하였으며, 반면, 서적 및 실록 등의 특수 물품의 장기보관 위주의 기능을 가지고 인간의 생활영역과는 멀리 떨어져 독립적인 기능과 공간을 확보, 위치하고 있다. 둘째, 평면적 특성을 살펴보면 창고 건축을 모두 크게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정방형과 장방형이 있는데, 대개 규모가 작은 경우는 정방형의 평면 형태를 보이며 칸수는 정면과 측면이 같은 경우가 대부분으로 오대산 사고(상부:2칸×2칸, 하부:4칸×4칸), 태백산 사고(상부:2칸×2칸, 하부:4칸×4칸) 등이 여기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며 장방형은 대부분 창고 건물의 보편적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수납의 기능상 정방형 보다는 장방형이 공간의 효율성이 크고 증축 시 증축공사가 쉬운 것도 장방형이 많은 이유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또한 규모가 커질수록 정방형으로 건축할 때 목구조재료의 확보와 시공 상의 어려움 등이 장방형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또한 중층(重層)형 평면구조는 주로 고(庫)건축물에 나타나는데 사고(史庫)와 도산서원의 서고 건물인 동·서광명실이 그것이다. 이에 비해 창고건축의 중층평면은 요사(寮舍)에서만 일부 나타나는데 이와 같이 창고건축이 중층의 평면을 지양한 것은 저장되는 물품의 수납 시 불편함과 부피에 따른 무게를 목재마루로 견디기가 어렵기 때문으로 보인다. 결국 평면의 형태는 건축 재료와 보관하는 물품의 종류에 따라서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규모의 특성으로는 창고 건물을 건축한 목적과 사용자의 지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왕실과 관아, 도성에 관련된 창고는 대체적으로 규모가 컸으며 국가적인 사업으로 시행된 대장경을 보관하는 해인사 장판고(藏板庫)의 규모가 약 300여 평으로 가장 크다. 사고(史庫) 역시 왕조실록을 보관하는 건물로 중층의 구조를 가지며 규모가 큰 편에 속하며 종묘의 제기고와 성균관 제기고가 기능과 성격상 규모가 크고 건물의 건축 완성도도 높은 편이다. 대규모 사찰에 건축된 요사의 창고도 큰 규모의 창고에 해당되는데 이는 결국 사회적 지위와 경제력이 창고의 규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가장 작은 규모의 창고 건물로는 서원의 제기고와 장서(판)각으로 대부분 정면2~3칸, 측면1~2칸(7~8평) 정도로 작은 편이다. 이렇게 제기고와 장서(판)각이 소규모로 건축된 것은 보관하는 제기고와 서적 등이 많은 양이 아니고 증가의 가능성이 낮은 물품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넷째, 입면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건축물의 건축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즉, 조선시대에서 집의 권위를 나타내는 방법으로는 기단을 높혀 외부에서 바라볼 때 시각적으로 위압감을 느끼게 하거나, 팔작지붕이나 우진각지붕으로 화려함을 나타내고, 원형기둥을 사용하여 집의 권위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창고 건물 중, 궁궐의 창고와 관아의 창고, 사고, 사찰 경판고는 이와 같은 건축 표현 방법을 대부분 그대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다른 창고건축은 건축의 의장성 보다는 기능이 중요시 된 건물로 지붕의 형태는 맞배지붕의 홑처마가 대부분이다. 간혹 팔작지붕과 우진각지붕으로 구성된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는 그 건물의 관련자가 당시에 정치적 지위나 권력을 가졌거나 왕의 하사품을 보관했던 것으로 나타난다. 한옥에서의 깊은 처마는 기능적으로 벽이 빗물로 인해 부식되고 무너지거나 물이 곳간으로 침범하는 것을 막고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곡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기둥은 대부분 약20cm미만의 방형기둥을 사용하여 심벽구조의 벽체를 만드는 데 용이하도록 하였다. 벽은 재사벽이나 판벽으로 마감하거나 재사벽과 판벽을 혼용한 경우도 있다. 궁궐과 관아의 창고에는 반화방벽을 쌓은 예도 있으나 보편적인 벽체의 마감 방법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창호를 설치하는 경우 판문과 살창을 설치하여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바닥은 뜬구조로 구성, 물이나 동물, 곤충의 피해를 막도록 하였다. 입면은 기능을 중시하여 이루어 졌으며 벽면에 사용된 목재기둥은 대부분 방형기둥이며 지붕은 맞배형 기와지붕으로 구성하였다. 납도리와 홑처마로 벽체보다 깊게 처마를 형성하여 빗물이 침범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섯째, 구조 및 재료의 특성을 살펴보면 한국 전통건축의 구조는 2차원의 선적(線的) 재료인 나무를 사용하는 가구식(架構式) 구조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는 창고 건축에도 대부분 그대로 적용되었는데 가구는 건물의 뼈대인 골조(骨組)를, 가구형식 또는 가구방식은 골조를 짜 맞추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석재로 이루어진 기단과 기초를 돌로 구축한 목조건축의 가구는 크게 벽체와 공포, 지붕으로 구분하며, 축부(軸部)라고도 하는 건물의 몸체를 이루는 벽체는 대부분 기둥과 창방(昌枋), 평방(平枋), 인방(引枋) 등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구성 부재의 수도 적고 비교적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창고건축은 기능상 수납이 용이하도록 높은 기단이나 기초를 구성하지 최소한의 기능적인 높이만 구성하고 있다. 대부분 이러한 벽체의 형식은 크게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내력벽과 그렇지 않은 비 내력벽, 즉, 칸막이벽으로 나눌 수 있으며, 기둥이 상부하중을 지지하는 한국 목조건축의 벽체는 칸막이벽인 심벽(心壁)이 대부분이다. 창고 건축의 창호는 거의 목재판문을 사용하였는데 자귀를 이용하여 투박하게 다듬어 부식이 되어도 어느 정도 두께가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간혹 사찰의 소규모 장경각과 향교 제기고 등에는 일반 살창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사고의 경우, 살창을 설치하고 겉에 덧문으로 판창을 설치하여 도난에 대비하기도 하였다. 또한 나무판을 인방에 끼워 만든 판벽(板璧)도 있는데, 심벽과 동일하게 기둥이 노출되고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므로 심벽의 일종이다. 이러한 심벽이 한국 목조건축의 입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기둥이 노출되고 흙과 나무로 축조하였기 때문에, 자주 보수해야 하고 화재에 쉽게 전소(全燒)되며 빗물, 습기 등에도 약해 붕괴되기 쉽다. 또한 습기가 많아 해충이 있고 도둑이나 쥐 등이 쉽게 뚫고 침입 할 수 있으며, 흙이 건조되어 수축되면 인방과 심벽 사이가 벌어져 내부의 난방 등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둥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축조하는 평벽(平壁)이 있으며, 주로 사고석(四塊石) 또는 벽전을 석회로 부착한다. 따라서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고 목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빗물에도 썩지 않으며 화재를 예방하고 난방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인방 등과 함께 건축물을 횡력에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평벽은 내부 목재를 보호하고 실내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으며 화재를 예방하고, 건물의 구조에서는 횡력과 함께 상부하중 등에 유리할 수 있는 벽체형식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구조로 건축된 창고 건물은 주로 도성과 관아의 창고, 종묘의 제기고, 그리고 강화사고 등이 있으며 일부 무기고와 화약고 건물도 이 구조로 건축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석재를 이용한 홍예구조의 석빙고도 얼음을 저장하는 특수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석구조는 주로 고분의 축조에도 종종 사용되어 왔었다. 석구조로 공간을 구축하고 외부를 자갈과 두터운 흙으로 덮어 내부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얼음을 장기간 동안 녹지 않도록 보관하였다. 종합적으로 창고건축의 조형성은 다른 용도의 건축물에 비해 뛰어나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건축 가치는 매우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사용 당시의 사회현상과 경제 상황을 잘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창고건축은 단순한 목적에 의해 생겨난 건축으로 타 용도의 건축물과 비교하여 건축의 우월성을 논할 수는 없으나 변화하는 사회 현상 속에 탄생했던 건축물로 기능적이며, 경제적으로 지역적 환경 특성과 기능에 따른 조형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부속시설에 불과하나 저장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건축이 필요로 하는 내구성이 단순한 재료적 의미에서 더 나아가 공간 구성적인 측면이나 증축 또는 변형을 위한 구조적 배려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하였듯이 건축물 자체가 소멸되거나 변형되는 경우가 많은 창고건축에 있어서 그 자료를 정리하는 것 또한 본 논문의 목적이다. Storages have a great role in human history last thousands years. Generally, storage was appeared commonly two types in old times. The one is small hollowed-hole type for food storing in the house. The other one is large independent building type for the public storage of village. Those kinds of space became as architecture for multi-purpose function which are stock, arrangement of goods or foods as time went on. These also show the vernacular characteristics with the appearances of societies, politics, economics, religions and cultures. Researching the storage could be a great chance to understand the minimun needs of function of its society because storage is function preferred architecture. Although storage architecture is only appendix for storing but it is also shown as a structure for space as well as material. It is also considerable to classify the styles of the storage architecture which is fading a lot. So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storage architecture through researching the storage from the society and humanity. For this research, I analyze and classify the shapes, the materials, the finish materials and site selection for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Firstly, former times, defensiveness of the location, the geographic reason and contact are mainly considered for the storage site.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imes and goods. In defensiveness, it is for the war supply, so it was located in the safe place for enemy attack. The storages of big temples which had damage before are mostly located in the safest places far front fire, robbery and so on. The other storages around the government offices are also considered not only fire, robbery but with contact and maintenance. The storages for rice are mainly located at the river or junctions for transportation. The sizes of those are variable for those purposes and quantities. The storages of castle are located in or out of those. The reason of those locations is still not found and the criterion of those are not clarified. Because there are some merits and demerits between those sizes and kinds. Other provinces, the foundations of large storage are contributed to the growth of economics and population. The storages for ceremony cooker are followed by Confucian methods. And folk storages are mainly followed by Taoism.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pragmatic characteristics are added to those kinds of arrangement. Such transformations are related with that era. It means, as time went on, the farmers were getting wealthy by the agricultural improvements as well as manual crafts men did by the improvements of factorial works. Also especially, the use of money made merchants possible to get the storages and those lands in easy circumstance. Those kinds of people preferred to those of pragmatic things rather than symbolic things to get more profits in the ways of agriculture and commerce. So, around the last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ere could be founded the general information of storage plan through modernized plan with the basements of past. Woodcuts stacks in the Buddha temples are located with highest hierarchy or in front of the daewoongjun as a library. But the thing for short term period like foods or grains are located around living spaces for convenience. And the Storage having the function of long term storing was located little bit away from living area and had independent spaces and functions. The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torage plan is divided into two types. The rectangle shape and the square shape are those types. The square types of storage are commonly found in the small size ones. In general houses, the type of rice-chest, Ohdae-mountain book store(up:2×2, down:4×4), Taebak-mountain book store(up:2×2, down:4×4) are generally included. The number of rectangle types is larger than that of square ones. Because rectangle types have more efficiency in those uses and are easy to renovate. More over, the more size gets up, the more difficult to build because of lack of its proper materials and something. The duflex type is also found in the temple storage. The storage of Dosansuwon named Dongsugwangmyund room is a good example. But duflex type is rarely found because the lacks of its building technology. It is also difficult to store with ease and to carry the weight of stuff with only wooden members. So the types of storage plan were mostly conducted by those materials and those goods to store. The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it size is also variable to its purpose and the status of its owner. It means that the national project like Haein temple storage for storing of the Palmandaejangkyung with the size of 1000 m2 was the biggest one of that times. The storage of royal history book is also large size with duflex type. Royal Tomb storage and Sungkyungwan storage for ceremony cooker are very complete style with higher functional performance. Large temples and the man with power in the province also had big storage. It allude that social status and economic growth were the main factors to conclude the size of storage. Generally, 65% of studied civil house has storage with the size of 33m2. The small style of storage is rice-chest type one with size of 6 - 18m2. The storages of local private schools and temples are also size of 22 - 27. The reasons of differency between the size of storages are referred to those functions and the size of those economic. Generally, stacks for sacred books and wood cuts are small. The reasonable answers could be supposed that those materials are not easily increased with times. The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elevation of storage are hardly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buildings of Chosun Dynasty. In Chosun Dynasty, they made the basement of with rounded pillars to show the authorities and used Paljak-roof or Woojingak-roof to show the elegance of the building. In the storage architecture at those times, Royal history book storage and sacred books storage was followed the method which mentioned right above. But in general houses, they preferred functions rather than their visual needs. They used the Madbea-roof with Hotchuma many times with little time use of straw-roof. Sometimes, the people used straw-roof to hide their wealth because that times was very sensitive. But some people used the Paljak-roof or Woojingak-roof to show off their wealth and political power. In Korean house, there is Chuma prevents from erosion by failing water and protects the grains. Bosung Yibumjea house is a example which has loading area. Younddong Songjaehwi house doesn't have wall toward inner court to use the storage with multiple purpose. In this case, the shade of the building adds the formative images to the building. The basement of storage is lowed to its convenience but also considered its plumb work and the rectangle pillar is used to make a wall with ease. The wall is finished with Jaesa-wall or Pan-wall. In government storage, they used half-fire-proof wall sometimes but not so generally used. For the ventilation, they used Pan-window or Sal-window. Choi-richman's storage in Kyunjoo province is very large one with gate for easy loading. This kind of gate is also used in modern warehouse. Small size storage had floating structure to prevent from insects, water and animals with Binjinul finished. In the elevation, they considered function important. The wood members in the wall were all treated by Jagui. The Woojingak-roof and the Madbae-roof were also used. The Nabdori and the Hotchuma made deep space to prevent from rain dropping. The fifth, they assembled the wooden members into each other lik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used in the structures and material. In the Korean wooden architecture, they divided it into three parts, stone basement, wall and girder, and roof. Especially, Chukbu consists of pillars, Changbang, Pyungbang, Inbang and so forth has small number of members and simple aspects. In the storage architecture, they lowed the basement level to load or unload easier. Most of these kinds of wall is generally made of two kinds like wall and partition. In the Korean tradition architecture, Shimbyuk - partition - is almost everything. They used wooden panels roughly with Jagwi as windows for its endurance of corrosion. But sometimes in the temple, they used refined windows for small storage. In the Royal history book storage, they used both refined windows and wooden panels as an outer window to prevent from robbery. Panbyuk is made of girders with wooden panels is a kind of Shimbyuk which is not endure the weight and pillar exposed. Those kinds of Shimbyuk are easily shown in eleva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But these structures are very weak with fire, raindrops, moist or something becaused they're made of wood and soil with clay, so they got to maintain with lot works. If the soil is dried, Inbang and Shimbyuk had a leak so it has a defect for heating. To solve this problem, they often used Pyungbyuk which is contains pillars inner parts of the wall with Sago-stone. So they can seal the inside from raindrops or fire also gets a healing efficiency. Those kinds of methods were regarded to be used in the governments, Royal tomb, confidential Royal history storages or weapons and gunpowder. Later, they used bricks for the Bunsachag which is also consisting of wooden structure to prevent from fire. It was storage with factory for weapon. They used stones with Hongye structure to keep the ice until summertime. This structure method was often used to create stone grave. At first, they made main space with stone and added soil with depth to its outbound to preserve ice for long times. To make conclusion, the storage architecture is not so aesthetic like other kind of building. But functionally, storage architecture has another value that it reflects the changes and airs of that times of society and economic. Storage was founded by the needs, so we can not make conversation of its architectural values. Even though it is annex for main buildings, it has clear function with formative characteristics for storing. With this, I could inspect the considerations of that times when it was built in the aspects of structure, material, space arrangement or something. If to add something, lot of change and vanishing of that architecture, it could be meaningful to classify and research the old data as a purpose of this thesis.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 Reliability Models via Structured Markov Chain : 구조화 마코프 체인을 이용한 시스템 신뢰도 모형의 개발 및 응용

        김흥섭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Reliability is defined as the capability of a system to accomplish its assigned mission during a given period, or through a programmed mission scenario in realistic operating conditions, and is represented by probability. Most of the product is a system with many components organized by an appropriate design to achieve adjured functions with satisfactory performance and reliability measures. Customers expect that their system will afford the function it is intended for when the service is required. The failure of a product or the loss of service can directly or indirectly lead to some form of financial loss such as the cost of repair or replacement, the loss of market share caused by the depreciation of customer confidence, the increase of insurance rate and warranty claim. Moreover, for human safety and also saving of budget and time for R\&D, components and systems applied in medical equipment, vehicle, aerospace, nuclear system, and so forth. must be very reliable. Thus, the reliability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from the initial phase of the R\&D program. The contributions of this thesis are mainly classified into two provinces. The first realm is the development of stochastic models to estim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fetime distribution for a system. In the models, it is assumed that the time-to-failure (TTF) of components is distributed according to continuous phase-type distribution (PHD). The stochastic model for a system lifetime is formulated by the structuralization of the continuous-time Markov chains (CTMCs) for the TTFs of individual components consider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system. It is known that the class of PHDs can represent the general probabilistic situations in the real world based on their versatility and the superior approximation of arbitrary and empirical distributions. Thus, the proposed models can account for the various degradation patterns of components exposed to operating environments such as loading, friction, thermal fatigue, vibration, and chemical and electrical stresses. 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a system with heterogeneous components, and either active or standby redundancy can be selectively considered as the redundant design strategy for improving the system reliability. Furthermore, it is confirmed by some numerical experiments that the previous approximating model for a standby redundant system,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relevant studies, has a significant error to influence a system design. In the second branch, for the optimal reliability design, new mathematical models involving more pragmatic considerations than previous studies are proposed, and some methodologies are suggested for efficiently solving these problems. The new optimization model for redundancy allocation problems (RAPs) is formulated to additionally consider non-identical components and optimal redundancy strategy for each subsystem to maximize system reliability. Analogously, a reliability-redundancy allocation problem (RRAP) with a choice of redundancy strategies is firstly proposed for a system composed of k-out-of-n subsystems. The optimal solutions for RAP benchmarks are presented by ILOG CPLEX, and a parallel genetic algorithm is proposed for solving RRAPs with nonlinear constraints. By the benchmarks for RAP and RRAP, it is demonstrated that the suggested approaches enable us to design a more reliable system under same constraints. These contributions will supply system designers with a powerful tool. 신뢰도(Reliability)는 임의의 시스템이 주어진 기간 또는 실제 운용환경 하에서 계획된 임무 시나리오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으로 정의되며, 이에 대한 확률(Probability)로서 표현된다. 대부분의 제품들은 제공하여야 하는 성능과 신뢰도 지표를 충족하기 위해 다수의 구성품들을 이용하여 설계된다. 소비자들은 자신이 구매한 제품․서비스가 의도된 기능을 제공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품과 서비스의 기능적 실패는 기업 이미지 실추로 인한 시장점유율 하락, 제품의 수리/교환, 리콜(Recall), 품질보증 활동의 증가 등으로 인해 직․간접적인 재무적 손실을 유발하게 된다. 더욱이, 의료기기,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 항공우주 및 원자력 시스템 등에서의 고장은 인간의 안전을 위협하고 연구개발(R&D)을 위한 예산과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신뢰도 측정지표들은 연구개발의 초기 단계부터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은 크게 두 가지 분야로 분류될 수 있다. 첫 번째 분야는, 임의의 시스템의 수명분포와 그것의 특성을 추정하기 위한 확률모형(Stochastic model)을 개발하는 것이다. 확률모형에서 구성품의 고장시간(TTF, Time-to-failure) 분포는 단계형 확률분포(PHD, Phase-type distribu- tion)로 고려되며, 시스템의 수명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확률모형은 각 구성품의 고장시간 분포에 대한 연속시간 마코프 체인(Continuous-time Markov chain)들을 시스템의 작동 메커니즘(Operating mechanism)에 따라 구조화함으로써 도출된다. 단계형 확률분포는 지수분포(Exponential distribu- tion)들이 중합(Convolution) 또는 혼합(Mixture)된 형태이며, 확률분포의 유연성과 일반분포에 대한 우수한 근사를 바탕으로 광범위한 확률현상을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확률모형들은 운영환경에서 부하(Loading), 마찰(Friction), 열 피로(Thermal fatigue), 진동(Vibration), 화학적․전기적 스트레스(Chemical and electrical stress) 등에 노출되는 구성품들의 다양한 노후화 패턴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이종 구성품(Heterogeneous component)들로 설계되는 시스템에 대해서도 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시스템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중복설계 전략(Redundant design strategy)으로서 활성중복(Active redundancy)과 대기중복(Standby redundancy)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확률모형을 기반으로 현재까지 많은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존 연구의 대기중복 시스템에 대한 근사 신뢰도 모형에 대해 분석한 결과, 근사 신뢰도 모형의 근사 오차(Approximation error)가 시스템 설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분야는 시스템 신뢰도 최적 설계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최적화 수리모형들은 기존 연구들보다 현실 시스템 설계에 대한 실용적인 고려사항들이 추가적으로 적용되었으며, 신뢰도 최적 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효율적인 해법(Methodology)들이 제시되었다. 중복 할당 문제(RAP, Redundancy allocation problem)의 새로운 수리모형은 시스템의 신뢰도를 최대화하기 위해 각 서브시스템이 이종 구성품으로 설계될 수 있고, 활성중복과 대기중복 중 유리한 중복전략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유사하게, 신뢰도-중복 최적화 문제(RRAP, Reliability-redundancy allocation problem)의 수리모형은 k-out-of-n 구조의 서브시스템들로 설계되는 시스템에 대해 유리한 중복전략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축되었다. RAP의 수치실험 예제들의 최적해(Optimal solution)들은 IBM사의 ILOG CPLEX를 통해 제시되었으며, 비선형 제약(Nonlinear constraint)들을 갖는 RRAP의 해법으로 병렬 유전자 알고리즘(PGA, Parallel genetic algorithm)을 제안하였다. RAP와 RRAP의 실험예제들을 통해 본 연구가 제안하는 접근법들이 동일한 제약조건 하에서 기존의 연구들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기여들이 실무 현장의 시스템 설계자들에게 유용한 툴이 되어줄 것이라 기대한다.

      •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3차원 시각접근-노출모델 개발

        김흥섭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도시경관분석은 구성요소나 성질을 다루는 정성적 분석과 구성요소나 성질을 계량화하여 측정하는 정량적 분석으로 나눌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이용자의 선호도, 만족도 등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정성적 평가가 주류를 이루고 있어 객관성을 약화시키고 충분한 예측력과 설명력을 확보하지 못한다. 또한 대부분 2차원적 계산에 의한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어, 각종 건물, 구조물, 시설물, 녹지 등 수직적․수평적인 요소들이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도시공간을 정량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의 3차원적 접근을 지향하며 인간의 시지각 속성을 반영하는 도시경관분석모델을 제안하고 도시경관의 인지도와의 상관성 살펴봄으로써 도시경관평가 방법으로 적용 실현성을 제시함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는 VAE3D 모델은 가시성 분석의 형태구현에 있어서 메쉬(mesh)와 표면(surface)으로 도시경관을 실제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는 벡터 데이터 구조를 적용하였다. 또한 광추적 방식(raytracing)의 도입으로 시선과 조망대상과의 교차점을 연산하는 방법으로 거리나 각도의 계산이 가능하여 시지각 속성을 반영할 수 있다. VAE3D 모델의 지표는 기본적으로 시각접근도(VA)와 시각노출도(VE)로 구분되며 각각의 단순빈도(VAf, VEf)와 인간의 시지각 요소를 반영한 거리가중빈도(VAd, VEd), 각도가중빈도(VAa, VEa)가 산출된다. 연구대상지를 강릉원주대학교 강릉캠퍼스로 선정하고 VAE3D 모델의 정확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가시성분석에 주로 사용된 레스터 데이터 구조를 가진 GIS기반의 Arcview3.2와 비교하였다. 격자 크기별 가시성 분석을 실행한 결과 Arcview는 격자 크기별(5×5m, 10×10m) 상대적 오차율이 평균 35% 정도로 나타났으며 VAE3D는 5% 미만의 낮은 오차율을 보여 격자크기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장사진 및 3차원 시뮬레이션 검토 결과 Arcview의 격자생성의 오류를 확인하였으며 VAE3D의 분석 정확성을 검증하였다. 캠퍼스에 위치하는 건물의 인지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4점 리커드 척도(likert type scale)를 이용해 건물의 인지강도와 이용률, 경로의 이용률 등을 파악하였다. 건물 인지강도와 건물 이용률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통계분석 결과 상관계수가 0.923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매우 높은 값을 의미하므로 건물 인지강도와 이용률은 상관관계의 유의미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경로의 이용률을 시각접근‑노출도에 반영하기 위해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시각접근도는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집중형 공간에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캠퍼스의 경계부로 갈수록 시각접근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노출도의 경우는 거리가중빈도와 각도가중빈도는 유사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지표와 단순빈도와의 상대적 차이는 평균 33.8%로 나타나 확실한 차이를 보였다. 경로 이용률을 반영한 시각노출도의 경우에도 평균 40.8%의 확실한 상대적 차이가 나타났다. 건물의 인지강도와 지표별 시각노출도간의 상관분석을 실행한 결과, 인지강도와 거리가중빈도는 0.791로 시각노출도 지표 중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경로의 이용률을 반영하면 각도가중빈도가 0.744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3차원 시각접근‑노출도는 도시공간의 인지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인 것으로 밝혀졌다. 향후 시지각 속성을 반영한 도시경관분석 모델로 경관평가의 정량화 도출과 정성적 판단에도 큰 도움을 주어 상호보완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gives a point to the development of 3 dimensional visual exposure model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The cities are got caught various buildings, structures, facilities and green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Urban landscape analysis is formed qualitative analysis which handles components and dispositions and quantitative analysis which measures a numeral of components and dispositions. Quantitative analysis measures mainly physical Quantities of spatial that human perceives. Visual Perception is sight, viewing angle, line of sight distance, line of sight incidence angle that absolutely perceiving spatial. Visibility Analysis which based on vector data construction gives concrete expression urban landscape with mesh and surface as real and by introduction of Raytracing, a method of operation a crossing of sight and view Target reflects it by calculating of distance and angle. So data construction of VAE3D model is based on vector form, and various buildings, structures, facilities and greens are realized in 3D spatial. An index of VAE3D model is divided Visual Access and Visual Exposure. Visual Frequency(VF), Distance weighted VF, Angle weighted VF are produced each. A study site is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By examining correctness of VAE3D model compared with Arcview3.2(Rater data) based on GIS. As a result of Visibility Analysis in grid(5×5m, 10×10m), Arcview shows 35% measuring efficiency and VAE3D shows less than 5%, so VAE3D is hardly influenced by grid. And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study site picture or 3D simulation, Arcview has an error of making grid but VAE3D is verified analysis accuracy. For considering of cognition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s in study site using Likert type Scale, Cognition-Strength of Building, Building Usage-Ratio, Route-Usage-Ratio are got.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Cognition-Strength of Building between Building Usage-Ratio, pearson correlation comes out 0.923, pearson correlation is signification because it means very high numerical value. And Weighted value is computed to reflect Route-Usage-Ratio Visual Access and Exposure. As a result of analysis of Visual Exposure in buildings of campus Distance weighted VF and Angle weighted VF show similarly but between Visual Frequency(VF) show 33.8% relative difference. When reflecting Route-Usage-Ratio Visual Frequency(VF) show 40.8% relative difference. As a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very high 0.923 correlation occurred between Cognition Strength of Building and Building Usage Ratio. Angle weighted Frequency shows the 0.744 correlation with Cognition Strength of Building. We had proved that 3d visual exposure model has a potential to estimate the urban landscape quantitatively.

      • 아산시 지역문화자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흥섭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지방자치시대가 본격적인 정착기에 들어서는 단계에서 문화적 차원 관점에 초점을 두어 아산시의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지역문화자원의 활용방안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관한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a$$a지역문화자원에 대한 개념적 정의와 지역경제에 대한 필요성 및 활성화의 필요 성 등에 대하여 논의하여 기초적인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으며, 기존 선행연구들의 심층분석을 통한 본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a$$a아산시의 다양한 지역문화자원들을 살펴본 후 모든 문화자원에 대한 심층분석을 하고자 하였으나 시간·공간적 제한으로 인하여 문헌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자가 의도하고자 하는 지역문화자원의 활용방안에 대하여 모색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과정에서 본문에서는 실증분석으로 아산성웅이순신축제를 배경으로 하였으며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하여 연구의 과학성과 이해도를 배가시키는데 집중하였다.$$a$$a현재 우리나라에서 거론되어지고 있는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으로는 다양한 측면으로 접근을 시도해 오고 있으나 대다수 연구들은 지역축제들에 한정되어 논의되어져 왔다. 그러하기에 본 연구의 주제는 지역축제를 포괄한 측면에서 의의가 있겠다고 볼 수 있으며 아산시를 대상으로 한 지역문화자원 활용방안의 연구는 다소 심층적으로 한 결과가 없기에 연구자는 최대한 실질적 차원에서 접근하려고 노력을 하였다.$$a$$a분석과정에서 요인분석을 통하여 지역문화자원 활용요인과 지역경제 활성화 요인과의 관계를 가설을 통하여 분석을 한 결과 대부분의 가설이 채택이 되어 연구자가 의도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아산시를 연구과제로 삼은 핵심인 지역문화자원의 활용방안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a$$a세계적으로 개방의 물결과 변화의 패러다임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현 시점에서 문화적 측면에서 우리의 자원을 소중히 여기고 이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하여 자생적인 지역분위기를 조성해나간다면 지역주민과 지방정부의 상호협력 속에서 보다 나은 미래를 설계하는데 방향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a$$a본 연구의 핵심인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자원 활용방안에 대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하기 위한 아산시의 행정적 전략은 첫째, 관·민이 협력 공동체제를 이뤄나가야 한다. 둘째, 재정적 확보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셋째,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지역문화자원에 평가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성을 알리면서 관광적 측면을 고려한 실질적인 발전방안 마련을 위한 전문협의체가 구성되어져야 한다.$$a$$a다음으로 아산시의 문화자원 중 축제와 관련한 구체적 활용방안으로 첫째, 아산시의 다양한 축제들의 개최시기를 분산시켜 지역 관광의 성수기를 연장하여 비수기를 타개하여야 한다. 둘째, 축제의 개최지역과 지역주변의 관광지 또는 기타 관광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해야만 한다. 셋째, 축제를 민과 관이 공동주최 함으로써 축제진행의 원활함과 동시에 축제의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넷째, 분명하고도 공유할 수 있는 테마가 있는 지역축제를 기획해야만 한다. 다섯째, 축제의 기획 및 진행을 담당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해야만 한다. 여섯째,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서 구체적 홍보 전략을 구축해야만 한다.$$a$$a끝으로 지역문화자원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검토하는 기간 아산시의 사례를 통하여 아산시의 문화행정의 현 주소를 살펴볼 수 있으며, 향후 발전방안을 구상하여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에 향후 아산시의 문화발전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나아가길 기대하며, 본 논문을 위하여 꼼꼼히 지도해주시고 신경을 써주신 두 분의 심사위원님에게 감사와 경의를 표합니다.$$a$$a

      • 국내 하천에 적합한 생태융합형 어도에 관한 연구

        김흥섭 금오공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of weir and fishway in 3,528 rivers in Korea, including national and provincial rivers, shows there are 34,012 weirs and 5,018 Fishways.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nationwide installation rate of Fish-way is 14.9% , and about 34.4% of this would meet the criteria of upstream migration of fish and 60.8% needs to improve the conditions and 4.8% has lost the capacity as a Fish-way and has to install the facility again. In reality, the installation of the Fish-way facility in Korea has less than 5% and this leads to the primary cause of decrease in the fish migration ratio of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rivers. The survey of the fish migration ratio from the radius of the 5 big rivers in Korea shows that it has less than 20% of fish migration ratio in half of the rivers regardless of the tributary stream of and it has indicated that most of the streams has low fish migration ratio in Korea. The inadequate condition of constructed Fish-way and low rate of fish migration ratio has caused the severance between the upstream and downstream of rivers and led to the genetic heterogeneity within the species in the river which will destroy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environment. Moreover, the decline of the financially viable migratory fish, such as sweet fish(Plecoglossus altivelis),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will lead to loss of earnings to the local fishery business and insecure income to the local residence with decline of fresh-water fishery. These are the great concern for the preservation of the natural fish environment. Most of the Fishway system constructed in Korea has imported systems from America, Canada, Australia and Japan, instead of designing for our own unique environment and these imported systems in use were simply bench marked and not compatible with our traditional fishery system to preserve our natural fish ecology. These systems were not able to adapt national river conditions and negligence of its maintenance questions the basic capability as a fishway. It should have considered it is for the passage of fish not for human when constructed the system of the fishway and should have focused on how fast and easily the fish will travel upstream. However, the most of the constructed fish-way systems would not meet the standards and it was simply showcased the concrete shape of a fishway by the ignorant behavior of people. It has been misguided by highlighting as a water friendly and agree well in the aspect of landscape in the name of natural fishway. These should have been designed and constructed to provide the path for fish movement instead of subjectively highlighting of fit in the landscape and water friendliness. Therefore, it calls urgent attention of the government to clarify the formal definition of fishway type to impose the strict regulation and provide technical assistan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ishway system and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the rivers. Hereafter, the fish way should have improved in functionally advanced technology with the help of government procurement system such as NARAJANGTER. then it would function as a primary fishway for natural habitat for fish and fish passage to improve movement of fish and coexist with humans in harmony. First of all, i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eco-convergence type of fishway which support preservation of the natural habitats. The eco-convergence type of fishway should support the vegetation and ecology in nature and should have the essence of the fish way in combination with structured and natural fishway system. The natural fishway system consider the water friendliness and aspect of landscape. The structured fishway should have combine the efficiency, functionality and durability of the fishway system. Moreover, the ineffective fishways should have replaced or remodeled with the eco-convergence type of fishway to improve the movement of fish, name it as ‘ecological passage for fish’. With the eco-convergence type of fishway, the fish migration ratio would be increased and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rivers would be recovered to maintain the stream ecosystems. In consequently with th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focused on fishways in rivers and its evaluation of the systems in the radius of the big 5 rivers and the fish migration ratio of each streams and also focused on how to improve and develop the best facility for fishway system and set the standard and rules and regulations to maximize the function of fishway facilities in Korea. For this reasons, this study suggested the river design standards should include the necessary specifications of water velocity, water depth, the distance between the walls and the slope for the fishway, so the upstream migration of fish would not be lost to the bird for feed and it should be able to prevent the fry being eaten by the adult fish with the help of stabilized hydraulic structure, then it could provide the ecological space for spawning and shelter for fish.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the river design standards should protect the scenic nature of the river with minimum destruction of environment by the concrete structure and proper use of vegetation to maintain the consistent flow of water. This study suggested that new eco-convergence fishway type can produce molds and actual size of prototype to demonstrate numerical analysis of flows for hydraulic and physical stability, which are the important nutritional factors to the upstream migration of fish, by modelling the water velocity and Eddy current distribution of streams and testing compressive strength by nondestructive examination, to assess the function and structural stability as a high strength structure in the river and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fishway. Through this research, the newly developed eco-convergence fishway type contributes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the ecological quality for vegetation and fish’s shelter by convergence structured fishway based on Ice-harbor type fishway which is the most efficient and outstanding fishway among 4 standard type of fishway recommended by river design standards. The eco-convergence fishway type block will function in a situation of lowering the water level of rivers by engineering the overflow wall in arc structure which is high in center and lower in edges and constructed in curved surface structure to prevent the damage of blocks by loose rocks or pebbles in flowing down when it is flooded. With through research, the planting species, Pussy willow((Salix gracilistyla), Phragmites japonica Steud, and Curvedutricle Sedge (Carex dispalata) were selected according to river plant data sheet and study of experiments by take rooting as well as growth experiments and these perennial water plants do not obstruct the water flow in streams and grow well in water channel. It has confirmed that prototype fishway blocks can perform well when it was installed in the middle of flow stream tested by nondestructive examination and it shows more than 30Mpa of compressive strength. By use of “COMSOL” program, considering the average national height of weir, fishway structure 2mW×1mH, The velocity of the outlet fishway 0.1 m/s, slope 1/20, in these conditions, the assessment of numerical analysis of flows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eco-convergence fishway block indicates the overflow velocity within the fishway is in the range of 0.5∼1.0 m/s which is satisfactory results by river design standards and non-overflow velocity in pool is very low and no sign of a circling current prove to be a good fish shelter for fry and small fish and a resting place for upstream migratory fish. It has evaluated and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the problems when the eco-convergence fishway type applied in actual place and it has proved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loss of vegetation, no possibility of withering of the plants, no possibility of Sediment influx in the space of fish’s shelter. With these findings, the” restoration of Oriental White Stork(Ciconia boyciana) as a village business” to highlight the ecological health of migration of fishes and condition of inhabitation on the riverbasin would expand to other regions starting from Muhancheon(in Yesan City) tributary and small stream in Simokcheon to set the standard design. This study contributed the development of the eco-convergence fishway type and it has greatly improved the previously structured in monotony concrete fishway and low efficient of Overall stone pitching-type fishway and rapids-type fishway And it provides fish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ecological functions of fish way and this new concept is the first in the world with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Hereafter, this new development will bring the diversity of fishway type and restore the ecological health of rivers as well as converting the existing fish-way to ‘ ecological fishway for fish’.

      • E-물류플랫폼 서비스 품질이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흥섭 한국해양대학교 글로벌물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출입 물류 산업은 더딘 디지털 전환과 부족한 데이터 표준화로 인해 비효율성이 높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COVID-19 이후 유럽계 선사들을 중심으로 자사의 물류플랫폼을 이용한 종합물류를 지향하는 정책으로 해운업계는 다양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국제물류 서비스업계에서도 신생 E-물류플랫폼 사업자들의 창업으로 사업초기인 현재 상황을 고려할 때, 앞으로 더욱 더 많은 변화가 예상되어 진다. 전자상거래(e-commerce) 시장에서도 지속적인 소량화, 다양화, 복잡성이 심화되고 있어 재고관리, 해외 직접구매, 통관, 배송 등을 한번에 처리할 수 있는 원스톱(ONE-STOP) 기능을 가진 E-물류플랫폼의 이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E-물류플랫폼 서비스품질 중 어떤 요소가 경쟁력과 유용성을 가지고 고객만족과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E-플랫폼을 활용한 마케팅전략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E-플랫폼 서비스품질은 공감성과 유형성이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공감성이 이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고객만족 또한 이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운물류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E-플랫폼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E-물류플랫폼 서비스품질 관리를 통한 경영전략 수립의 기초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