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혐오시설 설치에 대한 효율적인 정책적 방향 연구 : 사용후핵연료 처리장과 송전선로를 중심으로

        김휘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혐오시설 설치와 관련하여 정책적 제안을 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쟁점 중에 하나는 그 정책의 효율성이다. 사회적 필요의 관점에서 혐오시설의 건설은 불가피하며 일반적으로 이는 건설 예상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극심한 반대를 낳는다. 이는 추가적인 사회적 비용을 만들어내게 되며 그 비용의 크기는 측정하기조차 쉽지 않다. 따라서 해당 비용의 크기를 효율적인 정책을 설정함으로써 줄이는 것은 정책 제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응답자들의 설치 의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순서 프로빗 모형을 계층적으로 구성하여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설문은 두 혐오시설, 사용후핵연료 시설과 송전선로에 대해 진행된 데이터이며 어떠한 요인들이 해당 시설 설치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두 개의 핵심적인 요인인 시설에 대한 정보 그리고 정부에 대한 신뢰도가 거주지 인근 혐오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수용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발견을 통해 본 연구를 통해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통한 보상을 주요한 해결점으로 삼아왔던 기존의 정책 방향에 건설하고자 하는 혐오시설에 대한 정보와 정부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으로써 해당 시설에 대한 주민들의 수용성을 높여 보다 효율적인 정책 집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 대학의 핵심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대학 특성에 따른 핵심역량 선정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휘영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re competencies used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s core competencies are emphasized as one of the abilities required to live a successful life in a rapidly changing 21st century society. Based on a critical mind that the existing subject-centered school education has limitations in educating what is necessary for living in modern society, universities are accepting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one of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solving these problems. The importanc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emphasized not only as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values ​​necessary for the future society, but also as a practical education for sustainable well-being throughout life. In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as follow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ies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analyze the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make a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First, what a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Korean universities usually select? Second, is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To this end, data on the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istics of 122 universities nationwide were collected, and network text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First, the core competencies used in Korean universitie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communication (66.4%), creativity (64.8%), self-management (48.4%), convergence (47.5%), globalization (45.9%), and problem solving (32.8%). In particular, as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were strongly linked to other core competencies, it was found that they were the core competencies that universities are most interested in these days. Second, the 11 characteristics of universities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location, whether or not to participate in the ACE project, classification of establishment, presence or absence of a women's university, number of full-time faculty members, research expenditure per full-time faculty member, educational expenditure per student, ratio of foreign students, ratio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employment rate , Tuition), all variables except for two variables (research expenses per full-time faculty member, foreign student ratio)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Among them, the university characteristic variable that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y was the establishment classification variable. This study grasps the current status of core competencies that are mainly selected by universities in relation to the future students required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analyzes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mak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These results have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versities education in Korea and figure ou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it can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ompetency education for the specialization of universities education. Finall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to explore the role that higher education should play on the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ach university, as there were many universities that have not disclosed the sub-elements and definitions of core competencies, there may be limitations in not considering them.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is study did not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use of core competencies by each university because it did not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the process and subject for determining core competencies. To supplement this study, a follow-up research is suggested. First, research related to the process of determining core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the subject of decision is neede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understand in detail the background of each university's use of core competencies, the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Second,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more university-specific factors that bring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lection of core competencies. Third, it would be meaningful not only to study the selection and utilization of core competencies, but also to consider how competency-based education was applied to students lives. 본 연구는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21세기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데 갖춰야 할 능력 중 하나로 핵심역량이 강조됨에 따라 우리나라 고등교육기관에서 사용하는 핵심역량을 전반적으로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의 교과중심의 학교교육이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것들을 교육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대학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의 필요요건 중 하나로 역량기반 교육을 수용하고 있다. 역량기반 교육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및 가치의 습득뿐만 아니라 전 생애에 있어 지속가능한 웰빙을 위한 실천적 교육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에서 나타나는 핵심역량의 현황을 살펴보고 핵심역량 선정에 차이를 가져오는 대학 특성 요인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에서 주로 선정하는 핵심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핵심역량의 선정은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일반대학 본교를 중심으로 122개 대학의 핵심역량과 특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국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핵심역량은 소통(66.4%), 창의(64.8%), 자기관리(48.4%), 융합(47.5%), 글로벌(45.9%), 문제해결(32.8%) 순으로 많게 나타났다. 특히, 소통과 창의는 다른 핵심역량과 연결된 정도가 강하게 나타남에 따라 최근 대학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핵심역량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독립변수로 사용된 11가지 대학 특성(소재지, ACE사업 참여여부, 설립구분, 여자대학유무, 전임교원수, 전임교원1인당연구비, 학생1인당교육비, 외국인학생비율, 장애학생비율, 취업률, 등록금) 중에서 2가지 변수(전임교원1인당연구비, 외국인학생비율)를 제외한 모든 변수들이 핵심역량의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핵심역량 선정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대학 특성 변수는 설립구분 변수로 국공립대학 또는 사립대학의 여부에 따라 핵심역량을 다르게 선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요구하는 미래의 학생들의 모습에 대하여 대학에서 주로 선정하는 핵심역량의 현황을 파악하고 핵심역량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대학 특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우리나라 대학 교육에 대하여 이해하고 앞으로의 교육 방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 둘째, 대학 교육 특성화를 위한 역량교육의 이해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대적 변화를 중심으로 고등교육이 수행해야하는 역할을 탐색하는 데 기초자료로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각 대학의 핵심역량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핵심역량의 하위요소 및 정의에 대하여 공개하지 않은 대학들이 많이 나타남에 따라 이를 고려하지 못한 한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핵심역량의 결정에 대한 과정과 주체에 대한 심층 분석을 수행하지 못해 대학별 핵심역량의 사용 배경 및 의미에 대하여 파악하지 못한 연구임을 밝힌다.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첫째, 대학의 핵심역량 결정 과정과 결정 주체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각 대학의 핵심역량 사용에 대한 배경, 핵심역량의 구성요소, 핵심역량의 정의에 대해서 자세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핵심역량 선정에 유의한 차이를 가져오는 더 많은 대학 특성 요인에 대해 탐색적으로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핵심역량의 선정 및 활용과 관련된 연구뿐만 아니라 역량기반 교육이 실제 학생들의 삶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고찰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휘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오케스트라 활동의 효과를 검증하여 초등학교 내 오케스트라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활동 전과 활동 후 자기관리 역량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자기관리 역량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N 초등학교 3∼6학년 중 교내 오케스트라 활동을 참여한 학생 5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9년 2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파트 수업과 합주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교내, 교외 연주회 등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였다. 연구 도구는 KEDI(2015)의 자기관리 역량 조사 도구와 박세진(2019)의 음악적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 검정, 대응표본 t 검정, 일원 배치 분산분석 및 Duncan의 사후검정, 평균 및 표준편차 산출,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오케스트라 활동 전과 비교하여 활동 후 자기관리 역량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오케스트라 활동 전과 달리 활동 후 음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자기관리 역량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적 특성 별로 비교한 결과, 성별, 학년은 자기관리 역량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음악적 선호도는 자기관리 역량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과 음악적 자기효능감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관리 역량과 음악적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내 학생 오케스트라 활동이 활성화되고 교육 현장에서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위한 다양한 음악 활동이 활성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orchestra activity on the musical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prepared the opportunity to activate the activity of student orchestra in elementary school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udent-orchestra activity. For this reason, I examined whether there appear some differences i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musical self-efficacy before and after the student orchestra ac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urthermore, by tryind to find correlation between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musical self-efficacy, I found to find out how the student orchestra activity affects the two factors, both self-management competency and musical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we conducted a study for 58 students of 3rd to 6th in grade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 Seongnam-Si, Gyeonggi-Do. From February 2019 to December 2019, I conducted part-class and ensemble lessons, and orchestra students participated in various activities such as concerts in and outside the schools. KEDI's (2015) self-management ability survey tool and Parksejin's (2019) music self-efficacy measurement tool were utilized as the research tools.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approach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paired sample t-test, member allocation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post-test, mean, standard deviation outpu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elf-management ability increased after the student orchestra activity compared to before the student orchestra activity. Secondly, the musical self-efficacy increased after the student orchestra activity. Thirdly, the gender and the grade affect neither the self-management ability nor the music self-efficacy. Moreover, musical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self-management ability. Finally, the activity of the student orchestra show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self-management ability and musical self-efficacy. Through these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udent orchestra activity may positively affect self-management ability and musical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 suggest that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 orchestra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activated, and various music activities for the a holistic human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uld be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시설물 점검을 위한 기준 영상 기반 개별 정사영상 생성

        김휘영 서울시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에 70, 80년대에 집중적으로 건축된 시설물의 동시적인 노후화로 인해 시설물 점검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해 현재는 전문 인력이 육안으로 혹은 비파괴 검사 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전문 인력의 기술 및 경력에 따라 점검 결과에 대한 신뢰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또한, 특수장비를 이용할 경우 시설물의 사용을 제한하고, 점검자가 장비에 탑승하여 시설물을 점검하기 때문에 인명 피해의 위험도 크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을 이용하여 시설물을 점검하는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영상 내의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변위와 같은 2차원 정보만을 취득할 수 있고, 3차원 복원을 통해 생성한 3차원 정보는 처리 시의 제약조건으로 인해 많은 오차를 포함한다. 이에 본 연구는 영상을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시설물을 점검하기 위한 기준 영상 기반의 개별 정사영상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기준 영상은 외부표정요소를 정밀하게 결정한 영상으로 UAV에 DSLR 카메라를 탑재하여 취득 및 처리하였다. 정사영상은 지상에서 스마트폰으로 취득한 영상을 시설물의 대상면에 처리하여 생성하였다. 정사영상의 생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취득 영상에 상응하는 기준 영상을 검색하고, 취득 영상과 검색한 기준 영상을 매칭하여 공액점을 산출한다. 2) 산출한 공액점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번들 조정을 수행해 취득 영상의 정밀한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한다. 3) 취득 영상을 대상면에 투영하여 정사보정하고, 대상면을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과 같이 변환한다. 정사영상의 생성 목적인 시설물 점검을 고려하여 영상의 외부표정요소의 정확도와 영상을 통해 추정한 시설물의 지상점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254장의 UAV 영상을 이용하여 기준 영상을 구축하였고, 65장의 스마트폰 취득 영상을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처리하여, 그 중 40장의 영상의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였다. 영상의 수평각과 수직각의 차이가 30 ° 이하일 때, 외부표정요소의 위치, 자세 RMSE는 각각 12 cm 내외, 1 ° 이내의 값을 보였다. 앞선 40장의 취득 영상 중 29장의 영상의 지상점 좌표의 잔차의 평균 표준편차와 RMSE는 6.3 cm, 25.4 cm 였다. 취득 영상과 기준 영상 간의 수평각과 수직각의 차이가 30 ° 이내라면, 시설물에 발생한 피해의 3차원 위치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물 점검을 위하여 기준 영상을 기반으로 개별 정사영상을 생성하고, 영상에서 추정한 지상점의 정확도를 통해 정사영상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을 통해 생성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시설물에 발생한 피해 지역의 3차원 위치 파악과 이력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Recently, the simultaneous deterioration of facilities built intensively in the 1970s and 1980s leads to the need to increase inspection of facility. Currently, to conduct the inspection specialist uses either non-destructive inspection equipment or perform visual survey. However, those methods do not provide reliable results as they depend on the skills and experience of the specialist. What is more, those methods are time and cost consuming. In addition, use of special equipment reduces the usage of the facility, as it needs some facility space to operate. Also the health of inspectors is at risk as they check the facilities by getting into the equipment designated for checking changes on the objects of interest. To solve these difficulties, researchers were carried out to check facilities using images. In the case of using information from pictures only 2D information such as displacement could be obtained, as the 3D information generated by 3D reconstruction contains many errors due to processing constraints. In this study, we propose individual ortho-images generation method based on reference images for efficient inspection of facilities from images. The reference images were precisely determined images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EOP), and were acquired and processed from the DSLR camera mounted on the UAV. Ortho-images were generated by processing images acquired from the ground by smartphone on the target surface of the facility.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ortho-image is as follows: 1) The referenc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acquired image are searched, and the acquired image is matched with the searched reference images to calculate the tie-point. 2) Using the calculated tie-points, bundle adjustment is performed based on reference images to determine the precise EOP of the acquired image. 3) The acquired image is projected on the target surface to perform ortho correction, and is transformed as shown in the front view of the target surface. The accuracy of EOP of the images and the accuracy of the ground point of the facility were verified by considering the facility inspection for the purpose of ortho-image generation. Reference images were obtained using 254 UAV images and 65 smartphone images were processed based on the reference images. At the end, EOP for 40 smartphone images were determined. The accurac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angle and the vertical angle of acquired images and reference images.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horizontal angle and the vertical angle of images was less than 30 °, the position and attitude RMSE of EOP were within 12 cm and within 1 °, respectively. The ground points were estimated from 29 images of the 40 captured images, and the accuracy of the ground points was verifie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iduals at the ground-point coordinates was 6.3 cm and the RMSE was 25.4 cm. If the differenc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ngle between the acquired image and reference images is within 30 °, it is considered that the 3D position of the damage to the facility can be effectively determined. In this study, to inspect the facility, individual ortho-images are generated based on reference images. The accuracy of the ortho-images is verified through the accuracy of the EOP and the ground points. The ortho-image generated by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d for 3D location and history management of the damaged area of the facility.

      • Artesunate ameliorates cancer-induced muscle atrophy in vivo and in vitro

        김휘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Cancer cachexia is a multi-factorial syndrome which involves symptoms such as muscle atrophy, weight loss, anorexia, and systemic inflammation. Cancer cachexia is closely linked to poor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and moreover, can lead to increased mortality. Among the symptoms of cancer cachexia, skeletal muscle waste and fat loss are the typically expressed ones which impact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In this study, a mouse model of cancer-induced cachexia was used to identify the effect of artesunate (ART) on muscle atrophy, a derivative of artemisinin. In addition, conditioned media from colon cancer cell line CT26 (CM) was treated in murine myoblast C2C12 cells to induce cancer-induced muscle atrophy. After 3 weeks of CT26 injection, a significant loss of body weight was observed in mice. However, administration of ART for 2 weeks alleviated loss of body weight without affecting food or water intake. In addition, serum levels of C-reactive protein,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leukin 6, all elevated in cancer cachexia-induced mice, were inhibited by ART. ART treatment also suppressed the growth of tumor by inducing apoptosis. Muscle waste is the most serious symptom in cancer cachexia. CT26 injection indeed reduced mass of gastrocnemius and tibialis anterior muscle tissues. ART treatment, however, significantly improved loss of muscle weight. ART also increased size of muscle fiber and inhibited two muscle atrophy-related factors, muscle RING finger 1 (MuRF1) and muscle atrophy F-box (MAFbx). 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in CT26 conditioned media (CM)-treated C2C12 myoblasts. While CM suppressed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cells into myotubes, ART increased the thickness of myofibers as well as expressions of MuRF1 and MAFbx. ART also promoted the express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 and protein kinase B in CT26-induced cachectic mice or CM-treated C2C12 myoblasts, indicating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M-induced cachexia.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RT relieves cancer-induced muscle atrophy by inhibiting tumor progression and by regulating muscle atrophy. These results suggest that ART might be a promising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cancer-induced muscle atrophy. 암성 악액질은 암으로 인한 체중감소 식욕 , , , 감퇴 근육 감소 극심한 피로 체력 , 저 하 등의 증상을 동반한 다인성 증후군으로서 근본적인 ,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난 치성 질환이다. 말라리아 치료제로 널리 쓰이는 알테수네이트 는 (artesunate, ART) 항암 및 항염증 효과가 보고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 암성 악액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바,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세포주 CT26 BALB/c 을 마우스의 피하에 주입해 암성 악액 질을 유도한 동물 실험모델과 CT26 (conditioned media, CM) 을 배양한 조건배지 을 처리해 암성 악액질 유사조건을 확립한 마우스 근육세포주 C2C12를 이용하여 알테 수네이트의 암성 악액질에 대한 효능 및 그 작용 기전을 탐색하였다 알테수네이트 . 를 3주간 구강 투여한 결과 알테수네이트는 , CT26으로 유발되는 체중감소를 억제 하고 혈청 사이토카인 발현을 정상군 수준으로 낮추는 효과를 보였다 또한 알테수 . , 네이트는 대장암 조직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는 , 암 세포의 세포 사 유도를 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암성 악액질 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증상인 근육 소실에 대한 효과 를 확인한 결과 알테수네이트는 , 암성 악액질로 인한 전경골근과 비복근 등 두 종 류의 근육조직의 무게 소실 및 섬유 두께 감소 현상을 완화했다 또한 . 알테수네이 트 투여는 전경골근과 비복근에서 근육 소실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muscle RING-finger protein-1 (MuRF1) muscle atrophy F-box (MAFbx) 과 의 발현을 억 제하였다 알테수네이트는 . CT26 대장암 세포의 조건배지를 활용한 C2C12 암성 악 액질 유사 세포모델에서 역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조건배지를 처리한 C2C12 근육세포는 섬유다발의 지름이 감소하고 MuRF1 MAFbx 과 의 단백질 발현 이 증가한 반면 알테수네이트를 , 5 μ 의M 농도로 처리할 경우 이러한 근육감소가 정상배지에서 배양한 C2C12와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알테수네이트는 . , 암성 악액질 동물 및 유사 세포모델에서 CT26 CT26 또는 조건배지의 처리에 의 해 억제된 phosphoinositide 3-kinase와 protein kinase B 기전의 활성화를 유의적 으로 증가시켰다. 본 연구는 암성 악액질 모델에서 알테수네이트의 근육 감소 개선 효과를 체중 감 소 전신염증 근육소실 , , 및 그 기전을 포함한 다양한 인자의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 다 이러한 . 결과는 알테수네이트가 암성 악액질로 인한 근육감소에 대한 치료 후보 물질로서 활용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암, 환자의 삶의 질 및 생존율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