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역할기대 분석

        김혜은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초등학교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역할기대에 대한 분석’을 해보는 데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부모가 담임교사에게 어떠한 역할을 기대하는지, 또한 초등학교 담임교사는 교사 자신이 교사의 역할을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역할기대와 교사의 역할지각에 따른 차이를 비교해 보기 위해 전라남도 10개 초등학교를 학교 소재지별 도시(시 이상)지역과 농촌(읍, 면 이하),학교 규모별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학부모 300명, 교사 250명을 무선 표집하였다. 질문지 배포 및 회수는 2004년 6월 1일부터 7월 15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학교별로 우편과 인편을 이용하여 배포 및 회수하였다. 이 중에서 회수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답변된 질문지를 제외하고 학부모 240명(회수율 80%), 교사 180명(회수율 72%)을 선정, 통계 처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으로는 응답자의 인적사항, 개인적 특성, 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급경영, 학부모와의 관계로 세분하여 질문에 답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용된 통계 방법은, 학부모의 배경변인별로 초등학교 담임교사에 거는 역할기대에 차이를 알아보기와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담임교사 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Chi-square(x^(2))검증을 하였고, 담임교사의 역할에 대해서 학부모의 기대와 교사의 지각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자료처리는 SPSSWIN 11.5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배경변인별(생활거주지별, 연령별, 성별)로 초등학교 담임교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성별은 여교사를, 교사의 연령은 30대를, 교사의 성격은 자상함을, 교사의 자질은 아동이해를 가장 기대하며, 교과외의 중점지도희망영역에서는 사회성 지도를, 가정방문의 횟수는 담임이 필요한 경우를, 교과발달기재는 잘함 보통 노력 3단계를 기대하고 있어서 어떤 유의한 차이점도 보이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자신의 역할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의 성별은 남여 상관없다, 교사의 연령은 40대를, 교사의 성격은 자상함을, 교사의 자질은 아동이해를 가장 중요하게 인지하고 있었고, 교과외의 중점지도 희망영역은 사회성 지도를, 가정방문 횟수는 담임이 필요한 경우를, 교과발달기재는 잘함 보통 노력 3단계가 좋다고 인지하고 있어서 어떤 유의한 차이점도 보이지 않았음을 알게 되었다. 셋째, 담임교사에 대한 학부모의 역할기대와 교사 자신의 역할지각의 차이 비교에서는 생활지도를 제외한 전 직무영역(학습지도, 학급운영, 학부모와의 관계 영역)에서 담임교사가 학부모보다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있다고 검증되었다. 이런 결과는 교사가 현장에서 느끼는 자신의 부족함을 채우려는 끊임없는 노력의 기대이며, 학부모들은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 더 많은 역할을 기대하는 것들에 대한 부족함에서 오는 기대치의 차이라고 본다. There is purpose of this study to try 'Role expectation analysis of students' parents and teacher about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 Therefore, whether primary school students' parents expects some role to teacher in charge in this study and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 teacher teacher's role how recognize, and with students' parents' role expectation about teacher in charge to compare difference by teacher's role earth's crust Cholla-namdo 10 primary schools considering city (more than city) area and farm village (below town, page) by school location, factor of back by school scale 300 primary school students' parentses, 250 teachers radio sampling do . Questionnaire distribution and withdrawal were made while it is 15 July from June 1, 2004 and distributed and reclaim using post by school and squama. Choose students' parents 240 (recovery factor 80%)s, teacher 180 people(recovery factor 72%) except questionnaire that was been not collected among this or replies dishonestly, handled numberical statement. Could answer on the question contents of questionnaire fractionate by relation with respondent's human item, individuation, studying map, educational guidance, class management, students' parents. Statistics method that is used to recognize study purpose of this study did Chi-square (x^(2)) verification to search human wisdom degree about that search difference in role expectation why to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 by students' parents' background fantast and teacher in charge according to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s background fantast own role, and t verification to search difference between students' parents' expectation and teacher's perception about teacher in charge's role. Data processing of singularity handled using SPSSWIN 11.5 Program Package. Sequence that is gotten via process of singularity is as following. First, sex of wave and teacher who recognize role fleet about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 by (by life residential district, by age sex) by students' parents' background fantast schoolmistress, teacher's age 30, teacher's personality expects that is careful and teacher's quality expects most child interests, and emphasis map hope area of subject outside sociality map, occasion that number of times of house call need homeroom teacher, subject development recording knew that is good that certain difference that keep in mind was not seen because is usually expecting effort 3 steps. Second, sex of wave and teacher who search human wisdom degree about teacher's role according to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s background fantast open palanquin unrelated, teacher's age 40, teacher's personality recognizes that is careful and teacher's quality was recognizing child interests most importantly, and emphasis map hope area of subject outside sociality map, house call number of times knows occasion that need homeroom teacher and found out that subject development recording was not shown any differentia that keep in mind because is recognizing that is good that the effort 3rd step is usually good. Third, teacher in charge was verified that is being late more importantly than students' parents in previous job area(studying guidance, class operation, relation area with students' parents) except educational guidance in students' parents' difference comparison of role expectation and teacher own role earth's crust about teacher in charge. See that this result is expectation of ceaseless effort to complete oneself want that feel teacher on the spot, and students' parentses are difference of expected value that come from want for things which expect more roles to primary school teacher in charge.

      •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성별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

        김혜은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후준비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성별과 소득수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자료는 국민노후보장패널 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남녀 약 8000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경제적 노후준비도와 신체적 노후준비도가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은 경제적 노후준비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였지만, 신체적 노후준비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소득수준은 경제적 노후준비도와 신체적 노후준비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별과 소득수준에 따라 노후준비도를 높여 삶의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김혜은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를 통하여 연구자는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룰 밝힘으로써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고, 그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함에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의 상관관계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셋째, 회복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근무하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1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장세진(2005)의 한국형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SS-SF)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Maslach와 Jackson(1981)이 소진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MBI(Maslach Burnout Inventory)를 박성호(2001)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Revish와 Shatte(2003)가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 지수 검사(Resilience Quotient Test: RQT)를 김주환(2009)이 번역하여 우리나라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한 회복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회복탄력성, 소진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직무요구, 직장문화, 직무불안정이 소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소진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중 감정조절력, 생활만족도, 자아낙관성이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감정조절력, 생활만족도, 자아낙관성이 높을수록 소진이 낮아짐을 알 수 있다. 넷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회복탄력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매개변수인 회복탄력성을 통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연구자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소진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으며,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의 영향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회복탄력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edictive relation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with social-welfare officials and to clarify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rough this study, researcher hop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that can be actually used in social-welfare field, and to be studied the ways to decrease the level of their burnout in the near future. For this purpose, researcher addressed these questions. First, are th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does the job stress predict the burnout significantly? Third, does the resilience predict the burnout significantly? Finally, does 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burnout? Subjects consisted of 155 social-welfare officials(male 42, female 113) working in administrative offices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y responded to some questionair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Short Form(KOSS-SF) to measure the job stess, Maslach Burnout Inventory to measure the burnout, and the Korean Resilience Quotient(KRQ-53) to measure the resiliesnce.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their responses, researcher produced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each variables and the product-moment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conduc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 between the job stress and the burnout.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job stress, resilience and burnout. Second, the job stres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urnout. Third, the resilienc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burnout. Finally, the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job stress and resilience have a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confirmed that job stress and resilience have an important effect on social-welfare officials' burnout.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social-welfare officials' burnout, we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job stress, and it is requiring to should develop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resilience.

      •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요 지도 방안

        김혜은 한국교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요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전래동요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이끌고 전래동요의 교육적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전래동요가 여러 가지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에게 즐겨 불리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문제의 원인을 현재를 살아가는 아이들이 전래동요가 자신의 삶과 단절된 내용적 특성을 가진 갈래라는 고정관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파악하였다. 또한 많은 수의 교사들이 개별 전래동요의 맥락과 내용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가락과 장단 위주로 교수·학습을 구성하는 방법도 문제 현상을 지속시키는 원인으로 파악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래동요 교육에서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우리의 문화를 향유·이해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개인 경험을 바탕으로 표현할 수 있는 독창적인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요 지도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이론적으로 연관된 개념을 살펴보았다. 먼저 전래동요의 개념을 파악하고 전래동요의 교육적 가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연구들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교육연극의 특성을 서술하고 전래동요를 교육할 때 교육연극의 수단으로써 가지는 철학적 의미를 서술하였다. 더불어 전래동요 교육을 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육연극 기법을 수업 활동의 목적에 따라 신체표현 중심, 사고력 확장 중심, 드라마 중심 세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3학년 음악 검정 교과서 12종을 분석하여 교육연극 기법을 적용할 수 있는 전래동요 11곡을 선정하였다. 전래동요 선정의 기준은 교육연극의 특성을 반영하여 전래동요의 화자가 드러나거나 유추할 수 있는 것과 구체적인 장면이 드러나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반응중심학습모형을 기반으로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요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반응중심학습모형은 학습자의 다양한 감상이 주가 되는 수업의 방식으로 본 연구에서 지향하는 방향과 맥락을 같이 한다. 전래동요를 교육하는 반응중심학습모형의 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연극 기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연극 기법이 전래동요 교육을 할 때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수업에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전래동요 수업을 하기 전 학생들이 기존에 전래동요 수업에 대해 가지고 있던 흥미도와 이해도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제 수업을 통해서 각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반응을 확인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교육연극 기법을 활용한 전래동요 수업에 대한 소감을 들어보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삶이 반영된 전래동요 수업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마련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전래동요 교육에 활용이 가능한 교육연극 기법을 구체적으로 유형화하고 이와 관련한 전래동요 지도 방안을 단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현장의 교사들이 실제적으로 전래동요를 지도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본 연구가 학생들이 전래동요를 친숙한 갈래로 여기며 전래동요가 여러 생활 영역에서 널리 불려 지기를 기대한다.

      • 세포 스트레스 반응에서 THO 단백질 복합체의 역할에 대한 연구

        김혜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HO complex is an evolutionary conserved multi-subunit protein complex that is required for cotranscriptional mRNA export. Although THO complex is first identified as the protein complex involved in the nuclear export of mRNA in yeast, recent studie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metazoan mRNAs are transcribed and exported without the complex. In Drosophila cells, less than 20% of total mRNAs is dependent on THO complex for its nuclear export. To study specific functions of metazoan THO complex in organism level, Drosophila melanogaster was used as a model animal in this study. Mutant flies lacking THO complex showed increased sensitivity to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such as heat-shock and dry starvation. They also showed reduced life span. Since JNK signaling is a key regulator of the environmental stress resistance and longevity, the interaction between JNK signaling and THO complex was examined genetically. The result showed that the increased sensitivity to the environmental stress could be suppressed by up-regulating JNK signaling. the expression level of d4EBP ( a downstream gene of JNK signaling) was examined, its basal level was up-regulated in THO complex mutants. This finding suggested that flies without THO complex may somehow be exposed to the continuous cellular stress conditions. Since it is reported that disruption of sub-nuclear structure induces cellular stress response, To address this issue, we examined the nuclear integrity of mutant cells, was examined .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cleolar structure is severely disorganized in THO mutant cells. Taken together, the data shown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O complex is required for the proper stress responses probably by functioning on the maintenance of nuclear integrity in Drosophila. THO 복합체는 transcription, mRNA processing, mRNA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 복합체로 알려져 있다. 이 복합체는 효모(Yeast)에서 처음 발견 되었는데, 대부분의 mRNA의 핵 외 수송을 위해서 필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후생동물(metazoan)의 경우 대부분의 mRNA들은 THO와 무관하게 transcription, 수송된다. 일례로, 초파리의 배양세포를 이용한 실험결과에 의하면 전체 mRNA의 20%미만 만이 THO에 의존적으로 수송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체 수준에서 후생동물(metazoan) THO 복합체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해서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를 동물모델로 사용하였다. THO 돌연변이체는 heat-shock, dry starvation 등의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며, 수명의 감소 또한 보였다.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반응에서 중요한 regulator로 JNK 신호전달 체계가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JNK 신호전달체계(signaling)와 THO 사이의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유전학적으로 조사하였다. JNK 신호를 강화시켜주면, 환경적 스트레스에 대한 THO 돌연변이체의 민감성이 감소하였다. 한편 JNK 신호전달체계는 전사인자인 FOXO 단백질을 활성화시켜서 4E-BP 단백질의 발현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THO 돌연변이체에서 4E-BP 단백질의 발현이 평상시에 높게 유지됨이 관찰되었다. 이는 THO 돌연변이체가 지속적인 세포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 되어있음을 암시하는데, THO 돌연변이체에서 인의 구조적 손상이 발견되어 이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초파리 THO complex가 인의 구조적 형태유지 등을 통해 적절하게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관여함을 암시한다.

      • 모형과 블록 간 색 일치 여부에 따른 3, 4세 유아의 공간구조 재구성

        김혜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ren frequently copy existing spatial structures using materials such as clay and blocks in their pla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s ability to reconstruct (copy) a model spatial structure using blocks. Specifically, we examined how the ability to reconstruct spatial structures would change between the ages of three and four years and whether the color congruence between models and blocks would affect young children’s spatial structure reconstruction. The participants were 64 three- and four-year-old children living in Seoul or Gyeonggi Province. They received an adapted 3-Dimensional Test of Spatial Assembly, in which they were asked to recreate given models (i.e., interlocking spatial structures composed of three blocks) using LEGO® blocks. Their reconstruction performance was coded in terms of the overall match (whether the product matched the model exactly or not) and the dimensional match (to what degree the product matched the model in dimensions of vertical location, rotation, and trans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 mixed-design ANOVA, independent t-tests, paired t-test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IBM SPSS Statistics 26.0 program was utiliz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rformance of spatial structure reconstruction significantly differed with age. Four-year-old children reconstructed the model spatial structures more successfully than three-year-old children. The overall match and the dimensional match in terms of vertical location, rotation, and translation were all higher in four-year-old children than in three-year-old children. In addition, children’s spatial structure reconstruction was affected by color congruence between the models and blocks. That is, children copied the models more successfully when the models and blocks matched both in shape and color than when the colors of the same shaped blocks were cross-mapped. However, this tendency seemed to be more apparent in the younger children. Three-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both in the overall match score and the dimensional score when the color was congruent between the models and the blocks than when the color was cross-mapped between the models and blocks. However, four-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in the overall match only (not in the dimensional match) when the color was congruent between the models and the block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young children’s spatial structure reconstruction ability develops between the ages of 3 and 4 years, and that children are decreasingly influenced by the color similarity between corresponding element blocks with age. The present finding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spatial cognition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for adults in supporting children’s constructive play. 유아는 점토로 만들기, 블록쌓기 등의 놀이에서 종종 하나의 구조물을 본떠 다른 구조물을 만든다. 이 연구는 유아가 공간구조를 재구성하는 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유아가 블록으로 만들어진 구조물을 보고 그와 같은 공간구조를 블록으로 재구성하는 능력의 발달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원래의 구조물, 즉 모형을 이루는 블록과 유아에게 주어진 블록 간에 색이 서로 일치하는지 혹은 엇갈려있는지에 의해 유아의 공간구조 재구성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고, 그러한 영향이 유아가 발달해감에 따라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만 3, 4세 유아 총 64명이 참여하였다. 유아들은 블록 세 개로 이루어진 공간구조 모형을 보고, 이를 주어진 블록으로 재구성하는 3차원 공간조립 과제를 실시하였다. 유아가 조립한 결과물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모형의 공간구조와의 동일 여부(매치점수), 그리고 수직적 배열, 회전, 위치 이동의 세 가지 차원에서 모형과의 일치 정도(차원점수)를 코딩하였다. 코딩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6.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혼합설계 분산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 Mann-Whitney U 검정,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우선, 3세와 4세 유아의 공간구조 재구성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즉, 3세 유아보다 4세 유아가 모형에 나타난 공간구조를 동일하게 재구성했는지 여부에 관한 점수(매치점수)와 유아의 결과물에 나타난 블록 간 관계가 모형과 일치하는 정도의 점수(차원점수) 모두에서 더 높은 수준의 수행을 보였다. 한편, 모형을 이루는 블록과 유아에게 주어진 블록 중 같은 모양의 블록 간에 색이 서로 엇갈려있을 때보다 서로 일치할 때 유아는 더 성공적으로 공간구조를 재구성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3세 유아보다 4세 유아에서 더 약하게 나타났다. 즉, 3세 유아는 모형의 공간구조와의 동일 여부에 관한 점수(매치점수), 그리고 수직적 배열, 회전, 위치 이동의 차원에서 모형과의 일치 정도에 대한 점수(차원점수) 모두 모형과 유아의 블록 간에 색이 엇갈려있을 때보다 서로 일치할 때 더 높았다. 반면에, 4세 유아는 모형의 공간구조와의 동일 여부에 관한 점수(매치점수)만 모형과 유아의 블록 간에 색이 엇갈려있을 때보다 서로 일치할 때 더 높고, 수직적 배열, 회전, 위치 이동의 차원에서 모형과의 일치 정도에 관한 점수(차원점수)는 색의 일치 또는 교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가 공간구조를 재구성하는 능력이 3세와 4세 사이에 발달하며, 특히 원래의 구조물과 재구성용 재료 간의 색상 배열에 덜 의존하는 방향으로 공간구조 재구성 능력이 발달함을 시사한다. 이는 3, 4세 유아의 공간구조 표상 및 재구성 능력에 관한 이해를 넓히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LCC항공사 승무원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안전의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혜은 부경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job satisfaction of airline crews who have a lot of emotional labo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afety awareness control. Therefore,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emotions and emotions of airline crew,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four type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airline crew is responsible for security as well as service. In the limited space of the aircraft, it is necessary to meet the needs of the guests, and as the mental fatigue increases, negative attitudes may result, resulting in lower job satisfaction. In the crew's work,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promotes changes in employees' attitudes and behaviors and positively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It is also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improving satisfaction with work and reducing negative attitudes in working with employees.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LCC airline crew through the empirical study.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LCC airline crew members in Busa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19 to August 30, 2019, and a total of 239 copies were used as empirical analysis data except 250 questionnaires, which were judged to be inconsistent or unfaithful in response. The SPSS 25.0 statistical package was also used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four factors that are sub-concep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three factors except self-efficacy factors, hopeful factor, resilient factor, and optimistic factor,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irically suggests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uld be well formed and the focus should be on emotion management in order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airline crew.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we have demonstrat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 the LCC airline crew, and we expect it to be a study that will help not only airlines but also the work of safety and emotional labor. 본 연구는 감성노동을 많이 하는 항공사 승무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안전의식의 조절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항공사 승무원의 감성과 정서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긍정심리자본의 4가지 유형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공사 승무원은 서비스뿐만 아니라 보안 안전을 책임져야하는 임무를 가지고 있다. 항공기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손님들의 요구를 충족시켜야하며 정신적인 피로가 커짐에 따라 부정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고 그로 인해 직무만족이 낮아질 수 있다. 승무원의 업무에 있어 긍정심리자본은 구성원의 태도와 행동 변화를 촉진시키며,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구성원들과 일함에 있어서 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부정적인 태도를 감소시키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도 인식 되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LCC항공사승무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연구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부산 소재의 LCC 항공사승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8월 1일부터 8월 30일 까지 실시하였으며, 총250부를 배포하여 응답에 일관성이 없거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설문지 등을 제외한 총 239부를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의 하위개념인 4가지 요인 중 자기효능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3가지요인 희망성 요인, 복원성요인, 낙관성 요인 모두 직무만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다. 또한,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을 것 이라는 가설은 부분 채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항공사승무원의 직무만족 수준을 높이려면 긍정심리자본이 잘 형성 되어야하며, 정서관리에 집중하여야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제시한 데에 있어 본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LCC 항공사 승무원들의 긍정심리자본 형성에 중요성을 입증하였으며, 항공사뿐만 아니라 안전 및 감성노동을 하는 업무에도 도움을 주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두 세대간의 양육태도에 관한 비교 : 초기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김혜은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주양육자와 유아와의 관계가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도덕적 발달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초기대상관계이론을 기초로, 친정어머니의 직업유무에 따른 양육태도와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자신의 양육태도 차이를 밝히고,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신의 양육태도 관계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세대간의 전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직업유무에 따라 연구대상자가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신의 양육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신의 양육태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및 인천에 거주하는 만4~7세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어머니 148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1.0 프로그램에서 평균, 표준편차, t 검증, Pearson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통계처리 되었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유무에 따라 연구대상자의 어머니 양육태도와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자신의 양육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먼저 직업유무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어머니 양육태도에서는 긍정적 요인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부정적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연구대상자의 어머니가 직업을 가지고 있는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보다 적극사랑과 인정요인의 양육태도를 더 낮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직업유무에 따른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자신의 양육태도에서는 긍정적 요인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정적 요인에서는 방임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즉 직업이 있는 어머니가 자녀에게 방임적인 양육태도를 더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신의 양육태도는 긍정적, 부정적 요인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연구대상자가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신의 자녀에게 더 긍정적으로 지각하며 부정적 요인을 덜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자녀에게 긍정적 요인은 낮게 지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어머니와 연구대상자의 직업유무에 따라 양육태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연구대상자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신의 양육태도는 서로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것은 세대간의 전이가 있음을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transition between generations and the difference between rearing attitudes based on the primary object relation theory. According to this purpose, we established the following questions for this study: 1. What difference is there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by having or not having a job of the objects mother of this study and his/her perceiving rearing attitude as his/her own? 2. Is there any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by having or not having a job of the objects mother of this study and his/her perceiving rearing attitude as his/her own? For the sake of effect verification, we put in practice the previous research in 148 mothers feeding children(age 4~7) in Seoul and Inchon. The collected data dealt with SPSS 11.0 program statistically using t-test and etc. The major consequence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s follows : 1.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by having or not having a job of the objects mother of this study and his/her perceiving rearing attitude as his/her own. In the rearing attitude by having or not having a job of the objects mother of this study, positive factor is meaningful, but negative is not. Next, in the his/her perceiving rearing attitude as his/her own, both positive factor and negative factor are meaningful. 2. There is a positive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by having or not having a job of the objects mother of this study and his/her perceiving rearing attitude as his/her own.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aring attitudes between the mother and object having and not having a job. Also, co-relation between the rearing attitude by having or not having a job of the objects mother of this study and his/her perceiving rearing attitude as his/her own is verified.

      •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혜은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대생 4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경성 폭식증 검사, 우울 척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다. 선행연구들에 근거하여 신경성 폭식증 검사에서 88점 이상을 얻은 피험자를 폭식행동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상위 10.3%에 해당한다. 이를 기준으로 하여 분포에서 대칭이 되는 하위 10.7%에 해당하는 피험자를 비폭식행동 집단으로 분류하였으며 신경성 폭식증 검사 점수는 41점 이하에 해당된다. 연구 결과, 폭식행동 집단은 비폭식행동 집단에 비해 더 많은 우울을 경험하였으며, 정서 중심적인 대처 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폭식행동의 유발에 있어서 우울이 폭식행동을 가장 유의하게 설명해주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4개 하위요인에서는 정서 중심적 대처만이 폭식행동을 유의하게 설명해주었다. 이러한 우울과 정서 중심적 대처는 상호작용하여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울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정서 중심적 대처에 따른 폭식행동에 차이가 없었으나,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은 정서 중심적 대처가 증가함에 따라 폭식행동 수준도 현저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울 수준이 높으면서 정서 중심적 대처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의 경우 폭식행동이 더욱 심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신경성 폭식증과 그 주요증상인 폭식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와 비효율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을 밝혀낸 것에 시사점이 있다. 또한 폭식행동이나 우울이 남성에 비해 여성들에게 있어서 높은 비율로 발생하고 있는 바 기존의 치료와 차별화 하여 여성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성주의 심리치료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아울러 문제상황에 당면했을 때 일시적이고 비효율적인 대처보다 그 상황에 직면해서 근원적인 문제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적극적이고 효율적인 대처방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치료적인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언급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women's depression and stress coping on binge eat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497 females who were undergraduate school student. They were administered a scale of measures to examine bing eating, depression, stress cop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t the one way ANOVA, binge eating behavior group were more likely than non binge eating behavior group to engage in high depression and coping on focused emotion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epression and stress coping as predictors of bing eating behavior, depression and coping on focused emotions among four subtype of stress coping were uniquely related to binge eating behavior. Also, depression interacted with coping on focused emotions in predicting binge eating behavior. That is, low depression group showed little change of binge eating behavior as their coping on focused emotions was higher, whereas binge eating behavior of high depression group tended to increase remarkably as their coping on focused emotions was higher. Finally, the finding were discussed in perspective of integration of affect as depression and stress coping regulation models on binge eating behavior, and implication for treatment,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ddre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