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멘트리움> 프로젝트에 나타난 '순간'의 표현에 대한 연구

        김혜수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2018년 이후의 연구자의 작업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자의 작업은 개인적인 순간(瞬間)을 목격하고 이를 아카이빙(archiving)하는 과정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 과정은 현재의 순간이 기억으로 저장되거나 과거로 잠식되어 잊혀져가는 유한한 현실에 도전하려는 연구자의 욕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 순간들을 기록한 상태 그대로 현실에 체화하여, 그 순간에 생성된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환원시켜 재생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고자 하는 고민으로부터 발생되었다. 이것은 실현 불가능한 것들을 포착하고자 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집착과 의지의 표현과 연결되며, 연구자 본인을 둘러싼 세계와 그 안에서의 본인의 삶에 대한 유한성의 집착으로 이해될 수 있다. 많은 동시대 예술가들은 연구자와 같이 이전의 어떤 시대보다도 개인의 특수성(特殊性)이 반영된 삶의 형태를 적극적으로 예술에 개입시키며, 자신의 삶을 체화된 형태로 표현하려고 적극적으로 시도한다. 이러한 맥락으로 일상적 시간의 연속성을 예술적 형태로 그려내는 일상 기록의 예술이 개념미술의 한 영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연구자도 동시대 예술가들 중 한 사람으로서, 2007년부터 진행한 연구자의 삶에서 나타나는 물리적인 변화에 반응하는 정신적 요소, 실재적인 것과 비실재적인 것, 현존하는 것과 현존하지 않는 것, 무의식과 의식 사이의 틈에서 발현되는 특징들을 드로잉, 레진으로 제작한 부조, 투과성을 지닌 조각 그리고 텍스타일을 활용한 설치와 퍼포먼스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탐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연구자는 인간이라는 존재에게 각기 다르게 주어진, 특수성을 지닌 시간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것을 이미지화하는 데 주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비정형적 형태의 드로잉과 조각, 신경세포나 바다 생물체의 형상과 동적 움직임이 연상되는 설치작업, 투과성을 지닌 매체의 실험을 통해 겹겹이 중첩되는 시간성을 시각적 형태로 재현하고자 시도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연구자 작품의 형태와 매체 선택의 독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우연한 반응에 의해 출몰하는 내재적인 요소들을 이미지화하는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연구자는 본인이 경험한 미시적인 시간의 조각, 즉 일상적인 ‘순간’을 사유하고 탐구하게 되었다. 순간에 대한 탐구 과정의 시작은 ‘순간의 사유와 탐색이 가능할까?’라는 의문으로부터 ‘비실재적인 순간의 시각화는 과연 진정한 순간의 현실화된 표현인가?’라는 문제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더 나아가 ‘순간을 어떻게 조우할 것인가?’, ‘어떠한 실천으로서 이 순간에 접근할 것인가?’라는 보다 실천적인 물음으로 귀결되었다. 이 물음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연구자는 2018년부터 ‘모멘트리움(Momentrium)’ 프로젝트를 통해 순간에 대한 조형적 연구를 시작하였다. 포스트모던 이후의 예술이 조형이라는 자체 문제에 천착(穿鑿)하는 것을 넘어서, 문제 제기적인 활동이라는 점에서 연구자의 작업은 단순히 순간을 재현하거나 추상하는 것이 아니라, 순간에 대한 사유의 실체화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연구자가 본 연구의 소재로 사용한 ‘순간’은 일시적인 한때로서 찰나적 순간을 의미한다. 이는 물리적으로 고정시키거나 목격할 수 없는 성질의 것으로 데리다가 말하는 유령의 특성과 비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유령(spectre)을 과학적이거나 현실성을 갖는 혹은 객관성을 띄는 모든 대립으로 빚어진 이원적 개념들을 일정한 방식으로 초과하는 양가적 속성을 지닌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유령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유령의 논리, 즉 유령성(Hauntology) 및 해체주의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이중적인 것들을 가능하게 하는 유령적 특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유령의 특성 중 유령이 정신과 관계하며, 양가적 틈에서 출몰하며, 언제든 그 틈에서 회귀할 수 있는 존재이자 가변적이라는 점을 바탕으로 유령과 ‘순간’ 간의 개념적 유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자만의 순간의 성질을 정의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모멘트리움의 구성요소인 순간의 개념을 모색한다. 이와 관련하여 순간의 시각화 과정으로서 기록-아카이브 방식에 주목하고, 온 카와라와 로만 오팔카의 작품 세계를 살핀다. 기존의 작품과 차별화된 연구자의 프로젝트는 텍스트와 드로잉의 조형적 결합을 나타내는 ‘기록 이미지’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순간을 목격하는 것으로서의 재현을 넘어 순간을 현실화(現實化)하는 순간의 입체적 구현으로 진전되었으며, 회화적으로 표현된 시각 인덱스의 설정, 입체 조각과 설치, 가상현실로의 매체로 구체화되었다. 일련의 과정은 ‘모멘트리움’이라는 연구자의 최종적인 주제 의식을 구현해 나가는 것으로 설명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과제를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첫 번째 과제는 순간의 조형적 구현이라는 작품의 주제와 작업의 본질에 관해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작품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다루고 구현하는지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설명한다. 두 번째 과제는 시간성을 지닌 순간을 어떻게 목격하고 기록하여 표현하는지를 다루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의 순간을 기록하는 방식과 다양한 매체를 면밀하게 분석하여 연구자의 표현 방식을 소개한다. 세 번째 과제는 조형적인 방식을 통해 순간에 영원성을 부여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연구자가 ‘모멘트리움’을 구현해 내는 과정에서 창작한 작품들의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어떻게 순간을 조형화하고 시간을 초월한 영원성을 부여하는지를 탐구한다. 연구자가 수행한 일련의 창작 과정은 그 자체가 ‘순간’에 대한 아카이브로 기능한다. 연구의 최종 목적인 ‘모멘트리움’을 지향하는 과정과 그 결과는 순간의 아카이브를 언제든 다시 복귀시켜 재생할 수 있는 세계를 창조하고자 하는 영원한 순간에 대한 지향으로 설명된다. 이렇듯 영원이라는 유토피아를 가상의 시공간에 현실화하는 ‘모멘트리움’의 지향은 연구자뿐 아니라 작품의 감상자에게도 연구자의 삶을 각자 재해석하고, 자신의 삶에서 마주하는 수많은 순간들에 대한 고찰을 위한 계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미적 실천을 이끌어내는 유의미한 행위로 기능한다. This doctoral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work of the researcher since 2018. The researcher's work stemmed from witnessing personal moments and archiving them. This process originated from the researcher's desire to challenge the finite reality where current moments either fade into memories or are engulfed by the past. It emerged from the researcher's aspiration to manifest these moments as recorded archives in their original state, aiming to bring them back to life whenever desired. This quest aligns with humanity's inherent inclination and determination to capture the unattainable, entwined with the researcher's obsession with the finite nature of their life within their surrounding world. Many contemporary artists, like the researcher, actively involve their individual uniqueness in art more than any previous era. They deliberately integrate their lives into art, attempting to express their lives in an embodied form. In this context, the art of depicting the continuity of everyday time in an artistic form emerges as a realm of conceptual art. As a contemporary artist, the researcher has explored various mediums such as drawings, resin-made reliefs, translucent sculptures, installations employing textiles, and performances since 2007, responding to the physical changes observed in their life. These explorations traverse the realms of the mental facets reacting to physical transformations, the tangible versus intangible, existence versus non-existence, and the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the gap between the conscious and unconscious realms. Throughout this process, the researcher focused on revisiting and visualizing the significance of time, characterized by uniqueness inherent to each human being’s existence. This journey involved creating nonconventional forms of drawings and sculptures, installations evoking neural cells or marine organisms' shapes and dynamic movements, and experimenting with translucent mediums to visually reproduce the overlapping temporality, thus showcasing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searcher's work in form and medium selection. In the course of visualizing the inherent elements emerging from these coincidental responses, the researcher delved into pondering and exploring the microscopic fragments of time—everyday 'moments' experienced personally. The exploration of these moments commenced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rationalizing and exploring moments is possible,' leading to a contemplation on whether 'visualizing intangible moments truly embodies the essence of those moments.' Further introspection ensued, contemplating on 'how to encounter these moments' and 'what practical actions lead to accessing these moments.' To seek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er initiated a sculptural study of moments through the 'Momentrium' project starting in 2018. As art after the post-modern is a campaign of raising questions, transcending the researching of the problem of sculpture itself, the researcher's work showcases an explorative process of the materialization of reasoning about moments, transcending mere reproduction or abstraction of moments. The 'moment' chosen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represents a fleeting instance, a temporary moment in time. Recognizing its nature as something physically unfixable or unobservable, it was likened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pecter, as described by Jacques Derrida. Derrida presents the specter as having ambivalent attributes, transcending binary concepts stemming from oppositions that are scientific, realistic, or objective, with a consistent method. To elucidate these attributes, the logic of the specter, namely "hauntology," was proposed, suggesting the ghostly features that enable duality based on deconstructive methodology. Drawing from the specter's traits—its connection to the mind, emergence from the gap of duality, ability to reappear from these gaps, and its variable nature—a conceptual similarity between the specter and the 'moment' was derived. The researcher defined and interpreted the nature of moments unique to themselves based on this exploration, further probing the concept of moments, the building blocks of Momentrium. In relation to this exploration, attention was given to the visualization process of moments, exploring the recording-archiving method and examining the artistic worlds of On Kawara and Roman Opalka. The researcher's distinct project diverges from conventional artwork, initiating from the amalgamation of text and drawing into 'record images.' Evolving beyond the mere representation of witnessing a moment, these images advance towards the three-dimensional embodiment of actualizing a moment, manifested through painterly visual indices, three-dimensional sculptures and installations, and concretization into virtual reality as a medium. This sequential process encapsulates the ultimate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researcher's 'Momentrium.' In this context, the main tasks of this dissert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task involves elucidating the essence of the theme and nature of the artwork concerning the sculptural embodiment of the moment. To achieve this, the researcher will analyze and elaborate on how the moment is handled and realized through the artwork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second task focuses on exploring how the moment inherent with temporality is witnessed, recorded, and expressed.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will introduce their method of recording moments and thoroughly analyze various mediums employed in their expression. The third task revolves around how to imbue eternality to the moment through sculptural means. Through a detailed analysis of the specific artworks created during the realization of 'Momentrium,' the researcher aims to explore how moments are sculpted and endowed with eternality transcending time. The series of creative processes undertaken by the researcher serve as an archive of the 'moment' itself. The pursuit of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Momentrium,' is explained as an aspiration toward an eternal moment, aiming to create a world where the archive of the moment can be replayed at any time. The direction of 'Momentrium,' which seeks to materialize the utopia of eternity in a virtual space, functions as a meaningful act that elicits artistic practice through providing an opportunity for the audience to reinterpret the researcher's life and reflect on the numerous moments they encounter in their own lives.

      • 토양 내 함유된 사문석계 석면과 각섬석계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과 무해화 방법 연구

        김혜수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토양 내 석면의 비산 방지를 위한 효과적인 관리방안과 정화방법의 구축이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토양 내 함유된 석면의 광물학적 특성을 확인하고 무해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사문암과 탄산염암 분포 지역에서 섬유상 광물을 포함하는 토양을 채취하여 XRD, PLM, SEM-EDS 분석을 통해 광물학적 특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또한, 석면의 무해화를 위해 석면함유 토양을 바닥재(bottom ash), 황, 수산화칼슘을 혼합하여 제조한 알칼리성 용액(pH=10.6)과 20일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키는 화학적 처리와 850℃와 1,100℃에서 2시간 가열시키는 열처리 후 XRD, PLM, 그리고 SEM-EDS 분석을 통해 무해화 여부에 대해 확인하였다. 사문암의 풍화 토양과 탄산염암의 풍화토양에서 섬유 집합체의 백석면과 침상의 트레몰라이트 석면이 각각 2%, 5%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는 환경부 기준(≥1%)에 따른 석면오염 토양으로 분류되었다. 토양 내 석면의 무해화를 위한 화학적 처리 결과, 알칼리성 용액과 반응한 백석면 함유 토양은 용액 내 Mg의 함량 증가를 통해 Mg 팔면체층의 구조붕괴를 확인하였으며, 화학적 처리 전 토양 내 백석면에 비해 주 회절선의 감소와 함께 분산염색색상의 변화 그리고 형태와 화학조성의 변화를 보였다. 또한, 점계수법 결과, 2%의 토양 내 백석면 함량이 알칼리성 용액과 반응 후 0.25%로 감소됨을 통해 백석면의 무해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토양 내 트레몰라이트 석면은 알칼리성 용액과 반응하였을 때 광물학적·화학적 특성의 변화가 없음을 통해 알칼리성 용액을 통한 트레몰라이트 석면의 무해화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열처리 결과, 구조 내 포함된 수산기의 제거로 인해 850℃로 열처리 된 백석면은 비석면형인 주상의 고토감람석(fosterite)으로 광물 상전이 되는 무해화와 1,100℃로 열처리 된 트레몰라이트 석면 또한 비석면형인 주상의 완화휘석(enstatite)과 투휘석(diopside)으로 광물 상전이 되는 열처리를 통한 무해화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토양 내 함유된 백석면의 화학적 처리와 열처리를 이용한 무해화와 트레몰라이트 석면의 열처리를 이용한 무해화 확인을 통해 석면오염 토양의 환경문제 해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석면은 각 광물종마다 화학적·광물학적 특성이 다르므로 이러한 특성 연구를 기반으로 한 무해화 방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창의적 미술표현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드로잉 활용 수업 연구

        김혜수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help students express their thought freely and variously through middle school drawing class so that they can have interest in art and enhance ability that can be the foundation for creative activity. Drawing which is one of the art areas is started from scribbling which infants can practice only if they are strong enough to grasp something with their fingers and is the start of creative expression. Also, it is effective to enhance creative expression since it has been used for the longest time and can be easily approached by anyone. This drawing class urgently needs research on various teaching methods in order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t more actively and produce creative and pleasant drawing expression. Thereupon this study examines as theoretical background art education and creativity and also the periodic changes and roles of drawing and investigates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and drawing contained in the textbook. Moreover, this paper examines and analyzes the actual status and problems of current drawing class with a survey to study teaching methods for drawing. Based on that, this research suggests solutions, examines teaching methods for drawing to enhance creative expression, and proposes this researcher’s interesting teaching plans to apply it to actual class.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drawing class has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creative express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activate research on creative teaching methods so that a lot of people can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drawing to improve creativity and the drawing class conducted up to now can lead to further self-expression and more diverse and creative expression. And through drawing that uses various methods, students, too, are expected to have more interest in drawing and improve creative art expression ability, not restricted to ideological visual expression.

      • 알코올중독자와 비중독자의 청성유발반응 비교

        김혜수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lcohol is an addictive and habit-forming chemical showing its effects for sleep or anesthesia. It is known as an inhibitor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ffecting brain function or resulting in brain damage. A long-term, excessive abuse of alcohol may lead to alcohol addiction. Alcohol addictio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sm of particular chemicals called neurotransmitters among biological changes on the cerebral nervous system.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increase of the threshold of hearing related to alcohol drinking, no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differences in auditory evoked responses between subjects with and without alcohol addi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auditory evoked responses var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f addiction in alcoholics and non-alcoholics. In this study, 32 men at the age of 50 to 70 (57.5±4.7) participated. They were grouped into patients (17 person, 57.6±5.3 years old) diagnosed as alcohol addic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statistical manua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ition (DSM-5) and normal drinkers (15 persons, 57.2±4.2 years old) of the same age residing in Daegu province. Every subject who had visited the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Medical Center went through screening tests (pure tone audiometry, speech audiometry, tympanometry) to see if they have normal hearing. The subjects with normal hear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bout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waves Ⅰ, Ⅲ, and Ⅴ’s absolute latency and interpeak latency among the waves as well as amplitudes were measured. For 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s, Na, Pa, Nb, and Pb waves’ absolute latency and amplitudes were measur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aves Ⅰ, Ⅲ, and Ⅴ’s absolute latency and interpeak latency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lcohol addic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mplitudes of waves Ⅰ, Ⅲ and Ⅴ. In 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s, Na and Pa waves’ amplitude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alcohol addiction, but Nb and Pb waves’ amplitude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Na, Pa, Nb, and Pb waves’ absolute latency did no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busive consumption of alcohol may result in structural and/or neurochemical alterations at various levels in the auditory pathway. Keywords: auditory evoked responses, alcohol addicti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uditory middle latency response, latency, amplitude

      • 보이체크

        김혜수 서강대학교 영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이체크 - 연기 메소드 응용

      • 과일섭취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과일섭취 습관의 조절효과

        김혜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fruit consumption behavior of consumers by applying consumer behavior theory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ultimately, purchase and optimize the environment to induce consumer’s consumption of fruit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1,000 of consumer, living in Seoul, who has experienced to buy or eat fruit. A total 73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For statistical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moderating effect test were carried out using SPSS and AMO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the studies showed that fruit intake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fruit intake. It was also shown that affective attitudes towards fruit intake,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level of fruit intention. However, cognitive attitudes towards fruit intak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fruit intention, but nonsignificant. Next, results showed that overall intak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fruit intake behaviors. However, habits performed with the intent of increasing fruit intake had a negative influence. In other words, people with strong tendencies of fruit consumption have greater fruit intake behaviors than those who do not. As such, their intake behaviors are less affected by the degree of fruit consumpti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fruit intake behavior without intentional motivation to do so; it is possible to increase intake through attitudes, social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hen trying to moderate a negative trending of fruit intake and fruit intake behavior, rather than attempting to do so by intentionally changing one’s habits, those who did not do so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ir intake of fruit. Regarding attempts to further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Habit” circl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s future research advances and new studies form new theoretical foundations, first, factors that compose “Habit” factors must be established. Models of new-technology or of opposing natures must be accounted for. Then, an appropriate variant of the “Habit” argument can be developed, one that carries the truths of the original model, but fittingly includes conceptual changes arising from continued research.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따르면 만 1세 이상 남녀 전체의 식품군별 1일 섭취량 중 과일류 섭취량이 권장량 기준에서 매우 부족한 수준으로 나타나 계절에 따른 충분한 과일의 섭취가 더욱 강조될 필요가 있다. 생산자 혹은 유통관련업자 측면에서 과일 소비 증진을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나 소비자를 대상으로 과일 섭취 행동에 관련한 연구들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과일섭취행동을 파악하기 위해 ‘계획적 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과일 섭취를 유도하는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계획적 행동이론’ 외에 건강 행동관련 연구에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습관’ 요인을 추가하여 새로운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소비자의 과일섭취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734 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과일섭취의도를 파악하는데, 과일섭취태도, 사회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이렇게 세 가지 요인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태도 인자는 감정적 태도 및 인지적 태도로 구분하여 측정되었다. 또한 습관 인자를 조절요인으로서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과일섭취에 대한 감정적 태도, 사회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과일섭취습관이 과일섭취의도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태도는 과일섭취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일섭취의도의 증가는 섭취행동의 증가로 이어진다고 나타났다. 과일섭취습관은 과일섭취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과일섭취의도와 과일섭취행동의 관계에 대한 습관의 조절효과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과일섭취습관이 과일섭취행동에 대한 섭취의도의 긍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키는 방향으로 조절작용을 한다는 것이다. 과일섭취의도의 증가는 섭취행동의 증가로 이어지고, 과일섭취습관은 그 자체로는 과일섭취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보다 습관적으로 과일을 섭취하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과일섭취의도가 섭취행동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덜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과일섭취행동을 늘리기 위해서는 과일섭취의도를 고양할 필요가 있으며 이는 과일 섭취에 대한 태도, 사회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등을 증가시킴으로써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습관이 과일섭취의도와 섭취행동간의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방향의 조절효과를 고려할 때, 습관적으로 과일을 섭취하는 사람들보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과일섭취의도를 유도하는 방향의 정책을 취하는 것이 소비자의 과일섭취량을 늘리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혜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세 유아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 유아의 의도적 통제, 유치원 적응의 경향 및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 유아의 의도적 통제, 유치원 적응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치원 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1)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치원 적응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1)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유치원 적응 중 하위 요인(친사회적 행동, 긍정적 정서, 또래 간 적응, 자아 강도, 일과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 분당에 위치한 유치원 만 4세 유아 136명과 그들의 어머니 136명이다. 어머니 정서표현은 Halberstadt, Cassidy, Shifter, Parke와 Fox(1995)가 개발한 Short Form of the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의 타당화 검사를 한 여은진(2009)의 '어머니 정서표현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정서수용태도는 Saarni(1989b)의 '유아의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 태도 질문지(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 Expressiveness Scale: PACES)'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의도적 통제 질문지는 배윤진(2012)이 사용한 '의도적 통제 질문지'를, 실험 측정은 Hill(2003)이 사용한 '적록신호'와 '토끼와 거북이'실험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유치원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Jewsuwan Luster와 Kostelink(1993)가 개발한 '유치원 적응 질문지(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를 사용하였다. 측정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측정 변인 별로 최소값과 최대값,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했으며, 측정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요인의 하위 영역 점수와 총점에 대한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했다. 마지막으로 각 변인들이 전반적인 유치원 적응 및 하위 요인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는 부정적인 정서표현보다 긍정적인 정서표현의 수준이 높았으며, 유아의 긍정적 정서표현보다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유아의 의도적 통제는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 측정으로 얻어진 움직임 통제의 평균은 35.04, 행동의 활성화 평균은 52.83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유아들은 유치원에 중간 수준 이상으로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정서수용태도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실험 과제 간에 부분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행동의 활성화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부정적 정서표현은 의도적 통제 및 움직임 통제와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긍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 및 행동의 활성화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는 행동의 활성화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치원 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과 수용태도는 유치원 적응 중 일부 하위 영역 및 유치원 적응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는 유치원 적응과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 중 또래 간 적응, 자아 강도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치원 적응과 자아 강도를 제외한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또, 유아의 긍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는 유치원 적응 및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 전체와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는 유치원 적응 및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 중 사회적 행동, 긍정적 정서, 일과 적응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넷째,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치원 적응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행동의 활성화는 유치원 적응과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 전체와 상관관계가, 움직임 통제는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 중 일과 적응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치원 적응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설명 변인으로 보고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유치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요인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였으며,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수용태도, 행동의 활성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유치원 적응에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유치원 적응의 하위 영역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인 어머니의 정서표현 및 수용태도와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설명 변인으로 보고 유치원 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유치원 적응 중 친사회적 행동에 대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적응 중 긍정적 정서에 대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도적 통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수용태도, 행동의 활성화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적응 중 또래 간의 적응에 대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 행동의 활성화 순이었으며, 유치원 적응 중 자아 강도는 유아의 의도적 통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 행동의 활성화 순으로 상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적응 중 일과 적응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 유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 유아의 긍정적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수용태도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적응은 유아기에 필요한 기초적인 인지․정서․사회적 지식과 행동을 습득하는데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유아기 이후의 사회적 관계 형성이나 학업 성취 등 미래 삶을 잘 살아가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유치원 적응을 지원할 수 있도록 어머니의 정서적인 태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유치원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의도적 통제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유치원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ship of the kindergarten adjustment and to investigate relative influence that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s well a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s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have on kindergarten adjustment of 4-year-old children. Following questions are set-up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First, what is the general tendency of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kindergarten adjustment? Second, is there any correlation amo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kindergarten adjustment? Third, do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have relative influence on kindergarten adjustment and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36 preschoolers of 4-year-old, who are attending the kindergarten in Bundang-gu, Gyeonggi Province, Seoul and their mothers.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measured by usi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that is written by Eun Jin Yeo(2009), who assessed reliability of Short Form of the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 by Halverstadt, Cassidy, Shifter, Parke and Fox(1995).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measured by using Parental Attitude toward Child Expressiveness Scale: PACES by Saarni(1989b) after evaluate and revise it.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was measur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that was used by Yun Jin Bae and experimental measurement was assessed by using evaluated and revised Red-Green Sign, and Turtle and Rabbit experiment that Hill(2003) used. Preschooler`s kindergarten adjustment was measured by translating and using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 PAQ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ink(1993). Data were analyzed using minimum and maximum value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tendency and relationship. When these come to relative influence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as conducted injecting with variables that witnesse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e summary of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had relatively higher standard of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howed relatively receptive attitude towards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rather than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average of the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was showed to be higher than general standard. Also, the average of the slowing-down motor activity obtained from experimental measurement showed as 35.04 and the average for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showed as 52.83. The subject preschoolers seemed to be well adjusting in the kindergarten. Second, by examining relationship amo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it could be seen that there was a partial correlation between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experiment task.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and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effortful control and slowing-down motor activity.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bout preschooler`s positive emo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Also,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bout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pressing/ 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correlation amo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kindergarten adjustment,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have correlation with sub 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and kindergarten adjustment. Maternal positive emotional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 adjustment, and peer competence and ego-strength in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And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except kindergarten and ego-strength. Also,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 adjustment and every sub-factor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kindergarten adjustment and Prosocial behavior, positive emotion and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in sub-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kindergarten adjustmen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and kindergarten adjustment and whole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Also, slowing-down motor activity in effortful control showed correlation with adjustment to kindergarten routines in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Fifth, with respect to relative influences on the kindergarten adjustment and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regardi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s explanatory variable,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s among them. The factor which has the biggest relative influence on kindergarten adjustment was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dditionally, kindergarten adjustment was highly affected by the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uppressing/ 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in effortful control, and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Sixth, with respect to relative influences on sub-factors of kindergarten adjustment, regarding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emotional expressiveness,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s explanatory variable,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influences between them. The prosocial behavior in kindergarten adjustment were highly affected by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maternal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positive emotion in kindergarten adjustment were highly affected by effortful control,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in effortful control. The peer competence in kindergarten adjustment were highly affected by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and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in effortful control. The ego-strength in kindergarten adjustment were highly affected by preschooler`s effortful control,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ppressing/initiating activity to signal in effortful control. The kindergarten routines in kindergarten adjustment were highly affected by effortful control, maternal attitude toward preschoo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aternal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Kindergarten adjustment doesn`t only give influence on learning basic cognition, emotion, social knowledge and behavior that is necessary in early childhood, but also allow them to manage their future life, such as Constructing social relationship or academic achievement after early childhood. Therefore, concrete and realistic information about maternal emotional attitude should be offered to support kindergarten adjustment,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kindergarten program that can improve effortful control, which is a factor that have biggest influence on kindergarten adjus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