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Functional analysis of the nsdC gene involved in sexual development of Aspergillus nidulans

        김혜련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ormation of Aspergillus nidulans fruiting body is affected by a number of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Several NSD (never in sexual development) mutants that do not produce any kind of sexual structures were isolated and classified into four complementation groups (nsdA-D). Previously, the nsdD gene encoding a GATA-type transcription factor necessary for sexual development was cloned and identified. Here, the nsdC gene belongs to another complementation group was isolated and characterized. NsdC encoded a putative transcription factor carrying a novel type of zinc finger DNA binding domain consisting of two C₂H₂s and a C₂HC motif that are highly conserved in most fungi but not in plants or animals. Two distinct transcripts of 2.6 kb and 3.0 kb were generated from nsdC. The 2.6 kb mRNA accumulated differentially in various stages of growth and development, while the level of 3.0 kb mRNA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throughout the life cycle. The level of 2.6 kb mRNA was highly elevated in a hypoxic environment but remained low under the standard condition indicating that nsdC is subject to complex regulation in response to an oxygen-related metabolic state. The smaller mRNA is maintained to increased level in creA204 mutant strain. The results suggest that nsdC was controlled by the creA gene. While the deletion of nsdC resulted in the complete loss of fruiting body formation under all conditions favoring sexual development, over-expression of nsdC not only enhanced formation of fruiting bodies (cleistothecia) but also overcame inhibitory effects of certain stresses on cleistothecial development, implicating NsdC is a key positive regulator of sexual development. Deletion of nsdC also resulted in retarding vegetative growth and hyper-activated asexual sporulation. Moreover, conidia were produced in liquid medium with glycerol or lactose as the sole carbon source, but not with glucose or acetate in deletion nsdC mutnat. Coll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NsdC is not only necessary for sexual development but also negatively regulates asexual sporulation especially on carbon sources favoring sexual development. Over-expression of nsdD partially restored the retarded hyphal growth and conidiation in submerged culture but not the inability of fruiting body formation caused by nsdC deletion. Over-expression of veA or nsdD does not rescue the failure of fruiting body formation by nsdC deletion mutation. Furthermore, nsdC expression is not affected by either VeA nor NsdD, and vice versa, indicating that NsdC regulates sexual development independently of VeA or NsdD. Aspergillus nidulans의 유성생식 기관의 형성은 외부의 환경적 요소와 유전학적인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전혀 유성생식 기관을 형성하지 않는 NSD (Nerver in sexual development) 돌연변이주들이 분리되었고, 4개의 상보성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nsdA-D). 이미, nsdD 유전자가 연구되어 졌고, 이는 유성분화에 필요한 GATA 타입의 전자조절 인자를 암호화하고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NSD의 다른 상보성 그룹인 nsdC를 분리하고 분석하였다. nsdC 유전자는 2개의 C₂H₂와 1개의 C₂HC로 구성된 zinc finger DNA binding domain을 암호화 하고 있었다. NsdC의 zinc finger domain은 대부분의 곰팡이에서 conserve 되어 있었으나 식물이나 동물은 conserve 되어 있지 않았다. nsdC의 전사체는 2개의 다른 크기의 2.6 kb 와 3.0 kb의 전사체가 만들어 졌다. 2.6 kb의 전사체는 성장과 분화과정 중 특정 시기에 많이 발현되었지만, 3.0 kb의 전사체는 전체 생활사에 걸쳐 비교적 일정한 양으로 발현되었다. 2.6 kb 전사체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낮은 발현양상을 보이지만 저산소 조건에서는 매우 높은 발현양상을 보였다. 이는 nsdC가 산소에 반응하는 복잡한 조절에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6 kb 전사체는 creA204 돌연변이에서 증가하였고 이는 creA 유전자에 의해 nsdC가 조절되어 지는 것으로 보인다. nsdC 결손돌연변이는 어떠한 유성분화 유도조건에서도 유성생식 기관이 전혀 형성되지 않았고, nsdC 과다발현 균주에서는 일반적인 조건에서 유성분화가 유도되었을 뿐 아니라, 유성분화를 억제하는 스트레스 조건에서도 유성분화가 유도됨을 보였다. 이는 NsdC는 유성분화에 positive 조절자임을 나타낸다. nsdC 결손돌연변이는 생장속도가 늦고, 액체배지에 shaking 배양하였을 시, 탄소원으로 glucose나 acetate를 이용할 때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았지만, glycerol이나 lactose를 이용했을 때는 분생포자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NsdC는 유성분화에 필요한 유전자이며, 유성분화로 유도되는 탄소원을 주었을 때 무성포자형성을 negative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nsdD의 과다발현은 nsdC 결손돌연변이의 늦은 생장속도와 액체배지에서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것을 회복시켰지만, 유성분화의 회복은 하지 못했다. 이것은 nsdC 돌연변이에 의해 유성분화가 억제가 되는 것은 성장의 결함 때문이 아님을 나타낸다. veA나 nsdD의 과다발현은 nsdC 결손돌연변이에 의한 유성분화의 결함을 회복시키지 못했다. 게다가 nsdC 발현은 veA나 nsdD에 의해 영향 받지 않았다. 이는 NsdC는 VeA와 NsdD와는 독립적으로 유성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보인다.

      • 관광자원유형에 따른 관광엔터테인먼트의 통합적 매력도 평가와 대응 : 경주지역 펀(FUN)경영을 중심으로

        김혜련 慶州大學校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Modern society has become more complex, with a speedy development in various ways, people focus on tourism to improve the life of quality and take a mental and physical rest. With the material and time affluence. the type of tourism develops in a different way according to the times. At this stage, the fusion of tourism and entertainment providing a fun and enjoy generates new synergy effects.

      • 분열형 인격 성향군의 정서지각과 주의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김혜련 성신여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분열형 인격 성향군의 정서 지각과 주의력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분열형 인격 성향군이 정서 지각의 결함을 보이는지, 정서지각의 결함과 주의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Mirsky (1991)의 주의력 4 요인 모델에 근거하여 어떤 주의 유형이 정서 지각 결함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대학교에 재학 중인 396명의 여자대학생(만 18∼26세)에게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SPQ; Raine, 1991)를 실시하여, 대상자들 중 상위 7%의 SPQ 점수를 받은 이들을 분열형 성격 성향군 집단 (n=14)으로, 평균 SPQ 점수를 받은 이들을 정상통제군(n=15)으로 구성하였다. 주의 검사와 얼굴재인 검사, 얼굴표정 확인 검사 및 얼굴표정 변별 검사를 실시하였다. 얼굴 정서 지각 과제에서는 천장효과를 예방하고, 실제 생활에서의 정서 지각 상황과 유사한 난이도와 생태학적 조건을 유도하기 위해, 변형된 얼굴 자극과 짧은 제시 시간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분열형 인격 성향군은 얼굴 표정 확인 과제에서 유의한 손상을 보였다. 통합 정서 지각 과제의 반응시간에 대한 분석에서, 집중-집행 주의 요인인 Stroop 검사의 색채-단어 과제와 정서 지각 사이에 유의한 관련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분열형 인격 성향과 정서 지각과의 상관 분석 결과, 분열형 인격 성향의 SPQ 총 점수, 정적 특성 및 부적 특성과 얼굴표정 확인 과제의 수행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난 반면, 세 가지 특성과 정서 유형간의 상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종합하면, 분열형 인격 성향군이 얼굴 정서 확인 과제에서 정상 통제군에 비하여 유의한 수행 저하를 보였으며, 이 수행 저하는 분열형 인격 성향군이 보인 집중-집행 주의 결함과 관련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분열형 인격 성향의 정적 특성 및 부적 특성이 정서 지각의 결함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perception and attention in a sub-clinical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sample through the experimental design of ecological validity and reduced ceiling effect. Especially, based on Mirsky(1991)'s attentional model, of which attentional factor was to be found to best predict the observed deficit in the emotional recognition. Three hundred ninety-six female university students aged 18 ~ 26, in Seoul, completed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SPQ; Raine, 1991) of which 14 scoring in the upper 7 %(schizotypal group) and 15 scoring in the average(control group) completed measures of attention, facial affect. Attentional tests were administered to each participant of the study, including the Trail-Making Test(TMT), d2 test, digit span, Stroop test. A computerized facial affect recognition test tool(presented by the E-PRIME; Psychology Software Tools, Inc.) was developed by the author. All the facial affect recognition tests(facial recognition, facial affect identification, and facial affect discrimination) used either modified stimuli or a short presentation of stimulus. After controlling the group difference in BDI, BAI, the ANCOVA analysis showed the schizotypal group had deficits in facial affect identification. The concentration performance index of the d2 test, the response time of the word task, and the color-word of the Stroop test was lower in the schizoypal group, and the color-word task of the Stroop test was, in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facial emotional processing. In addition, it was found by the partial correlation that the deficits in the facial affect identification test wer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SPQ total score, positive and negative schizotypy.. To summarize, the sub-clinical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 partially, had deficits in facial affect recognition in the possible relationship with attention. Thes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potential trait status of facial affect recognition deficits in schizophrenia and schizophrenia spectrum disorders.

      • 현대인의 일상적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 연구

        김혜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인의 일상적 이미지를 표현한 작품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Art to Express the Daily Image of Modern man 미술학과 김 혜 련 지도교수 우 동 민 현대인은 과거에 비해 빠른 경제적 성장과 사회의 발전으로 의‧식‧주는 물론 많은 정신적이고 물질적인 변화를 겪어왔다. 개인주의 · 물질만능주의 · 심리적 불안감 · 소외감 · 감성적 · 이성적 등의 여러 감정이 뒤섞여서 존재한다. 때문에 현대를 살아가는 진정한 의미를 혼돈하거나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런 현실을 살펴보고 현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을 통하여 ‘본다는 것’에 대한 올바른 안목을 배우고자 한다. 또한 현대인의 일상을 통해 드러나는 사회의 긍정 혹은 부정적인 모습을 관찰자의 시각으로 나타내고자 한다. 현대미술은 역사적으로 과거와는 다르게 접근한다. 보통 현대미술을 난해한 것이라 말한다. 이유는 ‘새로움’ 때문이다. 관람자는 한 번도 보지 못했던 것을 경험한다. 동시에 현대 예술가는 끊임없이 새로움을 창조하여 관람자와 소통하려고 한다. 작가와 관람자 사이에서 소통은 중요하다. 이런 소통은 작가는 작품이 어떻게 보여 지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한다. 관람자는 작품이 가지는 상징적 이미지의 의미는 무엇인가 생각해보아야 한다. 또한 작품에서 보여지는 이미지의 시대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하는 부분에 대해 작가와 관람자가 ‘소통’에서 동시에 주목해야 할 관점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자는 현대인의 일상을 관찰하며 그들의 반복된 모습을 이미지(시각화)화하고자 하였다. 현대 사회의 문제점이나 관심 · 이슈 등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현대인의 모습을 이미지를 통해 도자 조형이라는 입체적 형태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현대인이 가지는 함축적 의미를 이미지로 표현하는데 도자 조형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미지는 그 의미의 소멸과 생성의 반복을 통하여 변화해 왔다. 현대인은 빠르게 변화하는 문명 속에서 임의로 정해놓은 생각에 편견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자신이 본 것을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승화시키는 것이 현대 이미지의 특징이라 생각한다. 인간이 살아가며 누릴 수 있는 오감 중 이미지에 대한 탐구는 먼저 촉각에서 시작한다. 다음으로 미각 · 시각 · 후각 · 청각순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자는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오감 중 특히 시각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본다는 행위에서 시작하는 현대의 컨템포러리(contemporary)적 의미를 인간의 모습 속에서 발견하고자 하였다. 고정되어 있지 않은 인간의 모습을 일상 속에서 재해석하여 이미지의 재현을 통해 시대적․현상적 의미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 의미의 이중성과 양면성이 존재한다면 그것을 구분하고 비판하고자 시도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자는 우리에게 보이는 것에 대한 편견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으로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큐비즘의 피카소와 브라크는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을 보기 시작하였다. 당시 이들의 작품은 놀라움과 이해할 수 없는 컨템포러리 아트였던 것이다. 피카소의 작품 ‘아비뇽의 여인들’을 보고 당시의 사람은 주로 비난하였다. 하지만 피카소는 말했다. “나의 그림은 보이는 대로 그린 것이 아니다. 내가 알고 있는 대로 그린 것 이다.” 본 연구자의 작품은 이런 피카소와는 달리 “보이는 대로 그린 것이다. 하지만 내가 알고 있는 대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라고 말하고자 한다. 자신이 알고 있는 것만으로 보이는 것에 대한 오해를 만들어 내는 현상에 대해 지적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의 작품을 통해 본 연구자를 포함한 현대인에게 내면의 성장과 성찰 그리고 사회를 바라보는 올바른 사고에 대한 인식을 일깨우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의 이미지를 편견 없이 보는 것에 대한 시각적 방법을 모색하기도 할 것이다. 현대인의 모습을 통해 표현된 이미지를 현상학적으로 바라고자 한다. 현대미술에 있어서 ‘본다는 것’은 시각적인 자극에 의해서 감동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다 넓은 감정의 확인과 사유의 확장 그리고 보는 이의 반응을 중요하게 요구한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 주요어: 현대인, 이미지, 편견, 일상적, 소통, 컨템포러리(contemporary)

      • 피부미용사 직무분석을 위한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김혜련 서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 문 요 약 피부미용사 직무분석을 위한 국가자격제도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한국 산업인력공단이 제시한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의 교과편성에 대한 피부미용관련자들의 만족도와 실무능력과 전문성간의 영향관계 존재여부와 과목별 영향력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여 자격제도 및 각 교육훈련기관별 피부미용사 인재양성의 전략 및 커리큘럼 구성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가역량체계(NQF)기반의 외국 피부미용사 자격제도와 비교해보고 피부미용 관계자들이 미용사 (피부) 국가자격제도에 대해 실제로 원하는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제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서울·경기 및 대구·경북지역의 피부미용관련 실무자와 학생, 교수 총600명에게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총542부의 설문지가 수거되었으며, 누락·훼손·불성실기재 등의 65부를 제외한 총 477부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산업인력공단이 제시한 미용사(피부)교육훈련과정 교과목 중에 개인적 기초직업능력은 전문성과 피부미용 시술실무에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기술적 기초직업능력은 고객 상담 및 관리 실무에 직접적인 영향관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거의 모든 교과목들은 응답자들이 실제 보유한 전문성과 실무능력과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러한 교육훈련과정이 피부미용사 실무능력과 전문성에 매우 긍정적인 교과목들로 구성되어있고 실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필요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실증한 것으로 자격제도나 교육훈련 등에 활용되고 주기적으로 보완 개발되어서 변화하는 산업현장의 요구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반면에 피부미용 관련자들이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지식·기술적인 측면의 인지적 요소로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열정·자기개발·대인 관계적 요소 등을 포함하는 정의적 요소와 관계적 요소를 포함하는 전문성으로의 인식전환을 통해 피부 미용직이 전문직으로서 사회적으로 당당히 평가받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할 필요성이 보인다. 둘째, 현장의 피부미용관련자들에게 한 설문조사 결과 미용사(피부) 국가자격제도의 자격수준을 최소한 3단계 수준으로 체계화 시킬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시자격요건에 있어서는 최소 900시간미만의 수업이수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정 방법은 현재 자격검정 방법에 실무과정 실습을 필히 병행해야 할 필요성이 가장 크며 또한 2-3단계의 자격수준이 구성될 경우 필기·실기의 심화과정 평가에 케이스연구논문과 구술시험과정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피부미용사 종목은 현재 그대로 한 종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부미용 관련자들이 필요로 하는 피부미용사 국가자격검정에 추가로 도입하여야 할 교과목들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과목들은 산업현장의 피부미용 실무에 매우 필요한 과목들로 자격 검정과목에 선택적으로 반영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로는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이고 세분화한 직무분석과 그것을 표준화시켜 자격검정이나 교육훈련에 적용했을 때 교과목별 적용 될 검정방법의 적합성이나 교육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김혜련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after developing a preference measurement scale of dance teaching style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bined research method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Qual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or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multilateral analysis, reflective subjectivity analysis, discussion and evaluation with experts,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mong research evaluation methods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Quant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Dance majors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sample group of pilot-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or subjects of the real-test, dance majors in K, S, 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were selected as the sample group. Research o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verify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verage variance extract(AVE) analysis, and construct reliability(CR) analysis were conducted. Also, this study conducted the one-way ANOVA to verify difference in preference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deduced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primary area of dance teaching style was classified into total 19 teaching styles as demonstration-oriented type, explanation-oriented type after demonstration, cramming type, leading type, dance principle explanation-oriented type, understanding-oriented type,communication-oriented type, customized instruction type, consideration-oriented type, creation-oriented type, direction guidance-oriented type, motivation-oriented type, compliment and reward-oriented type, feedback-oriented type, basic skill-oriented type, transformation and extension-oriented type, mixed teaching-oriented type, strict type, and instruction-oriented type. The secondary area of dance teaching style was classified into total 10 teaching styles as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cramming type, dance principle explanation-oriented type, student-oriented type, creation-oriented type, motivation and direction guidance-oriented type, compliment, reward and feedback-oriented type, basic skill-oriented type, mixed teaching-oriented type, and strict type, Secondly, total 30 final questions of dance teaching style for 5 factors were deduced as 7 questions for customized instruction type, 6 questions for strict instruction-oriented type, 6 questions for creation-oriented type, 6 questions for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and 5 questions for basic skill-oriented type. Thirdly,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award winning care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act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and basic skill-oriented type.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on-oriented type.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를 개발한 후, 특성변인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질적연구 참여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에서도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비구조화 된 설문지와 반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적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평가의 방법 중 다각적 분석법, 반성적 주관성, 전문가와의 토의 및 평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연구 대상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법 중에서도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예비조사(pilot-test) 대상자는 서울 소재 S대학 무용전공자를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방법 중에서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본 조사(real-test)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소재 3개의 K, S, D대학 무용전공자를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방법 중에서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양적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평균분산추출(AVE) 분석과 개념신뢰도(C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성변인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검증을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수유형 1차 영역에서는 시범 주도형, 시범 후 설명주도형, 주입식 주도형, 리드 주도형, 춤의 원리설명 주도형, 이해 주도형, 소통 주도형, 맞춤 주도형, 배려 주도형, 창작 주도형, 방향제시 주도형, 동기유발 주도형, 칭찬 주도형, 피드백 주도형, 기본기 주도형, 변용과 확장 주도형, 혼합 교수 주도형, 엄격 주도형, 지시 주도형으로 총 19개의 무용교수유형으로 범주화 되었다. 무용교수유형 2차 영역에서는 시범과 설명 주도형, 주입식 리드 주도형, 춤의 원리 이해 주도형, 학생 맞춤 주도형, 창작 주도형, 동기유발 및 방향제시 주도형, 칭찬과 피드백 주도형, 기본기 주도형, 혼합교수 주도형, 엄격지시 주도형으로 총 10 개의 무용교수유형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무용교수유형 최종문항은 학생맞춤 주도형 7문항, 엄격지시 주도형 6문항, 창작 주도형 6문항, 시범과 설명 주도형 6문항, 기본기 주도형 5문항으로 총 5요인 30문항으로 도출 되었다. 셋째, 수상경력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시범과 설명 주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습량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시범과 설명 주도형과 기본기 주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창작 주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키워드: 무용전공자,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시범과 설명 주도형, 기본기 주도형, 창작 주도형

      •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김혜련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publishing and use of electronic journals have been increasing. At the same time, electronic journal services were begun to satisfy users' needs and convenience in university libraries which serve scholarly information. Due to the diverse types, prices and different manners of using electronic journals, electronic journals bring management issues which are different from paper journals To service electronic journals as convenient information sources, it is necessary to prepare effective management techniques for electronic journals in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management techniques for electronic journals which are necessary to serve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For this study, literature rreview, case studies and survey wer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review definitions, developments, features and types of electronic journals and to investigate management issues of electronic journals. And five university libraries and a consortium for electronic journals were studied for the case studie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ubscrip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and cognition of librarian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 managers of electronic journals in university libraries. Among them, 44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ctronic journal services of Korean university libraries were beginning stages, which they began to serve electronic journals about 1-3 years ago. And a large majority of libraries were subscribing package based electronic journals and consortium based electronic journals. Second, acquisition department took the responsibility of subscription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in many libraries, followed by serial department and electronic information department. And there are special librarians for electronic journals in a large majority of libraries. Third, few libraries had a written policy for electronic journals. Fourth, many libraries used a budget for serials or a separate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And many librarians responded that a separate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was necessary. Fifth, selection criteria for individual title based electronic journals in many libraries was that for print journals added by other criteria unique to electronic media. The criteria for package based electronic journals was the same with that for databases. For free electronic journals, website which includes electronic journal lists was used. And few libraries had a selection criteria for consortium based electronic journals. Sixth, acquisition librarians in many libraries took the responsibility of selection of individual title based electronic journals, followed by serials librarians. Acquisition librarians took the responsibility of licensing for package based electronic journals, followed by special librarians for electronic journals and serial librarians. Seventh, few libraries conducted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for electronic journals. About a half of respondents stated that cataloging for electronic journals was necessary, but few respondents stated that classification for electronic journals was necessary. Eighth, with regard to access service, all libraries which serves electronic journals served web pages with package lists. But a few libraries served access in any other way. About a half libraries showed access information for electronic journals on OPAC screens which users were able to use with print journals. Ninth, among the problems of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the most profoundest thing are prices, licensing negotiations and access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polices and procedures for print journals should be applied to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And it was proposed that managers of electronic journals should communicate managers of print journals in all stages of management of electronic journals. Second,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managed by team based, but a special librarian for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hired. Third, with regard to a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a seperate budget for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used to license for a long term, but it should be used with a budget for print journals. Fourth, a necessity and elements of a policy were suggested. Fifth, porcedures of processing electronic journals were proposed. Sixth, selection criteria of electronic journals was suggested. It was composed of contents, forms, uses and managements, prices and implements, databases, packages, subscriptions, consortium, and relationships with total collections. Seventh, procedures of subscription of electronic journals were stated and a guidance of licensing electronic journals was designed. Ninth, coopeation with other libraries was suggested to subscribe, license, classify, catalog and use electronic journals. And it was suggested that all procedures, polices and criteria for electronic journals should be changed and reformed continually, because electronic journals were changing and developing rapidly.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학술저널도 인쇄매체 중심이었던 데서 전자매체로의 출판과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술정보를 제공하는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전자저널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그런데 전자저널은 유형과 가격구조가 다양하고 이용방법이 다른 정보원과는 달라서 인쇄저널과는 상이한 관리상의 문제를 야기시킨다. 전자저널의 장점을 활용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연구정보원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각 도서관에서는 효과적인 전자저널 관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전자저널의 개념과 역사, 특성, 유형을 개관하고 전자저널의 관리문제로서 장서개발과 접근 제공 문제를 고찰하였다. 전자저널 관리사례로는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에 대한 연구와 경험을 통해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고 있는 미국의 5개 대학도서관과 전자저널의 공동 구독, 공동 관리를 위한 미국 13개 대학도서관간의 컨소시엄을 조사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 대학도서관에서의 전자저널 구독과 관리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무 담당자들의 전자저널 관리문제에 관한 인식과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64개 대학도서관에 배포하여 46개 도서관으로부터 응답을 받았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대학도서관의 전자저널 서비스는 시작된 지 1~3년 정도의 초기단계로서 주로 패키지형 전자저널을 서비스하고 있었다. 순수전자저널보다는 인쇄저널의 전자버전의 구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도서관에서 컨소시엄을 통해 전자저널을 구독하고 있었다. 둘째,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는 수서과, 정기간행물실, 전자정보실 등에서 주로 담당하고 있었고 많은 도서관에서 전자저널 점담사서를 배치하고 있었다. 셋째, 전자저널과 관련된 성문화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도서관은 거의 없었다. 넷째, 전자저널의 예산은 대부분 정기간행물 예산에서 책정하거나 전자저널을 위한 별도의 예산을 마련하여 지출하고 있었다. 예산에 관해서는 전자저널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다. 다섯째, 전자저널의 선정기준으로는 개별 저널에 대해서는 인쇄저널의 선정기준에 몇 가지 요소를 추가한 기준, 패키지형 저널에 대해서는 데이터베이스류의 전자자원 선정기준이 주로 적용되고 있었다. 무료 저널의 선정에는 전자저널 리스트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참조되고 있었다. 그리고 전자저널 컨소시엄에 대해서는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도서관이 많았다. 여섯째, 개별 전자저널의 선정은 수서사서와 정기간행물실 사서, 패키지형 전자저널의 라이센스는 수서사서와 전자저널 점담사서, 컨소시엄 가입은 수서사서와 정기간행물실 사서가 주로 담당하고 있었다. 일곱째, 전자저널의 편목과 분류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그 필요성과 관련하여 편목의 경우에는 필요하다는 인식이 47.7%, 불필요하다는 인식이 52.3%로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분류의 경우에는 필요하다는 인식은 22.7%, 불필요하다는 인식은 77.3%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전자저널의 편목과 분류의 필요성 인식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 여덟째, 전자저널에의 접근 제공에 관해서는 전자저널을 제공하는 모든 도서관이 웹페이지에 패키지명 리스트를 제공하고 있었으나 다른방법으로 접근을 제공하는 기관은 많지 않았다. 인쇄저널과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전자저널에 대한 OPAC 안내는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56.8%)과 제공하지 않는 도서관(43.2%)이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아홉째, 전자저널 관리상의 가장 큰 문제는 가격과 라이센스 협상과 관련된 구독상의 문제와 접근 제공과 관련된 서비스상의 문제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전자저널 관리방안의 모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자저널의 관리는 인쇄저널 관리의 정책과 절차에 기본을 두고 모든 업무과정에서 인쇄저널 관리자와 협의하도록 하였다. 둘째,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는 위원회를 구성하여 여러 부서의 사서들이 함께 참여하여 결정하도록 하되 전자저널 담당자를 배치하여 업무의 효율을 꾀하였다. 셋째, 전자저널 관련 예산은 장기간의 라이센스를 위한 별도 예산을 책정하되 인쇄저널의 예산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전자저널의 구독과 관리를 위한 정책을 마련하여 업무의 지침과 근거로 삼도록 하고 정책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선정과 구독에서 접근 제공에 이르는 전자저널 처리절차를 제시하였다. 여섯째, 전자저널의 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을 내용적 요소, 형태적 요소, 이용과 관리 요소, 비용과 장비 요소, 데이터베이스 관련 요소, 패키지 관련 요소, 구독경로 관련 요소, 컨소시엄 관련 요소, 전체 장서의 일부로서의 평가요소 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일곱째, 전자저널 수서의 의미와 과정을 유형별로 설명하고 라이센스 계약의 지침을 설정하였다. 여덟째, 전자저널의 접근을 웹페이지를 통한 접근과 OPAC을 통한 접근으로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특히 OPAC 접근의 저널 유형별 접근점을 기술하였다. 아홉째, 전자저널과 관련하여 구독과 라이센스에 있어서 \, 분류와 편목에 있어서, 이용에 있어서의 도서관간의 협력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전자저널은 빠르게 변하고 발전하는 정보원이므로 전자저널과 관련된 모든 절차와 정책과 기준에 관하여 시기 적절한 논의와 갱신작업을 할 것을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전자저널의 관리방안에 적용에 융통성을 두도록 하였다.

      • 다문화시대 여성결혼이민자의 시민권에 관한 연구 : 중국 여성을 중심으로

        김혜련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 결혼이민자가 크게 증가하여 2010년 현재 한국에 체류하는 결혼이민자는 140,063명에 달한다. 한국은 불과 10년 사이에 정주외국인이 압축적으로 폭증해 왔고, 이에 따라 전지구화로 인한 한국사회의 다문화 현상과 함께 소수자의 권리가 강조되고, 이주민의 시민권 문제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는 결혼이라는 제도를 통해 한국사회의 새로운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실제로 그들은 시민으로 거듭날 수 없는 현실 속에 처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이 연구는 영국 학자 마샬의 시민권 이론을 활용하여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이주한 중국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결혼이민자의 시민권 실현 현황을 살펴보았다. 즉, 여성결혼이민자의 시민권을 시민적 권리, 정치적 권리, 사회적 권리로 나누어 그들이 법적 시민권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직면한 문제점과 서로 다른 법적 지위 하에서 시민권을 어느 정도 실현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10명의 중국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어냈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는 법적 시민권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주비자 연장, 영주권 및 국적 취득 과정에서 그들은 남편의 전적인 협조와 동의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여성결혼이민자는 시민적, 정치적, 사회적 권리를 실현하는 과정에서도 많은 제약을 받아 차별화 된 시민권을 행사하고 있다. 시민적 권리 측면에서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개인의 자유를 위해서 필요한 권리 즉 시민적 권리는 보장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정치적 권리 측면에서, 한국 사회는 영주권 및 국적을 취득한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정치적 권리를 부여하고 있지만, 대부분은 소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사회적 권리 측면에서 볼 때,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권리는 남편이나 자녀에 의존하는 조건부 권리이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 사회의 경제적 차별, 사회문화적 배제 등으로 인하여 시민으로서의 완전한 권리를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사회의 새로운 시민으로 등장한 여성결혼이민자는 점차 자신의 시민권을 인식하고 작지만 강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사회의 이주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여성결혼이민자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보장해주도록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