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성 우울증에서 뇌 아밀로이드 침착과 인지 기능의 변화

        김혜금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노인성 우울증에서 종종 동반되는 인지 기능 장애는 우울 증상 호전에도 불구하고 지속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노인성 우울증과 알츠하이머병의 상관 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노인성 우울증과 알츠하이머병를 연결하는 기전에 대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한 병리 소견인 베타 아밀로이드의 대사를 비롯한 여러 생물학적 단계의 장애를 포함한다는 가설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베타 아밀로이드를 영상학적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아밀로이드 PET을 이용한 연구들은 경도인지장애나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국한되어 있으며,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을 평가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러한 배경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노인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아밀로이드 PET을 이용하여 각 뇌 영역의 아밀로이드 침착 양상과 인지 기능을 포함한 여러 가지 임상적 요인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모든 대상자들의 1년 뒤의 인지 기능을 재평가하여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의 인지 기능 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6월에서 2015년 9월까지 영남대학교병원에서 주요우울장애 로 진단 받은 있는 65세 이상 환자들 중 주관적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지만 아직 치매로 진단되지 않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인지기능, 심리 검사를 포함한 임상적 평가와 함께 아밀로이드 PET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1년 뒤 인지기능 검사를 반복하였다. 결과 13명의 대상자 중 10명은 아밀로이드 음성군으로, 3명은 아밀로이드 양성군으로 평가되었으며, 대뇌 영역 별 아밀로이드 축적 양상은 알츠하이머병에서 보이는 계층적 양상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1년 후의 시점에서 한 명을 제외한 모든 대상자는 우울 증상이 호전되었고, 9명의 대상자가 인지 기능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다. 인지 기능 악화 군과 비 악화 군 비교 시, 인지 기능 악화 군에서 우울 증상 호전 정도가 유의하게 부족하였다. 그리고 두 군에서 차이를 보인 인지 기능 영역은 집중력과 시공간/구성 영역이었다. 상관 분석 결과에서는 우울 증상의 호전 정도가 부족할수록 즉시 기억 중 이야기 기억, 시공간/구성 능력 중 모양 모사 능력, 집중력 기능 중 기호 대치 능력, 지연 기억 중 단어 기억 능력의 호전 정도가 유의하게 부족하였다. 인지 기능의 변화 및 우울 증상의 변화와 아밀로이드 축적 양상과는 유의한 관련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로서 대상자 수가 13명으로 적으며, 적절한 대조군이 없는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게 인지 기능의 변화 양상이 같은 아밀로이드 양성 군 내에서도 동일하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우울 증상의 심각도 뿐 아니라 장기간 유지되는 우울 증상 역시 인지 기능의 저하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노인성 우울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인지 기능의 변화를 관찰하는 장기 추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노인성 우울증 환자에서 뇌 베타 아밀로이드 축적 양상에 대한 일관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면 노인성 우울증과 알츠하이머병의 상관 관계 및 기전을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영유아 부모를 위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김혜금 연세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developed a parent education program of home safety and examined how the program had an effect on mother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to home safety.$$a$$aThe home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five steps. First, I set up an aim of the program suitable for the cultural situation of the nation based on theoretical studies and surveys to reflect what mothers need and demand. Second, I selected content of program based on parents'' demand and additional content based on opinions of on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two specialists in children''s safety. Third, I decided teaching-methods of program. Fourth, I executed the program developed for sixty parents of a childcare center. Fifth, I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program and I completed the home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a$$aThe aim of the program was acquisition of home safety knowledge, cultivation of home safety attitude, and application of home safety practice. The content of program was composed of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development, danger of home facilities and safety regulations, danger of home equipment and safety regulations, first aids for safety injury at home, and preparation for disaster. Teaching-methods of program were discussion, lecture using video-audio materials, workshops, role play etc. The final step of the program was closed by evaluation sheets.$$a$$aThe one handred and forty-six mother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The mothers of the intervention group carried out the program at the childcare center for 90 minutes once a week during 5 weeks.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home safety was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training program,$$a$$a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a$$aFirst, according to home safety knowledge, the scores of mothers in the intervention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after five-week program.$$a$$aSecond, the mothers of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more proper attitude toward home safety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fter the parent education.$$a$$aThird, according to home safety practice, the scores of the intervention groups showed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s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scores of self-reported safety practice and ones of observed safety practice at home two weeks after joining the program in the intervention groups.$$a$$aIn conclusion, the home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the mothers who had young children at childcare centers was regarded as being effective to change their safety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a$$a 본 연구는 영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보고자 하였다.$$a$$a본 연구의 프로그램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1단계에서는 영유아의 가정내 안전사고와 관련된 이론적 고찰과 부모의 가정안전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문화적 상황에 적합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원리와 목표를 추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부모의 가정안전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1차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유치원장 1인과 아동 안전관련 전문가 2인의 의견을 반영하여 2차 교육내용을 선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선행연구와 요구도 조사결과, 전문가 3인의 의견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하였다. 4단계에서는 어린이집 1곳의 부모 60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실시하여 부모의 반응과 활동의 전개방법, 소요시간 등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 예비 실시 결과를 토대로 고안된 초안을 다시 수정․보완하여 총 5회차로 이루어진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a$$a이와 같은 단계를 거쳐 개발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은 가정내 안전에 대한 지식 획득, 가정내 안전에 대한 태도의 함양, 가정내 안전에 대한 실천의 생활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교육내용은 영유아 발달특성과 가정내 안전사고, 가정내 시설물 위험요인과 안전수칙, 가정내 물품 위험요인과 안전수칙, 응급처치, 재난대비 및 대피요령 등으로 구성하였다. 교수-학습 방법에서는 가능한 실제 문제나 생활에서의 경험을 중심으로 모둠별 토론, 시청각매체를 활용한 강의, 실습, 역할극 등의 다양한 방법이 포함되도록 하였다.$$a$$a프로그램의 효과는 서울시에 소재한 4곳의 어린이집에 다니는 1-4세아 어머니 146명을 중재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정한 다음 개발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어머니의 가정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에서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는 문헌연구를 기초로 연구자가 제작한 가정 안전 지식 검사, 가정 안전 태도 척도, 가정 안전 실천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a$$a첫째,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어머니의 가정 안전 지식에 차이가 없었지만 처치 후에는 중재집단 어머니들의 가정 안전에 대한 지식이 현저히 향상되었다. $$a$$a둘째,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어머니의 가정 안전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없었지만 처치 후에는 중재집단의 어머니들의 가정 안전 태도가 향상되었다.$$a$$a셋째,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에는 어머니의 가정 안전에 대한 실천에 차이가 없었지만 중재 전과 중재 직후, 중재 전과 중재 2주후 중재집단의 어머니들의 가정 안전에 대한 실천이 증진되었다. 가정 안전 실천에 미친 효과는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2주후에도 지속되었으며 어머니의 안전 실천에 대한 자기 보고와 실제 가정내에서의 안전 실천 측면 모두에서 효과적이었다.$$a$$a따라서 본 연구자가 개발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가정 안전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을 증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발된 가정안전교육 프로그램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부모교육의 일환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a$$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