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시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Ⅰ·Ⅱ 탐구 과제 분석

        김혜경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이 연구에서는 수시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Ⅰ·Ⅱ의 탐구 과제를 분석하였다. 수시 교육과정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였던 탐구의 중요성에는 그 뜻을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제7차 교육과정이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지 못한 반면 수시 교육과정에서는 탐구를 신설하여 단원에 제시된 탐구 과제를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고 실생활과 관련된 소재의 과제를 수행하면서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되며 과학적인 탐구 태도를 기를 수 있다. 하지만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에 제시된 탐구 과제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생명과학Ⅰ·Ⅱ 탐구 과제를 탐구 요소별로 분류하고 그 분포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9년부터 시행될 수시 교육과정에 따라 후에 이 탐구 과제를 학교 현장에서 사용할 때 제시된 과제가 단원의 내용과 관련이 있고 현행 교수-학습 여건에서 해당 학년의 학생이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과제인가에 대한 과제의 적절성과 실용성을 논하였다. 연구를 위해 교육인적자원부에서 발표한 생명과학Ⅰ·Ⅱ의 탐구 과제를 분석 자료로 택하였다. 과제의 실용성과 적절성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되었기에 객관성이 부족할 수 있다는 점과 아직 적용하지 않았고 적용할 때 까지는 시간이 있으므로 현재와는 교수-학습 여건이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과제는 대부분 탐구활동에 분포되어 있었고 적절성에는 큰 문제가 없지만 실용성에는 현행 교수-학습 여건이 따라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재검토하여 현장에서 대체 할 수 있는 과제로 학생들에게 수업한다면 양질의 수업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study, analysis on inquiry task of life science Ⅰ·Ⅱ according to the causal education course is done. The casual education course agrees to the importance of research emphasized in the 7th education course. However, while the 7th education course could not search for detailed plans, the casual education course created a inquiry in the chapter for students to perform research by themselves. In such course, students can develop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rough performance of task related to practical life, they can also develop scientific research skills with curiosity and interest. However, concerning inquiry task proposed in life science Ⅰ and life science Ⅱ, analysis is insufficient yet. Therefore, the study classified inquiry tasks of life science Ⅰ·Ⅱ into research factors and analyzed its distribution status. In addition, concerning the casual education course to be executed from the year 2009, feasibility analysis and practica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whether the proposed task i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chapter and whether every student in his or her pertinent grade can perform such task under current teaching-learning condition when this inquiry task is performed by schools afterwards. For the study, inquiry task of life science Ⅰ·Ⅱ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as selected as analysis data. Regarding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there are limits in the research in that objectivity may lack due to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when considering practicality and feasibility of the task and in that current teaching-learning conditions could change because it is not applied yet and it would take time for application. The task was mostly distributed in research activity, and there seems to be not great problem in feasibility, but regarding practica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current teaching-studying condition cannot satisfy such conditions. If students learn such tasks which are substitutable by reviewing such problems, lectures with good quality would be provided.

      •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김혜경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김혜경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은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5, 6, 7세 유아의 어머니 6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탄력성, 유아 문제행동 인식, 양육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탄력성 평균을 사분위수 기준으로 4집단으로 분류하여 ANOVA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한 자아탄력성 도구는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y Scale)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문제행동 인식 척도는 Behar와 Stringfield(1974)가 3~6세 유아의 행동 및 부적응 행동을 검사하기 위해 개발한 The Preschool Questionnaire(PBQ)를 번안하여 사용한 서수경(199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Baumrind(1991)의 논의에 기초하여 Robinson, Mandleco, Olsen과 Hart(1995)가 개발한 양육방식과 차원 질문지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PSDQ)를 김나경(2011)이 수정하여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먼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라 자아탄력성, 유아 문제행동 인식, 양육방식은 차이가 있는가? 에서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의 성별, 나이, 어머니의 학력, 취업, 월평균수입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개인변인에 따른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적대적-공격성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에서 어머니의 학력과 월수입에 따라 걱정-불안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에서는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에 따라 과잉행동성-산만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에서는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문제행동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변인에 따른 양육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은 차이가 있는가? 에서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유아 문제행동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아 문제행동 인식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양육방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높은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권위 있는(민주적인)양육방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섯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에서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 문제행동 인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권위 있는 양육방식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높아질수록 권위 있는(민주적 유형)양육방식을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이 유아 문제행동 인식과 양육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을 양육태도와 관련하여 부모교육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어머니들로 하여금 양육스트레스나 삶의 어려움 앞에서 낙관적인 생각과 태도의 변화로 인해 궁극적으로 유아의 전인적 발달에 기여하는데 의의를 갖는다. M.A. Thesis The Effects of Mothers’ Ego-resilienc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Kim Hye-kyeong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Hyeonjin Lee Abstract This research studied if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according the mothers’ ego resiliency, and furthermore, it investigated if the mothers’ ego resiliency affected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ir parenting styles. This research targeted 600 mothers that had children aged 5, 6 and 7 study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a statist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for the collected data; and the analysis methods for data were as follows: First, it carried out the ANOVA analys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ego resiliency,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Secon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the mothers’ ego resiliency, the averages of ego resiliency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the quartile and the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Thir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the mothers’ ego resilienc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s,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s for the research tool, the Ego-Resiliency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1996) was used to measure the mothers’ ego resiliency; an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PBQ), which was developed by Behar and Stringfield(1974) to test behaviors and maladjustment behaviors of children aged 3 to 6 and which was translated and used by Seo Su-kyeong(1993), was used for the mothers’ perception scale of problem behaviors. As for the mothers’ parenting style, the parenting style, which was developed by Robinson, Mandleco, Olsen and Hart(1995) based on the discussion of Baumrind(1991), and Kim Na-kyeong(2011)’s revised version of the dimensions questionnaire Parenting Styles and Dimensions Questionnaire(PSDQ)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irst, in the question about if there are the differences among ego resiliency,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parenting styles according to the mothers’ individual variables, the mothers’ ego resilien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gender and age and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and average earnings per mon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 perception of problem behaviors was high in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hostile-aggressive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nd monthly income; in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worry-anxiety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and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the differences between perceptions of hyperactivity-discursivenes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ing style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variables,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n the question about if there we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ir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the mothers’ ego resilienc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the mothers’ ego resilience, every subfactor of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parenting style according to their ego resiliency, it was found out that the mothers’ group with high ego resiliency provided more authoritative (democratic) parenting style than the opposite group. Third, in the question about what effects the mothers’ ego resiliency have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it was found out that mothers’ ego resiliency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bu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This means that the authoritative(democratic type) parenting style is performed more as the mothers’ ego resiliency gets higher.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bout the effects of the mothers’ ego resiliency on the perception of children’s problem behaviors and the parenting style have the significance in that the results can be provided as the basic data to develop mothers’ ego resiliency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developing a child as a whole person by changing mothers facing parenting stress and difficulties of life to have optimistic thinking and attitudes.

      • 재조합 baculovirus를 이용한 닭 인터페론 알파의 발현

        김혜경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ype interferon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의 공격으로부터 다른 세포들을 보호하기 위해 감염된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이다. 이 물질들은 바이러스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 활동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중 INF-Φ, INF-τ, INF-δ, INF-λ은 영양아세포에서도 분비되며 이 물질들은 임신시 모체의 면역반응을 조절한다. Interferon-alpha (INF-α )는 대부분 림프계 수지상세포에서 분비되며 림프구, 단핵세포, 대식세포에서도 일부 분비된다. 포유류에서는 INF-α subtype을 활발하게 밝혀내고 있으며 일례로 소에서는 10~12개의 subtype이 발견된 바 있다. INF-α의 receptor complex는 heterodimer IFNAR1과 IFNAR2 로 구성되어 있다. 이 수용체에 의한 세포내 전달은 JAK와 STAT 단백질을 통해 활성화되어 항바이러스성 유전자들을 발현한다. INF-β도 같은 구조와 신호체계를 가지고 있다. INF-α는 선천적, 후천적 면역반응 둘 다에서 강한 자극물질이다. INFα는 NK 매개성 세포독성을 활성화시키고 단핵세포가 성숙하고 활성화된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자극한다. 또한 INF-α는 선천적 면역에서 후천적 면역으로 변이하는데도 관여하며 몇몇 γ/δ T 세포의 반응을 유도한다. 이것은 memory T cell이 증식하도록 자극하고 naive T cell 을 활성화시키며 항원 특이성 T cell의 초동발현을 개시한다. INF-α는 또한 항체 생산과 대체경로의 시작을 촉진한다. Chicken Interferon-alpha도 이제까지 알려진 다른 포유류의INF-α와 비슷한 작용을 하는cytokine으로 밝혀져있다. 본 연구에서는 닭 인터페론 알파 (Chicken Interferon-alpha, chINF-α)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발현체계로 재조합 baculovirus를 이용하여 chINF-α의 발현을 유도하고 그에 대한 항바이러스효과를 측정하였다. chINF-α 유전자를lipopolysaccharide로 자극된 닭 비장세포로부터 reverse transcriptase (RT)-PCR에 의해 증폭하여 cloning vector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chINF-α는 실험결과를 쉽게 나타낼 수 있도록 Histidine Hexamer (His-tag)가 존재하는 pFastBac HTA vector를 이용한 chINF-α (His-tag) 발현 재조합 baculoviru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baculovirus로부터 chINF-α의 발현은 anti-chINF-α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에 의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Nickel chelated agarose를 이용해 정제 후 Newcastle disease virus와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에 대하여 항바이러스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제된 chINF-α는 Newcastle disease virus 감염시 1.25 x 10-1 ㎍/㎕ 의 농도에서 ED50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이고, infectious bursal disease virus감염시 5.00 x 10-1 ㎍/㎕ 의 농도에서 ED50 항바이러스 효과를 보였다.

      • 보육시설장의 운영관리에 따른 교직원과의 갈등 인식에 관한 연구 : 민간보육시설장을 중심으로

        김혜경 청주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Conflicts between the Employees and the Employers in the Management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Kim, Hea-Kyeong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and Public Administration Cheongju University Due to the concept of childcare or the limit of childcare centers, the conflicts in the childcare facilities are inevitable phenomenon. It can be very meaningful to examine the recognition of the childcare center director on these conflicts. For the purpose of discussing the logical connection about difficulties or conflicts which the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have on the spot, this research helps people understand the director of childcare centers better, other directors operate the childcare facilities, and government establish the policy related to the education of the director or child care. There are the specific research projects from these research purposes as follows: ․ Research Project 1. What are the conflict factor and the conflict recognition in the operational management like? ․ Research Project 2. What is the approach concerning the conflict like? ․ Research Project 3. Through this thesis, is it possible to reach an agreement about childcare policy? 10 directors operating the private childcare centers over than five years' experience took part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method drew a mutual agreement about the conflict recognition they share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ing. In-depth individual interviewing was carried out by visiting each child care center once or twice from March 12, 2012 to April, 17, 2012. The contents interviewed were voice recorded and field observations and other data else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process and analysis of the research material passed through the steps like the organization of material, the material understanding and the categorization for the material interpretation, and the deduction of the core category for content analysis. In the process of drawing a research finding, 2 directors of childcare centers, my colleagues, were confirmed a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onfirmed. There are research findings arranged as follows: First, the causes of the conflict outbreak in the operational management of the private childcare center directors were found in childcare program service, the personnel management of employers, kindergartener management, health and safety, accreditation , parent management, and so on. Secondly, there are full-day child care operation, the lack of program preparation, and the impact in the vehicle guidance due to work stress, etc. in the conflict connected with childcare program service. In the conflict related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employers are poor work environment, kindergarten teachers' turnover due to treatment and promotion etc. In the conflict related to children's management are the attendance management of children attending late and getting home late, the management of children's number in the class, parenting attitude . In the conflict related to health and safety are the educational needs about the safety management, the needs of practical training(ability to cope with the situation and preparation for emergency situations), the change of nurturing environment and childcare policy, the lack of proper knowledge. In the conflict related to evaluation and accreditation from Ministry of Education are demands abou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ildcare centers, the standardization of evaluation criteria, idle teachers' attitude, the difficulty of preparation. In the conflict involved in parents are parents' perceived lack about facilities, parents' values, and excessive demands and complaints . I'd like to make the director of childcare centers operate the facilities efficiently and present basic data to realiz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childcare and eduction. Also, I want to analogize that the operational management the director and the mental stability of the director generalizing a childcare facility works as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 of childcare. 초 록 보육의 개념이나 보육시설이 갖는 제한성으로 인하여 보육시설에서의 갈등이 불가피한 현상이라면 이러한 갈등에 대한 보육시설장의 인식에 관하여 살펴보는 것은 보육의 발전을 위해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설장들이 어린이집의 현장에서 가지는 어려움이나 갈등에 대한 맥락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어린이집의 시설장을 보다 잘 이해하고자 하고 다른 시설장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고 시설장교육이나 보육과 관련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운영관리영역 내의 갈등발생 원인과 운영관리에 따른 갈등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인식하는 갈등에 대한 접근방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이 논문으로 보육정책에 대해 어떠한 함의가 가능한가? 본 연구에는 청주시에서 민간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시설장 10명이 참여하였다. 시설장들이 공유하고 있는 갈등인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2012년 3월12일부터 4월17일 사이에 각 어린이집을 1~2회 방문하여 개인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한 내용은 음성녹음을 하였으며, 현장을 관찰하는 한편, 기타 자료 등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자료정리, 자료해석을 위한 자료내용 이해 및 범주화, 내용분석을 위한 핵심 범주도출의 단계를 거쳤다. 연구결과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하는 시설장 2인에게 동료 확인을 받았으며, 연구 참여자들에게 재확인을 받았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어린이집 시설장의 운영관리영역 내의 갈등은 보육프로그램 서비스, 종사자 인사관리, 원아관리, 건강 및 안전, 평가인증, 학부모관리 등에서 발생하고 있었다. 둘째, 보육시설 시설장의 운영관리에 따른 갈등의 인식은 보육프로그램 서비스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종일반 운영·프로그램 준비의 미흡·업무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차량지도에 영향 등으로, 종사자 인사관리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근무환경의 열악함·교사처우의 문제로 인한 교사의 이직·승급으로 인한 교사의 이직 등으로, 원아관리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늦게 등원하고 늦게 귀가하는 유아의 출석관리·학급인원수 관리·부모님의 양육태도 등으로, 건강 및 안전에 관련된 갈등으로는 안전관리에 대한 교육적 요구·실기 교육의 요구(상황대처 능력과 응급상황에 대비)·양육환경과 보육정책의 변화·올바른 지식의 부족 등으로, 평가인증에 관련된 갈등은 보육시설의 질적인 향상 요구·평가기준의 획일화·안일한 교사의 태도·준비의 어려움 등으로, 마지막으로 학부모와 관련된 갈등은 시설에 대한 부모의 인식부족·학부모의 가치관·무리한 건의와 불만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보육시설장이 효율적으로 시설을 운영하고 보육과 교육의 질적 향상을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동시에, 보육시설 운영관리를 총괄하는 시설장의 심리적 안정감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보육의 환경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도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 청소년의 내외통제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

        김혜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내외통제성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청소년의 내외통제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및 진로의사결정의 일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내외통제성,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및 진로의사결정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 내외통제성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6년 9월 29일부터 10월 13일까지 2주에 걸쳐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한 설문지는 총 678부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신뢰도계수(Cronbach's α),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Scheffe’s),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 Sobel test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내외통제성은 평균 3.52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요인 중 내적통제성은 평균 4.03점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에서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평균 3.60점,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이 평균 3.65점으로 나타났다. 자아정체감은 평균 3.56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 주체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로의사결정의 평균은 3.22점으로 나타났고,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직관적 진로의사결정,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이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내외통제성은 연령별로 만12세가 다소 높게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경제수준은 중간 이상이라고 지각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내적통제성은 남녀공학일수록, 경제수준이 중간이라고 인식할수록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부-자녀 간 의사소통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형태가 남학교인 경우와 가정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가정경제수준을 ‘상’으로 지각할수록 개방형 의사소통과 문제형 의사소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을 살펴보면, 가정의 경제수준을 ‘상’으로 지각할수록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진로의사결정을 살펴보면, 합리적 진로의사결정, 직관적 진로의사결정 그리고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은 성별로 남학생이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은 학교형태별로 남학교가 높았으며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청소년의 내외통제성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내적통제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통제와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에서 자아정체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내적통제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외적통제와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에서 자아정체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매개효과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Z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과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의 경우 합리적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부-자녀 간 문제형 의사소통과 의존적 진로의사결정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과 모-자녀 간 개방형 의사소통의 경우 의존적 진로의사결정과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이 완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Sobel Z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에 내적통제성과 부모와의 개방형 의사소통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자아정체감 수준이 높게 형성될 때 청소년의 진로의사결정을 더욱 합리적으로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청소년의 합리적 진로의사결정을 증진시키기 위한 내적통제성의 형성 및 부모의 개방적 의사소통과 자아정체감 발달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내외통제성 증진과 원활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정체감 확립 그리고 합리적인 진로의사결정을 위해서 청소년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상담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 중등미술교육에 있어 한국화 교육의 현황과 지도법연구

        김혜경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교육은 주변 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미적 감수성을 길러주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계발하고 비판적인 사고 능력과 미술문화를 창조적으로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문화의 세계화 속에서 미술은 순수성의 강력한 영향을 받고 있어 우리 전통예술을 지키기 위한 시도가 미술교육에 크게 반영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현재 우리에게 가장 중대한 것은 한국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민족 문화의 발굴과 확립이다. 본 연구는 중등 미술과 수업의 한국화 표현지도 방안에 대하여 고찰함으로써 전통미술 감각을 증대시키고, 우리의 얼과 멋이 담긴 다양하고 창조적인 표현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한국화의 수묵화, 수묵담채화, 채색화를 통하여 한국적인 색감과 전통 회화에 대한 위상을 정립하고 격조 높은 한국화의 회화성을 배울 수 있으며 창의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사의 많은 관심과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화의 개념과 중등 미술 표현의 발달 단계에 따른 한국화 지도방법을 소개하였고, 다음으로 한국화 교육의 현실과 중등 미술 교과서의 한국화 지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한국화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한국화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그 중 여러 가지 지도 방안 중 채색화 지도방안을 제시 하였으며,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이와 같이 한국화의 현행 문제들을 고려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 맞추어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나,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교사와 학생간의 교감과 충분한 사전 지식, 마음 놓고 수업할 수 있는 실기 환경조성, 교사 자신의 한국화에 대한 관심과 다양한 표현지도 방안 발굴을 위한 노력 등이다. 이 논문은 중등 미술 교육의 한국화에 대한 수업을 목적으로 한바, 우리의 전통을 바르게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rt is educated in order to promote sensibility, imagination and creativity. The final purpose of art education is to raise the whole person. This whole person means someone who has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can improve the inheriting culture in his or her own way. Recently in the wave of the globalization, it's difficult to protect our nationality of the art. Therefore, there are many attempts to preserve the traditional art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t this poin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earching and establishing the traditional art based on national identity of Korea. This research is for developing the sense of the traditional art by examining teaching method of the way of expressing Korean traditional art. In addition to this, this research could help students to create various unique and creative Korean traditional art works. Art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should help students be able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traditional art and learn the color vision based on the Korean traditional culture by appreciating a painting in India ink, a light-colored picture in India ink, a Colored Picture. In order to acquire these all purposes, this thesis adopts the following procedures. First, it introduces the concept of Korean traditional art works and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traditional art as considering the students' development stage of art expression. Second, it analyzes the actual state of the Korean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 of the Korean traditional art works in the secondary school art textbooks. Third, it provides the teaching method of the Korean traditional art, especially focuses on the teaching method of Colored Picture which deals with the problems in our art education. Finally, it shows the lesson plan which can be used in the secondary school class. This thesis is written for prepare the alternative plans which settle up the problems in our art class according to the seventh curriculum. However what is more needed in art education a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the field that can be used to teach freely as the teacher's view of education, and the teacher's interest and prior knowledge in the traditional art. To conclud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hat leading students to understand correctly our traditional culture and making them improve the inheriting tradition in the secondary school art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