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강토옹벽의 우각부 균열의 원인 분석 및 최소화 방안 연구

        김형철 서울시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Reinforced Earth method is an excellent construction method that make duration reduction possible on top of outstanding workability and stability. As well as retaining walls, it is also widely used in slope stability, dams and abutments. However, due to differential settlement, insufficient supervision of work, reinforced and backfill of inadequacy and construction of convex shaped zone, etc often causes cracks and displacement. In particular, convex shaped zone of reinforced earth walls, its conditions or inferior nature of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is very complex and conditions of construction is very poor.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of behaviors if follow common specification provisions of the straight section. Also, current research performance is unsatisfactory since the research is a slightly shock of behavior of convex shaped zone. Some numerical analysis approach and experimental research have been conducted; however it stopped at only by realizing the location of occurrence and its sizes so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reason of behavior cause and specifications of behaviors based on changes of radius of curvature of convex shaped zone. It is possible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on most cracks, changes and reasons of displacement within straight section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since it is somewhat transparent;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countermeasures on reasons of vertical cracks and blocks which happens from convex shaped zon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have analyzed several case studies on finding out the reason of occurrence of behavior of convex shaped zone and factors effecting on sizes of behaviors and this study also suggest the ways to minimize these factors. As a result of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reasons causing behavior depends on geometric direction of length of the wall by the earth pressure and as the size of radius of curvature of convex shaped zone decreases, the size of tensile force increases. Also, there is a limitation in securing quality of construction as the conditions of construction is very po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ction of convex shaped zone; therefore defining and securing quality of steel reinforcement and backfill is very much important. Ingredients which do not meet the criteria for backfill, their strength of material is very strong but it increases the breakouts of steel reinforcement and this leads to causing instability of reinforced earth wall. If we use the reinforced steel reinforcement, it will be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movement of convex shaped zone. Backfill material shows tendency which increases the strength as the content of rate increases an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reinforced steel reinforcement, it is reviewed as an excellent. Therefore, we have confirmed that the geometric real reason causing a rift of convex shaped zone is an axial tensile force of the wall and if we use the material of backfill which has the superior shear strength and use the inextensible steel reinforcement, we will be able to suppress the axial tensile force. 보강토 공법은 옹벽, 제방, 교대 등 구조물의 축조 시에 시공성 및 안정성, 공기단축이 타 공법에 비해 유리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이다. 이러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시공 시 부주의로 인한 지반의 부등침하와 보강토 옹벽의 보강재 및 뒷채움 재료의 부적절한 사용 및 우각부의 시공관리 미흡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보강토 옹벽의 균열 및 변위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보강토옹벽 직선구간 시공 후 발생되는 옹벽균열 및 변위는 원인이 비교적 명확하여 이에 대한 대책방안 수립이 가능하다. 그러나 우각부에서 발생되는 수직균열 및 블록간의 벌어짐에 대해서는 원인 규명이 미흡하여 정확한 대책 방안의 수립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보강토 옹벽의 우각부 구간은 벽체에 수직방향 뿐만아니라 축방향으로 압력이 작용하므로 토압 분포의 특성이 직선구간에 비해 복잡하고, 보강재 중첩구간 발생, 협소한 다짐공간 등 시공여건이 열악하여, 일반적인 직선구간의 시방규정에 따른 시공으로는 거동의 억제에 한계가 있다. 이와 관련된 보강토옹벽의 우각부의 거동 문제점에 대한 최근 연구동향을 고찰한 바, 일부는 수치해석적 접근 및 모형실험을 통한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거동이 발생된 위치와 그 크기를 파악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보강토옹벽의 우각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서는 구조물 시공 시 곡률반경 변화에 따른 거동특성과 거동유발의 원인을 규명하여야 보다 안정성을 기할 수 있을 것이나, 이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강토옹벽의 실제 시공사례를 통하여 우각부의 균열발생 문제점인 구조물의 거동 및 변위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기하학적 원인 등에 대한 검토 및 분석을 통한 대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보강토 옹벽의 우각부 거동을 유발하는 기하학적 원인은 토압작용에 의해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발생되는 축력인 인장력에 기인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러한 인장력의 크기는 우각부의 곡률반경이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우각부 구간은 특성상 시공여건이 열악하여 다짐시공의 품질의 확보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뒷채움 재료 및 보강재의 품질의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강토 옹벽 뒷채움 재료는 쇄석의 함유율이 증가할수록 전단강도가 우수한 경향을 보이는 쇄석재료를 사용토록하고, 보강재로서는 내시공성이 우수한 비신장성 보강재인 강보강재(Steel reinforcement)를 사용하면 뒷채움 재료로 인한 보강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축방향 인장력도 억제할 수 있어 보강토 옹벽에 대한 균열 및 변위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 컴퓨터 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김형철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20세기 산업사회를 지나서 21세기는 지식이나 정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사회이다. 그래서, 21세기는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한다. 이러한 사회 구조 속에서 최첨단의 과학적 지식과 정보가 한 개인과 사회 나아가서 한 국가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다. 정보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집할 수 있다.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매체는 책이나 TV, 신문, 라디오뿐만 아니라, 컴퓨터 등 다양하다. 이러한 매체들 중에서 현대 사회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는 매체는 컴퓨터이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컴퓨터 학습의 효과성을 증진하기 위해서 학습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해 보았다. 그리고, 정보화 사회에서 컴퓨터 교육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에 대해서 논하였고, 본론에서는 컴퓨터 교육을 위한 학습 코스웨어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 복합대중교통 시스템에서 교통카드 자료와 확률배정모형을 융합한 네트워크 분석

        김형철 한양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도로, 지하철, 철도 등의 교통 SOC 투자 계획을 수립하는 데에는 신뢰성 있는 교통수요예측이 중요하다. 따라서 현실적인 기·종점 통행량과 통행패턴을 잘 모사할 수 있는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대중교통 통행배정에 있어서 Big Data인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수요예측의 신뢰성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연구한다. 교통카드 자료는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통행자의 승차, 하차, 환승 정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버스 정류소, 지하철역 등의 GIS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통행자의 이동 정보는 복합대중교통 시스템 내에서 통행자의 경로선택 행태를 파악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통카드 자료와 확률배정모형을 융합하여 복합대중교통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을 정립하고 각 분석 절차에 따른 분석 기법을 마련한다. 연구의 범위는 동적인 분석이 아닌 정적인 분석에 초점을 둔다. 그리고 통행자의 행태 측면에서는 복합대중교통 시스템 내에서 대중교통수단 선택과 경로 선택 행태를 연구한다. 경로 탐색과 확률통행배정은 교통존보다 상세한 집합화된 버스 정류소와 지하철역을 기준으로 한다. 연구의 내용은 총 네 가지로 구분된다. 대안 경로 탐색과 집합 설정 방법, 경로선택 효용함수 구축, 복합대중교통 확률적 통행배정 사례연구, 정류소 기반 O/D에서 교통존 기반 O/D로 변환 방법 등이 있다. 첫째, 대중교통 정책에 의해 영향을 받은 합리적인 대안 경로 집합을 구성하는 방법론을 연구한다. 이를 위해 세 가지의 주요 내용을 제안한다. 이러한 내용은 네트워크 단순화 구축 방법, 대중교통정책에 영향을 받는 대안 경로 탐색 방법, 합리적인 대안 경로 집합의 설정 방법 등이 있다. 둘째, 복합대중교통 시스템 내에서 경로 선택 효용함수를 구축하였다. 주요 내용은 두 가지로 복합대중교통 경로 선택 효용함수 구축, 지하철망 내부의 경로 선택 효용함수 구축이다. 지하철망 내부의 경로는 교통카드 자료에서 관측되지 않기 때문에 혼합분포 군집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분포의 모수 parameter를 추정하기 위해 E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셋째,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는 수인선 1단계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수요예측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론과 기존의 분석 방법인 optimal strategy 모형의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예측력에 있어서 제안된 방법론이 기존의 방법론보다 좀 더 현실과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stop 기반 O/D를 교통존 기반 O/D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버스 정류소나 지하철역 기반의 접근 방법은 개별 stop에서 장래 사회경제지표를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stop 기반의 O/D는 자체적으로 예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교통존 기반의 O/D로 변화시켜 통행발생 빈도, 목적지 선택 행태 등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제안한 방법은 베이즈 정리를 이용한 방법이고 기존의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방법보다 좀 더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교통카드자료와 모형을 융합하여 대중교통 시스템 변화에 따른 분석 방법을 제시하였고 복합대중교통 수단선택과 통행배정 기법 부문에 있어서 Big Data와 모형을 융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압축하중을 받는 유공판의 최종강도 추정식에 관한 연구

        김형철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은 판 부재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중 유공판이 상당수를 차지한다. 유공판은 중량경감, 통로확보, 파이프 관통등의 목적으로선체 상갑판해치, 거더와 플로어 다이어프램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유공은 강도상 큰 문제가 없는 부분에 위치하지만, 유공판에 하중이 작용하면 최종강도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응력도 재 분포하게 되어 강도상의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하중에 의한 정사각형 유공을 가지는 판의 최종강도 특성을 파악하기위해 상용 유한 요소 프로그램인 ABAQUS를 이용하여 해석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한 후, 탄소성 대변형 해석을 수행하였다. 유공판의 종횡비, 세장비, 유공면적비와 같은 최종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에 대한 Case study를 진행하여 얻은 비선형 수치해석 결과로부터 최종강도에 미치는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고, 종 방향 압축하중과 횡 방향 압축하중을 받는 조건에 대하여 유공판의 종횡비, 세장비, 유공면적비를 반영한 최종강도의 추정식을 도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추정식의 정도 검증을 수행하고 추정식의 적용성을 확인하였으며 종, 횡 방향 압축하중을 조건에서 정사각형 및 정원형에 유공을 가지는 유공판이 임의의 유공면적비, 세장비, 종횡비에 따른 최종강도를 추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시각화를 통한 문제해결 지도 연구 : '눈으로 보며 이해하는 아름다운 수학' 의 분석을 통하여

        김형철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학교수학은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형식적이며 정형화된 방식으로 지도함으로써 실제적이고 직관적인 지식보다는 논리적인 측면을 강조해 왔다. 그 결과 우리나라 수학 교육 분야에서 학생들이 인지적인 영역에서는 높은 성장을 이룬 반면, 정의적인 태도에 있어서는 성장이 매우 저조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2011년에 공시된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 새롭게 창의적 사고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있음에 주목하고, 직관적 사고의 요인 중 가장 긴밀한 관계가 있는 시각화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 직관적 사고를 발전시키고자하였다. 그를 위하여 직관적 사고와 시각화의 의미와 특징을 알아본 후, 2009 수학과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영역별 교수-학습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시각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We have emphasized logical aspect rather than intuitional knowledges in teaching a mathematics class via formalized teaching method for mathematical principles, theorems in school. As a result, we have a good achievement in perceptional area, on the other hand we have a poor achievement in affective area in mathematics. We have observed that there are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reformed 2009 mathematics curriculum in year 2011 and want to develop intuition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visualization metho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m. In this paper we first investigate intuitional thinking skills and try to know the meaning and properties of visual aspects in mathematics. After this we analyze visualization materials such as book ``Creating images for understanding mathematics'' according to teaching-learning areas in then 2009 reformed mathematics curriculum.

      • 관광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김형철 경기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호텔상품은 객실, 식사 및 시설 등 물적자원의 제공과 함께 이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良質의 인적서비스가 함께 제공되었다고 고객들 스스로가 판단할 때 비로소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오늘날처럼 경쟁이 치열한 기업환경 속에서 호텔기업의 이윤 극대화는 첫째, 호텔의 고급화, 둘째는 매출의 증가, 셋째는 생산성의 증가, 넷째는 원가절감, 다섯째는 고객의 창출, 여섯째는 서비스의 향상에 달려 있지만, 종사원의 서비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호텔에서는 서비스질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고객에게 훌륭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느냐가 경영목표 달성의 결정적인 문제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관광호텔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관리에 관한 연구는 많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호텔 종사원의 호텔직무특성을 분류하여 이것이 호텔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입,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과 그러한 영향이 관광호텔 종사원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 조절되는가를 실증적인 조사에 의해 결과를 도출하여 기존의 이론을 재조명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탐구하려고 하는데 출발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관광호텔 종사원의 호텔직무특성이 호텔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이직의사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려는 것으로 호텔직무특성과 호텔직무스트레스와 결과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로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이며, 직무스트레스의 변화가 개인적 행동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둘째로 직무특성과 직무스트레스, 조직몰입 및 이직의사의 관계를 실증분석하기 위한 준비로서 이들 변수간의 관계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심층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는 관광호텔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넷째로는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와 두 변수간의 관계가 개인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즉,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조직몰입과 이직의사의 관계에 대해서도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다섯째로 문헌적 고찰과 실증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사를 저하시키고 조직몰입을 제고시키기 위한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전체를 5장으로 구성하였다. 제 1장은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그리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으로 구성하였고, 제 2장은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된 이론적 배경으로서 직무스트레스의 개념과 직무스트레스의 중요성 및 과정을 살펴보고 아울러 선행연구에서 직무스트레스의 관련요인에 관한 관계와 개인특성요인의 조절효과에 관한 관계를 피력함으로써 본 연구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제 3장에서 이를 개념화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분석하기 위한 중요변수의 측정도구와 조작적 정의를 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가 지향하는 목적에 따라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설문의 구성을 구체화하고 주요변수들에 대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통계분석의 도구는 SAS 8.01을 사용하였으며 통계분석 기법으로는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차이분석, 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실증연구의 분석으로서 관광호텔 종사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을 하였고,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와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제 5장에서는 앞에서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해석하였다. 호텔직무특성이 호텔직무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여야 하며, 직무스트레스는, 조직몰입과 이직의사 1에는 正의 영향을, 이직의사 2에는 負의 영향을 미치도록 호텔업무설계를 함으로써 호텔종사원들이 과도한 직무스트레스가 아닌 적정한 직무스트레스를 느끼도록 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호텔조직의 목표와 호텔종사원의 욕구가 만족되도록 호텔경영자는 호텔업무의 내용과 근무방법을 설정하여야 한다. 현재 관광호텔의 근무시간일정은 타 기업에 비해서 대체로 다양한 편이지만 관광호텔종사원 입장보다는 호텔고객의 증감에 따라 근무일정을 계획하다보니 관광호텔 종사원들은 육체적·정신적으로 피곤이 쌓여가게 된다. 그러므로 근무일정 계획과정에 호텔종사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폭을 넓혀야 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접객업무순환과 업무시간의 자유선택제인 유동시간제, 접객업무의 질적 확대를 의미하는 직무충실화, 목표관리, 호텔종사원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상호인사고과, 후견인제, 제안제도 등을 도입하여 활용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직무환경과 개인적 요소를 고려한 적절한 호텔종사원 관리기법이 요구된다. 개인특성의 조절효과에서는 성취욕구가 강한 호텔종사원이 직무스트레스를 적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호텔종사원들의 성취욕구를 향상시키기 위한 자율성을 부여하고 원활한 호텔 업무피드백이 필수적이며 목표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호텔종사원을 선발할 때에는 성취욕구가 강한 사람을 뽑을 수 있는 성취욕구도 검사를 필수적으로 실시하여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사람을 채용함으로써 호텔종사원들의 조직몰입도는 높이고 이직의도는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호텔종사원들에게는 성취욕구를 강화할 수 있는 카네기 훈련을 실시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것이다. 설문지 상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요인 중 직무특성만을 규명하고 직무스트레 스의 결과변수 중에서도 조직몰입과 이직의사를 설정하고 항목별로 구분하여 규명하였는데 각 변수의 항목을 추가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설문지 작성 및 배포·회수 과정에서 호텔종사원을 정규직과 비정규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지 못한 점이 있으며,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이직의사가 실제 이직으로 얼마나 실현되었는지와 시간적·경제적 한계로 인하여 서울지역 특급호텔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표본추출의 절차가 한계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차후의 연구과제로는 일반적인 관광호텔 종사원이 아닌 관광호텔접객직 종사원만을 연구대상으로 한 직무스트레스 관리 연구가 후속연구로 이루어졌으면 한다. 왜냐하면 호텔종사원이라고 하더라도 접객직종사원들의 업무특성은 구체적이고 독특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The weight of personnel management in hotel industry increased in recent years owing to its great direct effect on a hotel's image and perspectives. Job Stress has become a common subject in this information era. How to release job stress has also become the center of public as well as individual interest. Fancy the hotel facilities are, the hotel cannot perform funtion without relevant employees' services. Human resources is a collective concept of encompassing values, attitude, education, other skills as well as labor and productivity. Those intangible human services are an important product in the hotel industry, which require the most frequent contact with guests through operation. And the role of hotel employees is to meet guest' needs and wants to the most level through cooperating with other employees in the hotel organization. Korean tourist hotel employees' jobs are burdened and stressed with heavy works and tension to meet a variety of guest tastes as well as boring and simply repetitive works. The sources of job stress are reprimand and sometimes oppression from superiors, excessive intervention, isolation, competition, conflict, disagreement of guest services, overwork, occupational diseases, and labor dispute. Today's tourist hotels means an organization being full of employees with a variety of potential stresses. It is necessary to make work condition better enough to meet job satisfaction of tourist hotel employees. Therefore it is timely to study job stress sources of tourist hotel employees and their counter strategies. The objective of research is first to study job stress sources of tourist hotel employees and their counter strategies, and develop job stress management programs. Job stress is studied and treated by many disciplines and these disciplines have tended to define it, and treat it in their own separate ways. In addition to the professions' treatments of it, job stress is now a common word in the English language and the general public has a variety of ways of using the term.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define it carefully before any discussion of it. Stress has many faces, perhaps due in part to the interest the topic generates among people with widely varying perspectives. The general public has always used the word stress in some sort of commensense manner, so that researchers who are new to the topic might already believe they know what it is before examing past research on it. This could lead to operationalizations that are differrent from existing research. While this might results in innovation, it causes problems when one tries to compare results across studies. By definition, job stressors lead to strains, at least for most people and under most conditions(Kahn and Byosiere, 1992). Strains are states that are hamful and usually aversive the individuals are the outcomes that defines stress in the workplace and they are usually states associated with ill health, broadly defined. These outcome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psychological, physical or physiological, and behavioral. These correspond roughly to poor mental health, poor physical health, and behaviors likely to be deleterious to one's own health and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first, and next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in hotel employee. This study is a survey on the 704 employees sampled from 32 hotels. The response rate was 68%, 477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these 71 were dropped from analysis because of many missing items. Finally 406 questionnaires used as a raw data. For the valid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α reliability test is used for the extracting the reliable and valid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for testing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tress, and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hich is based on the Cohen & Cohen(1983) method, used for testing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tress in hotel employe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1. Hotel task significance, feedback and autonomy have a negative effect job stress. Skill variety have a positive effect job stress. 2. Task significance and growth need, feedback and growth need, Task significance and employee's period of hotel have a moderating effect job stress. 3. Job stress have a negative effect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tress have a positive effect intention to leave. 4. Job stress and growth need have a moderating effect organization commitment. Job stress and growth need have a moderating effect intention to leave. In conclusion, the success of a tourist hotel depends largely on its personal service. As hotel managers are highly related with the quality control of the personnel service, they should exert some dynamic and creative leadership to the employees. Creativity here means the maximum ability to solve problems and create new ideas.

      • CUDA를 이용한 3차원 형상 슬라이싱 기법의 고속화

        김형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CUDA를 이용하여 3차원 형상을 슬라이싱 하는 기법을 고속화 하고자 하였다. 3차원 형상을 슬라이싱 하는 기법은 모든 3차원 프린터에 사용되는 기술로서 더욱 정밀한 3차원 형상을 출력하고자 할수록 슬라이싱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STL 파일에서 SLC 파일을 생성하는 기존의 CPU 슬라이싱 코드를 분석하여 연산이 오래 걸리는 구간을 탐색하여 CUDA를 이용한 고속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또한 기존 CPU 코드에 CUDA를 연결하는 개발 환경을 새로이 구축했으며 구축된 개발 환경을 이용하여 기존 CPU 코드와 같은 목적 파일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GPU를 통한 일부 작업의 병렬화가 진행되었으며 진행된 부분에 대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CPU와 비교하였으나 아직은 미비한 수준이다. 추후 추가적인 병렬화를 통해 고속 슬라이싱 프로그램을 완성할 예정이다. In this study, speed optimization of 3D slicing method using CUDA was conducted. The technique of slicing a three-dimensional shape is used in all three-dimensional printers. To print a more precise three-dimensional shape, processing time is increase. In this paper, Analyzation and time measuring of existing CPU slicing code was conducted. In addition, Development environment for connecting CUDA to the existing CPU code was constructed and GPU slicing code was develope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e file is generated as the existing CPU code. Currently, parallelization of some tasks through GPU has progressed and time has been measured and compared with CPU, but it is still insufficient. In the future study, high-speed slicing program will be developed through additional parallelization.

      • 축복가정의 영성생활에 관한 한 연구

        김형철 청심신학대학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spiritual daily life of a family, as a ways to create a family of peace and happiness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and practice thoroughly the goals and the role of the Blessed Families.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content seen from this viewpoint. In the introduction, we examined that the family breakdowns caused by the marital conflicts and divorce rates of the modern family within the modern society have caused great influences to the Blessed Families. As a ways to help these Blessed Families to improve their marital relationships and their peace and happiness, we presented the necessity of a family's spiritual daily life which is centered on a family relationship. The main content in Chapter 1 explained about the goals and roles of the Blessed Families, by separately examining the Blessed Families' general concept of a family and the concept of a Blessed Family formed through the Blessing. It is defined in Chapter 2 that from the Unification Theology's viewpoint which explains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God and man becomes one through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and spiritual body. Then we examined the spiritual element of a Blessed Family through these Unification Church's concept of spirituality. Chapter 3 defined the meaning of a spiritual daily life of a Blessed Family, and finally, concretely examined the substantiality of a Blessed Family. Likewis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true love, the Blessed Families have a cultural daily life that correctly establishes the tradition and the family rules of a Blessed Family, while living in unity by attending God and True Parents within the family. We can understand their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 life from their spirituality, which is the spiritual viewpoint of the Unification Principle. In this essay, we observed that the attitude toward life to live a life of one mind and body where the parent and children, husband and wife, brother and sister complete the Four Great Realms of Heart by attending God and True parents through the family, which is the head of a four position foundational life; or the act of creating a harmonious family culture through those true love relationships are the spirituality of a Blessed Family. The Blessed Families should live a daily life centered on the true heart by first uniting the individual's mind and body, in order to complete the true family. In other words, they have to live a daily life that practices and establishes God's Word. It begins by building a true love relationship between a husband and wife and parent and children within the family, which is the fundamental core of life, and by creating joy and happiness through a reciprocal relationship. This thesis concluded with a proposal to create a family of joy and peace as the substantiality of the Blessed Families' spiritual daily life. We have examined that the goal of the Blessed Families' spiritual daily life is to create a family of joy and peace which can attend God and True Parents, centered on the family relationships of true love. In order to create a family of joy ad peace, we presented the three attitudes which should be held for the family relationships. First, you need a consideration that does not require constant attention and condition. Second, you have to live by respecting and supporting one another. Third, you should live a daily life that does not spare gratitude and praise. The important fact here is that the common points of these practical attitudes are only possible by centering on true l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