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전통 양금과 개량 양금의 음향 비교와 스테레오 마이킹 연구

        김형준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lthough many acoustic analysi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Geomungo, and Haegeum, such sufficient researches have not been conducted on Yanggeum.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acoustics of the two instruments, Korean traditional Yanggeum and Korean improved Yanggeum. In addition, in order to study the appropriate sound receiving methods for Yanggeum, we surveyed the preferenc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ers and sound engineers for sound sources recorded in various locations. For acoustic analysis and comparison of traditional Yanggeum and improved Yanggeum, sound length, tone, and volume are measured using the sound sources played with the omnidirectional mikes placed at the same height on each instrument. Afterwards, XY, ORTF, and AB miking on the improved Yanggeum is performed from four angles to analyze the stereo image, phase, et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und of traditional and improved Yanggeum, the sound length was similar at 3 seconds, and the sound volume of the improved Yanggeum was measured to be 5 dB louder on average than the traditional Yanggeum. In terms of tone,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damental sound of traditional and improved yanggeum up to the E3 note was lower than the overtone sound. In the preference survey according to the miking method, sound sources miked at 20 degrees generally had the lowest preference, while 45, 65, and 90 degree angles showed high preference in some cases. Among the three miking techniques, XY miking had the lowest preference, and ORTF and AB miking had the high preference. Finally, in the case of improved Yanggeum, the strings were arranged closely compared to the size of the instrument to play a wide range, so there was the problem that buzzing frequently occurred because the line spacing was close, and it seems that small resonators should be improved to generate enough fundamental sound frequency bands in the bass range. 국 문 요 약 대표 국악기라 할 수 있는 가야금, 거문고, 해금 등의 음향분석 연구는 기존에 많이 이루어졌지만, 양금에 대해서는 아직 깊이 있는 연구가 충분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 양금과 한국 개량 양금에 대하여 두 악기의 음향적 분석을 하고 비교했다. 또한 양금을 위한 적절한 수음 방식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위치에서 녹음한 음원으로 국악 연주자와 음향 엔지니어의 선호도 조사를 했다. 전통 양금과 개량 양금의 음향적 분석과 비교를 위해 각 악기에서 동일한 높이에 무지향성 마이크를 두고 연주한 음원을 이용하여 음길이, 음색, 음량을 측정한다. 이후 개량 양금에 대해 4가지 각도에서 XY, ORTF, AB 마이킹을 하여 스테레오 이미지, 위상 등을 분석한다. 전통 양금과 개량 양금의 음향에 대한 분석 결과 음길이는 3초대로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며 음량은 개량 양금이 전통 양금보다 평균 5dB 더 크게 측정되었다. 음색에서 E3 음까지 전통 양금과 개량 양금의 기음 음량이 배음보다 작게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이킹 방식에 따른 선호도 조사에서 20도에 마이킹 한 음원은 대체로 선호도가 가장 낮았고 45, 65, 90도 각도는 경우에 따라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3가지 마이킹 기법 중 XY 마이킹이 가장 낮은 선호도가 나왔으며 ORTF와 AB 마이킹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최종적으로 개량 양금의 경우 넓은 음역대를 연주하기 위해 악기 크기에 비해 촘촘하게 현을 배치했기 때문에 줄 간격이 가까워 버징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저음역대에서 기음 주파수 대역을 충분히 발생하기에는 작은 울림통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The Analysis of Mitigation of the Influence of Electro-Discharge Machining onthe Thermal Fatigue Properties of H-13 Die Steel : 김형준

        김형준 Case Western Reserve Univ 1991 해외박사

        RANK : 247647

        방전 가공은 일반 가공에 비하여 열피로 특성이 저하된다. 방전 가공의 나쁜 영향은잔류 인장 응력과 방전 가공으로 인하여 손상된 표면층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고에너지 수동 방법과 연임 처리를 포함하는 상업적으로 실제 사용되는방전 가공 방법을 사용하였다. 방전 가공의 나쁜 횰牡甄�표면개질 방법으로는전해연마, 쇼트 피닝, 이온 질화, 가스 연질화, 그리고 액체 연질화 을시도하였다. 열피로 특성은 용융 알루미늄에 담기어지도록 특별히 제작된 시편에서평균 최대 굼結�전체 균열 면적을 변수로 사용하여 규명하였다. 일반적으로액체 연질화, 전해 연마, 그리고쇼트 피닝 방법으로 인하여 열피로 특성이증가됨을 보여주었다. 액체 연질화 방법은 일반 가공 뭇�전체 균열 면적에있어서는 우수한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열피로 특성 증가는 편평한 표링�표면층 제거에 기인한다. 특히, 액체 연질화 방법에서 내부식성 산화층 형성이열피로 특성 증과적이라 판단된다. 이온 질화와 가스 연질화 방법은 형성된화합물층이 너무 취약하여 고에너지 법보다도 열악한 열피로 특성을 나타내었다. 표면경화 열처리 방법을 제외한 모든 방법은 일반 가보다 우수한 인성치(CVN)를 보여주었지만, 표면경화 열처리 방법은 형성된 표면 화합물층의 경도높아서일반 가공 방법보다도 낮은 인성치를 나타내었다.

      • 임진-한탄강 유역 후기구석기 공작의 성격 연구

        김형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 Study on the Upper Paleolithic Industry of the Imjin-Hantan River Area, Korea Kim, Hyeongjun Graduate School, Department of Archae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ongwook Yoo)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pper palaeolithic assemblages by a comprehensive analyzing method. This task can be done by investigating the emergence of new Upper palaeolithic technology and by exploring its motives and impacts. The subject area, the Imjin-Hantan River Area(IHRA) of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renders a favorable condition for this task since it hosts diverse good in situ palaeolithic localities which carry a wide variability of technological repertoires across the whole time span of Upper Pleistocen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the IHRA Upper Paleolithic Industry, the analytical tool previously applied on the earlier industry of the IHRA was borrowed. The “rank sequence method,”which incorporates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lithic artifacts and arranges the calculated values in descending order by sequence curves, is a principal tool for this analysis. This tools enables to intuitively observe 1) the general formation context of lithic assemblages through size distribution,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blanks(flake and blade) and attained small tools, and 3) the selective manufacturing strategies of making blanks into small tools by examing the distribution of elong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ize distribution, Pattern III and Pattern V are dominant across the IHRA Upper Paleolithic assemblages. Unlike the result of pre-Upper palaeolithic assemblage analysis that revealed Pattern I and Pattern IV are dominant, Pattern V governed the IHRA Upper paleolithic industry which are predominantly composed of very small tools and blades/microblades. Some Pattern III assemblages seems to reflect the long-termed hominin occupation which result in the repetitive accumulation of various lithic sizes and finally offset to uniform size distribu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nk and small tool sizes leads to some imposed resource utilization strategies. These strategies of manufacturing small tools are Pattern F and Pattern P. The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Patterns seems to reflect how easily the high-quality raw material was accessed and consumed. Pattern F indicates that high-quality raw materials—vein quartz and tuff—were more casually and frugally utilized because they were distributed at the vicinity of the site area. Pattern P signifies the suitable raw materials were not easily accessed and imported from far outside the site area; as a result, the desirable high-quality raw materials were consumed to their minimum extremes and the final size of blanks are significantly smaller than tools, identical to minuscule debris, by the parsimonious reduction strategy. The preference of retouching direction can be an index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nk and small tools. The elongation calculated by the sine value of morphological angle reflects to what extent the repetitive retouching took place either on lateral or distal margin. The elongation of the IHRA Upper palaeolithic industry has three types: Pattern LR, Pattern DR, and Pattern UF. Pattern LR is uncommon among Upper Paleolithic and it seems to reflect Pattern P of raw material exploitation, the parsimonious consumption of high-quality materials by preferably reducing the lateral margins of blanks. Pattern DR, the examples of Tonghyeonri and Gawolri assemblages, is based on the situation that the Upper palaeolithic small tools—endscrapers, burins, and awls—were generally made by preferably retouching the distal parts of laminar blanks—blades and elongated flakes. The Pattern UF can be seen as reflecting the case of retouching the longest margin for the first hand in order to maximize the potential utility of given blank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formation of the IHRA Upper palaeolithic industry was influenced by the utilization of available raw materials and by the location of the site area. This formation process is regardless of temporal/spatial variability but reflects the inter-site diversity of resource distribution and technological selectivity. This thesis views that the technological selectivity emerged and was more vividly actuated under globally deteriorated environment from late MIS 3 to MIS 2 when hominin prompt task strategy was more seriouosly demanded. This environmental background and hominin strategical response will be primary factors responsible of the technological variability witnessed in the IHRA Upper palaeolithic industry. 국문초록 임진-한탄강 유역 후기구석기 공작의 성격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고고학과 고고학전공 김형준 지도교수 유용욱 본고의 목적은 통합적이고 일관된 분석 절차를 통하여 후기구석기 공작의일반적인 성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후기구석기 단계에 새롭게 등장한 기술적 변화상을 검토하고, 그 변화상의 동기와 결과를 탐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지역인 한국 중서부의 임진-한탄강 유역은 후기갱신세 전시기의 유적들이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각 유적에서 나타나는 기술 요소는 매우 다양하다. 임진-한탄강 유역 후기구석기 석기군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해 기존의 이른 시기 구석기 유물군에 적용된 분석틀을 후기구석기 유물군에 새롭게 적용하였다. ‘서열배치법’이라고 명명된 이러한 분석틀은 석기의 길이, 폭, 두께를 인위적으로 연산하여 크기 및 세장도를 산출하고, 이 값들을 내림차순의 서열곡선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각 유적별로 적절한 크기의 표본을 추출한 후, 1) 석기 크기, 2) 원석(박편 및 돌날 포함)과 최종 산물인 소형도구 사이의 관계, 3) 원석의 가공 방향과 소형도구의 종류에 대해 유적별로 드러나는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임진-한탄강 유역 후기구석기 유물군에서 석기의 크기는 Ⅲ유형과 V유형이 확인되었다. 후기구석기 이전의 석기군은 보통 I유형과 IV유형이 확인되었지만, 본격적으로 소형석기가 우세해지는 후기구석기에는 V유형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반복적으로 유적을 장기간 점유한 상황을 반영하는 III유형도 일부 확인되었다. 원석활용과 소형도구 사이의 관계에서는, F유형과 P유형이 소형도구 제작 방식에서 확인되었다. 두 유형의 차이는 석재의 활용이 얼마나 수월했는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F유형은 정질의 석영과 응회암 수급이 수월한 곳에서 보다 여유로운 석재 활용이 이루어진 것을 반영한다. 반면 P유형은 정질석재의 산지로부터 멀리 떨어진 거리로 인하여 인색한 석재활용 및 철저한 삭감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후기구석기의 대표적인 석기제작 방식인 반복적 가공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세장도를 분석하였다. 임진-한탄강 유역 후기구석기 공작에서는 LR유형, DR유형, UF유형의 삭감과정이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LR유형은 후기구석기에 흔치 않은 유형으로, 극도로 인색한 석재 활용을 반영하는 P유형의 원석활용 방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DR유형은 통현리나 가월리의 사례처럼 원석의 말단부에 잔손질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더 이상 가공이 불가능한 수준의 낮은 세장도까지 도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UF유형은 석기 활용을 우선시하기 위하여 원석의 보다 긴 부분을 먼저 가공하는 사례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임진-한탄강 유역 서로 다른 후기구석기 유물군의 형성에는 이용 가능한 석재의 활용 및 유적의 입지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은 시공간적 변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으며, 고인류가 활용 가능한 각종 자원과 기술이 선택적인 전략을 반영하며 유적별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고는 이러한 선택적인 전략이 등장하는 것은 MIS 3기부터 MIS 2기에 걸쳐 전지구적 환경이 열악해지는 과정을 반영하며, 이렇게 열악한 환경상에서는 고인류의 다양한 신속한 대응책이 주먹도끼 위주의 이전 시기보다 훨씬 뚜렷하게 발현된 것으로 파악한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임진-한탄강 유역 후기구석기 공작의 다양한 성격을 이끌어 낸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 특이 구상성단 M22(NGC 6656)에 대한 고분산 분광 연구

        김형준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과거에는 구상성단을 구성하는 별들이 균질한 화학조성, 비슷한 나이를 갖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현재는 대부분의 구상성단이 단일항성 종족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산되는 운동학적 정보와는 다르게 화학적 정보는 성단의 역사를 잘 대변해줄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분광 연구는 성단의 기원과 형성 과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하여 특이 구상성단 M22 (NGC 6656)의 화학적 패턴을 살피었다. 원소 함량 분석에는 CTIO 4-m 망원경과 다중 천체 분광기 HYDRA로 얻은 고분산 (R ≈ 16,000) 스펙트럼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M22의 34개 적색거성을 [Ca/H] 분포에 기초하여 Ca-poor, Ca-rich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은 무거운 원소(Si, Ca, Ti, Fe)의 함량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것은 M22가 화학적으로 균질한 단일항성 종족이 아님을 나타내며, 보통의 구상성단에서 다중항성종족의 증거로 여겨지는 Na-O, Mg-Al anti-correlation이 두 집단 모두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무거운 원소와 가벼운 원소(O, Na, Mg, Al)에서 나타난 화학적 패턴을 통해 M22의 기원과 형성 과정을 논의하고자한다. In a classical view, globular clusters had been considered to have homogeneous chemical compositions and ages. However, today, most of the globular clusters in our Galaxy were identified as multiple stellar population systems. Although kinematic information dissipates over the times, chemical abundances can provide us insight on the formation of globular clusters. In this context, we examined the chemical pattern of M22(NGC 6656), known as a peculiar globular cluster with a wide range of metallicity. We analyzed high resolution spectra (R ≈ 16,000) of 34 red giant stars obtained by CTIO 4-m telescope and HYDRA multi-object spectrograph. We classified 34 stars into Ca-poor, Ca-rich groups based on the [Ca/H] distribution as proposed earlier by Lee et al. (2009). Each group showed Na-O, Mg-Al anti-correlati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evidence of multiple stellar populations in normal globular clusters. In addition,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vy elements (Si, Ca, Ti, Fe) abundance, which are also evidence of peculiar globular clusters. This study discusses the origin and formation process of M22 through the chemical patterns of heavy and light elements (O, Na, Mg, Al).

      • 물림강성을 고려한 기어시스템 베어링 진동 예측

        김형준 인제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어는 기계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동력을 전달하는 효율이 높고 동적방향 전환에 용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어는 고속과 저속의 다양한 속도 변화로 토크를 전달하는데 이때 기어 이의 처짐 또는 치면 손상 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요인들이 원인이 되어 전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전달오차가 원인이 되어 기어 시스템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 진동이 기어 축으로 이동하게 되어 축을 떠받치고 있는 베어링에 전달된다. 베어링에 전달된 가진은 최종적으로 기어의 케이싱으로 전달되어 소음으로 방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스퍼기어 두 개의 쌍과 헬리컬기어 두 개의 쌍의 베어링 진동에 대한 예측을 다루었다. 실험에 필요한 기어를 설계 제작하고 엔코더, 토크센서, 가속도센서 모터와 파우더브레이크로 구성된 테스트벤치를 제작하였다. 전달오차와 베어링 진동을 측정하기 위해 동일한 속도를 유지한 상태로 피동기어에서 부하토크만 변화를 주어 실험을 진행하였고 베어링에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진동을 측정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과 동역학해석을 통하여 전달오차해석과 베어링 진동해석을 실시하였고 실험결과 값과 비교분석하였다.

      • Kinematic Synthesis of Mechanisms for Multiply Separated Positions : 김형준

        김형준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1989 해외박사

        RANK : 247647

        리지드 바디의 움직임이 유한 그리고 무한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주어졌을때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구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한것임. 이 방법은 평면, 구면, 그리고 공간기구에 모두 적용되었는데, 평면및 구면기구에 대해서는 버메스터 커브의 단일화된 식을 얻어냈으며 공간기구에 대해서는 리지드 바디의 공간상 순간 움직임을 연구하여 공간기구의 새로운 합성 방법을 개발한 것임.

      • 부실채권 투자기구(Vehicle)의 과세제도 검토 : 비등록유동화거래를 통한 부실채권투자를 중심으로

        김형준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As the non-performing loans ratio of domestic economic banking facilities increased due to effects of global financial crisis triggered by the U.S. sub-prime mortgage crisis in 2008 and real estate economic slowdown in Korea, in the economical situation that the social interest about financial security of banking facilities increased, ABS system as measure to treat non-performing loans of banking facilities efficiently still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However, unlike in the past, the subject using ABS dealing is changing. The banking facilities as asset holdings had important part in the progress of establishing SPC, participating in decision-making, disposition & management of backed basic asset in the past, but recently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is acting that role. Under the K-IFRS accounting system which is needed to be introduced compulsorily from 2011, the self-ABS publication structure which was used by existing banking facilities is not recognized as true sale, so the banking facilities should sale the non-performing loans as outright sale for sales effect in the books or the uplifting actual financial security as results. In the case of registered asset backed by the ABS Act, considering SPC is pass-through entity company(Conduit) as financing measure, and the fact that it was introduced for the political purpose to deal the non-performing loans of banking facilities when the initial ABS Act was introduced, so tax system which hinders vitalizations of ABS system was improved by resolving double taxation problem after deducting the sum by calculating business income for the year when SPC distributes more than 90 % of the profit available for dividend. On the other hand, if the banking facilities which sales non-performing loans does not guarantee 20 days of minimum time required necessary for the procedure for asset backed based on ABS ACT to fixer by change in user of ABS dealing, the fixer of non-performing loans can't register asset backed by ABS Act so consequently, SPC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procedure of unregistered asset backed will face with double taxation. That is because of the regulation for the application of dividend-paid deduction when only it is relevant to ABS dealing based on ABS Act in the corporate tax Act. The ABS Act has the characteristics of support act for the securitization transactions. Even though the actuality of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is same to the securitization transactions in the ABS Act, but the investment was conducted through vehicle based on the law except ABS Act rather than vehicle based on ABS Act, so the disadvantage from tax can be irrational. If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with the characteristic of paper company is handled in the same with general companies, the taxation problem could be occurred. First, tax burden should be distributed equitably depending on the taxable capacity, the taxpayer is needed to be treated equally for the various tax law concerned so the tax system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void invasion of principle of neutrality and impartiality between taxation and tax correspond with taxable capacity but the effect of jurisdiction is different by usage of legal system for SPC related to taxation problem of non-performing loans vehicle, so this causes bring difference in taxation can be recognized as undesirable. The application of deduction provision of SPC in the corporate tax act is based on precondition of legal form as ABS Act, so if the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chooses the unregistered asset backed dealing unavoidably, it will be influenced by tax so the distortion status in resource allocation and competitive order will occur. This is undesirable state in terms of neutrality of tax. Second, the investment risk of the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who is selected as successful bidder will not reduced or lapsed even though the status was transferred to vehicle. Nevertheless, it will be influenced by whether the earning rate of investor use vehicle for effects of tax, as results, the investors' failure of investment can be very unreasonable. In addition, in terms of ability-to-pay as one of the general principles of tax, the added economic value does not occur, but the additional cost as tax will occur for the vehicle as simple conduit role. Therefore, if the economic facts and legal form does not match, it is desirable to taxation only for investor based on the principle of taxation by the economic reality. Third, the most important discussed issue about taxation problem of SPV is that if the SPV is a corporate formation, then will it be targeted as taxation of corporate tax in the formative term of having corporate veil. This is just simple vehicle as the paper company which exists in the books which is established and managed for the special purpose as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and it is about things that what status can be granted for the SOC as legal measure for distinguishing investment assets from the inherent account of investor investment assets. Even if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has a corporate veil, the actuality is only the conduit for the smooth investment of the non-performing loans investor. Therefore, granting corporate tax to vehicle which is established for the investor when he/she was selected for the fixer of the non-performing loans from the public sales program of the non-performing loans is relevant to the double taxation, so it is desirable. The taxation of company real entity unit about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should be completed for more efficient taxation in the fairness aspects in order to avoid distortion of competitive system, so the following improvement measure was proposed. First, even if there is not establishment company act about adjustment of double taxation about PFV, but the application will be possible by the requirements of certain condition, so if the non-performing loans vehicle meets certain requirements, then it will apply Article 51, clause 2 of corporate tax act. And, it will be treated each pass-through entity in terms of actuality, and real entity in terms of the formal aspect, and the partnership is possible to measure double taxation perfectly even though it is the corporate types, and the partner of the same line which the loss occurred can deduct with other business income by being distributed for the deficiency, and the partnership taxation of the corporate company in our country that the taxation meets the general results of business is completed is limited in the specialized business(general partnership & limited partnership), so the application scope is suggested to be expended to small scaled stock corporation with weak real entity of corporation. 2008년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로 촉발된 세계 금융위기의 영향 및 국내의 부동산 경기 침체 등으로 국내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함에 따라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재차 쏠리고 있는 경제상황에서, 금융기관들의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산유동화제도는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자산유동화거래를 이용하는 주체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과거에는 유동화전문회사를 설립하고,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유동화 기초자산의 처분․관리 등의 과정에 자산보유자인 금융기관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나, 현재는 부실채권 투자자가 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2011년부터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하는 K-IFRS 회계제도 하에서는 기존에 금융기관이 이용하여 오던 자체 ABS 발행구조가 진정매각으로 인정되지 않아, 금융기관이 장부상 매각 효과 및 실질적인 재무건전성 제고를 위해서는 부실채권을 완전매각방식으로 대외에 매각하여야 하는데 기인한다. 자산유동화법에 따른 등록유동화의 경우 유동화전문회사가 자금조달수단으로서 도관회사라는 점과 최초 자산유동화법 도입시 금융기관의 부실채권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에 따라 도입된 점을 고려하여 유동화전문회사가 배당가능이익의 100분의 90이상을 배당할 경우 그 금액은 당해 사업연도의 소득금액계산에 있어서 공제하도록 함으로서 이중과세문제를 해결하여 자산유동화제도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과세제도를 개선하였다. 반면, 자산유동화거래의 이용주체 변화로 부실채권을 매각하는 금융기관이 부실채권 매수자측에 자산유동화법에 근거한 유동화절차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최소 소요기일 20일을 보장하지 않을 경우 부실채권 매수자는 자산유동화법에 따른 등록유동화를 하지 못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비등록유동화 절차에 따라 설립된 유동화전문회사는 이중과세(double taxation)에 직면하게 된다. 이는 법인세법상 자산유동화법에 근거한 자산유동화거래에 해당하여야 배당소득공제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산유동화법은 유동화거래를 지원하기 위한 지원법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부실채권 투자자가 여러 가지 제약으로 자산유동화법상 유동화거래와 실질이 동일함에도 불구하고 자산유동화법에 근거한 투자기구가 아니라 자산유동화법 외의 법에 근거한 투자기구를 통하여 투자를 실행한 결과 조세상의 불이익을 받게 된다면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다. 명목회사의 성격을 지니는 부실채권 투자기구를 일반회사와 동일하게 취급할 경우 과세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첫째, 조세의 부담은 담세력에 따라 공평하게 배분되어야 하며, 각종의 조세법률관계에 있어서 납세당사자들은 평등하게 취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담세력에 상응하는 과세와 조세의 공평 내지 중립성의 원칙이 침해되지 않도록 조세제도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부실채권 투자기구의 과세문제와 관련하여 SPC로서 어떠한 법적제도가 이용되는가에 의해 사법상의 효과가 다르게 되고, 이로 인하여 과세상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법인세법상 자산유동화전문회사의 소득공제 규정 적용은 자산유동화법이라는 법형식을 전제조건으로 하기 때문에 부실채권 투자자가 비등록유동화거래를 부득이하게 선택할 경우 조세부담의 영향을 받게되어 자원배분의 왜곡 현상과 경쟁질서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는 조세의 중립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가 된다. 둘째, 부실채권 투자자가 낙찰자로 선정됨과 동시에 부담하는 투자위험을 투자기구에 지위를 이전하였다 하여 감소하거나 소멸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투자기구에 부과되는 세금의 영향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이 투자기구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되고, 그 결과 투자자의 투자실패를 초래하는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세금의 일반적인 원칙 중 하나인 응능부담 측면에서도 추가적인 경제적 부의 창출이 발생하지 않고, 단순 도관체 역할을 하는 투자기구에 세금이라는 추가적인 비용만을 발생케 한다. 이에 경제적 사실과 법적 형식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경제적 실질에 따라 과세한다는 원칙에 의거 투자자에게만 과세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SPV에 대한 과세문제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되는 점은 SPV가 법인형태를 취하는 SPC인 경우에 이를 법인격을 가지고 있다는 형식적인 측면에서 보아 법인세의 과세대상으로 삼을 수 있는가라는 것이다. 이는 부실채권 투자기구라는 특별 목적을 위하여 설립․운영되는 장부상으로만 존재하는 명목회사로서 단순한 투자기구에 불과하며, 투자대상자산을 투자자의 고유계정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세워진 법적 수단인 SPC에 대하여 조세법상 어떠한 지위를 부여할 것인가라는 것이다. 부실채권 투자기구가 비록 법인격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실질은 부실채권투자자가 투자행위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도관체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투자자가 부실채권 공개매각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부실채권 매수자로 선정이 확정되었을 당시 필요에 의하여 설립된 투자기구에 법인세를 부과하는 것은 투자자에게 이중과세에 해당하므로 부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부실채권 투자기구에 대하여 기업실체 단위의 과세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과세가 더 효율적이면서 공평성 관점에서도 경쟁질서를 덜 왜곡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에 대한 이중과세조정에 대하여 설립 근거법이 없음에도 일정한 요건을 충족하면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부실채권 투자기구 또한 일정한 요건을 충족할 경우 법인세법 51조의 2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질적 측면에서는 도관으로, 형식적 측면에서는 실체로 각각 취급하여, 합명․합자회사의 경우 법인형식을 취하더라도 이중과세의 완전조정이 가능하고, 결손이 발생한 동업기업의 동업자가 결손금을 배분받아 다른 사업소득 등과 공제 가능하며, 사업의 전체적 성과에 부합하는 과세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있는 동업기업 과세특례가 우리나라에는 법인기업의 경우 인적회사(합명회사 및 합자회사)에 한정되어 있는데, 법인체의 실체성이 약한 소규모 물적회사까지 적용범위를 확대할 것을 제시하였다.

      • 웹기반 주제도 서비스를 위한 배경지도 개발연구

        김형준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중앙부처와 다양한 정부기관에서 행정업무로 생산된 방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웹맵 서비스에 적합한 주제도로 가공하여 서비스하고 있으나 주제정보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배경지도의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현실을 파악하고 웹 기반의 주제도 서비스에 적합한 배경지도를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백지도, GIS주제도, 인터넷지도, 지도서비스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백지도와 배경지도에 관한 정의와 현황을 상세히 조사하여 백지도와 배경지도의 결합을 통한 새로운 형태의 배경지도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제도 서비스용 배경지도의 개발에 앞서 배경지도의 개발공정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제도서비스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담 형식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개발방안을 도출하고 그 상세내용으로 데이터 수급, 개발공정 정립, 개발 방안 및 검증 방안을 수립하였다. 연구대상 지역으로 주제도와 배경지도의 다양한 중첩 형태를 확보할 수 있는 서울시 종로구 일대를 선정하고 본격적으로 웹기반 주제도 서비스를 위한 배경지도 개발을 수행하였다. 배경지도 개발공정 순서에 따라 관련 원천자료 수집, 레이어의 간략한 구성, 흑백 모노톤 컨셉의 레이어디자인 수립, 주기 및 아이콘 구성을 수행하여 배경지도를 개발하였다. 주제도 중첩 활용성과 배경지도 위치정보 판독성을 평가항목으로 선정하고 공간정보산업 종사자에게 이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배경지도가 기존 배경지도에 비해 여러 형태의 주제도와의 중첩 상황에서 다양한 정보의 조합과 활용이 가능하고 위치정보의 전달이 용이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웹기반 주제도서비스에 있어서 백지도의 사상과 디자인 컨셉을 수용하여 개발된 배경지도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Recently, central government and various governmental institutions have been gathering vast information generated from administrative duties to develop a web-map compatible thematic map for service. However in reality, development on background map to indicate topic informations with efficiency have not been conducted. This study have been conducted to analyze the current reality and to develop a service compatible background map to provide web-based thematic map. Through precedent study, outline maps, GIS thematic maps, internet map and map services have been carefully observed an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definition and stature of outline maps and background maps have been investigated. The result confirm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outline and background maps have the potential to result in a new form of background map. In prior to developing background map for thematic map service, development process of background map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this analysis, we conducted an in-depth survey with thematic map service experts to draw out the development plan. From the detailed content, we have constructed data supply, development procedures, development plans and its verification methods. The target of the study was Jongro-gu region in Seoul due to its convenience in acquiring diverse reiterate forms of background maps and thematic maps. We have developed a background map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dure sequence; gathering source informations, compose simple layers, establish black and outline concept layer design, and forming names and icons. Reiterative utility of the thematic map and location information readability were selected as evaluation standards and had a practitioner from geography information industry to evaluate. Through this, the background map developed from the research can converge variety of informations in reiterative conditions with other thematic maps for usage and its locational readability is convenient compared to the existing background maps. The utility of the developed background map, developed to embrace outline map concept and design for web-based thematic map services, have also been verified. Key Words :Thematic map service, Outline Map, Background Map

      • 들뢰즈 존재론과 통합교육의 변환

        김형준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This paper aims to practically transform the inclusive education theory, as well as intends to experimentally surpass inclusive education’s—an issue of practice philosophy—slant to one direction and its development into a blind practice or void theory. To this end, we attempted a new composition of inclusive education, encompassing existing theories o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Gilles Deleuze's ontology, modern metaphysics, and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To move philosophy into the area of practice, we first initiated our discussion from ontology. Resultantly, we were able to obtain a few new concepts for practice while reviewing our inclusive education through the ontology of difference. The concepts newly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in Chapter IV are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inclusive education may be transformed into an open system in a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that special education is equal to inclusive educations. The reason is that when an arbitrary integration was premised, which enables only certain inclusive education as in internal structure of current special education, contrasting inclusive education with separated education, the production of realistic inclusive education is also restricted. Second, special education needs to bring in a “maximal expansive assemblage” as a new code to transform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together with a minimally restrictive environment, the current dominant code. This aims to make special education assemblage a singular point to transform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by contacting special education assemblage with artistic, vocational, and social assemblages, not just the general education assemblage. The two concepts presented above have been derived from the logical structure and realistic practice of inclusive education, respectively. By summarizing the two concepts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in Chapter IV, we consider the inclusive education we composed may be expressed as the concept of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Next, from a more practical context, we were able to obtain a new concept related to the issues of the subjects to implement practice from the theory of special education to actualize a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The concepts newly derived through the discussion in Chapter V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structures of Nietzsche/Deleuze's eternal recurrence and self-determination theory were compared, and the result was that causation and temporality, on which each concept was premised, differed. In addition, there was another difference in that the self of eternal recurrence was defined as a complex body composed of multiple powers and affects, unlike the self of free will, which made reason a privilege. In this regard, special education needs to bring in a “generative complex body,” which affirms the generation of the present for the composition of practical theories in contact with reality as the self of special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Nietzsche/Deleuze's affirmation and affirmation in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PBS needed to include positivity, which is the quality of affirmation belonging to power and will in its principle. In addition, in that affirmation was the relationship among powers, the practical issue of behavioral support needed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sentiment of gladness. We can call the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of behavior support according to the discussion of the practical philosophy of “affirmative ethology.” Lastly, we can say the follow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inclusive education by synthesizing the newly derived concepts.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and affirmative ethology, the contexts of the whole discussion, are a generative complex body in the same meaning as the dimension of ordinary individuals or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The problem lies in whether our behavioral capabilities have an intensity to transform the system of assemblage. When we are responsive in a relationship with other bodies, positive inclusive education will remain only as something potential. On the other hand, when we are “active,” a transformation of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may result. To this end, we should be able to put forth our most attractive and refined selves. It is the reason why we emphasized inclusive education, as it is equal to inclusive educations as a maximally open system in a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By experimenting on contact with diverse assemblages, not just general education, a more active response to other body parts will be enabled in the entire educational assemblage. Such inclusive education can be called the “community education of active affect.”

      • 유압관로에서 유체유동의 동특성에 관한 연구

        김형준 조선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is primarily directed toward analyzing the transient response in hydraulic pipe lines. The exact solution to the transient response was obtained by using the complicated transfer function derived by Iberall, and compared with the approximate one which was derived from the Brown's approximate transfer function. The discrepancy with the exact and approximate is small, so the approximate solution is adopted to the theoretical one. An equation was derived which describes the Gain or Phase about frequency relationship that occurs at the end of volume terminated transmission line following a sudden pressure change at its inputs.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the new equation's approximate transfer function is very useful in analyzing the transient response of hydraulic pipe lines.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alysis a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obtained from frequency-response tests the analysis includes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dynamic response caused by the transient times. The theoretical analysis may be us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ystems incorporating hydraulic net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