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ㆍ정서 발달과의 관계

        김형옥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간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 두 요인간의 관계 외에도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심리적 자세와의 관계가 있는지, 또한 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사회·정서 발달에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고자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어머니의 개인적 변인(연령, 교육수준, 취업유무)에 따라 심리적 자세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유아의 개인적 변인(성별, 연령, 유치원 경험 정도, 가정 환경)에 따라 사회·정서 발달은 차이는 있는가? 연구문제 3.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응답자는 총 303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서는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측정을 위한 두 개의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일원 분산분석, 샤페 테스트, 상관관계 분석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대해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자기에 대한 심리적 자세는 어머니의 교육 수준과 직업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교육 수준이 낮고, 비전문직을 가진 어머니보다 교육 수준이 높고, 전문직을 가진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수준은 유아 관련 변인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즉, 유아의 성차, 가정의 소득 수준, 조부모와의 동거 여부는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나, 연령, 어머니의 교육 수준, 어머니의 취업 유무, 형제 자매수, 출생 순서, 유아 교육 기관 경험 기간은 유의한 영향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어머니의 자기와 타인에 대한 심리적 자세 점수가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점수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기에 대한 심리적 자세와 타인에 대한 심리적 자세를 연결해서 어머니의 자기-타인에 대한 심리적 자세를 하나의 유형으로 구성한 다음,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유형에 따라 유아의 사회·정서발달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안정감, 성취동기의 사회·정서 발달 요인에서 어머니가 자기긍정-타인긍정의 심리적 자세 유형을 갖고 있을 때 다른 심리적 자세 유형을 갖고 있는 경우보다 유아의 사회·정서 발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연구 결과는 자녀의 사회·정서적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머니가 먼저 자신의 인성 개발을 위해 힘써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ir mother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Specifically, the major questions for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the mothers' variables such a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and jobs? 2. Is there any relations between th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children's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kindergarten experience, and family background? 3. Is there any relation between the mother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th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e sample for this research consists of 303 children and their 303 mothers. Two questionnaires-mothers' psychological position by Lee, Byung Rae(1997) and th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y Chang, Younga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the variables such as their jobs and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If their jobs were professional, their psychological life position were more positive compared with the parents whose jobs were non-professional. Similarly, if their educational backgrounds were higher, their psychological life position were more positive. 2. There were mixed results about correlation between preschool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the children's variables. That is, children's age,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job were significant variables, but children's gender, incomes are not. 3.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life position and preschool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Especially, when the mothers' psychological position was self positive-other positive, the score of the children's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marked the highest point. Based on these results, mothers should feel their own psychological position, and they should try to repair their own if they feel they have a problem in their position. Further more, in the kindergarten, we should serve the educational service for let the mothers has the reasonable psychological position.

      • 달러/유로 및 엔/달러 시장에서 원/달러 시장으로의 변동성 이전효과에 대한 연구

        김형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로/달러 외환시장과 엔/달러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외환시장으로 환율의 수익률 및 변동성 이전효과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구성은 크게 두 단계로 이루어 진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다변량(multivariate) GARCH 모형을 이용하여 유로/달러 및 엔/달러 환율의 수익률의 변동성을 CC(conditional correlation) 모형, diagonal VECH 모형, diagonal BEKK 모형을 각각 대칭형과 비대칭형으로 나누어 6가지 방법으로 추정하였다. 6가지의 모형의 성과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칭형 diagonal BEKK 모형이 가장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통해 얻어진 잔차를 촐레스키 분해(Cholesky decomposition)를 통해 직교화하여 유로/달러 외환시장 및 엔/달러 외환시장 고유의 충격으로 분해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얻은 각 시장 고유의 충격을 단변량(univariate GARCH) 모형에 포함시켜 각각의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원/달러 외환시장은 시차를 두고 발생하는 수익률 이전효과 측면에서는 엔/달러 외환시장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변동성 이전효과 측면에서는 유로/달러 외환시장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야기 형식에 근거한 초등도덕과 수업구성 방안 : K. Egan의 관점을 중심으로

        김형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도덕적 지식에 대한 참된 이해와 학습자 자신에게 의미있는 학습이 되기 위한 초등 도덕과 수업구성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실행되고 있는 도덕과 수업방식의 적절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더 나은 방향으로의 대안을 제시한다. 둘째, 인간의 마음이나 이해의 방식이 이야기적 요소를 지니고 있음을 전제로 수업이 이야기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요건이나 수업방안을 살펴본다. 셋째, 세상을 낭만적으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초등학생의 특성을 바탕으로 낭만적 이해에 사용되는 인지도구를 활용한 이야기 형식의 초등도덕과 수업구성 방안을 구성한다. 넷째, 이야기 형식에 근거하여 실제 수업구성 방안을 제시하고 그 의의를 논한다. 도덕과는 타교과와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어떤 논리성이나 합리성, 기능주의에 입각하기보다는 인간의 마음을 중심으로 접근해 나가야 한다. 그렇다면 기존에 우리가 주로 실행해 온 조립라인 은유에 의한 수업방식으로 도덕과 수업을 하기에는 미흡하거나 부적절한 부분이 있다고 보고 이야기 은유에 의한 수업방식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또한 수업의 목적을 단순히 목표달성이나 기능습득에 두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유의미한 학습을 구성하고 지식에 대한 참된 이해에 둔다면 수업과정에서 학습자의 해석이나 감정적, 정서적 참여에 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이에 근접할 수 있는 수업방식이 바로 이야기 형식에 의한 수업이다. 이야기 형식의 수업구성 단계에서는 이야기가 갖는 구조의 특성을 살피고 이를 수업구성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또한 같은 수업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학생 개인의 입장이나 처지가 다름을 인정하고 수업과정 동안 이를 충분히 고려할 수 있는 분위기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야기 형식에 의한 수업은 학습자의 감정이나 정서참여가 충분히 이루어 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수용상태나 반응에 대해서도 고려하고자 하였다. 특히 초등학생 단계의 아이들은 세상을 낭만적으로 보고 해석하는 경향이 있음을 염두해 두고 낭만적 이해를 위한 인지도구를 활용하여 수업구성안을 마련하였다. 수업구성은 낭만적 이야기 거리 찾기, 낭만적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하기, 이야기를 낭만적으로 표현하고 반응하기, 수용된 이야기 확인하기의 네 단계로 구성하였다. 단원이나 학습주제를 부각시킬 수 있는 낭만적 이야기 거리를 찾아 이를 이야기 형식으로 구성한다. 이 때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주제와 관련된 탁월한 특성을 상정하여 부각시키는 것이며, 이야기가 갖는 구조의 특성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수업과정 동안에는 수업이라는 이야기에 반응하는 학습자의 수용상태를 충분히 고려하고 학습자 자신에게 의미있는 지식 구성을 돕는다. 이야기 형식에 근거한 도덕과 수업은 이미 학습자 스스로 알고 있다고 느끼는 주제를 되풀이하는 식의 지루하고 형식적인 도덕수업 방식과는 다른 접근을 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마음으로부터 비롯된 참된 지식과 학습자 스스로에게 의미를 갖는 지식구성이 되는 것을 돕고자 한다. 아울러 머리 따로 몸 따로 식의 분리된 도덕수업이 아닌 지적으로나 정서적으로 조화로운 지식형성에 도움이 되는 도덕수업으로서의 의미를 갖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lesson plans for elementary school Ethics which is meaningful for learners themselves and enables them to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ethical knowledge.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study to fulfill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existing methodologies for an Ethics course and to offer an alternative approach for a better outcome; second, to consider lesson plans or requirements which are needed for a course to be a story, premising that the human mind and the way of understanding have an element of the story-form; third, based on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ew and understand the world romantically, to make lesson plans for elementary school Ethics which uses the story-form with cognitive tools for the romantic understanding; fourth, to provide a practical lesson plan which is based on the story-form and to discuss its significance. Ethics needs an approach different from other subjects. Its approach should be centered on the human mind instead of logic, rationality, or functionalism. Thus, this study offers an alternative lesson model which uses the story metaphor, considering that the existing methodologies which use the assembly line metaphor are unsatisfactory or inappropriate for us to teach Ethics. Also, if the objective of the lesson is not simply to attain a goal or to acquire a skill but for learners to have a meaningful lesson and a true understanding of knowledge, the interpretation or the emotional participation of learners during the course should be fully considered. The very educational method which satisfies these factors is the story-form lesson. In the phase of planning the story-form less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 story has are examined and applied to planning lessons. In addition, because each individual student has a different stance and position even in a same clas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se differences during a course. Also, the virtue of the story-form lesson is that it allows enough emotional participation of learners. Based on this merit, the acceptance condition and response of learners are considered. Particularly keeping in mind that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level view and interpret the world romantically, I make a lesson proposal which uses cognitive tools for romantic understandings. The lesson plans are composed of finding materials for romantic stories, organizing the romantic story-form, expressing the story romantically and responding to it, and confirming the accepted story. The story-form is made based on materials for romantic stories which underline the unit or the topic of a course. The key element at this point is to consider and emphasize important characteristics which are related to the topic and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a story has as much as possible. During class, teachers should fully consider the acceptance condition of the learners who respond to the story of a lesson and should help the formation of knowledge which is meaningful for learners. The course of elementary school Ethics which is based on the story-form uses an approach different from a boring and stereotyped lesson format for Ethics which repeats topics the learners feel that they already know. It helps learners have knowledge which they acquire from their heart and feel meaningful. Also, this lesson carries an important meaning in that it helps give intellectually and emotionally balanced knowledge instead of an Ethics course which separates head and heart.

      • 학급 홈페이지를 이용한 현장실습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형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이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도 한국은 2001년도 전세계 초고속 정보통신망 보급률 1위 국가로 선정되었다. 2001년도 9월 한국 인터넷정보센터에서 실시한 인터넷 이용 현황 통계 조사에 따르면 4가구당 1가구에 초고속 인터넷이 보급되어 있고, 전 국민의 56%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중 학생의 95%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인터넷 기술의 발전은 사회전반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고, 교육현장 에서도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도구로써 웹을 기반으로 한 여러 가지 형태의 교수 모형이 설계·구현되어 적용되고 있다. 웹을 교육적으로 활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여러 가지 효과 중 하나는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업계 고교 학생들이 현장실습을 나가게 되면, 담임교사는 학생들과 의 직접적인 대면 기회가 없어지고, 학생들이 파견된 업체에서 잘 적응하면서 안전하게 실습을 완료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인터넷 활용이나 게시판, 전자메일, 대화방 사용에 익숙한 학생들을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됨 없이 웹상에서 지속적인 지도를 하고자 학급 홈페이지를 이용한 현장실습 관리 시스템을 설계·구현하였다. 학급 홈 페이지 구현에 있어서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자 교실과 같은 분 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이미지로 디자인하였고, 가정과 학교 교육만을 받아오던 학생들이 산업체 현장에 파견되어 근무하면서 발생되는 급작스런 환경 변화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교사의 추수지도 기능에 중점을 두었다. 학급 홈페이지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현장에 파견되어 있는 학생들에게는 실습 기간 도중에도 학교에 대한 소속감을 유지시켜 주고, 지속적인 급우, 담임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학생 신분을 지키고, 본래의 취지에 부합되는 성실한 실습이 이루어질 것을 기대할 수 있다. 학생, 교사, 업체 관계자, 학부모 모두가 홈페이지에 적극 참여한다면, 학교에서 배운 이론 지식과 기초적인 실기능력을 산업체 현장에서 실천해 봄으로써 전공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을 얻고 전공과 관련된 직종에서 자신의 적성에 부합하는 직업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고자 하는 현장 실습의 근본 취지를 더욱 살릴 수 있을 것이다.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and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selected Korea as a nation which had the highest popularization rate of superhigh- speed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world in 2001.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research on the present state in utilization of Internet by Korea Internet Information Center, a household out of four is connected to the superhigh-speed Internet and more than 56 percent of Korean population and more than 95 percent of Korean students access internet. The development of Internet has brought a lot of changes to all the fields of our society. And also in education, various kinds of education models on the basis of web as an effective device for education are designed, implemented and applied. To overcome the limit of time and space is one of lots of expected effects when web is utilized in education. When students go out of school for field practice in technical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the students cannot have any opportunities to meet and guide them. So teachers should guide them beforehand so that they can adapt themselves to the new working places and finish their practice successfully. In this research, I designed and implemented field practice management system using class homepage in order that teachers may guide students continuously who are accustomed to accessing Internet such as using e-mail, chatting room and boar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I designed class homepage with images rich in classroom atmosphere to help students be concerned in class homepage. Students have had education only at home and school and when they are sent to new working places they will have sudden change of environment. So I put emphasis on the function of teachers' guiding students against such change. When students are concerned in class homepage, they can keep on feeling they are members of their school during the practice period though they are sent to other working places. And they are expected to finish their practice successfully in accordance with its purpose. If all of students, their teachers, persons concerned in business enterprise and their parents are concerned in the website, students can accomplish the purpose of practice, which is that students can get special knowledge in their major fields of study and opportunities of choosing their jobs according with their aptitudes in occupations related with their majors by practicing the theory and basic skill learned at school at industrial working place.

      • 초등학교 교육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형옥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육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 그 목적이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육시설과 운영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평생 교육의 차원에 있어서 교육시설 개방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교육시설 복합화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학습에 대해 초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이러한 인식은 교사의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광주시, 의정부시 지역 초등학교중 개교한지 10년 정도 지난 학교 중 20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 중 318명을 임의 표집하였으며 그중 314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문항은 교육 시설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학교를 개방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인식,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시설 복합화 대한 교사의 인식 등 3개 영역으로 구성하였으며, 설문지는 4지선다형이며 총 30 문항으로 설문지의 구성내용은 교육 시설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제 10문항, 평생교육의 차원에서 학교를 개방하는 것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제 9문항, 효율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시설 복합화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한 문제 11문항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는 하권진(2001)의 초등학교 교육시설 배치와 효율적 활용방안과 서아미(1998)의 초등학교 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및 다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본인이 제작하였으며 연구자가 직접 작성하여 20명의 교사들을 통한 사전검사로 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본 연구의 자료의 처리 방법은 각각의 수집된 설문지는 코딩 작업을 거쳐 SPSS for Windows 10.0을 이용하여 배경 변인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의 차이를 보기 위하여 x^2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유의 수준은 p≤.05 수준에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육시설과 운영에 대한 인식 현재 교육시설이 학생의 학습과 생활에 적합한가에 대한 응답은 대체로 잘되어 있다가 51.6%로 나타났고 경력이 높고 부장 교사들은 잘되어 있다고 답한 반면 경력이 낮은 교사들은 잘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교육시설이 교수·학습을 포함하여 학교업무에 효율적인가에 대해서는 효율적이지 못하다가 48.4%, 효율적이다가 37.9%로 나타났으며 21년 이상의 경력교사들이 효율적이라고 응답했다. 교육 시설에 교사의 편의·복지시설이 잘되어 있는가에 대한 응답은 잘되어 있지 않다가 52.9%, 매우 부족하다가 22.3%로 응답하여 복지 시설이 잘 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다. 교육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잘되어 있는가에 대한 응답은 잘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다가 48.7%,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가 42.7%로 나타났다. 교육 시설이 학생과 교사의 움직임에 적합한가에 대한 응답은 적합하지 않은 편이다가 53.5%로 나타나서 학교설계를 할 때 학생의 움직임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육시설의 운영 관리가 계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가에 대한 응답은 계획적인 편이다가 48.7%, 계획적이지 않은 편이다가 40.8%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보다 교육경력 11년 이상의 교사들이 계획적이라고 응답했으며 교사보다는 부장 교사들이 계획적이라고 답했다. 교육시설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교사, 학부모, 학생의 참여 정도에 대한 응답은 잘 반영되고 있지 않다가 54.8% 잘 반영되고 있는 편이다가 36.0%로 나타났고 경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장교사일수록 잘 반영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육시설 외에 공공 복지시설을 학교에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51.3%, 매우 바람직하다가 25.8%로 응답했다. 학교 수익을 위한 민간시설 설치에 대해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44.3%, 바람직한 편이다가 33.5%, 전혀 바람직하지 않다가 16.3%로 나타났으며 교육경력이 낮은 교사들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했다. 교육시설의 복합화에 대한 개념을 알고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잘 알지 못한다가 53.8%, 잘 알고 있는 편이다가 34.1%로 나타났으며 교사들보다는 부장 교사들이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2. 평생교육의 차원에 있어서 교육시설 개방화에 대한 인식 평생교육 차원에서 교육시설을 모두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58.6%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23.9%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차원에서 교육시설의 일부만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9.7%로 나타났다. 위의 두 설문에 응답한 것으로 보아 교육시설의 개방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차원에서 외부강사를 초빙하여 주민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한 것에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56.9%,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23.0%, 매우 바람직하다가 14.1%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전제 조건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41.7%, 운영비 및 시설의 확보가 40.1%로 나타났는데 남교사들은 운영비 및 시설비의 확보를 중요하다고 보았고 여교사들은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각종 문화활동 공간으로서의 교육시설 개방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8.5%,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15.6%, 매우 바람직하다가 12.7%로 나타나서 대체적으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는 지역사회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54.8%, 학교정책 및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18.2%,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위한 통로개발 15.9%, 학운위 등 학부모 조직강화 11.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다양한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에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5년 미만, 5-10년 경력교사, 21년 이상 교사들은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통한 통로 개발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11-20년 교사들은 학교정책 및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라고 답하고 있다. 그리고 교사들은 지속적인 여론 수렴을 통한 여론 수렴을 통한 통로개발이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고 부장교사들은 학교정책 및 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생교육 차원에서 개인시설에 위탁하여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는 63.7%,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가 19.7%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을 이용한 평생교육을 발전방향에 대해서는 운영비와 시설의 확보 및 보조 41.1%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 36.0%, 지역사회의 협조 16.2%로 나타나고 있다. 교육시설을 개방하는데 있어서 유지비를 받고 개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7.8%,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4.6%, 매우 바람직하다 11.8%로 나타나서 대체로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육시설 복합화에 따른 효율적인 교수·학습에 대한 인식 교육시설을 복합화하여 학생들이 방과후 활동에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62.7%, 매우 바람직하다 24.8%로 나타나서 다양한 교육시설을 이용한 교육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고학년에서 학생 이동형 교과교실을 설치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49.7%,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24.8%, 매우 바람직하다 20.7%로 나타나서 학생 이동형 교과 교실설치에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을 복합화하여 운영을 민간에 위탁하여 교수·학습과 평생교육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가 61.1%,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23.6%, 매우 바람직하다 11.8%로 나타나서 교육시설의 운영을 민간에 맡기는 것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운영되고 있는 특별실의 효율적인 운영에 대해서는 전담 인력의 확충 37.6%, 충분한 예산의 확보 33.1%, 시설의 확충 21.3%로 나타나서 전담인력과 예산확보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학교 외부에 있는 공공 시설을 이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66.9%,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1.5%, 매우 바람직하다 11.5%로 나타났다. 학교 외부에 있는 개인 시설을 활용하여 교수·학습을 하는 것은 바람직한 편이다 60.5%,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21.3%, 매우 바람직하다 11.1%로 나타나서 교수·학습을 위해서는 공공시설뿐만 아니라 개인시설도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을 위해 복합화를 시도한다며 어떤 시설이 좋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예체능 시설 45.2%, 문화시설 24.5%, 도서관 16.2%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의 운영에 있어서 학생이 선택하여 개인적으로 학습하는 것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편이다 69.1%, 매우 바람직하다 14.3%,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3.4%로 나타나고 있다. 학습과 학교 생활을 위해서는 필요하나 학생이 정규 교과 시간에 출입하기 어려운 독립된 시설을 설치하는 것에 바람직한 편이다 61.1%,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7.5% 매우 바람직하다 14.6%로 나타났다. 교육시설의 복합화를 시도하는 것에 대한 것에는 바람직한 편이다 67.5% 바람직하지 않은 편이다 15.0%, 매우 바람직하다 14.0%로 나타났다.

      • 사회불안에서의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유발상황 특성

        김형옥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불안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불안유발상황 특성의 관계에 관하여 살펴보려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사회불안을 야기하는 세 가지 차원의 사회적 불안 유발 상황에서 각기 어떻게 역기능적 신념이 개입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171명에게 사회적 불안 및 회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불안 유발상황 및 역기능적 신념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집단으로 실시하였다. 먼저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간에 상관관계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상호 관련성를 알아보고, 사회적 불안을 야기시키는 상황들에서 어느 정도 불안을 느끼는지 전체집단과 사회적 불안이 높은 집단별로 각기 알아보았다. 사회적 불안을 가장 많이 유발하는 상황은 전체집단과 사회적 불안이 높은 집단 공통으로 누군가에게 비평을 받을 때, 공식적인 자리에서 발표해야 할 때, 자기를 주장 혹은 표현해야 할 때와 같은 정체감 위협상황에서 가장 많이 불안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사회적 불안 유발상황의 세 가지 차원인 일상적인 사회적 상황, 정체감 위협상황, 비위협적 노출상황 별로 각기 어떠한 역기능적 신념이 개입되는 지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 불안 유발상황의 세 가지 하위요인들 각각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역기능적 신념의 하위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상적인 사회적 상황을 예언하는 변인은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이, 정체감 위협상황은 타인의 인정에 대한 과도한 요망이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예언인자라고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비위협적 노출상황에는 사회적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개념이 유의미한 예언변인으로 드러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과 한계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안점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sfunctional beliefs and anxiety-provoking situational characteristics in social anxiety. It was examined to know which dysfunctional beliefs was involved in each dimensions of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The Social Anxiety and Distress Scal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Questionnaire and Dysfunctional Beliefs Test were administered to 171 college students. First, it was examined to know the relations among variables through correlation analys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analyses. Second, it was investigated to know the relative potency of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both in all subjects and in socially anxious subjects. Social anxiety was higher in social identity-threatening situations than in other situations, mundane social situations, non-threatening situations. To Know which dysfunctional beliefs was involved in each dimensions of social anxiety-provoking situation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s analyses were execute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situation-specific dysfunctional beliefs, mundane social situations was predicted best by 'Negative Concept of Social Self' and social identity-threatening situations was predicted best by 'Excessive Demand for Others' Approval'. Non-threatening self-exposure situations was predicted by 'Negative Concept of Social Self'.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 실수계의 완비성의 수학교육적 의미

        김형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the author focuses on the teaching-level and learning-level of the completeness axiom and its applications on [0,1] and R, R×R, R×R×R by (expected) teachers in the school mathematics, which is usually introduced in the class of real analysis of university mathematics. Firstly the author considers the properties of the completeness axiom and its 28(materially) equivalent theorems, next he deals with its importances in the school mathematics and finally he suggest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concepts on the completeness axiom and its applications on [0,1] and R, R×R, R×R×R by (expected) teachers in the school mathematics.

      • 수학과 수업관찰평가를 통한 영재교육대상자 선발방법에 관한 연구

        김형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From the beginning of the 2011 school year, there will be a recommendation of selected subjects for gifted education, instead of a test. The recommended method for selection is performance assessment.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is will be a great burden. Therefore, evaluation of the alternatives, as examined by the teachers, may make it easier to suggest facilita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researcher designed performance process and assessment tools. These evalu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students, in the area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process. It will be determined whether these tools are useful methods for selecting gifted students, and for predicting potential for gifted education selection. The results will show the worthiness of taking advantage of the proposed methods. 영재교육대상자를 선발하기 위한 수학과 수업관찰평가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영재교육대상자에게 적용하여 수학과 수업관찰평가로 영재교육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 잠재된 영재성을 예측할 수 있는 수학행동특성검사와 비교하여 수학과 수업관찰평가가 영재교육대상자 선발에 유용한 방법임을 보임으로서 일선 학교 교사들이 영재교육대상자를 선발하는데 수학과 수업관찰평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김형옥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를 시행함으로서, 그림책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1-1.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에 효과가 있는가? 1-2.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놀이성에 효과가 있는가? 1-3.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창의성에 효과가 있는가? -ⅵ- 연구문제에 따라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M어린이집과 J어린이집의 만5세 유아 28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림책을 기반한 전통놀이를 경험하는 유아14명을 실험집단, 일반전통놀이를 경험하는 유아 14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 8차시의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도 8차시에 걸쳐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자료 분석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검사도구로는 전통놀이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민행란(2001)이 전통놀이 경험이 전통놀이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제작한 도구의 일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1)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s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여 사용한 것을 김미숙(2001)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전경원(2006)의 유아용 창의적 특성검사(Korean Creativity Traits Checkli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은 2017년 12월 04일부터 2018년 02월 14일까지 총 10주간 시행되었다. 실험집단에게는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하였다.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는 총 8차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 2회 전통놀이를 소개하기, 평가하기를 대집단으로 활동하고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자유롭게 전통놀이 활동이 실시되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는 동일한 도구를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자료 분석은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가 각각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과 집단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 수집된 모든 양적인 자료를 SPSS for Window 2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에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를 적용한 비교집단에게 비모수검정의 맨 휘트니(Mann-Whithney-U) 검증을 실시하여 동질성 검사(Test of homogenity)를 하였다. 그리고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척도항목에 대한 사전, 사후 차이 점수에 대해 비모수검정의 윌콕슨(Wilcoxon)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와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한 유아집단간의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맨휘트니 검증을 실시하였다. 맨휘트니(Mann-Whitney)검증과 윌콕슨(Wilcoxon)검증은 비모수적 방법으로 표본의 크기가 작거나 자료의 산포도가 너무 큰 경우 사용되므로, 사례의 크기가 작은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 적합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은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들보다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 창의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 창의성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보다 긍정적인 향상이 있었고, 일반전통놀이를 실시한 비교집단은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창의성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ⅶ-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연구는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를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전통놀이를 실행한 비교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그림책에 기반한 전통놀이가 일반전통놀이보다 유아의 전통놀이 인식 및 놀이성,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를 밝힘으로 효과를 입증하였다. 주요어 : 그림책, 전통놀이, 전통놀이 인식, 놀이성, 창의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korean play percepti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cture-books by performing traditional play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1]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traditional play percepti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1-1.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traditional play perception? 1-2.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playfulness? 1-3. How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effect on young children’s creativit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with 28 children five years old selected from M and J child care center in Seoul, to investigate whether the traditional korean play based on picture-book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Among the 28 young children, 14 children were the experimental group experiencing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and the other 14 children were comparison group experiencing normal traditional korean play for eight classes. This study consisted of preliminary research, preliminary examination, test procedure, post examination, and data analysis. Perception on the traditional play was measured by a part of the tool developed by Min Haenglan (2001). Children’s playfulness measurement was applied from Kim Meesook (2001) modified from Yu Eyeol(1994) translated Children’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Barnett(1991). Children’s creativity was utilized by Korean Creativity Traits Checklist made by Jeon Kyungwon (2006).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ten weeks from December 4th in 2017 to February 14th in 2018.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acticed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practiced normal traditional play. Both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program was consist of 8 classes and have sessions to introduce and evaluate traditional play in the large group twice a week while providing traditional play activities during free choice activity time. The same tools were used in both preliminary and post examinati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 21 in order to figure out the effects of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on children’s traditional play perception, playfulness, and creativity,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Before the program is practiced, the study test the homogeneity on comparative group applied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by Mann-Whitney-U test. The study also conducted Wilcoxon signed ranks test on scale items of preliminary and post-examination sco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ed Mann-Whitney-U test to examine how the differences are between two children’s group which were provided traditional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 books and normal traditional play. Since both Mann-Whitney-U test and Wilcoxon signed ranks test are utilized when the sample size is small, or the dispersion is too big, this study, which has a small sample size, properly used these analyzing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practiced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and comparative group practiced normal traditional play i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Second, in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there was the positive improvement in the perception of the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comparing before the program is practiced. The comparative group provided normal traditional korean play achieved improvement in perception on traditional play and playfulness, but the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erms of creativit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practice.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s a result, the study shows that traditional korean play program based on picture-books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and creativity compared to normal traditional korean play. Keyword: picture-books, traditional korean play, a perception of traditional play, playfulness,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