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선후기 산수유람 양상의 변화와 의미 -지리산 유람록을 중심으로

        김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조선의 사대부들은 명산을 찾아 유람을 즐겼다. 이들은 산수 유람을 통해 안목을 넓히고 浩然之氣를 기르고자 하였다. 이런 유람의 목적은 時流와 상황에 따라 遊樂의 성향이 강조되기도 하고, 修身이나 省察을 중시하는 경향을 띠기도 하였다. 그 목적이 어디에 있건 산수 유람은 사대부라는 특권층의 문화였다. 그러나 조선후기로 가면서 차츰 일반 대중이 즐기는 문화로 자리 잡기 시작하였다. 黨爭 등의 정치적 요소와 상업의 발달이라는 경제적 요소가 맞물린 것이 그 원인이었다. 士禍와 朋黨, 換局에 이은 세도정치로 인해 중앙 정계로의 진출이 차단된 지방의 士族들이 유람을 하면서 유람계층이 확대되었다. 또한 시장의 발달로 교통 요지마다 주막이 들어서자 숙식처가 늘어났으며 화폐의 유통으로 장거리 여행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원인은 결국 유람인구의 증가로 歸着되었다. 그러나 향유 계층이 확대되고 유람인구가 증가 할수록 산수 유람의 본 취지는 퇴색되고 勝景 玩賞이나 遊樂의 성향이 강해졌다. 그리고 모든 백성이 즐기는 대중문화로 정착될 때는 관광과 오락의 목적만 남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하나의 문화가 유입되거나 생성되어 일부 계층이 향유하다가 대중문화로 정착될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멀게는 踏靑이나 登高 등의 풍속과 오늘 날의 성탄절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를 지나면서 유람은 觀光이라는 단어로, 현대에는 여행이라는 단어로 대체되어 어휘조차 실생활에서 멀어졌다. 하지만 산수 유람이 가진 학습적 성향의 여행은 답사와 체험학습 등의 형태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人工輕量骨材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水化 特性 硏究

        김현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근래 들어 구조설계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건축물의 초고층화, 교량의 장대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그 밖에 운동시설 같은 대형 구조물 건설 재료에 부합하는 고강도, 경량화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해 경량골재의 제조 및 적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경우 골재 내부의 공극과 물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강도특성, 수화 특성이 일반 콘크리트와 상이하게 됨으로 이에 대한 연구의 진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수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표를 만족하고자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재령에 따른 시료의 기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 모두 재령의 증가에 따라 CH의 함유율이 증가하고 있는 경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시멘트비가 30%인 경우 초기재령에서는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시편의 CH의 함유율이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높은 것 나타났다. 그러나 재령 28일 이후에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CH 함유율이 오히려 높게 나타나 장기 재령에서는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가 일반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에 비하여 높은 수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량골재 내부의 사전흡수수가 콘크리트 내부로 수분을 공급하여 지속적인 수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한국의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과 외상 처치 체계의 변화

        김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연구목적 :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전 및 병원 내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을 조사하고 우리나라 외상환자 처치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외상환자의 이송체계 및 처치과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총 20개 의료기관을 연구대상 기관으로 선정하였고 대상 환자는 2006년 8월부터 2007년 7월까지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 중 사망한 외상환자이었다. 분석표를 이용하여 전문가가 해당 병원에서 예방 가능성을 판단하여 병원별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을 산출하고 외상 환자의 치료 과정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미리 준비된 문제점 코드로 구분하였으며 각 문제점의 사망 관련성을 판단하여 예방 가능성 판단의 근거로 사용하였다. 생존 가능성 판단기준으로 손상의 중증도, 내원 시 환자 상태, 치료의 적절성 여부의 세가지를 기준으로 판단하였고, 외상 사망의 예방가능성을 non-preventable (NP), potentially preventable (PP), preventable (P)의 세 가지 중 하나로 판정하였다. 연구결과 : 연구기간동안 160,663명의 외상환자가 내원하였고 사망환자는 551명(3.4%) 이었다. 병원 전 단계에서의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은 8.3%, 병원단계에서는 24.3% 그리고 전체 예방 가능 외상 사망률은 32.6%이었다. 대상 환자의 나이는 52세, 남자가 377명(68.4%)이었고 사고기전은 교통사고가 363명(66.2%), 추락이 74명(13.5%), 기타가 64명(11.7%), 미상이 36명(6.6%), 관통상이 11명(2.0%) 순이었다. 사망 원인은 두부손상이 224예(44.1%), 출혈이 109예(21.5%), 다발성 손상이 109예(21.5%), 다발성 장기손상이 25명(4.9%)순이었다. 문제점 발생 장소는 응급실이 60.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병원 전 직접 이송 단계로 24.1%였다. 문제점 중 사망 관련 비율은 응급실이 50.8%로 가장 높았고 문제점 종류별로는 치료에서의 문제가 67.9%로 가장 많았으며, 사망 관련 문제점 또한 68.9%로 가장 높았다. 결론 : 응급의료 선진국에 비해 병원 전 단계에서 구조와 치료가 문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병원 내 단계에서도 응급실에서 사망 관련성이 높기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점의 해결이 필수 과제이다. 즉 병원 전 외상 처치 및 이송 체계의 구축(외상센터의 지정)이 필요하며 병원 내에서는 외상팀의 구축이 필수적이다. Study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and change of the preventable and potentially preventable death rates and establish factors that affect preventability of trauma death in Korea. Methods : All trauma death patients that died at the ED or after admission at twenty hospitals between Aug. 2006 and July 2007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by 25 trauma related faculties. The deaths were initially reviewed by multidisciplinary specialist and were classified into non-preventalble, potentially preventable, and preventable deaths. All preventable and potentially preventable deaths were identifi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Protocol included data on epidemiology, vital signs, injury severity, probability of survival, preventability, errors in the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patient, and classification of errors (system, judgment, knowledge). The total of 551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previous study in Korea reflecting the factors that affect preventability of trauma death. Results : During the study period, 160,663 trauma patients were admitted and a total of 551 (3.4%) deaths occurred. The incidence of preventable deaths for all cases was 32.6% and for cases treated in hospitals was 24.3%. One hundred forty-one deaths (28.7%) were classified as potentially preventable or preventable deaths (19, 3.9%) in overall cases. One hundred seven deaths (21.5%) were classified as potentially preventable or preventable deaths (14, 2.8%) in hospital. Mean age was 52 years, 68.6% were men and average time from accident to death 36.3 hours. The most common cause of death was head injury (224, 44.1%) followed by hemorrhage (109, 21.5%) and multiple organ dysfunction syndrome (109, 21.5%). Managements errors occurred in emergency departments (60.4%), pre-hospital delivery (24.1%), and inter-hospital delivery (8.4%). Most of these errors were related with management problems (70.4%) and emergecy medical system structures (23.8%). Conclusion : Preventable death rates in Korea are higher than other developed countries because not well established emergency medical systems for trauma victim in prehospital and hospital. And we propose trauma center based emergency medical system and well developed trauma team for improve the quality of care in emergency departments.

      • 대규모 무선 이동망 지원을 위한 Micro-mobility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김현아 (金泫兒)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47

        하나의 네트워크 또는 도메인 내에서의 잦은 핸드오프가 발생하게 되면 현재 IP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Mobile IP는 홈 에이전트로의 등록 과정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상당한 오버헤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오버헤드를 줄이고 좀더 매끄러운 핸드오프를 지원하기 위해 Micro-mobility 프로토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은 확장성과 패킷 교환에 있어서 비효율성에 대한 문제점이 아직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연구되어진 프로토콜들에 좀더 많은 확장성을 제공하고 도메인 내에서의 좀 더 효율적인 패킷 교환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Micro-mobility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두 레벨로 구성되어 있는 도메인 환경에서 확장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지정 라우팅과 호스트 지정 라우팅의 두 방법을 모두 이용한다. 또한 이 프로토콜은 도메인 내에서의 패킷 교환을 더욱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공하며 도메인 간의 핸드오프 시 Mobile IP와의 연관관계를 명확하게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프로토콜을 적용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프로토콜의 디자인을 제안하며 끝으로 제안된 프로토콜을 NS-2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하고 성능 평가를 한다. When a mobile node becomes highly mobile, the signalling overhead due to the registration becomes excessive in Mobile IP. To reduce this signalling overhead and provide smooth handoffs, many micromobility protocols have been proposed. But they still suffer from problems such as salability and inefficiency in packet exchanges. In this paper, we proposes a micro-mobility protocol to make existing protocols, extend and to make sure a more effective packet exchange. The protocol that we discuss in this paper use host-specific routing and network-specific routing to increase scalibility in domain which consists of 2-level. Also this protocol supports effective packet exchange in a domain and represents the relation of Mobile IP in case of handoff among domains. We present a design of supposed protocol and a network model to apply it. Finally We simulates this environments and evaluates the performance of the protocol by NS2.

      •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관리

        김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의 실태를 알아보고 더욱 효과적인 시간 관리를 통해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을 만족스럽고 행복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어떠한가? 2.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가정환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학교관련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4.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와 화천군 지역에 소재한 중학교 3개교의 1, 2, 3학년 남 녀 학생 4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는 대상자의 가정환경 변인, 학교관련 변인, 자기 통제력, 시간 관리 검사를 알아보기 위한 세 영역의 문항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기 통제력, 시간 관리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 하였고, 가정환경 변인과 학교관련 변인에 따른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분석으로는 Duncon test를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환경 변인 중 자기 통제력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월 가계 총 수입이었고, 시간 관리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변인은 아버지의 연령, 아버지의 학력, 어머니의 학력, 어머니의 직업 유무, 월 가계 총수입이었다. 둘째, 학교관련 변인 중 자기 통제력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학업성적 이었고 시간 관리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성별, 학년 그리고 학업성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 간에는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중학생들의 자기 통제력과 시간 관리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방법에 대해 논의 하였고 이후 연구자들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examining the actual statu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helping them to perform task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with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effective time management. In order to do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How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2. How different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3. How different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variables regarding school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4. How related ar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children? This study was for 490 male and femal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rs in 3 middle schools located in Chuncheon-si, Gangwon-do (2 schools) and Hwacheon-gun, Gangwon-do (1 school). The measurement instrument is threefold at large - the first part of questions regarding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and schools, the second part testing self-control, and the third part testing time management. As methodology, the researche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alculated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for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performed t-test and variance analysis for differences in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ccording to variables of family environments and schools, and also conducted Duncon's test for post-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derived. First, of family environment variables, a variab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trol was monthly household income, whil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ime management were fathers' age,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s, mothers' educational attainments, mothers' employment statu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Second, of school variables, a variable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self-control was school performance, while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ime management were gender, grade, and school performance. Third, there was th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Putting the result together, the researcher discussed strategies with which one can enhance self-control and time manage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family and school and made suggestions for researchers in the future regarding directions for further research.

      • 멀티로터로봇의 자율비행을 위한 동역학적 모델링 및 비선형 제어 기법 연구

        김현 군산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A multi-rotor is a kind of UAVs which have advantage of VTOL and Hovering, multi-rotors can be use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urban areas and indoor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rotors, multi-rotors are categorized as tri-, quad-, hexa-, and octo-rotor. In this paper, the unified dynamic model of each tri-, quad-, hexa-, and octo-rotor are presented. Then, based on derived mathematical equations, we present nonlinear attitude stabilization and position tracking control techniques for an autonomous multi-rotor vehicle. In this work, advanced nonlinear control techniques such as fast terminal sliding mode control and integral backstepping control are presented and their performances are compared in terms of stabilization and position tracking accuracy and robustness to disturbance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proposed control techniques, various simulation and experiment studies are demonstrated along with a realistic nonlinear dynamic model. 무인비행로봇의 한 종류인 멀티로터는 수직 이착륙 및 정지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다른 무인비행로봇에 비하여 도심 지역 및 실내비행에서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멀티로터는 로터의 개수에 따라서, 트라이, 쿼드, 헥사, 옥토 등으로 나누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멀티로터의 통합된 동역학적 모델링에 관한 수식을 도출 및 비교하고 유도된 동역학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밀한 기동과 위치제어를 위한 선형 및 비선형 제어기를 설계하고 헥사로터 타입의 멀티로터를 이용한 제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실제 비행로봇 플랫폼에 탑재하여 실내 비행에 대한 실험을 통해 설계한 제어기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Mechanisms underlying TGF-β1 & IFNγ -induced BAFF expression by mouse macrophages and their implications to B cell differentiation

        김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B cell-activating factor belonging to the TNF family (BAFF), primarily expressed by macrophages and dendritic cells, is known to stimulat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survival, and Ig production of B cells. The present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TGF-β1 and IFN-γ induce BAFF expression in order to gain a clue if TGF-β1 and IFN-γ may regulate B cell differentiation through influencing macrophages. It was found that TGF-β1 potentiates mouse macrophages to express BAFF and that a typical TGF-β signaling pathway is involved. Thus, Smad3 and Smad4 promoted BAFF promoter activity while Smad7 inhibited it. From the analysis of the BAFF promoter,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three Smad binding elements (SBEs) by using site-directed mutagenesis and ChIP assay. Importantly, TGF-β1, through mediators of Smad3/4, enhanced the expression of both membrane-bound and soluble forms of BAFF. On the other hand, IFN-γ further augmented TGFβ1-induced BAFF expression. In this, IFN-γ-induced CREB phosphorylation and over-expression of CREB increased the IFN-γ-induced BAFF promoter activity. Furthermore, H89, a PKA inhibitor, abrogated the promoter activity. While, neither STAT1β (a well-known transducing molecule of IFN-γ) nor AG490 (a JAK inhibitor) affected the BAFF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GF-β1 and IFN-γ up-regulate BAFF expression through independent mechanisms, i.e. primarily Smad3/4 and PKA/CREB, respectivel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TGF-β1 induce BAFF expression in antigen presenting cells (APCs). It was found that TGF-β1 stimulates mouse dendritic cells to express BAFF through Smad3 and Smad4. From the analysis of BAFF mutated promoters, three SBEs were identified and these elements were indispensable for the promoter activity. Both membrane-bound and soluble forms of BAFF are expressed by mouse macrophages when treated with TGF-β1 or IFN-γ. The present study first investigated whether these two forms of BAFF are able to induce the expression of activation-induced cytidine deaminase (AID), which plays a critical role in Ig class switch recombination in B cells. It was found that both forms of BAFF, derived from the activated macrophages with IFNβ or TGFβ1, can increase AID expression. From the subsequent analysis of BAFF signaling, it was found that p38 MAPK and CREB act as intermediates in AID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JNK and AP1 also have such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acrophage-derived BAFF stimulate B cells to express AID, through at least two different pathways, i.e. p38 MAPK/CREB and JNK/AP-1. Finally,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IL-4 induces AID expression in mouse B cells. IL-4 increased AID expression and over-expression of Stat6 further augmented the IL-4-indued promoter activity. The involvement of Stat6 in the promoter activity was confirmed by using ChIP assay and site direct mutagenesis. On the other hand, treatment with H89, PKA inhibitor, substantially decreased the IL-4 induced AID expression and over-expression of CREB enhanced the IL-4-induced AID expres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at6 and PKA/CREB are involved in IL-4-induced AID expression. The relevance of these signal pathways were verified by using the TGFβ1-induced IgA isotype switching model. Thu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L-4, through Stat6 and PKA/CREB, induces AID expression leading to Ig isotype switching event. BAFF는 주로 대식세포와 수지상 세포에서 발현되며 B세포의 증식, 분화, 생존, 그리고 항체 합성을 자극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TGF-β와 IFN-γ가 마우스 대식세포에 영향을 주고, 그 결과 B 세포 분화를 조절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일환으로 TGF-β1과 IFN-γ에 의한 BAFF 발현기작을 조사하였다. TGF-β1이 대식세포에서 BAFF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여기에는 전형적인 TGF-β1의 신호전달 기작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였다. 즉, Smad3와 Smad4는 BAFF 프로모터 활성을 촉진하였으며 Smad7은 이를 억제하였다. site-directed mutagenesis와 ChIP assay를 통한 BAFF 프로모터 분석을 실시하여 3 곳의 Smad binding element (SBE)를 확인하였다. 한가지 중요한 결과로는 TGF-β1이 Smad3/4를 통하여 세포표면형과 분비형의 BAFF 발현을 증가시켰다는 것이다. 한편, IFN-γ는 TGF-β1에 의해 유도된 BAFF 발현을 더욱 증가시켰다. 이 경우, IFN-γ는 CREB을 인산화시켰고 과발현된 CREB은 IFN-γ에 의한 BAFF 프로모터 활성을 증가시켰다. 더욱이, H89, PKA 억제자는 이 프로모터 활성을 제어하였다. 반면, STAT1β (잘 알려진 IFN-γ의 신호전달 물질)나 AG490(JAK 억제자)는 BAFF 발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위와 같은 결과들은 TGF-β1은 Smad3/4를 통해, IFN-γ는 PKA/CREB을 통해 각각 독립적으로 BAFF 발현을 조절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원제시세포에서 TGF-β1에 의한 BAFF 발현기작을 조사하였다. TGF-β1은 Smad3와 Smad4를 통하여 수지상세포에서 BAFF를 발현한다. 변형된 BAFF 프로모터 분석을 통하여 3 곳의 SBE를 재차 확인하였다. 이 부위는 프로모터 활성에 결정적으로 작용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에 TGF-β1과 IFN-γ 처리시 세포표면의 BAFF와 분비된 형태의 BAFF 모두 발현된다. 먼저 두가지 형태의 BAFF가 B cell에서 Ig class switching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ID 발현을 유도하는지 조사하였다. IFN-γ와 TGF-β1으로 활성화시킨 대식세포에서 발현된 두가지 형태의 BAFF 모두 AID를 발현시켰다. BAFF 신호전달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 결과, AID 발현에 p38 MAPK와 CREB이 매개자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JNK와 AP-1도 신호전달에 관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식세포에서 유래된 BAFF가 적어도 두가지의 다른 기작 즉, p38 MAPK/CREB과 JNK/AP-1을 통하여 B cell의 AID 발현을 자극함을 시사한다. AID는 B 세포의 Ig class switch recombination과 somatic hypermutation (SHM) 중요한 기능을 하는 유전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mouse B cell에서 IL-4에 의한 AID 발현 유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IL-4는 AID 발현을 증가시켰고 Stat6를 과발현시킨 경우 IL-4에 의해 유도된 프로모터 활성은 더욱 증가하였다. 프로모터 활성에 Stat6가 관여함을 ChIP assay와 site direct mutagenesis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한편, PKA 억제제인 H89을 처리한 경우 IL-4에 의해 유도된 AID의 발현이 상당히 감소하였고 CREB의 과발현은 IL-4에 의한 AID 발현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Stat6와 PKA/CREB이 IL-4에 의한 AID 발현에 관여함을 나타낸다. TGF-β1에 의한 IgA isotype switching 모델을 이용하여 이러한 신호전달 경로의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IL-4가 Stat6와 PKA/CREB을 통하여 AID 발현을 유도하며 이는 isotype switching에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