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셀프 브랜딩을 위한 SNS에서의 이미지 관리 연구

        김현지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은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등장으로 여러 사람들이 소통을 나누며 광고활동, 정보공유 등 다양한 활동을 해나가고 있다. 개인의 스타일, 이미지 등을 보여주며 개성을 나타내고자 SNS(Social Network Service)을 활발히 활용해나가고 있다. 이에 개인 뿐 아니라 기업에서도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홍보활동과 고객의 피드백을 통한 커뮤니케이션을 해나가고 있으나, 타인의 스타일이나 내용을 끊임없이 모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자신의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며, 페이스북(Facebook)과 인스타그램(Instagram) 상에서 자신을 보다 차별화 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대상(김현지)의 이미지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셀프 브랜딩 사례, 김현지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의 이미지 구성을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김현지' 본인으로 타인이 생각하는 조사대상(김현지)의 이미지, 본인이 생각하는 조사대상(김현지)의 이미지(학생) 두 기준으로 나눠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SNS상에서의 셀프 브랜딩 사례 씬님과 Jenn의 이미지 구성과 조사대상(김현지)의 이미지 구성을 설문 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씬님의 경우 Beauty 큐리에이터로서의 이미지가 확실하고 Jenn의 경우는 Fashion 리더로서의 개성이 강하였으나 본인은 스스로 부각되기 원하는 이미지와 간극이 컸었다. 연구 조사 결과 조사대상(김현지)의 이미지에 있어서 개선해야할 점으로는 '차가움', '솔직함', '강함', '진한 화장' 등으로 조사되었으며 발전시킬 점으로 '솔직함', '화려함' 등올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다시 이미지들을 바꾸고 개선된 안을 SNS상에 올린 결과 이전보다 훨씬 원하는 이미지로 바뀌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SNS(Social Network Service)상 셀프 브랜딩(Self Branding) 이미지 구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 자신한테 맞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선택함과 더불어 프로필 사진 설정, 목표 설정 등으로 본인만의 콘텐츠를 만들어 이미지를 구성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주기적인 포스팅과 더불어 해시태그 공유 기능을 통해 다양한 피드백을 꼼꼼히 체크하며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인(김현지)가 추구하는 이미지와 페이스북(Facebook)과 인스타그램(Instagram)속에서의 셀프 브랜딩 관리의 필요성과 방법을 확인하였다. 현재 연구를 통해 개선한 본인(김현지)의 페이스북(Facebook)과 인스타그램(Instagram)상에서 셀프 브랜딩(Self Branding) 이미지 관리가 비교적 잘 이루어져 진행되고 있으며, 주기적인 포스팅과 소통을 통해 본인(김현지)이 추구하는 이미지와 다른 사람들이 바라보는 본인(김현지)의 이미지를 일치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 중년여성들의 에어로빅 참여 동기가 참여만족과 운동열정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김현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에어로빅 참여동기가 참여만족과 열정 및 지속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만족도, 열정, 지속의 차이. 둘째, 참여동기에 따른 참여만족, 열정, 지속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하였다.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휘트니스 센터 및 에어로빅 학원에서 직접 에어로빅에 참여하고 있는 30~60대의 중년여성들을 선정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를 이용하여 총 250명을 표본 추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자료 52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98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이철화(1995), 민병기(1997), 안선희(2005), 유진과 정꽃님(2008), 김석일(2009), 임낙철과 김석일(2009), 강영국(2010), 오수학, 송윤경, 김현정, 허미양 및 조정환(2000)등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6문항, 참여동기 15문항, 참여만족 14문항, 열정 12문항, 지속 13문항 총 4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였다. 이상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년여성들의 개인적 특성 중 연령에 따른 참여동기에서는 하위요인인 건강증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직업에서는 사교, 흥미, 건강증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기간에서는 건강증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빈도에서는 흥미와 건강증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시간에서는 사교와 자기개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여성들의 연령, 경력, 직업, 참여목적, 참여횟수, 참여시간에 따른 참여만족의 하위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에어로빅 참여자의 참여동기 하위요인인 사교, 흥미. 자기개발, 취미. 건강증진에서는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에어로빅 참여자의 참여동기 하위요인과 열정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사교, 흥미, 자기개발, 취미, 건강증진은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에어로빅 참여자의 참여동기 하위요인과 지속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사교, 흥미, 자기개발, 취미, 건강증은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passion and persistence in middle aged wome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the satisfaction of participation, passion, and persist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passion, and persistence were analyzed. A total of 250 middle-aged women participating in aerobics were selected from a fitness center and aerobics institute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using a self-administration method. A total of 19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is study, except for 52 items that were missing or inadequat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surement tools are as follows: Lee, Cheol-Hwa (1995), Min Byung-ki (1997), Ahn Seon-hee (2005), Eugene Jeongbangnam (2008), Kim Seo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estionnaire items used in previous studies such as Huhmi and Jung - hwan (2000)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Passion 12 items, and continuous 13 ite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amo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alth promotion of the sub-factors i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bility, interest, and health promotion in the occupa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health promotion in participation period,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est and health promotion in participation frequ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ticipation time between social and self-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career, occupation, participation purpose, participation frequency, and participation time of middle-aged women. Third, aerobic participants' social motivation sub-Self development, hobby. Health promo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Four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 motivation sub-factors and enthusiasm for aerobic participants. Social, interest, sel-development, hobbies, and health promotion were the sub-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Fifth,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sub-factor of aerobic participants and duration. Sociability, interest, self-development, hobbies, and health were the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 일부 대학생의 점심식사실태 및 주 점심식사 장소에 따른 식생활 진단

        김현지 대진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일부 대학생의 점심식사실태 및 주 점심식사 장소에 따른 식생활 진단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김현지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등교일 점심식사 실태를 파악하고, 주 점심식사 장소에 따라 식생활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 조사대상자는 경기북부 소재 1개 대학교의 학생 800명이었고, 설문조사에 의해 정보를 수집하여 주 점심식사 장소에 따른 군 간 점심식사 실태와 식생활습관을 비교하였다. 결과 : 29.5%만이 영양사가 식단을 관리하는 구내식당을 주 점심식사 장소라고 답하였고, 편의점이라고 답한 비율이 29.8%나 되었으며, 교내사설매장(16.8%), 배달음식(14.9%), 교외식당(9.1%)이 뒤를 이었다. 여자는 남자에 비해 주 점심식사 장소를 구내식당이라고 답한 비율(22.2% vs. 41.2%)이 낮은 반면, 편의점이라고 답한 비율(37.8% vs. 17.5%)이 높았다(p<0.01). 교내사설매장을 주 점심식사 장소로 답한 군(19.07세)은 연령이 다른 군보다 낮았고(20.4~20.8세, p<0.01), 기숙사 거주 학생 중 69.4%와 자취하는 학생 중 61.5%는 주로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먹는다고 답하여 다른 군보다 높았다(p<0.01). 식생활 자가진단 결과, 100점 만점에 구내식당 이용 군이 65.5점으로 다른 군(60.33~62.66)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그러나 식당 만족도는 구내식당이 다른 식사장소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고(p<0.01), 불만족하는 이유로는 ‘맛없어서(51.0%)’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주 중 등교일에 점심식사를 거르는 빈도가 가장 높은 군은 편의점 이용 군이었고(51.7%, p<0.01), 점심식사를 거르는 이유는 군 간 차이 없이 ‘연강으로 인해 먹을 시간이 없어서(58.2%)’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결론 : 구내식당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으나, 주로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먹는 대학생의 식생활이 바람직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구내식당 이용을 독려하는 근거를 제공하였고, 대학생의 점심식사를 향상하기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Lunch eating pattern and dietary habits of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the major lunch place Kim Hyunji Major in Nutrition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Daejin University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lunch eating pattern and compare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major lunch place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800 students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and informations were obtained b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compared among groups according to the major lunch place (school cafeteria (n=236), off-campus private restaurant (n=73), on-campus private food shop (n=134), delivery food (n=119), convenient store (n=238)). Results : Only 29.5% of the subjects answered to eat lunch at school cafeteria the most, while as much as 29.8% did at convenient stores, followed by on-campus private food shop (16.8%), delivery food (14.9%), off-campus private restaurant (9.1%). Compared to male students, more female students answered to eat lunch at convenient stores (37.8% vs. 17.5%, respectively) and less at school cafeteria (22.2% vs. 41.2%, respectively) (p<0.01). The subjects of on-campus private food shop (19.07 year) were younger than the other groups (20.36~20.80 year). Self-diagnosed dietary hab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school cafeteria group (65.5 out of 100) than in the other groups (60.3~62.7) (p<0.01). However, the satisfaction for school cafeteri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for the other lunch places (p<0.01), with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not taste good’ (51.0%). More of convenient store group (51.7%) skipped lunch than the other groups (30.8~44.5%, p<0.01), with the most frequently answered reason for skipping lunch was ‘hurry due to class schedule’ (58.2%) with out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Conclusions : Satisfaction for school cafeteria was the lowest among lunch places, but dietary habits of school cafeteria group was the most desirable. Therefore, this study is able to provide basis encouraged school cafeteria utiliz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and baseline data of strategy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lunch.

      • Ti-6Al-4V 합금의 고온 변형 후 기계적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6Al-4V alloys were investigated in the superplastic forming process(SPF) according to cooling rate and strain. In order to simulate the SPF, the mill-annealed Ti-6Al-4V alloy was heated at different cooling rate. The α-case thickness varied depending on the cooling rate, and α-case generated by the high temperature exposure was removed to understand the effect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Also, considering the high temperature forming conditions of Ti-6Al-4V alloy, preliminary specimens were prepared and hot deformed. High temperature exposure time was 60 min, temperature was 875~925 oC, strain was 0~50 %.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train on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microstructure observation, tensile test and fatigue test. As the temperature and strain increased, the thickness of the α-case tended to increase. The presence of α-case has a negative effect on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fatigue strength. The tensile strength, elongation and fatigue strength of the specimens with α-case removed were recovered.

      • 오버투어리즘이 관광객의 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현지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ly, as the tourism industry has been revitalized around the world, research on 'overtourism' is being conducted. The importance of certain tourist destinations with the attractiveness of the place and well-established infrastructure is being highlighted as more tourists visit them. Research on overtourism is still very scarce in the academic world.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overtourism were conducted focusing on the tourism development attitude of local residents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and in particular, it is regrettable tha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r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and cooperate in tourism development, excluding the tourism subject sector, even though the main cause of overtourism is tourism. In order to actively conduct quantitative research on overtourism in the future, the subjectivity of research should be clarified, and research values should be established in a different direction that is distinct from previous studies, and the positive parts of overtourism can only be fundamentally studied through the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tourists visiting overtourism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ir tourism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ourists as the subject of overtourism tourism, and specifically to study which components of overtourism influence tourist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order to start a theoretical study of overtourism,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study on how overtourism affects tourist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tourists visiting the overtourism area. In this study,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overtourism, tourist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for tourists who visited overtourism area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is basic theory of overtourism, it is intended to investigate whether overtourism affects tourist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in academic terms, and contribute to providing theoretical data that are the basis for future overtourism research. In this study, by operationally defining the constituent factors and measurement questions of previous studies, overtourism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economic factors, soci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attitudes were composed of three factors: purchase, respect, and familiarity, and behavioral intentions were composed of a single dimension.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300 questionnaires were directly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a total of 273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For empir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1.0, a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through this, the suitability of the research model was secured so that each measurement item could be used for future overtourism research.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in this study, H1 found that overtouris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attitudes. The economic factors of overtouris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purchasing and respecting, the social factors of overtourism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purchasing and respecting,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overtourism were the only ones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familiarity. Second, H2, which is said that tourists' attitudes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Third, H3, which is said that overtourism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was found that the economic factors of overtourism influence behavioral intentions through tourists' attitudes, and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overtour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ourists' behavioral intentions. In tourism, overtourism will continue for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While previous studies tried to identify overtourism in terms of tourism capacity, etc., which discusses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stablished the basic theory that is the basis of overtourism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and tried to newly identify the sub-factors of overtourism. In addition,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overtourism, surveys were conducted on local residents, but in this study, tourists who visited the overtourism area as the subject of tourism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urve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ception of overtourism,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was studi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research derived from differentiated implications that the subject of overtourism research was determined by expanding the survey target to tourists who visited overtourism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target tourists who visited overtourism areas, the spatial background of the study was limited to Korea, and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clearly distinguish nearby residents among tourists who visited the overtourism area. In future overtourism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easure whether or not they live in the neighborhood in more detail and to find out what difference there is in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ourists'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s by linking overtourism and overtourism perception research. 최근 전 세계적으로 관광산업이 활성화되면서 ‘오버투어리즘(overtourism·과잉관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장소의 매력성과 탄탄한 인프라가 잘 갖춰진 특정 관광지는 더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게 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오버투어리즘 연구는 아직까지 학계의 관심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오버투어리즘에 대한 선행연구는 지역주민의 관광개발태도와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고, 특히 오버투어리즘의 주요 원인이 관광임에도 관광 주체 부문이 배제된 채 지역주민들의 관광개발 참여 및 협조를 위한 연구로 이루어져 왔다는 아쉬움이 있다. 앞으로 오버투어리즘에 대한 양적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의 주체성을 명확히 하고, 기존 선행연구와는 구별되는 다른 방향으로 연구가치가 확립되어야 하며,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의 태도와 행동의도를 통해 오버투어리즘의 긍정적인 부분도 연구되어야 비로소 오버투어리즘이 근본적으로 연구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오버투어리즘 관광의 주체로서 관광객의 입장에서 그들의 관광태도와 행동의도를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오버투어리즘의 어떠한 구성요인들이 관광객의 태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오버투어리즘의 이론적 연구 시작을 위하여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오버투어리즘이 관광객의 태도, 행동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오버투어리즘과 관광객의 태도, 행동의도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오버투어리즘의 기초적 이론 정립을 통해 학문적인 측면으로는 오버투어리즘이 관광객의 태도,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향후 오버투어리즘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론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구성요인과 측정문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여 오버투어리즘은 경제적 요인, 사회적 요인, 환경적 요인으로 3요인으로 구성하고, 태도는 구매, 존중, 친숙으로 3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행동의도는 단일차원으로 구성하였다. 실증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300부의 설문지를 직접 배포하여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총 27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ver. 21.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한 연구모형의 적합성을 확보하여, 각 측정항목은 향후 오버투어리즘 연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첫째, 오버투어리즘은 관광객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1은 오버투어리즘의 경제적 요인은 관광객의 구매, 존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버투어리즘의 사회적 요인은 관광객의 구매, 존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오버투어리즘의 환경적 요인은 유일하게 관광객의 친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객의 태도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2는 관광객의 구매, 존중, 친숙 모두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오버투어리즘은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3은 오버투어리즘의 경제적 요인은 관광객의 태도를 매개하여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오버투어리즘의 사회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은 관광객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학의 분야에서 오버투어리즘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하여 계속될 것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이 지역개발을 논의하는 관광수용력 등의 관점에서 오버투어리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오버투어리즘 연구의 근간이 되는 기초 이론을 정립하였으며, 오버투어리즘의 하위 구성요인을 새롭게 규명하고자 하였다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오버투어리즘과 관련하는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관광의 주체로서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을 조사대상으로 정하여 이들의 오버투어리즘 인식과 관광객의 태도, 행동의도와의 영향관계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는 차별점이 있다. 지역주민의 관점에서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으로 조사대상을 확장함으로써 오버투어리즘 연구의 주체를 정한 본 연구의 차별화된 시사점으로부터 도출되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기 위하여 연구의 공간적 배경을 국내로 한정지어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오버투어리즘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 중 인근 거주자를 명확히 구분할 수 없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다. 향후 오버투어리즘 연구에 있어서 인근 거주 여부를 더 세밀하게 측정하고, 오버투어리즘과 오버투어리즘 인식 연구를 연계하여, 관광객의 태도 및 행동의도의 영향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할 필요가 있다.

      • Francis Poulenc의 연가곡《Quatre poémes de Guillaume Apollinaire》에 관한 연구

        김현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프란시스 뿔랑(Francis Poulenc, 1899-1963)은 가브리엘 포레(Gabriel Faure, 1845-1924), 클로드 드뷔시(Claude A. Debussy, 1862-1924), 모리스 라벨(Maurice Ravel, 1875-1937) 등 20세기에 프랑스 음악을 주도한 작곡가들 중의 한 사람으로, 그의 음악은 초현실주의와 신고전주의 그리고 프랑스 6인조 등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150여개의 예술가곡을 남겼는데, 아름다운 성악 선율, 기교적이면서도 성악 선율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해주는 피아노 반주, 그리고 뛰어난 시 해석으로 20세기의 뛰어난 작곡가로 인정받았다. 뿔랑은 동시대의 시인들인 막스 자코브(Max Jacob, 1876-1944), 기욤 아폴리네르(Guillaume Apollinaire, 1980-1918), 폴 엘뤼아르(Paul Eluard, 1895-1952), 루이즈 드 빌모랭(Louise de Vilmorin, 1902-1969) 등 다양한 시인들의 시를 가지고 곡을 썼다. 뿔랑은 1918부터 1956년 사이에 아폴리네르의 시에 35곡의 가곡을 작곡하였으며, 이 논문의 주제가 되는 《아폴리네르의 시에 의한 네 개의 시》 (Quatre poémes de Guillaume Apollinaire, 1931)는 뿔랑이 아폴리네르의 시를 써서 작곡한 노래 중 가장 뛰어난 작품이라고 평가를 받고 있다. 본 논문은 뿔랑의 작품인 아폴리네르의 4개의 시로 이루어진 연가곡을 자신의 음악양식과 어떻게 결부하여 작곡하였는지 분석할 것이다.

      • 자막용 연극번역 연구 : <한여름 밤의 꿈>을 중심으로

        김현지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is a study of theatre translation, which particularly deals with ‘surtitles’ and ‘surtitling’ of foreign play performances. In Korea there has been a very few studies on this topic, so it is one of the earliest attempts to discuss the issues related to surtitles and surtitling practices. By examining the problems the Korean audiences often encounter when reading surtitles for the foreign play performances they watch, this study not only discusses the actual causes and practical effects of those problems, but also suggests possible ways to resolve the problems, approached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related areas: translation, theatre, and subtitling. The particular texts of the focus for discussion are the surtitles used for a Shakespeare play, A Midsummer Night's Dream, which was staged at the National Theatre of Korea in April, 2014, directed by Tom Morris, and performed by the ‘Bristol Old Vic’ company from England. As it calls for a serious, academic attention to “Surtitles for Play Performance,” this study identifies the principal elements of surtitling for play performance, which determine its quality but often passed unnoticed, such as ‘synchronization,’ ‘readability (easy reading),’ and ‘spotting.’ Of these, spotting is the most important because it is the very technique which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synchronization and readability. The audience-oriented approach is also important in surtitling for play performance, for enhancing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the work they watch is the foremost purpose of surtitles. To conclude, this study affirms that surtitles are not just an auxiliary device but a valuable part of play performances, indispensible for the audience’s pleasant appreciation of them.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연극자막과 관련한 초기 연구로서 자막용 연극번역의 전문적인 연구가 필요한 사실을 제기하고, 연극자막과 관련된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찾음으로써 자막용 연극번역의 실질적인 품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자막용 연극번역 시 고려해야 할 문제를 세 가지로 구분해서 논의해 보았으며, 번역의 이론적 논의뿐만 아니라 실제적 논의를 더함으로써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 무대 현장에서 사용되는 ‘연극자막’에서 나타나는 여러 문제점들의 근본 원인은, 번역, 연극, 자막이라는 서로 다른 세 분야의 각 특성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그렇지 못한 데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론적 논의와 함께 실제적인 분석을 행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존 번역을 점검하고 대안을 제시했다. 해당 논의는 2014년, 국립극장에서 상연된 <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 영국 브리스톨 올드빅 극장 제작, 팀 모리스 연출)의 ‘연극자막’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결론적으로, 자막은 궁극적으로 공연의 감상을 돕는 핵심 보조수단이므로, 비록 “적합성”의 “규준”이 고려되어야 하는 셰익스피어 작품이라고 하더라도 관객의 이해를 도모하고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도착텍스트와 도착문화가 중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자막용 셰익스피어 연극번역’은 “용인성”을 수행단계의 규준으로 삼고, 무엇보다도 관객의 반응과 가독성을 중시하여, ‘읽기용 구어체’로 실현하여야 한다.

      • 현대미술 중심으로 미술교과서의 감상교육에 관한 연구

        김현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미술은 기술발전의 영향으로 일상생활 속에 자리 잡고 있어 중학교 미술교과에서 교육적 가치가 있으며 이를 의미 있게 수용하고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감상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라 여겨진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대미술 감상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감상교육과 교과서의 특성을 바탕으로 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9종의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구성과 감상단원에 제시된 현대미술 도판과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는 현대미술이 중학교 미술 감상수업에서 보다 효율적인 연계와 적용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교과서의 비교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현 중학교 미술교과서는 미적체험·표현·감상영역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미술교과서의 감상단원의 비중은 너무 낮다. 이로 인해 감상영역의 내용이 자연스럽게 부실하게 되고 현대미술에 대한 내용은 각각의 미술계의 특징과 주요 작가만을 설명하는데 그쳤다. 감상영역의 비중을 늘려 감상교육의 본연의 취지에 부합하도록 해야 한다. 둘째, 현대미술에 관한 내용과 도판은 지역의 편중성을 지양하고 형평성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감상단원에 제시된 현대미술의 내용은 한국과 서양미술로 나누어지게 되는데 서양 현대미술 위주의 내용과 도판이 주를 이룬다. 한국 현대미술의 경우, 고미술사에 관한 설명 말미에 간략하게 제시되었으며, 동양 현대미술에 관한 내용과 도판 제시는 미미하여 교과서를 통해 학습자가 다양한 현대미술을 학습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미술교과서를 통해 학습자가 여러 미술문화에 대한 현대미술을 올바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편중된 부분을 재고해보아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