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리 방법에 따른 채소류의 비타민 C, α-토코페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능 변화

        김현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ontents of vitamin C, α-tocopherol and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ix vegetables (bamboo shoot, cherry tomato, garlic, orange-paprika, red-paprika, yellow-paprika) by various cooking methods (boiling, broiling, pan-frying, 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e cooking).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itamin C, α-tocopherol,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cooked vegetables were highly affected by cooking methods, showing the range of 0.11~116.44 mg/100 g, 0.24~3.45 mg/100 g, and 2.98~24.31 μg GAE/g,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of vegetables were also remarkably changed by cooking metho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RAP of cooked vegetables varied by 13.75~153.88 μg GAE/g, 0.02~0.78 (OD700nm), and 0.12~0.64 (OD700nm),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and FRAP) of cooked vegetab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vitamin C, α-tocopherol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lyphenolic content and FRAP. Among cooked vegetables, especially, boiled samples were low in content of antioxidant related compounds compared to raw samples. However, cooking methods such as fan-frying, roasting, frying, and microwave g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ooked vegetables than fresh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n-frying and frying would be effective cooking methods to increase the contents of vitamin C, α-tocopherol, and phenolics in vegetables, resulting in increases in antioxidant activities. Keywords(핵심어): antioxidant activity, cooking methods, vitamin C, α-tocopherol, total polyphenol, retention factor, vegetable 본 연구는 7가지 표준화된 조리방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전자레인지)에 따른 6종 채소류(죽순, 방울토마토, 마늘, 주황 파프리카, 빨강 파프리카, 노랑 파프리카) 중의 주요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 C, 토코페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능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또한 조리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의 잔존율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용성 비타민 C는 7가지 조리 후 시료의 특성과 조리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죽순의 경우 생재료(8.34 mg/100 g)에서 가장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보였으며,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9.09 mg/100 g), 마늘은 볶기(0.56 mg/100 g), 주황 파프리카(86.83 mg/100 g), 빨강 파프리카(116.44 mg/100 g), 노랑 파프리카(70.38 mg/100 g)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보였다. 지용성 비타민 E인 α-토코페롤은 기름을 첨가하는 볶기와 튀기기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2.28 mg/100 g)에서 가장 높은 α-토코페롤 함량을 보였으며 죽순(3.10 mg/100 g), 마늘(0.94 mg/100 g), 주황 파프리카(2.81 mg/100 g), 빨강 파프리카(3.45 mg/100 g), 노랑 파프리카(2.48 mg/100 g)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α-토코페롤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지표성분인 총 폴리페놀은 조리수를 사용하는 삶기에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조리수를 사용하지 않고 열을 가하는 굽기, 볶기, 튀기기, 로스팅은 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죽순(23.22 μg GAE/ g), 방울토마토(3.75 μg GAE/ g), 마늘(24.31 μg GAE/ g), 주황 파프리카(5.81 μg GAE/ g), 빨강 파프리카(8.45 μg GAE/ g), 노랑 파프리카(6.61 μg GAE/ g)인 총 6종 시료 모두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채소류의 종류와 조리법에 따라 항산화능 또한 다양한 폭으로 변화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주로 삶기에서 낮아지는 반면, 굽기, 볶기, 튀기기와 같은 조리법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력과 FRAP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비타민 C와 a-토코페롤은 항산화능인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 FRAP과 p<0.01의 수준에서 매우 상관관계가 높았다. 또한 총 폴리페놀과 항산화능인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도 상관관계가 높았으나(p<0.01) FRAP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조리 전 후의 채소 시료의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한 중량가공계수를 이용한 비타민 C 잔존율은 다양한 폭의 잔존율을 보였다. 죽순은 로스팅(34.9%)에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보였으며,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1732.4%), 마늘은 볶기(113.9%), 주황 파프리카(92.0%), 빨강 파프리카 (168.1%), 노랑 파프리카(123.8%)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비타민 C 잔존율을 보였다.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459.2%), 주황 파프리카는 찌기(97.4%), 빨강 파프리카는 로스팅(110.5%), 죽순(674.9%), 마늘(202.8%), 노랑 파프리카(118.4)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α-토코페롤 잔존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잔존율인 죽순은 찌기(90.4%), 방울토마토(113.6%), 주황 파프리카(112.3%) 는 볶기, 마늘(123.9%), 빨강 파프리카(135.0%), 노랑 파프리카(96.3%)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보였다. 비타민 C와 α-토코페롤 및 항산화 성분을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 는 시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조리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기압에 대한 선개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김현영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기압에 대한 선개념 유형과 실험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정도, 그리고 개념 변화의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개념 변화의 과정에서 효과적인 수업의 방안과 수업의 소재를 찾아 보았다. 본 연구는 5학년 한 학급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도구는 5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사전 사후 검사지를 작성하여 질문지법과 면담법을 병행하였다. 지도안은 개념 변화 수업 모형을 준거로 실험 중심의 6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분석 방법은 과학적 용어의 사용과 과학자적 개념의 유무에 따라, 내용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고 오개념과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첫째, 공기의 무게에 대하여 일부는 과학적 개념을 가지나 공기의 무게가 있어도 가벼워서 뜨거나 바람 때문에 뜬다 등 오개념을 가졌다. 이 오개념은 공기의 무게 실험을 통하여 쉽게 개념 변화를 하였다. 둘째, 빈 공간에 작용하는 공기에 대하여 일부는 과학적 개념을 가지나 물 속에 존재하는 공기나 컵과 손으로 누르는 힘 때문으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수업에 의해 개념 변화를 하였으나 수업 후에도 공기가 물을 끌어올린다는 오개념을 지속하였다. 셋째, 기압의 작용과 방향에 대하여 스포이트의 원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깡통실험에서는 공기가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거나 공기가 밖으로 나가면서 생기는 압력으로 깡통이 찌그러진다고 생각하였고, 음료수를 마시는 원리에서 공기가 들어갈 수 없어서 또는 고무 마개 때문에 물이 올라오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스포이트의 원리에서는 공기가 물을 끌어 올려서 물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세 가지 활동에 대하여 수업 후 지속되는 오개념은 '공기가 식어서 활동이 작아져서', '고무마개 때문에 공기가 부족해서', '공기가 물을 잡고 있어서' 등이다. 넷째, 높은 산에 오르면 숨이 찬 이유에 대하여 공기의 부족이나 힘이 들고 바람이 불어서 등 경험에 비추어 응답하였고, 귀가 멍해지는 이유를 공기의 부족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생각하였다. 수업 후 귀가 멍해지는 이유에 대하여 과학적 개념 변화를 하기도 하지만 공기의 부족이나 기압의 증가, 바람의 영향으로 오개념을 지속하였다. 다섯째, 기압과 부피의 변화에 대하여 풍선 안 공기의 압력이 커져서 터지거나 밖이 추워서 부피가 줄어든다 등 모두가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수업 후 과학적 개념 변화를 하였으나 온도와 부피의 관계로 생각하거나 밖의 공기의 압력이 커서 작아진다 등 오개념을 지속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수업 방안과 소재는 다음과 같다. 공기의 무게 실험은 결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긴 판자 실험은 신문을 접어보고 실험해 보도록 해야 한다. 수조의 물 위에 작용하는 기압의 작용 방향은 교사의 설명이 필요하며 물 컵에 종이를 씌워서 돌려보는 활동에서는 종이 대신 랩을 이용하면 기압의 작용 방향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다. 교과서 실험 외에 스포이트의 원리, 음료수를 마시는 원리, 깡통 실험, 비닐 장갑 끼고 물에 넣기 등을 선택 학습으로 제시하면 기압 개념을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investigation of the type of preconception on atmospheric pressure under fifth grade students, to find out how to change their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ones. The study also intend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that children experience during the change of their conceptions and the reasons that misconception keep in their minds. The objects of the experiment are 30 students who are fif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the type of students' conception of atmospheric pressure, five topics are classified ; the weight of the atmosphere, the force by the atmosphere, the several phenomena of atmospheric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in our daily life, the changes in atmospheric pressure on different altitudes. This study is used to qualitative analysis to categorize the type of their answer. The data a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criteria ; whether the scientific terms are used or not, and whether the concept that they have is scientific or not.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some students think that atmosphere has no weight and even if it does, it would rise upward because it is too light. Second,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that atmosphere pulls up water, water doesn't rise up because of the weight of a cup and a hand. Third, students explain the several phenomena of atmospheric pressure caused by temperature or air concerning on other objects, such as rubber cork. Fourth, students think that they feel out of breath and they can't hear sound temporally while climbing mountain because of lack of air or wind. Fifth,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for the changes in atmospheric pressure on different altitudes. They think that the balloon will be burst in growing pressure inside the balloon or it will become smaller in falling temperature. After the lesson they are changed such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ones. However some keep misconceptions in their minds. The reason is that concepts they have studied before brought about misconceptions that interfered with the correct concept of the atmospheric pressure. Finally, in learning the concept of atmospheric pressure, the students need to directly observe the effects of the pressure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hat teaching is not only the teacher directly talking to students but also deriving the conclusion together students. Also, lesson has to be well prepared because some students who are slower in understanding tend to cause to misconceive easily.

      • 분말 상태의 원료를 활용한 도자 조형 연구

        김현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 목 : 분말상태의 원료를 활용한 도자조형연구 과거에는 순수예술 작품의 외부구성의 재료로 치부되어 왔던 공예적인 매체를 현대에서는 새롭게 바라보고자 하는 장이 마련되고 있으며, 현대의 도예는 점토가 가지고 있는 개념과 기원, 물성 등을 시각화하여 표현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성의 정의와 개념, 예술사에서 나타난 물성화의 경향, 도자 원료의 기본 정의를 정리하고, 분말 상태의 원료를 통해 작품을 성형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작품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첫째, 기물의 형태설정에 있어 소성 전 후의 시각적 변화를 강조하기 위해 단순한 육면체의 형태로 제작한다. 둘째, 가소성이 없는 원료들을 물과 함께 배합하여 3.5cm의 육면체를 성형하고 연구자가 설정한 온도를 통해 변화된 시각적 형상을 데이터화하여 기록한다. 셋째, 실험데이터를 바탕으로 크기를 다양화시켜 작품을 제작하며, 이 과정에서 소성이 용이할 수 있도록 작품의 크기 별로 내화갑을 각각 제작한다. 넷째, 소성을 통해 발현된 작품의 형상을 참조하여 작품을 설치한다. 이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말 상태의 원료들은 도예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기본 구성요소로써 재료의 영역에서 머물러 있었으나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점력이 없는 원료로도 충분히 형태성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형태를 성형하기 위해 필요한 수분을 연구자가 조절함으로써 점토가 가진 원초적인 날 것의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이는 기존에 결함이라 불려왔던 실금이나 부서짐, 소성을 통한 요변현상을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연구자가 설정한 육면체의 형태를 통해 형태를 성형하고자 하는 연구지의 개입은 최소화 되었으나 그를 이루는 다양한 원료들의 혼합비율과 설정된 온도의 만남은 예상할 수 없는 시각적 변화를 보여줌으로써 도예에서의 표현양식의 확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실험들이 도자의 표현양식에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In modern times, there is a new place to look at the crafty media, which has been written off as the compositional outside of pure art, and modern potteries are expanding the scope of expression by visualizing the concepts, origins, and materials of clay.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properties, trends in materialization in the history of art, and basic definitions of ceramic materials were summarized, and the way of molding works using the plasticity of powder materials was studied. The research of work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t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simple hexahedron to emphasize the visual changes of before and after plasticity in the form setting; morphology of the object. Second, a 3.5cm hexahedron, which is molded by mixing non-plastic materials, is dataized and recorded the changed visual shapes through the temperature set by the researcher. Third, the work is produced by diversifying the size based on the experimental data, and saggars are produced for each size of the work so that it can be easily burned in the process. Fourth, make a difference in the installation method by referring to the shape of the work expressed through plasticity. The results from this are as follows: First, dry-state raw materials remained in the field of materials as basic components of materials used in potteries, but the possibility of that the dry-state raw materials are sufficient for morphogenetic by actively utilizing them is shown. Second, by controlling the moisture needed to mold the form, the maker was able to elicit the raw response of clay. This allowed a positive interpretation of a mysterious phenomenon caused by a fine crack, breakdown, and plasticity, which had previously been called defects. Third, the artist's intervention to mold the shape through the hexahedron form set by the researcher was minimized, but the combination of the various raw materials and the set temperature showed an unexpected visual change, showing the scalability of the expression in pottery. In this study, the mixed raw materials met a certain temperature and studied the changes, but it is regrettable that the prior study of the basic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s used in ceramics took precedence and did not proceed in-depth research on the larger visual changes during the experiment. I would like to make this part a future research project.

      •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자기 검색 성향의 비교 연구

        김현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성격 특성 중 하나인 자기 검색 성향이 한국 사회의 학부 대학생들이 가진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통해 어떻게 관련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거주하는 학부 대학생 211명을 대상으로 자기 검색 척도와 라이프스타일 척도를 설문조사하였다. 응답자들은 5가지 라이프스타일 유형(물질주의적 신봉건형, 개인주의적 보보스형, 현실주의적 동조형, 공동체적 개방형, 전통주의적 보수형)으로 분류되었고, 각 응답자들은 자기 검색 성향 점수가 측정되었다. 응답치들을 검증한 결과,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자기 검색 성향 점수의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자기 검색 성향이 가장 높은 유형은 물질주의적 신봉건형이고, 가장 낮은 유형은 현실주의적 동조형으로 나타났다. 자기 검색 성향을 설명하는 가치는 남아선호, 여피, 전통가치(-), 수평적 집합주의 요인으로 검증되었으며, 이러한 가치요인들은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자기검색 성향을 설명하는 데에 있어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한국 사회에서 자기 검색 성향의 차이는 성별보다는 라이프스타일 유형이 의미있는 기준이 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향후, 라이프스타일과 개인의 다른 성격 요인들과의 관련성에 대해 추후 연구에서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explored the types of lifestyle comparing self-monitoring personality in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211 subjects were administered with Self-monitoring Scale and Korean Lifestyle Scale. They were classified by five different types of lifestyle(the neo-feudal materialistic, the individualistic bobos, the realistic follower, the community liberalistic, the traditional conservative) and have the level of self-monitoring.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neo-feudal materialistic type is the highest level of self-monitoring and the realistic follower type is the lowest level of self-monitoring. Four values(a man preference value, Yuppie value, traditional value(-), and horizontal collectivism value) has expressed the self-monitoring personality. But these values have different meanings to explain the self-monitoring. The level of self-monitoring was not different from sex, but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types of lifestyl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pecific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lifestyles and other personality factors.

      • 음식 유형별 나트륨 및 칼륨 섭취량 비교 연구

        김현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음식 유형별 나트륨 및 칼륨 섭취량을 비교하기 위하여 국물이 없는 한그릇 음식(건식음식)과 밥에 국물을 곁들인 음식(습식음식) 중 20대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각 3가지씩을 선택하여 건식음식 중 비빔밥에는 고추장을 볶음밥에는 간장을 자장밥에는 자장을 별도로 제공하여 각자 기호에 맞게 비벼 먹도록 하고 습식음식인 닭개장, 곰탕 및 동태 매운탕은 소금간을 하지 않고 조리하여 각자 기호에 맞게 식탁염을 이용하여 간을 맞춰 먹도록 한 다음 섭취량을 측정하여 각 식이에 들어 있는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남자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176.9±2.2cm, 67.4±2.1kg이었으며, 여자는 162.7±2.2cm, 52.7±2.3kg이었다. 남자의 평균 BMI, hemoglobin(Hb), 혈압은 21.6±0.9kg/㎡, 14.3±0.2g/dl, 119/75mmHg이었으며, 여자는 19.9±0.8kg/㎡, 12.5±0.2g/dl, 109/68mmHg이었다. 최적 염미도 평균치는 남자는 0.41%, 여자는 0.30%이었다. 열량 섭취량은 비빔밥, 볶음밥, 자장밥, 닭개장, 곰탕 및 동태 매운탕별로 남자는 각각 711.6±15kcal, 702.4±23kcal, 638.4±22kcal, 626.9±40kcal, 668.5±24kcal 및 663.1±25kcal이었으며, 여자는 각각 534.6±31kcal, 535.2±27kcal, 494.1±25kcal, 443.4±34kcal, 490.8±34kcal 및 482.5±39kcal이었다. 나트륨 섭취량은 비빔밥, 볶음밥, 자장밥, 닭개장, 곰탕 및 동태 매운탕별로 남자는 각각 1,273±99mg, 1,194±87mg, 1,578±124mg, 1,682±114mg, 1,444±85mg및 1,811±106mg이었고, 여자는 각각 1,198±100mg, 1,065±89mg, 1,265±97mg, 1,452±127mg, 1,276±80mg 및 1,388±151mg으로 남·녀 모두 습식류를 통한 나트륨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칼륨 섭취량은 비빔밥, 볶음밥, 자장밥, 닭개장, 곰탕 및 동태 매운탕별로 남자는 각각 750±47mg, 678±29mg, 561±33mg, 755±39mg, 349±24mg 및 755±39mg이었고, 여자는 각각 580±33mg, 520±34mg, 443±14mg, 684±51mg, 313±39mg 및 696±61mg으로 여자의 경우 습식류를 통한 칼륨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나트륨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상관성이 없었으며, 짠맛에 대한 기호도와 습식류를 통한 나트륨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p<0.05), 최적 염미도와 습식류를 통한 나트륨 섭취량 간에는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through dry type foods and wet type foods. A total 20 (male 10, female 10) apparently healthy college student living in Iksan were fed 3 kinds of dry type foods (Bibimbab, Bokkeumbab, Jajangbab) and 3 kinds of wet type foods (Dakgaejang, Gomtang, Dongtaemaewoontang) for lunch for each three days. The average height and weight were 176.9±2.2cm, 67.4±2.1kg for male and 162.7±2.2cm, 52.7±2.3kg for female. The mean values of BMI, hemoglobin and blood pressure for the subjects were 21.6±0.9kg/㎡, 14.3±0.2g/dl and 119/75mmHg in male, and 19.9±0.8kg/㎡, 12.5±0.2g/dl and 109/68mmHg in female. Mean values of optimal gustation of salt in male and female were 0.41% and 0.30% respectively. Energy intake for male was 711.6±15kcal (Bibimbab), 702.4±23kcal (Bokkeumbab), 638.4±22Kcal (Jajangbab), 626.9±40kcal (Dakgaejang), 668.5±24kcal (Gomtang) and 663.1±25kcal (Dongtaemaewoontang). Energy intake for female was 534.6±31kcal (Bibimbab), 535.2±27kcal (Bokkeumbab), 494.1±25kcal (Jajangbab), 443.4±34kcal (Dakgaejang), 490.8±34kcal (Gomtang) and 482.5±39kcal (Dongtaemaewoontang). Sodium intake for male was 1,273±99mg (Bibimbab), 1,194±87mg (Bokkeumbab), 1,578±124mg (Jajangbab), 1,682±114mg (Dakgaejang), 1,444±85mg (Gomtang) and 1,811±106mg (Dongtaemaewoontang). Sodium intake for female was 1,198±100mg (Bibimbab), 1,065±89mg (Bokkeumbab), 1,265±97mg (Jajangbab), 1,452±127mg (Dakgaejang), 1,276±80mg (Gomtang) and 1,388±151mg (Dongtaemaewoontang). The average sodium intake for male was 1,348±72mg in dry type food and 1,646±86mg in wet type food, and that for female was 1,176±80mg in dry type food and 1,372±103mg in wet type food. Sodium intake for male and femal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wet type food than dry type food(p<0.001, 0.05). Potassium intake in male was 750±47mg (Bibimbab), 678±29mg (Bokkeumbab), 561±33mg (Jajangbab), 755±39mg (Dakgaejang), 349±24mg (Gomtang) and 755±39mg (Dongtaemaewoontang). Potassium intake in female was 580 33mg (Bibimbab), 520±34mg (Bokkeumbab), 443±14mg (Jajangbab), 684±51mg (Dakgaejang), 313±39mg (Gomtang) and 696±61mg (Dongtaemaewoontang). The average potassium intake for male was 663±19mg in dry type food and 620±26mg in wet type food, and that for female was 514±22mg in dry type food and 564±28mg in wet type food. Potassium intake for femal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et food type than dry type food(p<0.05). Ther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blood pressure and sodium intake. Preference for salt taste appeared negative correlation with sodium intake in wet type food(p<0.05). Optimal gustation of sal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odium intake in wet type food(p<0.05).

      • 의미찾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은퇴노인의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김현영 경성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Master`s Thesis The Effects of the Logotherapy Group Counselling on Depression and Sense of Ego-intergration of Retired old Men Kim, Hyun-Young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Advisor: Cheon, Seong-Moon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the logotherapy group counselling effects on depression and sense of ego-intergration of retired old me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logotherapy group counselling program was reconstructed and conducted for retired old men liv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All twenty retired old men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consent of participants after explanation on the contents and proc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parts of ten member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 program, which consisted of a total 8 sessions, 90 minutes per session, and two sessions per weeks has been conduc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September 21 to October 12 in 2016. Any treatments were not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during same period of time.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the select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PSS/WIN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 of the results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statistical methods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In addition,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group members based on experience reports and program evaluations of the participants was performed in parallel to complement the quantitative research of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press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logotherapy group counselling program has bee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the sense of ego-intergr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logotherapy counselling program has been changed in a positive way after the program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participat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logotherapy counselling program is effective in lowering of the depression and increasing of the sense of ego-intergration Limitation to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Key words: retired old men, logotherapy, logotherapy group counselling program, depression, sense of ego-intergration.

      • 심장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of heart transplant recipients' self care compliance and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related factors(depression, self care efficacy, social support and self care compli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5 heart transplant recipients at ‘A’ hospital in Seoul among those who received regular follow up treatment in the Outpatient department.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tructured questionaires from October 11 to November 22, 2012. The questionnaires included self care compliance instrument by Kim(2011), standardized Beck Depression Inventory-II(1996) by Kim(2007), self care efficacy instrument by Kim(2001),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by Zimet(1988). SPSS WIN 19.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calculate descriptive inferential statistics: percentil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as well as the analyses through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depression score was 12.74±9.65(total possible score of 63), self efficacy was 39.35±6.79(total possible score of 50), social support score was 44.50±6.73(total possible score of 60) and self care compliance was 77.66±12.10(total possible score of 100). 2. The self care complianc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t=3.951, p=.012), income(t=4.126, p=.01), perceived economic status (t=3.308 ,p=.026), exercise(t=21.984, p<.000). 3.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elf care compliance and self care(r=.709, p<.001), social support(r=.525, p<.001).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elf care compliance and depression(r=.-386, p=.001). 4. The factors influencing self care compliance were self efficacy(ß=.462, p<.001), exercise(ß=.309, p=.001), social supoort(ß=.233, p=.021) with R2 value of 58.6%. As a result, self efficacy, exercise and social support were served as influential factors for self care compliance. Thus nurses need to participate in training or programs to help heart transplant recipients enhance their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rther research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for heart transplant recipients. 본 연구는 심장이식 수혜자의 우울,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자가간호행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확인함으로써 심장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행위 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일개 종합병원에서 심장이식 수술을 받고, 외래를 통해 추후관리를 받고 있는 수혜자 65명을 편의 추출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10월 11일부터 2012년 11월 22일까지였으며 연구에 협조하기로 동의한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 연구대상자가 설문지에 직접 기입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간호행위를 측정하기 위해 김수연(2011)이 개발한 신장이식 수혜자 대상의 자가간호행위 측정도구를 본 연구자가 심장이식 수혜자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이용하였고, 우울은 Beck 등(1996)이 개발한 Beck Depression Inventory-Ⅱ를 김명식(2007)이 표준화하여 사용한 도구, 자기효능감은 김수진(2001)이 심장이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개발한 도구, 사회적 지지는 Zimet 등(1988)이 개발하고 신준섭과 이영분(1999)이 번역한 MSPS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척도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regress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보면 평균연령은 46.9세, 학력은 대졸이상이 33명(50.8%)이었으며 43명(66.2%)은 직업이 있었고, 월수입의 경우 는 400∼500만원 미만과 100∼200만원 미만이 각각 13명(20%)이었다. 간호제공자는 ‘배우자’ 35명(53.8%), 대상자의 운동정도는 ‘가끔 한다(1∼2회/2주)’가 30명(46.2%), 질병적 특성으로 이식 수술 전 진단명으로 심부전증이 있는 경우가 51명(78.5%)이었으며, 이식 후 경과기간은 ‘1년 이상∼5년 미만’ 24명(36.9%), 면역억제제 부작용은 손떨림이 35명(24.6%)으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2. 대상자의 우울 정도는 평균 12.74±9.65점으로 정상범위였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9.35±6.79점, 사회적 지지는 하부항목인 가족 지지 평균 16.62±2.59점, 친구 지지 평균 14.32±3.00점, 의료진 지지 평균 13.57±3.21점이었으며, 자가간호행위 정도는 총 평균 77.66±12.10점으로 조사되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자가간호행위 정도의 차이는 연령(t=3.951, p=.012), 소득(t=4.126, p=.01), 인지된 경제상태(t=3.308, p=.026), 운동정도(t=21.984,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지된 경제상태가 ‘충분하다’ 라고 인지하는 경우가 자가간호행위 정도가 더 높았으며, 연령이 60세 이상인 경우 자가간호행위가 낮았으며, 운동을 ‘전혀 안한다’가 자가간호행위가 가장 낮았다. 4. 대상자의 우울,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자가간호행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r=.709, p<.000)과 사회적 지지(r=.525, p<.000)는 자가간호행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우울은 자가간호행위와 음의 상관관계(r=.-386, p=.001)를 보였다. 5. 대상자의 자가간호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자기효능감(ß=.462, p=<.001), 운동정도(ß=.309, p=.001), 사회적 지지(ß=.233, p=.021)로 자기효능감이 예측요인으로 가장 높게 작용하였으며,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58.6%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심장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행위는 연령, 인지된 경제상태, 운동정도, 우울,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들 중 자기효능감은 자가간호행위 예측요인으로서 설명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심장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 운동을 격려하고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를 높이며 우울을 극복할 수 있는 구체적인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도시·농촌 효과, 성별, 연령 및 교육정도가 노인의 인지언어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영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 록) 도시와 농촌이라는 거주지의 차이는 언어적 배경, 사회경제적 상태, 영양공급, 공식적/비공식적인 교육 기회, 건강관리 등의 여러 가지 면에서의 차이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따라서 노인 대상의 신경심리 검사에서 고려해야 할 변수로 이러한 거주지 및 인구통계학적 변인이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결과를 신경심리기능의 평가 장면에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농촌의 거주지에 따른 효과(urban/rural effect)와, 성별, 연령 및 교육 정도가 노인의 인지언어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인지언어과제 수행에 대한 인지기능 점수의 영향력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도시·농촌의 지역에 따른 인지 및 언어 특성의 차이 비교 결과, 도시와 농촌의 거주지 차이에 따라 노인들의 인지 및 언어 특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함께 농촌과 도시 지역 간의 도농 통합, 교통·통신의 발달로 인해 도시와 농촌간의 사회문화적으로, 지리적으로 접근성이 과거에 비해 좋아지고 교류도 많아짐에 따라 거주지 효과가 상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성별, 연령 및 교육수준이 노인의 인지언어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대면이름대기, 생성이름대기: 의미,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그림설명하기 과제의 CIU 비율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의 영향도 있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CIU 비율의 결과는 CIU 분석 방법이 주로 뇌 손상으로 인한 실어증 환자들이나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자발화를 평가하고 발화능력을 분석하는데 주로 사용된다는 점을 볼 때 신경장애 환자가 아닌 정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변별적인 영향력은 발견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문장이해력 과제에서는 주 효과 중 성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성별, 연령 및 교육수준에 따른 생성이름대기: 음소 과제의 차이를 검정한 결과에서, 주 효과에서는 성별, 나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평균을 살펴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생성이름대기: 음소 과제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고, 나이에 따른 평균을 살펴보면 65-69세가 70-74세보다 생성이름대기: 음소 과제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개인의 인지기능(K-MMSE 점수)과 인지언어과제 수행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면이름대기, 생성이름대기: 의미, 생성이름대기: 음소,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문장이해력 과제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있었다. K-MMSE 점수가 한 단위 증가할수록 대면이름대기, 생성이름대기: 의미, 생성이름대기: 음소, 숫자 바로 따라 외우기, 숫자 거꾸로 따라 외우기, 문장이해력 과제의 점수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시·농촌의 거주지에 따른 효과(urban/rural effect)가 노인의 인지언어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인구 통계학적 변인인 성별 및 연령의 변인은 노인의 인지언어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기능 점수가 높을 수록 인지언어과제 수행력도 높아지는 것으로 볼 때 인지기능이 인지언어과제 수행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The difference of residence between urban and rural has been reported, it caused gap in many aspects such as the linguistic background, socioeconomic status, nutrition, formal / informal educational opportunities, health management. Therefore, in neuropsychological tests which is targeted to elderly, understanding about the impact of residence and demographic variables are considered, and can utilize the results into the evaluation of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scene.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 effect on elderly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s from Residence (urban / rural effect) and gender, age, education level of the elderly and then find out the influence of cognitive function(K-MMSE score) on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ree follow contents. First, the comparing result of Cognitive and language characteristics by urban/rural area, there was no difference in elderly Cognitive and language characteristics which depend on residence of urban and rural area. The reason why residence effect has been offset is that Korea’s economic growth with integration rural and urban areas, also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system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socio-culturally, geographical accessibility getting better than past. Second, result of the effect of gender, age and level of education on elderly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s, there are no significant result in follow performances confrontation naming, generative naming: meaning , digits forward, digits backward, Picture Description Tasks CIU(%). This is considered to have been the influence of interaction between the variables. The method of CIU analysis usually use for assess spontaneous speech and analysis Utterance ability of aphasia patient by brain damage or dementia. Because of these aspects, it can regard hard to find significant effect follow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of CIU ratio in this study, because normal elderly was targeted. In the task of sentence comprehension, the man’s average was higher than women in gender part of main effect. generative naming follow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the result in difference of Phoneme Tasks, gender, age has been shown meaningfully in the main effect. In gender differences looking at the man has been appeared higher score of Phoneme Tasks than woman according to average of age 65-69 years old got higher score of generative naming :phoneme than 70-74 years old. Last Third, look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dividual's cognitive function (K-MMSE scores) and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s. there is a significant result in confrontation naming, generative naming: meaning, generative naming :phoneme, digits forward, digits backward, Sentence comprehension task. As the K-MMSE score increased one unit also, following performances’s score increased which are confrontation naming, generative naming: meaning, generative naming :phoneme, digits forward, digits backward, Sentence comprehension task.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the residence(urban / rural effect) is not influence on the elderly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s. but gender with age of demographic variables has effect on that. In addition, when get the higher score in cognitive function part, the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 is enhanced as much as higher with it, because of these aspects we can make conclusion that cognitive function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Cognitive·Language task.

      • 음운인식훈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인식과 단어재인 및 빠른이름대기에 미치는 효과

        김현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운인식훈련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단어재인 능력, 빠른 이름대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5세 9개월에서 6세 9개월의 다문화가정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3회, 1세션 당 40분 치료로 총 30회기를 실시하였다. 음운인식 중재 프로그램은 단어, 음절, 음소 수준으로 나누었으며 과제는 분절과 합성을 하였다. 음운인식 중재 프로그램은 음절에 대한 분절과 합성, 음절 탐지, 두운 및 각운 탐지, 두운 및 각운의 분절과 합성, 초성 및 종성 탐지, 초성 및 종성의 분절과 합성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설계는 사전, 사후 설계 법을 사용하였다. 사전, 사후에 실시한 음운인식 평가는 음절 수 세기, 같은 음절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단어 찾기, 같은 두운 및 각운으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단어 찾기, 같은 음소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단어 찾기를 실시하였고, 단어재인 평가는 1음절, 2음절, 3음절의 유 의미 단어와 무의미 단어재인을 실시하였으며, 빠른 이름대기는 숫자 이름대기, 색 이름대기, 사물 이름대기로 첫 항목에서 마지막 항목까지의 시간과 오류 횟수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운인식훈련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이 개선되었다. 둘째, 음운인식훈련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단어재인 능력이 개선되었다. 셋째, 음운인식훈련을 통해 다문화가정 아동의 빠른 이름대기 능력이 개선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미루어 볼 때, 음운인식훈련은 다문화가정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단어재인 능력, 빠른 이름대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The case study surveyed three children age from 5 years 9 months old to 6 years 9 months old from multicultural family. Each study session was composed three 40minutes sessions per week with total 30 sessions.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program was segmenting and synthesizing phonemes with word, syllable, and phonemic. Phonological awareness intervention program is segmentation and synthesizing syllable, syllable detection, alliteration and rhyme detection, alliteration and rhyme segmentation and synthesizing, syllable initial and syllable final detection, and syllable initial and syllable final segmentation and synthesizing. Experimental design used before and after control design method. Phonological awareness before and after test was composed with count syllable, finding same syllable initial or syllable final words, same phonemic initial or final. Word recognition was assessed with meaningful and meaningless one syllables, two syllables, and three syllables. Rapid automatized naming ability was evaluated with measuring time and frequency of error from first item to last item’s number naming ability, color naming ability, and object nam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Firstly, the phonological awareness was training improved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Secondly, the phonological awareness was training improved the subjects' word recognition ability. Thirdly, the phonological awareness was training improved the subjects' rapid automatized naming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