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기압에 대한 선개념과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김현영 서울교육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기압에 대한 선개념 유형과 실험 활동 중심의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정도, 그리고 개념 변화의 원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개념 변화의 과정에서 효과적인 수업의 방안과 수업의 소재를 찾아 보았다. 본 연구는 5학년 한 학급 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검사도구는 5가지 영역을 바탕으로 사전 사후 검사지를 작성하여 질문지법과 면담법을 병행하였다. 지도안은 개념 변화 수업 모형을 준거로 실험 중심의 6차시 분량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분석 방법은 과학적 용어의 사용과 과학자적 개념의 유무에 따라, 내용에 따라 유형별로 나누고 오개념과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 첫째, 공기의 무게에 대하여 일부는 과학적 개념을 가지나 공기의 무게가 있어도 가벼워서 뜨거나 바람 때문에 뜬다 등 오개념을 가졌다. 이 오개념은 공기의 무게 실험을 통하여 쉽게 개념 변화를 하였다. 둘째, 빈 공간에 작용하는 공기에 대하여 일부는 과학적 개념을 가지나 물 속에 존재하는 공기나 컵과 손으로 누르는 힘 때문으로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수업에 의해 개념 변화를 하였으나 수업 후에도 공기가 물을 끌어올린다는 오개념을 지속하였다. 셋째, 기압의 작용과 방향에 대하여 스포이트의 원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깡통실험에서는 공기가 식으면서 부피가 줄어들거나 공기가 밖으로 나가면서 생기는 압력으로 깡통이 찌그러진다고 생각하였고, 음료수를 마시는 원리에서 공기가 들어갈 수 없어서 또는 고무 마개 때문에 물이 올라오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스포이트의 원리에서는 공기가 물을 끌어 올려서 물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였다. 세 가지 활동에 대하여 수업 후 지속되는 오개념은 '공기가 식어서 활동이 작아져서', '고무마개 때문에 공기가 부족해서', '공기가 물을 잡고 있어서' 등이다. 넷째, 높은 산에 오르면 숨이 찬 이유에 대하여 공기의 부족이나 힘이 들고 바람이 불어서 등 경험에 비추어 응답하였고, 귀가 멍해지는 이유를 공기의 부족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생각하였다. 수업 후 귀가 멍해지는 이유에 대하여 과학적 개념 변화를 하기도 하지만 공기의 부족이나 기압의 증가, 바람의 영향으로 오개념을 지속하였다. 다섯째, 기압과 부피의 변화에 대하여 풍선 안 공기의 압력이 커져서 터지거나 밖이 추워서 부피가 줄어든다 등 모두가 오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수업 후 과학적 개념 변화를 하였으나 온도와 부피의 관계로 생각하거나 밖의 공기의 압력이 커서 작아진다 등 오개념을 지속하였다. 연구 결과 효과적인 수업 방안과 소재는 다음과 같다. 공기의 무게 실험은 결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나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긴 판자 실험은 신문을 접어보고 실험해 보도록 해야 한다. 수조의 물 위에 작용하는 기압의 작용 방향은 교사의 설명이 필요하며 물 컵에 종이를 씌워서 돌려보는 활동에서는 종이 대신 랩을 이용하면 기압의 작용 방향을 가시적으로 볼 수 있다. 교과서 실험 외에 스포이트의 원리, 음료수를 마시는 원리, 깡통 실험, 비닐 장갑 끼고 물에 넣기 등을 선택 학습으로 제시하면 기압 개념을 강화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he investigation of the type of preconception on atmospheric pressure under fifth grade students, to find out how to change their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ones. The study also intends to analyze the difficulties that children experience during the change of their conceptions and the reasons that misconception keep in their minds. The objects of the experiment are 30 students who are fif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To analyze the type of students' conception of atmospheric pressure, five topics are classified ; the weight of the atmosphere, the force by the atmosphere, the several phenomena of atmospheric pressure, atmospheric pressure in our daily life, the changes in atmospheric pressure on different altitudes. This study is used to qualitative analysis to categorize the type of their answer. The data are classified by the following criteria ; whether the scientific terms are used or not, and whether the concept that they have is scientific or not.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some students think that atmosphere has no weight and even if it does, it would rise upward because it is too light. Second,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that atmosphere pulls up water, water doesn't rise up because of the weight of a cup and a hand. Third, students explain the several phenomena of atmospheric pressure caused by temperature or air concerning on other objects, such as rubber cork. Fourth, students think that they feel out of breath and they can't hear sound temporally while climbing mountain because of lack of air or wind. Fifth, students have misconceptions for the changes in atmospheric pressure on different altitudes. They think that the balloon will be burst in growing pressure inside the balloon or it will become smaller in falling temperature. After the lesson they are changed such misconceptions into scientific ones. However some keep misconceptions in their minds. The reason is that concepts they have studied before brought about misconceptions that interfered with the correct concept of the atmospheric pressure. Finally, in learning the concept of atmospheric pressure, the students need to directly observe the effects of the pressures. It is especially important that teaching is not only the teacher directly talking to students but also deriving the conclusion together students. Also, lesson has to be well prepared because some students who are slower in understanding tend to cause to misconceive easily.

      • 조리 방법에 따른 채소류의 비타민 C, α-토코페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능 변화

        김현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ontents of vitamin C, α-tocopherol and total phenolic contents (TPC),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ix vegetables (bamboo shoot, cherry tomato, garlic, orange-paprika, red-paprika, yellow-paprika) by various cooking methods (boiling, broiling, pan-frying, frying, steaming, roasting, and microwave cooking).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using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Vitamin C, α-tocopherol, and total polyphenolic contents of cooked vegetables were highly affected by cooking methods, showing the range of 0.11~116.44 mg/100 g, 0.24~3.45 mg/100 g, and 2.98~24.31 μg GAE/g,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of vegetables were also remarkably changed by cooking method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and FRAP of cooked vegetables varied by 13.75~153.88 μg GAE/g, 0.02~0.78 (OD700nm), and 0.12~0.64 (OD700nm),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DPPH radical scavenging, reducing power, and FRAP) of cooked vegetabl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vitamin C, α-tocopherol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p<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otal polyphenolic content and FRAP. Among cooked vegetables, especially, boiled samples were low in content of antioxidant related compounds compared to raw samples. However, cooking methods such as fan-frying, roasting, frying, and microwave gave higher antioxidant activity in cooked vegetables than fresh sampl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n-frying and frying would be effective cooking methods to increase the contents of vitamin C, α-tocopherol, and phenolics in vegetables, resulting in increases in antioxidant activities. Keywords(핵심어): antioxidant activity, cooking methods, vitamin C, α-tocopherol, total polyphenol, retention factor, vegetable 본 연구는 7가지 표준화된 조리방법(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전자레인지)에 따른 6종 채소류(죽순, 방울토마토, 마늘, 주황 파프리카, 빨강 파프리카, 노랑 파프리카) 중의 주요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 C, 토코페롤,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능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또한 조리법에 따른 항산화 성분의 잔존율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용성 비타민 C는 7가지 조리 후 시료의 특성과 조리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죽순의 경우 생재료(8.34 mg/100 g)에서 가장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보였으며,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9.09 mg/100 g), 마늘은 볶기(0.56 mg/100 g), 주황 파프리카(86.83 mg/100 g), 빨강 파프리카(116.44 mg/100 g), 노랑 파프리카(70.38 mg/100 g)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비타민 C 함량을 보였다. 지용성 비타민 E인 α-토코페롤은 기름을 첨가하는 볶기와 튀기기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2.28 mg/100 g)에서 가장 높은 α-토코페롤 함량을 보였으며 죽순(3.10 mg/100 g), 마늘(0.94 mg/100 g), 주황 파프리카(2.81 mg/100 g), 빨강 파프리카(3.45 mg/100 g), 노랑 파프리카(2.48 mg/100 g)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α-토코페롤 함량을 보였다. 항산화 지표성분인 총 폴리페놀은 조리수를 사용하는 삶기에서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조리수를 사용하지 않고 열을 가하는 굽기, 볶기, 튀기기, 로스팅은 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죽순(23.22 μg GAE/ g), 방울토마토(3.75 μg GAE/ g), 마늘(24.31 μg GAE/ g), 주황 파프리카(5.81 μg GAE/ g), 빨강 파프리카(8.45 μg GAE/ g), 노랑 파프리카(6.61 μg GAE/ g)인 총 6종 시료 모두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채소류의 종류와 조리법에 따라 항산화능 또한 다양한 폭으로 변화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주로 삶기에서 낮아지는 반면, 굽기, 볶기, 튀기기와 같은 조리법에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력과 FRAP 또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비타민 C와 a-토코페롤은 항산화능인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 FRAP과 p<0.01의 수준에서 매우 상관관계가 높았다. 또한 총 폴리페놀과 항산화능인 DPPH 라디칼 소거능, 환원력과도 상관관계가 높았으나(p<0.01) FRAP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조리 전 후의 채소 시료의 무게 변화를 고려하여 계산한 중량가공계수를 이용한 비타민 C 잔존율은 다양한 폭의 잔존율을 보였다. 죽순은 로스팅(34.9%)에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보였으며,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1732.4%), 마늘은 볶기(113.9%), 주황 파프리카(92.0%), 빨강 파프리카 (168.1%), 노랑 파프리카(123.8%)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비타민 C 잔존율을 보였다. 방울토마토는 전자레인지(459.2%), 주황 파프리카는 찌기(97.4%), 빨강 파프리카는 로스팅(110.5%), 죽순(674.9%), 마늘(202.8%), 노랑 파프리카(118.4)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α-토코페롤 잔존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잔존율인 죽순은 찌기(90.4%), 방울토마토(113.6%), 주황 파프리카(112.3%) 는 볶기, 마늘(123.9%), 빨강 파프리카(135.0%), 노랑 파프리카(96.3%)는 튀기기에서 가장 높은 잔존율을 보였다. 비타민 C와 α-토코페롤 및 항산화 성분을 효과적으로 섭취하기 위해서 는 시료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조리법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 林風眠(1900-1991)의 藝術思想과 繪畵世界

        김현영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국내외적으로 아직까지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林風眠(1900-1991)의 회화세계를 예술사상과 삼의 과정과의 연관관계에 주목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임풍면은 격동의 近·現代 중국의 역사만큼이나 많은 굴절과 변화를 겪으며 살아간 화가이다. 그의 활동은 프랑스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여 27세의 젊은 나이에 국립예술대학의 교장이라는 중책을 맡으면서 본격화되었다. 이 시기 그는 예술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을 실현하기 위해 용맹스러운 투사와 같은 교육활동가로서, 그리고 사회현실을 고발하는 작품을 제작하는 화가로서, 전반적인 사회문제에 깊숙이 개입해 있었다. 그러나 그는 국가의 위기상황인 중일전쟁발발 이후 모든 사회활동을 그만두고 은거하였으며, 1977년에야 비로소 청년기와 같은 왕성한 열정을 회복하여 사회현실을 고발하는 창작을 계속하였다. 급변하는 시대상황에서 그가 보여준 상반되는 대응방식은 이해하기 어려운 오해를 유발 시켰으며, 이로 인해 그는 오랜 세월 외면당하고, 심지어는 잊혀진 채 지내야만 했다. 예술운동에서 발휘되었던 투사적인 열정이 1938년 이후 개인적인 차원의 창작으로 전화되는 데에는 복잡한 여러 요인 가운데 중국사회에서 인간의 존중과 자유라는 이상이 실현될 수 없다는 그의 좌절이 크게 작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는 은거생활을 통해 작가의 순수한 정서와 실제의 감정이 창작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으며, 이상실현의 좌절을 회화로써 희구 하고자 하는 노력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그의 창작에는 그가 예술운동을 추진하며 주장한 '藝術의 社會化論'과 '新藝術創造論'이라는 예술사상이 근저에 깔려 있다. '예술의 사회화론'은 서양의 문예부흥기에 신의 영광을 위해 헌신하던 神衆心의 시대를 지나 획득하게 되는 인간의 존중과 자유에서 오랜 관념과 전통에 속박된 중국 사회의 이상을 발견하여 주장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중국에서는 서양의 역사에서 발견할 수 있는 종교의 속박은 없었지만, 임풍면은 중국의 전통적인 관습과 관념을 서양의 종교와 같은 인간의 자유를 속박하는 요인으로 파악하였던 것이었다. 한편, '신예술창조론'은 작가의 순수한 정서와 실제적인 감정을 어느 것에도 제한 받지 않고 표현하기 위해 中·西의예술의 장점을 수용해야 한다는 이론으로, 두 이론 모두에서 예술을 인간의 정서감정을 표현한 것으로 파악한, 즉 예술의 본질을 전제로 한 그의 기본 입장을 파악할 수 있다. 중일전쟁기간에 형성된 그의 독자적인 화풍은 작가의 정서를 자유롭게 표현하기 위한 끊임없는 실험을 기반으로 하여, 화가들의 창작에 많은 제한이 있었던 모택동 통치하에서 오히려 정착되고 심화될 수 있었다. 우선 그는 전통 산수화의 창작방법에서 무한한 가능성을 확인하여, 이전의 사회 고발적인 제재 대신, 풍경, 미인, 정물, 꽃과 새 등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일상적인 제재에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는 발상의 전환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창작 방법은 그가 유학시절 습득한 서양 모더니즘과 전통중국회화를 연결시켜주는 결정적인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중국의 붓·먹·종이라는 매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실험도 추진하였다. 특히 '과슈'를 墨과 섞어 사용하는 기법을 계발하여 유화물감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유화, 수채화의 장점을 모두 활용 할 수 있는 기법을 창안하였다. '彩墨法'이라고 불리는 이러한 新재法은 묵과 색의 상호 배타적인 관계를 불식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임풍면은 또한 종래의 입축, 횡권의 화면형식을 과감히 버리고 정방형의 화면형식을 선택하여 독자적 회화양식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그의 이러한 제재, 매제, 양식의 독자적 개발은 화가로서의 투철한 실험정신을 보여주는 작업이었으며, '林風眠畵風'으로 알려진 양식의 주된 특징이다. 이러한 양식적 특징이 형성되는 제 2기(1938-1940년대)와 이러한 화풍이 정착되고 심화'되는 제 3기(1950년대-1977)의 작품은 몇 십 년간 서양의 형식 규율을 참고하면서 전통문인화의 정서와 형·색의 관계를 종합하여 자신의 올 적하고 고독한 심정을 반영하는데 적합한 새로운 심미체계를 형성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반면, 제 4기(1977-1991)의 작품은 1977년 이후 그가 처한 환경의 변화가 반영되어 40여 년간 축적한 완숙한 기법을 기반으로 순수한 표현 욕구가 강렬하게 표현되었다. 여기에는 강렬한 색과 역광, 급속한 움직임의 리듬 등을 운용한 대담함과 자유분방함이 돋보인다. 특히 이 가운데에는 이미 1940년대에 자기화 되였던 서양모더니즘과 전통회화가 융합된 기법으로 제작된 작품이 상당수 존재하며, 사회현실을 제재로 삼은 작품들도 재창작되었다. 이 시기의 작품이야말로 그가 진정으로 추구한 작가의 자유로운 표현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中國 近·現代史에서 임풍면이 차지하는 의의를 서양미술 도입기에 서양미술을 적극 수용한 의의에 주목하고 있다. 임풍면이 徐悲鴻, 劉海粟과 같은 시기 외국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미술교육에 종사하며, 화단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임풍면이 일생동안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창작한 작업이 중국의 전통에 서양미술을 수용하고자 하는 '中·西 藝術의 융합'은 아니었다. 그는 감정의 자유로운 표현이라는 예술의 본질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中·西 藝術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들의 장점을 자신의 회화형식에 활용했을 뿐이다. 그는 한창 논란이 되였던 '인류를 위한 예술', '예술을 위한 예술'도 거부하고 '회화는 회화일 뿐'이라고 진술했다. 그는 '진실한 미의 표현'을 주장하고 '자연의 아들이 되라'고 강조하였다. 그는 순수한 느낌을 자연과 같이 있는 그대로 생동감 있게 표현하려고 부단히 노력한 화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시대의 제약을 초월해서 자신의 예술에 대한 성패를 묻지 않았고 득실을 따지지 않았으며, 일생동안 자신의 새로운 예술적 탐식만을 자신의 일로 알고 걸어간 진정한 예술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Lin Fengmian's art theory and his paintings have been investigated considering his life in turbulent modern Chinese history. Lin Fengmian, one of the most outstanding artist in the modern Chinese art history, started his life as an artist in China when he was just twenty seven years old, returning from France to be the director of the Chinese National Academy of Art. His activity was mainly concentrated on the educational and social aspect of the art, until the war with Japan had been broken. It was 1977 when he started his work again maintaining his former view and art theory. But his alternating attitude toward the turbulent era, e.g. communization of China, culture revolution in China at 1960, sometimes led to misunderstandings of his originality as an artist, which in turn made him nearly forgotten artis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lluminate Lin's art theory and his paintings considering his life and thought in alternating turbulent era of modern China. Lin's art theory could be well described in two phrase, namely, 'Yesul-Sahoihwa (藝術社會化論)' and 'Sin-Yesul-Changso(新藝術創造論)'. The principle 'Yesul-Sahoihwa (藝術社會化論)' was based on the humanism which was derived from Western Europe. Lin tried to improve the Chinese society by breaking the traditional view of China with this theory. He believed that the traditional view of China was lack of freedom and his new theory could help to overcome those problems. 'Sin-Yesul-Changso (新藝術創造論)' can be summarized to the synthesis of the advantages of Chinese and Western style of art. In this theory, he impacted the fact that the painting should be expressed of ones free feeling and should reflect his pure emotion. Those two theories commonly stressed on the fact that the art is an expression of the human emotion which denotes the originality of Lin's thought. He tried in his paintings to express his emotion through the articles such as scenary, woman, flowers, which can be easily observed in common environment. This kind of idea made it possible to connect the Western art to the traditional Chinese art. He also tried to overcome the limit of painting materials through synthesizing the materials for Western and Chinese art. Through such an experimental methode, Lin won the great reputation as an artist. One can divide Lin's life in 4 periods considering the history of modern China. His theory and corresponding paintings was formed in the 2nd period of his life(1938-1949) and had been completed, and also had been enlarged in the 3rd period(1950-1977). In both periods he found and formed an appropriate aesthetic thoughts to express his own emotion of loneliness as well as sadness. However, his paintings in the 4th period(1977-1991) showed quite different view than the former works which resembled rather the works from the 1st period in originality. The works from the 4th period could be expressed as the real masterpiece of his painting, because they reflect Lin's whole thoughts and theories almost perfectly. In many cases, Lin Fengmian was known as an artist who tried to import the Western art to China like the other artists did at that same era. But with his theory, he just tried to collect the advantages of Western and Chinese art which slightly deviate from the view of importing Western art. His works should be illuminated with his original thoughts described above. He emphasized the pure mind of painting and it was his ultimate goal. In his paintings, it had been well described what he had thought, what he wanted to say. Lin Fengmian, who had sought the ultimate goal of art through his whole life, could have won the high reputation as a real artist.

      • 웰드라인을 가진 사출 성형품의 구조 설계 방법론 개발

        김현영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스틱을 활용한 제품 생산이 증가하면서 재질 특성에 따른 기계적 강도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대표적 열화현상인 웰드라인으로 인한 국부적인 기계적 강도 저하로 제품 불량이 발생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서는 실험적 방법으로 웰드라인의 강도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강도 저하 수준를 예측하는 연구가 있었지만 제품 설계 단계에서 예측하고 보완 할 수 있는 방법적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출 성형 공정에서 웰드라인의 경계면에서 나타나는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를 알아보았다. 수지 온도와 금형 온도, 보압, 접촉 시간 중에 수지 온도가 웰드라인의 기계적 강도 저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금형 온도도 영향이 있지만 실제 적용 가능한 온도 범위 내에서는 영향도가 무시할 만 하였다. 플라스틱 재질의 연성과 취성 특성을 모두 고려한 기계적 물성 저하 판단기준으로서 인성을 선택하여 재질 구분 없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규격 시편의 인장시험을 통해 수지 온도에 따른 weldline factor를 확산 이론을 기반으로 한 sigmoid 함수로 근사화하여 ABS 재료와 PS 재료의 기계적 물성 저하를 위한 식을 각각 도출하였다. 해당 식을 적용하여 실제 제품과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로써 제품 설계 단계에서 웰드라인 강도를 고려한 구조해석을 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 도시공원 정체성 확립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창원시를 중심으로

        김현영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창원시를 비롯한 대부분의 지방도시의 경우 도시공원에 있어서 도시자연공원의 비중이 높은 것을 조사를 통해서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도시민이 실질적으로 이용하는 도시자연녹지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도시민이 일상생활에서 영위하는 근린공원, 주제공원 등에 대한 정비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시공원에 대한 정책은 시정부차원의 마스터플랜(기본계획)의 수립을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창원시를 비롯해서 지자체를 쾌적하고, 특성화 시키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도시공원의 다양화가 필요하며 이는 도시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생활의 영위와 지역경제를 이끌어가는 기업 모두를 위한 전략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국내외 도시공원의 사례와 현황을 바탕으로 도시민의 건강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물리적 환경측면의 계획 및 정책이 다양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삶의 질을 충족하기 위한 수단인 도시공원정비는 매우 중요한 입지에 있다고 하겠다. 물론 양적으로 풍부한 도시공원도 중요하지만, 지역의 특색을 반영할 수 있는 공원을 조성함으로서 도시민이 자주 이용하고 즐길 수 있는 공원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며, 본 연구에서 살펴본 다양한 주제공원의 특색을 지자체에 적용한다면 도시공원으로 인한 파급효과가 클 것을 보인다. 특히, 다양한 주제공원의 조성은 도시를 살아가는 다양한 계층을 위한 도시정책의 일환이며 이에 대한 수요파악이 중요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한계적으로 사례와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쳐 실질적으로 주민이 원하는 도시공원의 상과 개발 방향에 대한 모색이 부족하였으며, 향후 정책반영을 위해서는 이러한 선행 작업을 실시하여 보다 실질적인 연구가 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또한 기본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물리적인 측면에 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논문이 진행이 되어 현재 정부에서 추진하는 녹색성장과 지자체별로 많?관심을 두고 있는 도시재생과 건강도시 등의 새로운 개념의 도입에 대한 고찰이 부족한 점이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도시환경 요인으로서의 도시공원을 접근하였다는 한계가 있다고 하겠다. 향후 본 연구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주민조사를 통한 계획의 신뢰도를 높이고 국내 도시공원과 관련된 정책의 모색이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park-green in Changwon, searches for the problems and gropes the green policy for a sustainable urban park. The problems of urban park-green in Changwon is greatly two. The first, those of production, use of urban park-green. The second, those of the policy(management) of urban park-green. In order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of the green policy for a sustainable urban park. The enlargement of total amount of urban park-green. The establishment of urban park-green network. The improvement of necessary law and institution for these. The green insurance through a citizens' participation.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the open space policy which has focused on official urban parks under the urban planing law and the urban park law. First, they recognize the roles of open spaces as residents' emotion purification(psychologistic utility) and environment preservation. Secondly, they have used the open spaces for psychologistic, emotional consolation, such as, liberation sentiments, clear airs and natural scenes, rather than a social purpose, such as, sports, recreations, games and friendly relations. Finally, they prefers near community open spaces, though a small, natural and naive one to remote huge ones with many artificial facilities. Hence, th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a sustainable open space policy based on the residents' cognitions and needs with local characteristics such as nature, history and culture.

      •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현황 및 요구도 분석

        김현영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현황 및 요구도 분석 김 현 영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 전공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의 보수교육을 제외한 현직교육의 현황과 요구를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직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직 교육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현직교육 내용에 대한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재수준과 요구도는 영아반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영아반을 담임하고 있는 최소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교사 186명이다. 1년 이상 근무 경력이 있는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이유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연중 보수교육을 이수한 교사들이 이외에 어떠한 현장 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직 교육 현황을 살펴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결과 현직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영아반 교사는 연구대상의 75.3%로 대부분의 영아 보육교사들이 현직연수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육에 교육내용과 실시방법에 대한 결과에서는 52%가 자신들의 요구에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교육 실시 방법 측면에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이유로 대집단 위주의 교육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론 중심 교육 방법이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많았다. 넷째, 교육일정 및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는 응답이 많았다. 다섯째, 현직교육에서 가장 많이 받았던 교육내용은 영아와의 상호작용이었고 현직교육을 가장 많이 받은 기관으로는 보육정보센터의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반 보육교사의 현직 교육에 대한 요구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다수의 교사들이 원하는 현직 교육의 횟수는 6개월마다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48%였고 1년마다 실시해야 한다고 답한 사람은 29%였다. 교육받기를 원하는 시간은 1∼5시간 65%, 6∼10시간이 27%로 나타나 1∼5시간을 가장 많이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직교육 시 희망하는 강사진으로는 아동발달 및 심리학 박사와 영아담당 경력교사 27%로 가장 높고, 영유아관련학과 교수 17%, 영아담당 보육시설장 14%, 교사연수를 주간하는 행정부서를 주관하는 곳으로는 보건복지부, 보육정보센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보육에 대한 기초적 이해, 영아를 위한 보육 과정, 영아의 바람직한 행동지도,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영유아의 건강 영양 및 안전, 영아 관찰 및 평가, 가족 및 지역사회협력, 교사의 전문성 전체적으로 요구수준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반적인 내용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요구를 나타냈다. 보육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현직 교육에 내용에 대한 현재수준 및 요구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기관유형, 경력, 최초 자격증 경로 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가장 현재 수준이 높은 어린이집 형태는 국공립 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 가정어린이집 순으로 나타났다. 요구 수준의 교육과정 내용을 살펴보면 국공립 어린이집의 경우 영아보육의 대한 기초적 이해, 영아를 위한 보육과정, 영아의 행동지도로 국공립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장어린이집의 경우 영아와 교사의 상호작용, 영양 및 안전, 영아관찰 및 평가, 가족 및 지역사회협력, 교사의 전문성으로 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어린이집의 현직교육에 대한 현재수준과 요구수준이 제일 낮게 분석되었다. 경력변인에서는 교사 경사 경력에 따른 현재 수준은 경력이 높을수록 영아를 위한 보육과정, 영유아의 건강․영양 및 안전에서 현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 교사경로에 따른 학력에 따른 교육내용에 대한 현재 수준과 요구 수준이 전반적으로 4년제 대학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이버 보육교사교육원이 제일 낮게 나타났다. 지금까지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현직교육에 대한 현황은 높은 수준의 요구에 비해 현재수준은 미흡하다고 볼 수 있었다. 참여 교사들 중 직장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들의 현재수준과 요구수준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교사 배경변인에 따라 현직교육에 대한 현황과 요구도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보수교육을 제외한 현직교육 현황과 요구도를 파악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영아반 교사들의 배경변인과 기관 유형에 따라 현직교육의 요구도를 제시함으로써 교사들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현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Al소재를 이용한 초소형 전기자동차 프레임 경량화에 대한 연구

        김현영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Lightening is a very important issue for micro electric cars. It can be said that lightening is an essential factor in order to secure safety and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while being legally regulated for weight. The development of micro electric car frames of lightweight models using aluminum materials with stiffness that can replace existing steel materials is an essential research for the automobile industry and related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profiles of various shapes and focused on unit weight and moment values, and conducted a profile cross-sectional design made of aluminum material to secure stiffness compared to steel. Based on the conceptually designed model, 2d production drawings and 3d modeling were created, and structural analysis of bending/torsion stiffness was conducted using the corresponding modeling to perform primary verification on the design. Extrusion and bending molds were manufactured for prototype, and a prototype was manufactured with extrusion materials, and the analysis results and stiffness were finally verified through bending/torsion stiffness tests using actual car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first verification. 초소형 전기자동차에 있어서 경량화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중량에 대한 법적 규제를 받으면서도 안전과 편의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량화가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Steel 소재를 대체 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진 Aluminum 소재를 이용한 경량 모델의 초소형 전기자동차 프레임 개발은 자동차 산업 및 연관 산업에 꼭 필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상의 프로파일을 비교하며 단위 중량과 단면 2차 모멘트 값을 중점적으로 계산하여 Steel 대비 강성 확보를 위한 Aluminum 소재의 프로파일 단면설계를 진행 하였다. 개념 설계한 모델을 바탕으로 2D 제작도면 및 3D 모델링을 작성하였고, 해당 모델링을 사용하여 굽힘/비틀림 강성에 대한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설계에 대해 1차 검증을 하였다. 시제품 제작을 위하여 압출 금형 및 밴딩 금형을 제작 하였고, 압출소재로 시제품을 제작하고 1차 검증 시 의 구조해석과 같은 조건으로 실차를 이용한 굽힘/비틀림 테스트를 통해 해석 결과 및 강성 확보를 최종적으로 검증하였다.

      • 녹차와 홍차의 항산화와 간기능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김현영 圓光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녹차와 홍차를 소재로 성분분석과 항산화, 간기능 개선 및 항섬유화 효과를 in vitro와 in vivo에서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녹차의 성분 중 수분, 조회분, 총질소는 3.59 ± 0.17%, 5.30 ± 0.11%, 4.57 ± 0.11%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은 32.8131 mg/g, 타닌, 카페인은 각각 17.58 ± 0.12%, 2.51 ± 0.21%, 카테킨류 (+)-C, (-)-EC, (-)-ECG, (-)-EGC, (-)-EGCG는 0.93 ± 0.15%, 0.70 ± 0.07%, 1.53 ± 0.14%, 1.70 ± 0.16%, 6.82 ± 0.86%이었다. 홍차의 성분 중 수분, 조회분, 총질소는 3.41 ± 0.21%, 5.40 ± 0.21%, 4.05 ± 0.23%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은 30.0329 mg/g, 타닌, 카페인은 각각 18.21 ± 0.21%, 2.11 ± 0.14%, 카테킨류 (+)-C, (-)-EC, (-)-ECG, (-)-EGC, (-)-EGCG는 0.26 ± 0.03%, 0.38 ± 0.07%, 0.84 ± 0.15%, 1.00 ± 0.17%, 3.53 ± 0.53%이었다. 2. 항산화 효과를 검색한 결과에서 hydroxyl radical 소거능 효과는 미비하였으나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SC_(50)은 녹차 추출물 2.85 ㎍/㎖, 홍차 추출물 6 ㎍/㎖로 강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고, 간 조직 중 MDA 측정결과 모든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뚜렷한 항산화 효과가 있었다. 3. 녹차와 홍차 추출물을 간세포에 처리하여 미토콘드리아에 대한 독성 유무를 관찰한 결과 녹차와 홍차 추출물 모두 100, 250, 500, 750 ㎍/㎖ 농도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고 신장세포에서는 녹차 추출물은 100, 250 ㎍/㎖에서 홍차 추출물은 100, 250, 500, 750 ㎍/㎖ 농도에서 10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냈다. 4. 간손상을 유도한 랫드에 대한 녹차와 홍차 실험군 Ga(6 ㎎/rat/day), Gb(12 ㎎/rat/day), Ba(5 ㎎/rat/day), Bb(10 ㎎/rat/day)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간 무게/체중 비, 혈청 중 AST, ALT, ALP, BUN, LDL-C, 간 조직 중 hydroxyproline의 개선 경향과 간 조직 손상 보호 등의 결과로 보아 녹차, 홍차 추출물이 간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홍차군에서는 신장 무게/체중 비와 BUN 결과로 미루어 보아 신기능의 보호 효과가 추정되었다. 5. 간 조직학적 관찰에서 실험군 Ga, Gb, Ba, Bb에서는 지방적이 적게 관찰되었고, 간세포의 괴사가 약하게 일어났으며, collagen fiber bundle은 얇고 portal-portal septum은 형성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녹차와 홍차 추출물은 DPPH 소거활성 증가와 MDA 생성 억제에 의한 항산화 효과에 의해 세포독성을 억제시키며, 랫드에 CCl₄를 투여하여 간과 신장의 지질과산화에 의한 독성 유도시 간 무게/체중 비, 혈청 중 AST, ALT, ALP, BUN, LDL-C, 간 조직 중 hydroxyproline의 개선 및 콜라겐 축적 억제, 간 조직 손상 보호를 통해 간기능 개선과 항섬유화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홍차 추출물은 신장 무게/체중 비와 BUN 개선에 따른 신기능의 보호 효과가 기대되었기에 향후 체계적인 생리활성 검색과 활성물질 규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it was primaril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the cell viability effect of extracts from green and black tea. Moreover, the liver function of CCl₄ intoxicated rats was assess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confirmed by using DPPH and hydroxyl radical assays. The chang cell and vero cell lines were used for cell viability assay by MTT assay and sirius red or formazan staining. The sprague dawley femal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 to 6 groups: control, CCl₄ group, CCl₄ with high or low dose water extracts from green and black tea group(Ga: CCl₄ +6 ㎎/rat/day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treated to rats, Gb: CCl₄ +12 ㎎/rat/day water extract from green tea treated to rats, Ba: CCl₄ +5 ㎎/rat/day water extract from black tea treated to rats, Bb: CCl₄ +10 ㎎/rat/day water extract from black tea treated to rats). After 3 weeks of treatment, the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organs (liver and kidney) were weighed and the organ weight : body weight ratio was calculated. The activities of several liver enzymes(AST, ALT, ALP) and the levels of BUN, creatinine, HDL-C, LDL-C, albumin, hydroxyproline and MDA(malondialdehyde) were determined from the samples(organs & serum) collected from the animals. Hematoxylin & eosin and masson’s trichrome method was carried out on a piece of liver tissue to see any morphological changes.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bilities of each sample ten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degree of the sample concentration. The SC_(50) values of water extract from green and black tea to DPPH radicals were 2.85 and 6 ㎍/㎖, respectively. The SC50 value of hydroxyl radical of water extracts were 502 and 370 ㎍/㎖, respectively. The green and black tea showed higher cell viability by MTT assay. The liver weight : body weight ratio of group Ba and Bb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Cl₄ group(control). The levels of AST, ALT of serum and MDA of liver were dramatically reduced in the presence of green and black tea(Ga, Gb, Ba and Bb) compared to control. And the ALP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Gb, Ba and Bb, the BU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Ga, Ba and Bb than control. The level of LDL-C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a. In histology, we observed weak inflammation and fibrosis in the presence of green and black tea, whereas CCl₄ group showed the formation of septum and massive bile duct prolif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of green and black tea were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ies and improvement of liver fun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