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어 문장부사 연구

        김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본고는 합의되지 않은 문장부사의 개념을 정의하고 국어 문장부사를 통사ㆍ의미적인 특징에 따라 하위 분류한 뒤 전체 목록을 제시하고 이들이 가지는 의미ㆍ화용론적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장에서는 국어 문장부사에 대하여 살펴본 기존의 연구들을 정리하고 선행 연구들이 갖는 문제점을 확인하였다. 2장에서는 국어 문장부사의 분류를 전개하기에 앞서 문장부사가 수식하는 대상을 한정하고 문장부사의 정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했던 문장부사의 판별 기제들을 살펴보고 그중에서 유효한 것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국어 문장부사를 분류하였다. 국어 문장부사는 명제 차원을 수식하는 명제부사와 발화 행위를 수식하는 화행부사, 그리고 문장이나 담화 상황과 문장을 잇는 접속부사로 나눌 수 있다. 명제부사의 경우 다시 양태부사와 평가부사로 나뉘는데 양태부사는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협의의 양태 개념을 지닌 1차적 양태부사와 이에 추가적인 의미가 덧대어진 2차적 양태부사로 나눌 수 있는 것을 보았다. 평가부사의 경우 명제에 대한 화자의 감정적인 평가를 내리는 것으로 국어에서는 부사형 어미가 활발히 사용되기 때문에 다소 적은 수로 존재한다. 화행부사는 발화 행위를 수식하는 부사이며 그 중점이 어디에 놓여있냐에 따라 화자중심부사, 청자중심부사, 발화형식중심부사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속부사의 경우 기존의 명제와 명제를 잇는다는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담화 상황과 명제를 잇는 것까지를 접속부사라 보았다. 명제와 명제를 잇는 부사를 1차적 접속부사, 담화 상황과 명제를 잇는 부사를 2차적 접속부사로 보았다. 4장에서는 문장부사 중 몇몇의 의미ㆍ화용론적인 특징을 확인하였다. 우선 명제부사가 초점사로 기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조건의 연결어미와 호응을 필수로 요하는 부사가 접속부사로 분류될 수 있는 당위성을 살폈다. 그리고 2차적 접속부사 중 그동안 담화표지로 집중되지 않았던 부사들이 ‘화제 전환’의 기능을 하는 담화표지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을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5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남은 문제를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sentence adverbs and to suggest the entire list of sentence adverbs after subclassifying Korean sentence adverbs according to their syntactic-semantic features. Chapter 1 arranged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was conducted on Korean sentence adverbs and identified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study. Chapter 2 deals with the subjects that sentence adverbs modify. Moreover, it proposed the definition of sentence adverbs in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study reveals the differentiation mechanisms of sentence adverbs which were suggest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and demonstrated vaild subjects among them. Chapter 3 classified Korean sentence adverb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propositional adverbs which modify propositional aspect, speech-act adverbs which modify the speech-act, and conjunctive adverbs which connect propositions and their discourse situation. In the case of propositional adverbs, they can be divided into modal adverbs and evaluate adverbs. The former express the attitudes of speakers about the proposition, and these can be divided into primary modal adverbs which have the concept of modality with discussion and the secondary modal adverbs which have an additional meaning beside it. The latter, the evaluate adverbs are used for the speaker to make an emotional evaluation about the proposition. In the case of the speech-act adverbs, they modify the speech-act. These adverbials can be classified into speaker-oriented adverbs, hearer-oriented adverbs and speech-act form-oriented adverb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its central point. Finally, conjunctive adverbs connect not only the propositions but discourse situation and the propositions. The primary conjunctive adverbs can connect the propositions, while the secondary conjunctive adverbs connect the discourse situation and the propositions. The semantic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of some of the sentence adverbs were examined in chapter 4. The propositional adverbs are identified that it can function as focusing articles. and adverbs that concord with conditional connnective endings should be classified as the conjunctive adverbs.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adverbs which had not been regarded as discourse markers can function as a discourse markers which can 'switch a topic'. In the end, the chapter 5 summarized the discussion of the research and proposed the remaining issues.

      • 성인전기 자존감 다중 변화궤적 잠재계층에 따른 성인중기 전환기 우울

        김현아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성인전기 자기존중감 발달에서 다중 변화궤적을 보이는 이질적인 잠재계층 집단들을 확인하고 각 잠재계층이 어떠한 발달양상을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각 집단의 개인 내 변화에 따라 장래 즉, 성인중기 전환기의 우울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검증하여 성인전기 자존감 발달의 집단별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의 1976년생 패널의 1차년도 2006년도부터 11차년도 2016년도까지 총 10개 시점 동안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잠재계층 성장분석을 통해 성인전기 자기존중감에서 다중 변화궤적을 보이는 3개의 이질적인 잠재계층 집단이 확인되었다. 수준과 변화율을 고려하여 ‘고자존감-상승 후 하강군’, ‘중자존감-무변화군’, ‘저자존감-무변화군’의 3개의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개인 내 변화를 보여주는 3개의 잠재계층 간 우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 변량 분석을 진행한 결과, 3개의 잠재계층 집단은 성인중기 전환기의 우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별된 잠재계층 3개의 집단은 ‘고자존감-상승 후 하강군’, ‘중자존감-무변화군’, ‘저자존감-무변화군’ 순서로 우울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고자존감-상승 후 하강군’ 은 ‘중자존감-무변화군’, ‘저자존감-무변화군’ 과 비교하여 우울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자존감-무변화군’과 ‘저자존감-무변화군’ 은 서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존감의 수준과 안정성을 고려하여 자존감 발달에서 상이한 발달양상을 보이는 각 잠재계층을 변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다중 변화궤적이 확인된 점은 각 잠재계층별로 자존감을 증가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별된 상담 및 치료적 개입이 고려되어야 하며, 각 잠재계층에 맞는 적절한 치료적 개입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classes that show the multiple change trajectories of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early adulthood and identified that the differences in depression among the latent classes of self­esteem in the mid­life transition. Longitudinal data came from ten wave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KWPS, 2006­2016), this study used a 121 adulthood who born in 1976.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latent growth mixture model analyses indicated three different latent classes: The first, high self­esteem but decrease after increase, second, moderate self­esteem and no change, third, low self­esteem and no chang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ndicated first latent class that high self­esteem but decrease after increase showed lower depression in the mid­life transition than the other latent class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pression between the second latent class that moderate self­esteem and no change and third latent class that low self­esteem and no chang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was distinguished each latent classes with different developmental patterns in self­esteem development considering the level and stability of self­este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iated counseling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that increase self­esteem and reduce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for each latent classes, and needed to provide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each latent classes.

      • 인터넷전문은행의 통합기술수용요인과 정보기술적합도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혁신저항 및 신뢰를 중심으로-

        김현아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9

        The number of users using Internet-primary banks will increase as the era of Untact due to COVID-19 an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gin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demonstrate whether the profit, usefulness, ease of us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of using Internet banks reduce resistance to Internet banks using the latest information technology and whether they improve the continuous intention to use Internet banks in trust.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identify and analyze the impact of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et-primary bank and the users' Task-Technology Fit of the bank-information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fter setting up a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formance expectancy for Internet-primary bank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in Internet-primary banks and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From these results, the belief or expectation of the work speed, productivity and usefulness of the Internet-primary bank will affect the trust in the safety and security of the Internet-primary bank. Such a performance expectancy of Internet banks also has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nternet banks without interrup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ort expectancy for Internet-primary banks had a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to Internet-primary banks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rust.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effort expectancy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directly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other words, it was analyzed that the effort expectancy for Internet-primary ban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through innovation resistance and trust. As such, the higher the effort expectancy of Internet-primart banks, the more trust they have in Internet-primary banks, and the less innovative resistance they have, which can be seen as having a positive effect on their desire to continue using Internet-primary banks. Third, the facilitating conditions for Internet-primary bank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innovation resistance to Internet-primary banks and had a positive impact on trust. In addition, the facilitating condition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other words, the facilitating conditions of Internet-primary bank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rough innovation resistance and trust. From these findings, the more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for Internet-primary banks are available, the more secure they feel about Internet-primary banks, and the less resistance they have to technology, which means a positive impact on the use of Internet bank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echnology characteristics and Task-Technology Fit of Internet-primary bank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of Internet-primary banks. From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analysis, technology characteristics such as real-time high-efficiency service, strong security, and provision of step-by-step services of Internet-primary bank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nd the Task-Information Technology Fit that is suitable and easy for deposit and withdrawal of Internet-primary banks also means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이 놀이치료 기대에 미치는 영향

        김현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ren and stigma for play therapy on their expectations for play therap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Are there any significant gaps among mothers in mother's parenting stress, fear for stigma for play therapy and expectations for play therapy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nd their children's play therapy experience? 2. What is the relative impa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tigma of play therapy on their expectations for play therap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mothers whose children are attending six different daycare centers and children are clients at 10 different child counseling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ll their children are at the age of 3, 4 and 5.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mother's parenting stress, fear for stigma of play therapy and expectations for that. The answer sheets from 353 respondents were gathered, and the analyzable answer sheets from 325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WIN 12.0 was employed,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mothers in mother's parenting stress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and play therapy experience. Those whose children were at the age of 5 suffered more stress than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 the age of 3, and the mothers whose children ever received play therapy were more stressed out than the others. The mothers' fear for stigma of play therap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their own age and children's play therapy experience. The mothers whose children were at the age of 5 were more concerned about stigma, and those who were under the age of 30 were less worried than the older mothers. The mothers whose children didn't receive play therapy were less concerned about that. And they had different expectations for play therapy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gender and play therapy experience. Those who had boys had higher expectations than the mothers who had girls, and the mothers whose children ever received play therapy expected more from play therapy than the others. Second, regard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fear for stigma of play therapy on expectations for play therapy, wanting secrecy of therapy had the largest impact on their expectations, followed by societal stigmatization,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the parental distress. In terms of the credibility of therapy, wanting secrecy of therapy exercise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confidence in play therapy, followed by societal stigmatization and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Their expectations for child improvement was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and secrecy of therapy. Their expectations for parental involvement was most affected by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followed by the parental distress and societal stigmatiz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ed to identify the expectations of mothers for play therapy and related variable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provide some information on ways of improving a mother-child therapeutic bond and the performance of counseling and on effective counseling strategy setting.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이 놀이치료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 및 기대는 인구통계학적 변인과 자녀의 놀이치료 경험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이 놀이치료 기대에 미치는 상대력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를 전체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 치료의 신뢰, 아동 향상, 부모 참여로 세분화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에 소재하는 6개의 어린이집과 10개의 아동 전문 상담 기관에 내담자로 있는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된 353부 질문지들 중 자료로서 유효한 325부 만을 가지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연령과 놀이치료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 5세 유아의 어머니가 만 3세 유아의 어머니 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가졌으며, 놀이치료 경험이 있는 어머니가 없는 어머니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은 유아의 연령과 어머니의 연령, 유아의 놀이치료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만 5세 유아의 어머니가 만 3, 4세 유아의 어머니 보다 사회적 낙인을 높게 지각하였고, 어머니의 연령이 30세 미만인 경우 30세 이상의 어머니들에 비해 낙인을 덜 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치료 경험이 없는 어머니의 낙인 염려가 경험이 있는 어머니 보다 덜 하였다.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는 유아의 성별과 놀이치료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남아를 둔 어머니가 여아를 둔 어머니 보다 더 높은 기대를 가졌으며, 놀이치료 경험이 있는 어머니의 기대가 경험이 없는 어머니에 비해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놀이치료에 대한 낙인이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놀이치료 받는 것에 대한 비밀 유지, 사회의 부정적 인식, 부모-자녀 간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부모의 고통 순으로 나타났다. 놀이치료에 대한 신뢰에서는 놀이치료 받는 것에 대한 비밀 유지, 사회의 부정적 인식, 부모-자녀 간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치료를 통한 아동 향상에 대한 기대는 부모-자녀 간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 놀이치료 받는 것에 대한 비밀 유지가 영향을 미치며, 부모 참여에 대한 기대에는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상호작용, 부모의 고통, 놀이치료와 내담자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 인식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놀이치료에 대한 기대와 관련된 변인들을 알아봄으로서 어머니의 특성을 이해하고 놀이치료에서 유아의 어머니와 치료동맹을 증진시키고 상담 성과를 높이며 효과적인 상담 전략을 세울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3-브로모피루브산의 프리포뮬레이션 연구 및 제형화 연구

        김현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Chapter 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formulation of a new drug entity, 3-bromopyruvic acid, through preformulation and formulation studies. 3-Bromopyruvic acid targets cancer cells inhibits ATP synthesis, induces apoptosis, and is known as a metabolic anticancer drug with fewer side effects. In this study, in silico software, solubility and stability analyses were performed to secu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ctive ingredient, and thermodynamic analysis was performed with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and thermogravimetric analyzer. As a result, 3-Bromopyruvic acid was confirmed as a compound with a Log P of -0.03, Log S of -0.2606, MR of 25.73 cm³/mol, boiling point of 260.63°C, melting point of 120.25°C, critical temperature of 466°C, critical pressure of 61.75 Kgf /cm2, Gibbs energy of -484.13 kJ/mol, pKa of 1.698, Heat of Form of -541.77 kJ/mol, tPSA of 54.37 Å, Clog P of -0.991, and CMR of 2.5703 cm³/mol. Based on the preformulation values, 3-bromopyruvic acid was predicted to be a drug with a low in vivo oral absorption rate and stability to temperature, thermodynamically unstable, but high solubility.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optimal formulation of 3-Bromopyruvic acid was considered as an injection. Liquid and lyophilized injections were prepared, and formulation feasibility studies were performed through a stability test for 8 weeks. The occurrence of impur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lyophilized injections compared to liquid injections. Based on these results, 3-bromopyruvic acid as a metabolic anticancer drug was showed the feasibility of formulation as a lyophilized injection. Chapter 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mmediate release formulation through drug repositioning of the existing drug Napamostat mesylate injections. Napamostat is a serine protease inhibitor and is known to be a drug that exhibits efficacy in inhibiting the TMPRSS2 protein enzyme activity of the COVID-19 virus. The preformulation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 optimized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formulation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apamostat interacts with excipients with high pH, and based on this, formulation studies were performed. It was intended to select a stable formulation through comparative evaluation by manufacturing a wet granulation process and a direct tableting process formulation. Also, the QbD approach was used to solve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formulation research process. As a result, Compared to the wet granulation process, the occurrence of impuriti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rect tableting process. The prepared immediate-release tablet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nafamostat injection through monkey PK study,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pared immediate-release tablet was more dominant. Chapter 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st method for impurities in tianeptine sodium sustained-release dual-layer tablets with reference to EP (European Pharmacopeia). Impurities of tianeptine sodium were analyzed using column C18 according to gradient conditions with methanol, acetonitrile, and buffer solution. 0.5 mol/L sodium sulfate was used to prepare standard and sample solutions to dissolve HPMC, which is a hydrophilic matrix base applicable as a GRDDS and delayed release of drugs. A method for preparing a sample solution in impurities was established through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stress test as three methods (shaking, stirring, sonication) in 25℃/60% RH, 60℃/95%RH. Based on the ICH guidelines, standards were established about individual impurities, unknown impurities, and total impurity. 제 1장 본 연구의 목적은 프리포뮬레이션 및 제형화 연구를 통해 신약인 3-브로모피루브산의 제형 개발 가능성을 입증하는 것이었다. 3-브로모피루브산은 암세포를 표적으로 ATP 합성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대사항암제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In silico 소프트웨어와 용해도, 안정성 시험을 진행하였고, 열역학적 분석은 시차주사열량계 및 열중량분석기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3-브로모피루브산의 Log P는 -0.03, Log S는, -0.2606, MR은 25.73 cm³/mol, 끓는점은 260.63℃, 녹는점은 120.25℃, 임계온도는 466℃, 임계압력은 61.75 Kgf/cm2, 깁스에너지는 -484.13 kJ/mol, pKa는 1.698, Heat of Form는 -541.77 kJ/mol, tPSA는 54.37 Å, Clog P는 -0.991, CMR은 2.5703 cm³/mol으로 확인되었다. 프리포뮬레이션 값에 근거하여, 3-브로모피루브산은 생체 내 경구흡수율과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낮고, 열역학적으로 불안정하지만, 높은 용해도를 지닌 약물로 예측되었다. 이를 통해, 3-브로모피루브산의 최적 제형은 주사제로 선택되었다. 액상 및 동결건조 주사제를 제조하여 8주 동안 안정성 시험을 통해 제형화 가능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동결건조 주사제 대비 액상 주사제에서 유연물질 발생률이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이러한 근거에 기초하여, 3-브로모피루브산은 대사항암제로서 액상 주사제로의 제형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제 2장 본 연구의 목표는 기존 의약품인 나파모스타트 메실산염 주사제를 약물재창출 방법을 통하여 속방형 정제로 개발하는 것이다. 나파모스타트는 세린 프로테아제 억제제로서 코로나 19 바이러스 침투에 영향이 있는 TMPRSS2 단백질 효소 활성 억제에 효능을 나타내는 약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약물재창출 방법으로 기존 의약품인 나파모스타트 주사제를 속방형 정제로 개발하였고, 최적화된 제형을 개발하기 위해 QbD 접근법을 수행하였다. 나파모스타트는 높은 pH를 가진 부형제와 상호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습식과립 공정과 직접타정 공정 제형을 제조하여 비교평가를 통해 안정적인 제형을 선정하였고, 제형 연구 과정에서 수반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QbD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습식과립 공정 대비 직접타정 공정에서 유연물질 발생률이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제조된 속방형 정제는 원숭이 pK를 통해 나파모스타트 주사제와의 약동학적 프로파일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 제조된 속방형 정제가 더 우세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 3장 본 연구의 목적은 EP(European Pharmacopeia)를 참고하여 티아넵틴나트륨 서방성 이층정제의 유연물질 시험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메탄올, 아세토니트릴 및 완충용액으로 기울기 조건에 따라 컬럼 C18을 사용하여 티아넵틴나트륨의 유연물질을 분석하였다. 약물의 지연방출과 위 체류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 적용 가능한 친수성 매트릭스 기제인 HPMC를 녹이기 위하여 0.5 mol/L 황산나트륨을 표준액 및 검액 제조에 사용하였다. 25℃/60% RH의 실온, 60℃/95%RH의 가혹 조건에서 세 가지 방법(shaking, stirring, sonication)으로 강제분해 시험을 진행하여 유연물질 내 검액 제조방법을 확립하였다. ICH guideline에 근거하여 개별 유연물질, 미지 유연물질 및 총 유연물질 기준을 설정하였다.

      •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 연구 : B. Reimer의 음악교육철학을 중심으로

        김현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If education developments individual growth by changing human behavior with plan, music not only helps individual musical and personal growth for each student through musical experience but also extends individual aesthetic possibility at maximum. However, the current circumsta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became as the means of achieving other goals except music than achieving aesthetic experience to essence and value of music, and it may be collapsed in its base due to the education policy focusing only on entering to university. Under this situation, fundamental consideration to unique value and aesthetic experience which music course should be existed as school education is essential, and applying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is an important task. Bennett Reimer, American music education philosopher who emphasized the philosophy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said that improving aesthetic sensitivity of people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and raising individual life quality by considering ultimate value of human life through this are the goals of music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of Reimer, to recognize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in his philosophic viewpoint, and to emphasize to search teaching-learning method for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this. In order to make music education as aesthetic education, should use music works having expressions in quality and should make to gain sympathy for expressions which musical sound has and aesthetic value, itself. Also, teacher should make students understand and consider expressional form of music, help them to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s. Like this, Reimer's philosophy of aesthetic music education can make to remind the essence and value of music education and can suggest more clear control point to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goal of music education. 교육이 인간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개인의 성장 발달을 촉진하는 일이라면, 음악교육 역시 음악 경험을 통해 학생들 개개인의 음악적 성장과 인간적인 성장을 도울 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미적 가능성을 최대한 확장하는 일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음악 교과의 교육 현실은 음악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심미적 경험보다는 음악 외적인 목표 달성의 수단이 되었고, 대학 입시 위주의 교육 정책으로 인해 그 기반이 흔들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음악 교과가 학교 교육으로서 존재해야 할 고유한 가치와 심미적 체험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이 필수적이며, 이를 통한 음악 교육의 적용은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을 내세운 미국의 음악교육 철학가 베넷 라이머는 심미적 경험을 통해 사람들의 심미적 감수성을 증진시키고, 이를 통해 인간 삶의 궁극적 가치를 통찰함으로써 개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음악교육의 목적이라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라이머의 철학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음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심미적 경험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음악교육이 심미적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질적으로 표현력이 있는 음악 작품을 사용해야 하며, 음악 소리가 지닌 표현력과 그 자체의 미적 가치를 충분히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교사는 학생들이 음악의 표현적 형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도록 하여 심미적 경험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처럼 라이머의 심미적 음악교육철학은 음악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되새기도록 하며, 음악교육 본연의 목적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에 보다 분명한 기준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 전통미술을 활용할 수 있는 고교 미술수업 사례연구 : 민화를 중심으로

        김현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의 실태를 보면, 시판되어있는 교과서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전통미술에 대한 이론 및 실습이 부족하다는 것을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다. 우리의 것을 습관적으로 접하지 않는다면, 전통에 대한 무관심 때문에 서양문화에 대한 동경 내지는 과대평가로 생각될 수 있다. 한국인으로서의 올바른 가치관과 도덕성을 갖춘 인간을 육성하기 위해서 현행 미술교육에서는 우리의 민족 정서가 담긴 전통미술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그러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는 크게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내용이나 방법의 전달이 미숙하다. 교육현장에서는 전통미술에 관한 내용은 주로 감상교육으로 그치는 경우가 많고, 표현영역은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식상한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미의 정체성을 인식시키고 한국미의 특징을 표현할 수 있는 전통미술교육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더욱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민화를 활용하여 작업을 하다보면 전통미술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고, 우리 것에 대한 자부심을 불러일으키므로, 교육적가치가 뛰어나다고 할 수 있다. 우리의 전통미술인 민화를 활용하여 흥미를 갖고 작업할 수 있도록 지도안까지 작성하여 실제 수업현장에서 실시해 보았다. 다양한 민화에 담긴 내용들은 그 주제별로 호작도, 문자도, 책가도, 십장생도, 초충도, 화조도... 등이 있다. 그 중, 그중 교육적 가치가 높다고 판단되는 ‘호작도’, ‘문자도’를 중심으로 수업시간에 적용하였고, 감상학습에서 표현학습으로 자연스럽게 이어 갈 수 있도록 구성해 보았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 및 방법으로 첫째, 민화의 ‘호작도’와 ‘문자도’에 대한 개념과 이론적인 내용들을 종합하여 정리 한다. 둘째,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민화에 대한 흥미도 및 인지도 등을 알아보았다. 셋째, 호작도와 문자도의 교육적 가치를 밝히기 위해 실제 수업의 소재로 사용되었고,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 사전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수 학습 과정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결과 작품을 분석하고 민화를 활용한 수업지도의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 대상은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실시하였으며, 창의성이 돋보이는 다양한 작업의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미래를 짊어지고 나아가야 할 우리 청소년들이 전통미술을 바르게 인식하고 오늘에 되살려 미래의 창의적이고 새로운 문화를 재창조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길 바란다.

      • 박물관에서의 콘텐츠 소통을 위한 도자공예 용어의 제안과 교육효과 연구

        김현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8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efficient and proper terminology for enhancing the communication of museum contents and to judge the suitability of terminology for public, based on the analysis of visitors’ comprehension about terminology in the museum. Although the comprehension of terminology could be affected by visitors’ age, education, and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guarantee visitors’ general comprehension by measuring the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on of terminology in the museum. Ceramic terminology is selected from a variety of objects in the museum, based on the frequency of education programs and exhibitions. The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presented in order to extend our finding to other areas in the museum. This study examines 4 factors which can influence the communication of museum contents ­ form of ceramic terminology, visitors’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and content familiarity. 238 terms in the work book that was publishe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as analyz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y(mixed methods research) were adopted in order to obtain the objectification and the depth of our research. Quantitative methodology was used to examine visitors’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while qualitative methodology was used to examine content familiar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ities of ceramic terminology are Sino-Korean words (64.29%) and substantives bases (52.94%). If difficult substantives bases is replace by easy synonyms, the communication can be easily enhanced. Second, the average of visitors’ comprehension about ceramic terminology was 35.14%. Although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students (15%) and adults (42.38%), most of ceramic terminology comes from Japanize Chinese letters and are disappeared in modern language. As a result, the overall comprehension was relatively low, but some of terms took high scores in visitors’ comprehension test because these belong to high-frequency words among 50,000 everyday words. Third, visitors overwhelmingly prefer easy terms, regardless of their intelligence. Because a museum is public educational organization, visitors said that easy terms should be used for enhancing everyone’s comprehension. Finally, easy terms were effective in the communication of museum contents when examining the content familiarity. When using difficult terms,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38.09% and the content familiarity increased only 1 point in 7-point scale because participants had difficulty to process information. However,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69.04% and the content familiarity increased 3.6 point when using easy term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easy terms was effective on voluntary learning, confidence, and creativity. Changing easy terminology from difficult terminology, it is necessary to use pure Korean words and easy Sino-Korean words based on considering the frequent vocabulary and the vocabulary volume. The useful ceramic terminology in the museum should make visitors understand the museum content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ntent communication. Therefore, using easy terminology in the museum is not optional. It is mandatory because the museum is a public educational organization for creating the cultural value.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박물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용어의 관람객 이해도 분석을 통해, 공공 전문용어로서의 적합성을 판단해 보고, 콘텐츠 소통력을 높일 수 있는 가장 효용성 있는 용어를 찾아내는데 있다. 용어의 이해도는 관람객들의 연령, 학력, 배경지식 등에 따라 차이가 날 수밖에 없지만, 박물관의 보편적인 용어 소통도를 측정하여 관람객 모두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자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박물관의 많은 유물들 중, 전시와 교육의 빈도가 잦고 기법과 원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도자공예 관련 용어만을 다루었다. 그러나 최종 목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다른 영역으로까지 확장시켜,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모든 용어의 이해력을 높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콘텐츠 소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4가지(도자공예 용어의 형태, 관람객들의 이해도와 선호도, 콘텐츠 친밀감) 요소이다. 우선 도자공예 용어는 국립중앙박물관 도록에서 추출한 총 238개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해도와 선호도 측정은 10~70대의 관람객 14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 결과가 관람객 전체를 대표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 콘텐츠 친밀감 조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어린이 6명을 무선표집하였다. 연구방법은 분석결과의 객관화를 위해 가능한 양적 연구로 설계하였으나, 연구 내용의 깊이를 더하고자 질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양적 연구 영역은 도자공예 용어의 이해도와 선호도이며 질적 연구 영역은 도자공예 용어 사용에 따른 콘텐츠 친밀감 변화 양상이다. 이해도와 선호도 파악은 설문 조사하여 아노바(ANOVA)와 t-test로 분석하였고, 콘텐츠 친밀감 변화는 박물관교육을 실시한 후 비참여관찰과 심층 면담으로 결과를 이끌어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자공예 용어 중에는 한자어(64.29%)와 체언류 어기(52.94%)가 가장 많았다. 그런데 어려운 한자 체언류 어기에 대응하는 쉬운 표현들이 많다는 점에서, 도자공예 용어는 소통력을 향상시키기에 상당히 용이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박물관에서는 관람객들의 용어 이해도를 떨어트릴 수밖에 없는, 의미 환기성이 낮고 일상 언어생활과 무관하며 개념이 불명확한 도자공예 용어들을 사용하고 있다. 둘째, 도자공예 용어의 관람객 이해도는 평균 35.14%였다. 물론 연령별 용어 이해도(초등학생 15%, 성인 42.38%)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도자공예 용어가 대부분 일본식 한자어이고 우리말이라 해도 지금은 잘 사용하지 않는 어휘들이며, 용어의 개념과 한자어의 뜻이 다른 경우가 여럿이기 때문에, 전체적인 이해도는 낮았다. 분석한 도자공예 용어 가운데 관람객 이해도가 높은 일부 용어들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5만 여개의 어휘 중 고빈도에 속하는 것들이었다. 셋째, 관람객들은 기존의 한자어가 아닌, 익숙하고 쉬운 어휘로 바꾼 도자공예 용어를 일방적으로 선호했다. 쉬운 용어의 선호 정도는 관람객들의 지적 능력과 무관하여, 어휘 이해력이 낮은 어린이들보다 성인들의 선호값이 더 컸다. 관람객들이 밝힌 선호의 이유는 박물관은 공적인 기관이므로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용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넷째, 콘텐츠 친밀감 연구에서도 쉬운 도자공예 용어의 뛰어난 소통력이 확인되었다. 기존의 어려운 한자 용어로 수업한 참가자들은 정보를 잘 받아들이지 못해 활동지 정답률이 38.09%에 불과했고, 7점 척도로 물어본 콘텐츠 친밀감 역시 1점 상승에 그쳤다. 반면 쉬운 도자공예 용어로 학습한 참가자들은 용어를 빠르게 이해하여 활동지 정답률이 69.04%에 이르렀고, 콘텐츠 친밀감 또한 3.6점 높아졌다. 이 외에도 쉬운 도자공예 용어 사용은 자발적 학습, 자신감 상승, 창의력 발휘 등과 같은 교육 효과를 가져왔다. 현재의 어려운 한자 도자공예 용어를 모든 관람객들이 보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전문용어로 만들기 위해서는, 용어 사용자인 관람객들의 어휘량과 어휘빈도를 고려하고, 쉬운 우리말과 익숙한 한자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본다. 박물관에서의 유용한 도자공예 용어란 정보전달이 수월하여 관람객들이 쉽게 이해하고, 결국 콘텐츠 소통력을 높이는 용어이다. 따라서 우리의 사고와 가치관을 형성하고 문화 가치를 창출해내는 박물관교육에서의 쉬운 도자공예 용어 사용은 선택사항이 아닌 공공기관으로서의 의무라 하겠다.

      • 한국의 사회적기업 정책형성과정 연구

        김현아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적 조류 속에 IMF라는 경제적 위기에 직면하여 실업이 새로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사회적 안전망의 대안적 측면으로 논의되어 온 ‘사회적기업’을 주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사회적기업 정책이 형성되는 배경과 그 구체적인 형태인 법제화 과정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그 형성과정에 드러난 내용은 무엇이었고, 그 형성과정의 정책적 특징이 무엇이었는지를 정부와 기업, 정당, 비정부기관 등 관련 집단의 활동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 이들의 움직임이 사회적기업 정책 형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논의해 봄으로써, 그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모색해 보고자 함이다. 사회적기업 정책형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Jones의 정책형성 모형을 원용하였고, 모형의 일부 수정을 통해 전체 과정을 크게 3단계로 나누었으며, 제1단계는 사회적기업의 인식과 규정 단계, 제2단계는 사회적기업의 정책화 움직임의 단계, 제3단계는 사회적기업 육성정책의 확립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적기업이라는 사회복지정책형성 요인으로 사회·경제적 환경요인이 중요한 기제로 작용되었으며, 이에 사회적기업이라는 사회복지정책형성의 과정도 사회·경제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여자로는 시민단체들의 주도적 역할이 가장 돋보였고, 그 내용도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과 사회서비스를 통한 사회적 통합을 목적으로 수익성과 공익성을 가지는 일자리로 규정지어졌다. 이러한 정책의 전개방향은 상당히 개방적인 형태로 시민단체의 의견이 정부 내의 정책결정자들에게로 확산되는 하부상달형의 특징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The topic of this study is social enterprise which has been the subject of debate for establishing safety network in society as internationalization and IMF, thus economic crisis, have given rise to a social issue of unemploy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how social enterprises are constituted by analyzing making Law process and the basis on which social enterprise policies in Korea is formed, the contents of the formation proce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government, enterprises, political part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etc., the discussions on the influences they have on the process of social enterprise policy formation and, finally, proposing a theoretical yet feasible solution for it. The policy formation model devised by Jones was made use of in order to inquire into and analyze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of social enterprises, the model has been modified to categorize the processes of social enterprises into three distinctive stages, in which the first stage is the perceptions and regulations, the second stage is the diffuse of policies and the third stage is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Socio-economical environment factors have served as a social welfare policy formation factor and the resolution of social welfare policy formation process socio-economical issues was given the first priority for this study. The leading roles of civil organizations were remarkable and the contents comprised of making jobs available and integrating the society through community service with a view to establishing profitability and for public interest. The directions toward which the policies were being formed were very broad and they had the bottom to top characteristics, meaning that the views of civil organizations were escalated to policy determi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