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골다공증 노인을 위한 낙상 위험인자 분석

        김현만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골다공증성 골절은 노인에게서 매우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일단 발생하면 매우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며 완전한 회복이 어렵다. 이 때문에 골다공증성 골절에 대해 치료보다는 예방의 중요성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최근 낙상은 골다공증성 골절을 야기하는 중요한 인자 일뿐 아니라, 근본적인 예방책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외국의 경우 낙상의 내적 위험 인자 구명 및 예방프로그램 개발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여전히 치료에 국한된 연구만이 진행되어 낙상에 대한 기본적 자료조차 구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community-based population을 대상으로, 골다공증성 골절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원인인 낙상에 대한 원인 및 위험인자를 밝혀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낙상의 위험인자를 조사하기 위해 community-based population을 중심으로, 서울 및 경기지역의 60세 이상의 노인 총 688명을 조사하였다. 이들에 대한 낙상인자 조사 중 설문조사는 일반적 사항을 포함하여 WHO 삶의 질 간편형 척도, ADL, IADL, MMSE-K, 신체활동, 낙상력 등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BMI, WHR, 신체조성과 같은 인체측정을 하였으며, 시력, 기립성 저혈압, 골밀도 등을 함께 조사하였다. 또한 신체의 균형성, 근-신경 협응력 등을 위해 체력과 신체능력을 검사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여성의 경우 낙상위험이 더 높았다(p<0.002). 반면 고령, 혈압약 복용, 골밀도 감소, 시력 등은 외국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낙상위험인자에서 제외되었다. 한편 체지방(p=0.015), 근지구력(p=0.004), 정적평형성(p=0.006), 및 근-선경 협응력 검사 4개 측정변인(p<0.05) 등은 의미있는 「1차 낙상위험인자」로 판명되었으며, 설문으로는 자신감 있는 행동을 묻는 10개 항목의 설문(p<0.05), ADL(p=0.003), IADL(p=0.004) 등이 의미있는 낙상위험인자로 나타났다. 그 이외에, 낙상유경험자를 2회 이상으로 하여 낙상무경험자와 비교한 결과, physical activity(p=0.003) 검사와 MMSE(p=0.013) 항목이 추가적으로 의미 있는 변인으로 판정되었다. 연구결과에서 낙상위험인자는 12개로 나타났다. 이들 인자들은 추후 낙상예방에 대한 프로그램 및 지침서 개발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낙상인자들이 균형성과 신체활동능력 및 건강관련 체력 그리고 사회심리적 영역까지 포함하는 것을 고려할 때, 낙상예방프로그램을 신체능력 향상과 함께 사회활동 기회까지 제공할 수 있는 운동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In recent, fall-related injuries of older people are common, leading mortality and disability. We investigated this survey to determine the incidence of falls during last one year in community-living elders, and to examine the intrinsi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falling. To evaluate the intrinsic risk factors for their falls, we interviewed and tested 688 community-dwelling persons aged 60 years or older. The data are acquired from (1) Some questionnaires including WHO-QOL, ADL, IADL, MMSE-K for cognition impairment, Physical Activity Scale for the Elderly, and fall history, (2) Basic anthropometric measurements, such BMI, WHIZ, and body composition, and (3) visual acuity, orthostatic hypertension, and bone mineral density, (4) And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tests such as balances, neuromuscular coordin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alls-and-slips. Comparing non-fallers with the fallers experienced more than one time, the intrinsic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ir falls were the following: fat percentage(p=0.025), muscle endurance(p=0.004), chair stand(p=0.010), walking and rotating performances(p=0.000), static balance(p=0.006), ADL(p=0.003), IADL(p=0.004), and physical confidence (0.004). We found some variables including fat percentage, muscle endurance, static balance, chair stand, walking and rotating performances as the intrinsic risk factors for slips-and-falls. And the questionnaires about physical activities, ADL and IADL are available for detect the potential fallers. Additionally, these results suggest the goals of intervention program for prevention of falls and osteoporotic fractures should be included improvement in body composition, muscular endurance, neuromuscular coordination, and psychosocial conditions.

      • 특성 라쿠나 : 골의 3차원적 미세구조에 근거한 골다공증성 골절의 예측인자 개발

        김현만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골다공증이란 골량의 감소와 뼈의 미세구조 이상으로 전신적으로 뼈가 약해져 일상생활 중에 경험하는 조그만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발생하는 상태로 노인인구가 급증하면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골다공증 진단에 널리 쓰이고 있는 골밀도 측정기(DEXA)는 단순히 골밀도만을 측정할 뿐, 골의 질이나 기하학은 반영하지 못하므로 뼈의 강도(Bone strength)를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골의 미세구조는 골절을 예방하는 중요한 골량 지표로 보고되고, 골의 미세구조를 통해 골의 강도, 나아가 골다공증성 골절을 예측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오래전부터 매우 중요한 연구과재로 대두되었다. 그러나 3차원적 구조의 골을 2차원적으로 분석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3차원 계측법인 SEM을 이용하고는 있으나, 정량화 하지 못한다는 단점 때문에 정성적인 차이를 직관적으로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골밀도의 문제점 및 한계를 증명하고 골의 강도와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보다 신뢰성 했고 타당한 새 지표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골 강도 및 골의 미세 구조에 근거한 골다공성 골절 예측인자의 개발을 위하여 32주령된 수컷 백서를 24일간의 Hindlimb Unoloading 한 뒤, 대퇴골 및 경골을 적출하여 무게, 골밀도, 골기하학, 골 강도, 골미세구조 등을 측정 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중과 골 무게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골밀도에 있어서는 매우 혼란스러운 결과가 나타났다. 실험군의 경골의 무기질 함량은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차이가 없었으며, 골밀도는 대퇴골과 경골 및 좌측과 우측의 결과가 상이하였다. 골 기하학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골 강도의 경우 실험군의 경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반면 대퇴골은 양쪽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1). 또한 골 단면적당 저항력(N/㎟)도 대퇴골 양쪽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골 미세구조는 실험군의 소주골량이 대조군의 41%로 감소하였으며 특성라쿠나 역시 실험군에 있어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골강도와 관련된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골밀도를 가지고 골강도를 예견해왔다. 하지만 본 연구결과는 DXA 를 이용한 골밀도의 측정보다 소주골 (trabecular)의 변화를 관찰하는 형태학적 분석 (Histomorphometry)이 보다 골강도를 민감하게 반영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특성 라쿠나 (characterstic lacunarity)를 사용하는 방법은 3차원적 기법으로써 2차원 기법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골 감소를 민감하게 반영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는 골 강도를 예견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Osteoporotic fractures represent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longstanding pain, functional impairment, loss of independence, morbidity and mortality. The awareness of the progressive aging and osteoporotic fracture in the community is to need to demand for management of patients with osteoporosis. It is essential to acquire critical information for the diagnosis,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steoporosis. The most commonly used diagnostic method is bone mineral density (BMD) detected by DXA. However, BMD alone cannot explain the observed variability in bone strength between normal and osteoporotic individuals, They are structure and microarchitecture which are determinant of bone strength and essential for the assessment of bone mechanical proper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limitations of BMD methods and to develop a new accurate and sensetive method for assessing bone strength, using the model of characteristic lacunarity.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eight month old male SD rats were weight-matched assigned to either a Ground control (CON) or a Hindllinb Unloading (HU) for 24 days. Daily body weight was watched for status of animal. Total body weight, bone weight, BMD, bone mechanical strength, bone geometry, and microarchitecutre in both groups were analyzed by using DXA, 3-point bending test, geometric image analysis, Hematoxylin and Eosin stain, and Characteristic lacuna analysis system. In results, the 24-day hindlimb unloading of HU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of body weight, total bone mineral content, and bone geometry, and bone mechanical strength compared to CON. HU showed that the upper limb had maintained total bone mineral, bone geometry, and bone mechanical strength compared to C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ne geometry between both groups. However, the hindlimb of HU had significantly decreased bone strengthand ultimate stress (F/B) compared to CON. BMD and BMC detected by DXA showed inconsistent changes at femur and tibia of humerus, although changes in humerus of HU were relatively constant. 2D microachitecture by H-E stain analysis for histomorphometry showed that the trabecular volume of tibia in HU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 The value of characteristic lacunarity of HU had highly significant increase compare to CON and characteristic lacunarity sensitively distinguished variability of bone architecture in which 2D micorachitectrue could not do it. These observations suggested that BMD and BMC by DXA have limitations for explain bone strength because of inconsistent results and that characteristic lacunarity can provide an better solution and additional interpretation of bone loss. Finally, this study conclude characteristic lacunarity is a new accurate and sensitive method of 3D bone microachitecture analysis.

      • 보석감정원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 몰입 및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이아몬드 나석을 중심으로

        김현만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이아몬드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들은 다이아몬드의 품질을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다. 이는 소비자들로 하여금 다이아몬드 구매 시 감정원의 감정된 등급에 의존하는 이유가 된다. 더불어 정보화 사회로의 진입, 주얼리 시장의 발전, 경기침체로 인한 알뜰 소비의 확대 등으로 인해 한국의 주얼리 시장은 변화·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더구나 다이아몬드 나석은 주얼리 시장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중의 하나이며, 주얼리시장의 흐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품목 중의 하나이다. 또한, 국내 보석감정원브랜드와 더불어 외국 보석감정브랜드인 GIA보석감정원 브랜드가 들어오면서 경쟁이 불가피하게 되어 국내보석감정원의 비중은 점차 낮아져만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되기까지는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그중에 제일 큰 원인중의 하나는 국내에 GIA 교육기관이 들어와서 많은 졸업생들이 배출되었고 이 인원들이 주얼리 매장의 직원으로 시장에 흡수되면서 GIA 보석감정원 브랜드의 다이아몬드유통이 쉽게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동안 국내 보석감정원 브랜드들의 다이아몬드감정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잃어버린 것도 원인 이라 할 수 있겠다. 다이아몬드의 경우는 고가이고 이런 고가 제품의 경우 가장 중요시 여기는 속성 중의 하나는 신뢰이다. 똑같은 등급으로 감정된 다이아몬드라고 할지라도 어느 감정원에서 감정되었느냐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보석감정원의 브랜드는 다이아몬드를 구매하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고, 보석감정원 브랜드의 중요성이 부각되게 되었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은 어떤 보석감정원 브랜드를 선호하는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보석감정원 브랜드를 인식하는데 보석감정원의 브랜드자산요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 지각된 품질, 친숙성, 브랜드선호도)을 조사하여보고 이런 요인이 고객 만족,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보고자한다. 또한 고객 만족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고객 만족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기존의 논문들의 경우 다이아몬드의 감정 체제 비교 또는 다이아몬드의 시장 비교, 가치 평가에 관한 일반론적인 연구는 많이 행해졌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다이아몬드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보석감정원브랜드가 만족과 몰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객 만족과 몰입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고찰을 통해서 소비자들이 브랜드의 고객 만족과 몰입 그리고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채택하여 분석함으로써 감정원 브랜드의 자산 요인이 고객 만족과 몰입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모델을 검정하기 위해 실증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 고찰을 토대로 개발한 연구 모델은 수집된 자료를 통해 연구 모형을 SPSS(Sts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20.0 for Window를 통해 분석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석감정원브랜드의 선행요인인 1. 브랜드 인지도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브랜드 친숙성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보석감정원 브랜드 선호도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중회귀분석결과를 보면 그 결과 브랜드인지도와 이미지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공산품브랜드가 아닌 보석감정원브랜드의 브랜드인지도의 조사에서 인기있는 보석감정원, 보석감정원 브랜드의 특징과 브랜드이미지의 호감이 가는 좋은이미지와 고급이미지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보석감정원브랜드의 특성상 보석감정원 브랜드의 특징을 쉽게 생각하기가 어렵고 필요에 의해 구입하는 다이아몬드감정의 경우 좋은 이미지와 호감이가는 이미지가 고객만족에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브랜드선호도,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브랜드친숙성 순으로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 4, 5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브랜드 인지도, 이미지가 선행연구에서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보석감정원브랜드의 경우 인지도가 높고 이미지에 따라 고객만족에는 영향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둘째, 1. 브랜드 인지도는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브랜드 이미지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3.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4. 브랜드 친숙성이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5. 브랜드 선호도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그 결과 브랜드인지도와 브랜드이미지를 제외하고 모두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친숙(B=.315), 브랜드선호(B=.282), 품질(B=.154) 순으로 고객만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1, 2는 기각되었다. 이는 다른 브랜드와는 다르게 보석감정원 브랜드 인지도의 경우 보석감정원을 잘 알고 있고 인기 있는 보석감정원브랜드이지만 몰입에 이르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고, 브랜드이미지의 경우도 좋은 이미지, 호감이가는 이미지, 고급이미지를 갖고 있다고 하여도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셋째, 고객만족은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고객의 특정브랜드에 대한 만족이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몰입이 소비자가 특정브랜드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최고 수준의 관계유형인 만큼 특정브랜드에 대한 만족은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1. 고객만족은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고객만족과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에서 채택한 가설 중 고객만족과 몰입에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이미지는 고객만족과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대신 브랜드친숙성,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 브랜드선호도는 고객만족과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고 고객만족이 몰입에 고객만족과 몰입이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브랜드에 대한 만족과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를 높여 향후 재구매 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으로 다이아몬드를 구매한 대상자로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변수에는 적합하다고 판단되지만 대상 지역이 서울과 경기지역에 국한된 것은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대상과 표본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가 고객만족과 몰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을 다양한 브랜드자산 선행연구를 진행하고 고객만족과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더 포괄적으로 다루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고개만족과 몰입에 좀 더 효과적일 수 있는 브랜드 자산요인을 찾아내고 연구를 시도해 봄으로써 좀 더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주얼리 브랜드 진정성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만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한국사회를 보면 정치, 경제 및 사회와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진정성이 중요한 화두로 등장했다. 진정성이 결여된 정치인은 투표권을 가진 국민의 여론에 의해 낙마하게 되는 경우도 있고, 진정성이 결여된 제품 재나 식품으로 기업이 도산되는 경우도 생기게 되었다. 진정성이 주목받는 또 다른 요인으로는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다. 이에 기업은 장기적 발전과 브랜드자산 구축을 위해서는 시대적 변화와 소비자의 가치 제안을 수용할 수 있는 브랜드 진정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주얼리 브랜드 진정성은 소비자와 기업과의 관계에서 더욱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얼리 산업의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얼리 산업의 새로운 전략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주얼리 산업의 성과를 유지 발전시키기 위하여 주얼리 브랜드 진정성과 브랜드 자산 간의 차별적 가치를 제시하여 주얼리 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기업의 브랜드 진정성의 의미 인식과 브랜드 자산 가치의 실체적 실증분석을 통하여 주얼리 브랜드 마케팅 및 주얼리 산업의 발전을 위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637명의 일반 주얼리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정은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품 진정성은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애착을 통해 간접적인 경로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자산의 행동적 요인인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제품, 기업 진정성과 브랜드 충성도 간에는 유의한 관계를 발견하지 못했다. 주얼리 브랜드 진정성이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애착을 매개하여 브랜드 진정성의 최종 단계라 할 수 있는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이론적 토대를 배경으로 실증분석에서 도출된 전략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향후 주얼리 기업의 마케팅전략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이상에서 얘기한 제한적인 부분을 수용한다면 더욱 많은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주얼리 브랜드, 브랜드 진정성, 브랜드 자산, 지각된 품질, 브랜드 애착, 충성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