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기의 구조와 의의

        김현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 필자는 니까야와 아함의 무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무기와 연기설의 관계를 고찰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무기의 태도를 취했던 붓다의 입장이 사성제라는 정견을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는 것을 드러내겠다. 나아가 육촉연기에서 형이상학적 견이 형성됨을 밝힘으로써, 무기는 정견으로서의 사성제를 제시하려는 의도를 함축하고 있다는 것을 밝힐 것이다. 사성제는 십이연기의 다른 설명이기 때문에 결국 무기의 태도는 연기설을 근거로 한다. 붓다가 무기의 태도를 강조하는 데에는 정견의 확립과 사성제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한 붓다의 의도가 놓여있는데, 이 의도는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드러난다. 첫째, 니까야와 아함에서 무기에 관한 교설을 언급하고 있는《빠싸디카 숫타》와 《브라흐마잘라 숫타》는 형이상학적 사견이 육촉연기를 통해 형성된다고 설명한다.《브라흐마잘라 숫타》에서는 우파니샤드와 자유사상가의 형이상학적 논의가 귀납추론과 연역추론 등에 근거를 두며, 그들의 형이상학적 견의 근거는 촉을 인연한 것이라고 제시한다. 따라서 형이상학적 견의 형성은 육촉연기에서 십이연기의 발전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빠싸디카 숫타》에서 확언하는 가르침은 철학적이며 실천적으로 거론할 수 있는 사성제이다. 사성제를 확언하는 이유는 사성제가 사견을 극복하여 확립된 정견이기 때문이다. 둘째, 붓다는 형이상학적 사견이 육촉연기에서 십이연기로의 전개과정에서 발생하며, 사념처 수행을 통해 정견이 확립된다고 제시하고 있다. 사념처의 대상인 신, 수, 심, 법은 촉에서 연기한 느낌의 실상을 관찰한 결과 지각된 것이다. 사념처 수행은 이들의 실상을 관찰하는 수행법이다. 사념처 수행은 촉에서 연기한 느낌을 관찰함으로써 고통의 원인이 되는 갈애의 발생을 제어한다. 이러한 실천을 통해 고통의 본질이 무상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사성제라는 정견을 얻게 되는 것이다. 셋째, 사성제의 마지막 고멸도성제에는 열반을 얻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팔정도를 제시하고 있다. 팔정도에서는 먼저 정견이 언급되고 있는데, 여기서 정견이란 사성제를 아는 것이다. 사성제에 대한 이해는 곧 연기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의미한다. 유전문과 환멸문이라는 연기설의 두 입장을 통해 구성되는 사성제를 아는 것이다. 이때 사성제와 연기설은 무기를 통해 바르게 이해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무기가 정견을 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붓다에 따르면 무기는 사성제를 이해하는 근거가 되며, 사성제에 대한 바른 이해를 통해 정견은 확립된다. 붓다는 정견이 바탕이 된 팔정도를 실천함으로써만 종교적인 삶의 근본에 다가갈 수 있으며, 이러한 실천을 통해서 얻은 올바른 인식만이 우리를 열반으로 이끈다고 한다. 붓다가 확언하는 가르침은 사성제를 이해함으로써 정견을 확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 매체를 활용한 교육에 관한 연구 : PC와 IPTV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현구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매체를 활용한 교육에 관한 연구: PC와 IPTV의 비교를 중심으로 미디어 학과 김현구 指 導 敎 授 고일주 본연구는 매체의 활용에 관한 교육적인 접근 에서 새로운 제품의 출시에 따라 교육적으로 선호하는 매체의 선택에 활용되어질 것이다. 본인이 여기서 다룰 매체는 PC와 IPTV 의 활용에서 기존에 이미 사용 하고 있는 웹상의 교육 콘텐츠의 PC의 접근에 대한 활용성과 새로운 매체인 IPTV의 활용 중에서 사용자 측면에서 매체에 대한 접근이 어느것이 활용하기 용이한지에 대한 사용자 중심의 패턴을 연구 한다 이에 대한 연구의 가설을 세워 내용적인 접근: 오락성, 개인화, 최신성, 정보성과 시스템적인 접근인 : 안정성, 사용편리성, 콘텐츠의 반응속도, 소통 등을 사용자 패턴으로 분류 하고, 이에 대한 상호 작용에 대한 설문조사와 그에 따른 이론적인 배경 등을 설명 하고자 한다. 자료의 수집과 IPTV의 활용성이 교육적인 콘텐츠의 접근에서는 기존의 PC에 비해 매체의 접근에서 어떤 부분이 유리한지를 연구가설을 세워 검토하고, 두 매체를 비교한 내용의 교육적 접근에서 어느 매체가 안정적이며 효과적인지를 연구가설 및 검증을 통해 결론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사용자 입장에서의 교육적인 접근을 통해 얻어낸 결과를 생산자인 써비스 업자의 향후에 e-러닝의 접근에서의 IPTV를 이용한다면 좀더 안정적이고 접근이 편리한 써비스를 소비자에게 공급 할수 있을것 이라 본다. 그래서 이를 연구 검토한 자료를 이용하여 매체의 선택에 따라 교육적인 접근에 관한 두 매체의 비교의 연구가 중요 하다고 본다. ABSTRACT A Study on Education using Media: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PCs and IPTVs Department of Media Hyun-gu Kim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s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will be utilized for the selection of educationally preferred media according to the release of new products in educational approach to the use of the media. This study is carried out on which is easier , between the existing use of approach using PCs to educational contents on the web and that using new media, IPTVs in terms of the user. A hypothesis on this question has been set up, and content-oriented approach: entertaining, individualization, timeliness and informativeness and system-oriented approach: stability, ease of use, response speed of contents and communication, etc. are classified into user pattern, and questionnaire on interactions regarding them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m will be described. It reviews on what parts are advantageous in the collection of data and the utilization of IPTVs the research hypothesis for approach to the educational contents compared to the existing approach using PCs in terms of approach to the media, and tried to make a conclusion through the research hypothesis and verification in the educational approaches to the contents of a comparison of the two media, which is more stable and effective. Also, it is expected that more stable and easy-to-access services will be provided to the consumers from the service providers, the producers if they use IPTVs along with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educational approach from the user's position to use IPTVs in e-learning approach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thought to be important to compare the two media in educational approach using the data reviewed and studied depending on the choice of media.

      • 자본자유화의 영향 : 투기자본에 대한 대응방안

        김현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를 비롯한 금융위기를 겪은 대부분의 국가들이 내재적인 요인으로 인해 금융위기를 겪었다는 인식에서 벗어나, 국제적인 투기자본의 대규모 유출?입에 의한 외적인 요인들도 함께 존재했었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본 연구는 투기자본의 활동을 가능하게 했던 자본자유화에 대하여 간단히 정리하였고, 점차적으로 그 지배력이 강화되고 있는 외국자본의 지배현황과 폐해 실태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이미 과도하게 외국자본의 지배를 받고 있는 금융시장의 단기 투기자본의 이동에 관한 규제방안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자본의 자유로운 이동을 규제해야 하는가 아니면 어느 정도의 부작용은 감수하더라도 자유로운 자본이동을 보장해야 하느냐에 대해 국제적으로 많은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투기적 목적을 가지고 단기간 국제적으로 이동하는 투기자본의 유출?입은 한 국가의 경제를 교란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어떤 형태와 방법으로든 제한조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단지 규제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국가경제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면서 투기자본의 규제에 있어서는 최대한의 규제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는 각 국가의 경제상황에 따라 상이하다 할 수 있다. 칠레의 가변유치의무제를 통한 자본통제의 경우도 그 국가의 특수한 상황과 여건에 기초하여 이해되어야 하며, 다른 국가들에 일반적으로 적용시키는 것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물론 해외자본이 국내에 유입되어 투자를 촉진시키고 경쟁을 통해 국내 금융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업의 지배구조개선에 대한 역할을 한 것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성급한 금융개방과 외환위기 이후 금융시장의 개방으로 세계 어느 국가보다 외국의 투기성 자본에 많이 노출되어있으며, 금융시장뿐만 아니라 한국전력, 담배인삼공사와 같은 공기업 및 기간산업에 이르기 까지 외국자본에 의해서 상당한 부분이 잠식되어 있다. 특히 국내 10대 상장 대기업들의 외국인 주식투자 비중이 작게는 20%에서 높게는 50%에 육박하면서 적대적 M&A 위험에 노출되어있고, 고액배당 등을 통한 기업의 이익감소와 같은 비상식적인 행태가 이루어짐으로서, 우리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을 왜곡시키고 있다. 국가와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이에 상응하는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비를 늘려야 하는데, 외국투기자본에 의한 고액배당으로 인해 외국으로 자본이 유출된다면 성장을 위한 투자여력은 감소 할 수밖에 없게 된다.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유입된 국제자본들이 외부충격이나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급격하게 유출될 경우, 제 2의 통화위기가 초래되어 금융주권 상실 및 국민경제가 어려움에 처하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수출 주도형 성장 및 대외개방을 통한 경제성장을 할 수밖에 없는 우리로서는 자본자유화를 추진하되, 외환위기 당시처럼 무분별한 자본유입에 대해서는 정부의 일정한 규제를 마련하여 통제가 필요하다. 이미 유입되어 있는 투기자본들의 과도한 국부 유출에 대한 대안으로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토빈세, 가변유치의무제와 같은 제도적 장치와 경제 관리정책 및 국제금융기구와의 협조, 우리사주제도 강화 및 연기금의 활용, 공시제도 강화, 기업경영 규제강화, 재벌개혁 등을 통하여 외국 투기자본의 유입?출을 사전 예방하고, 국제 자본시장의 흐름에 맞게 대응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이러한 규제와 대응방안들은 국내 금융자본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기업의 안정적인 투자환경 조성은 물론, 내적으로는 국내산업 및 금융자본을 확대시키고, 외적으로는 급격한 자본유출과 투기자본에 대한 규제역할을 하게 된다. 역설적이기는 하지만 단기적 투기자본의 이동에 대하여 비판과 규제로 접근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세계 경제에 안정을 기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Most of the nations that experienced financial crisis including Korea are now casting away the awareness that they may have experienced financial crisis due to intrinsic factors. Instead, there is now a generally accepted consensus that there were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massive influx and outflow of the capital for speculation across the international boundaries that may have triggered the financial crisis. Accordingly, this research organized the liberalization of capital transaction that may have enabled activities concerning the capital for speculation briefly. Moreover, this research examined the regulatory measures concerning the movement of the short-term capital for speculation in the financial market that is dominated excessively by foreign capital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foreign capital that is strengthening its scope of control incrementally and of the realities of the damages caus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Despite the extensive internationally held debate on whether to regulate the free flow of the capital or to guarantee free flow of the capital even at the expenses of some degree of by-symptoms, this research recommends developing set of measures to restrict, in any form using any method since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capital for speculation that is moved across national boundaries with the goal of speculation for a quick return can obstruct the economy of a nation. However, it is also noted that the selection of the measures to regulate depends on the individual nation-specific economic situ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national economy while maximizing the effect of regulating the capital for speculation. In case of the Chile’s control over capital via variable deposit requirement, for example,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Chile-specific situation. Likewise,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findings directly onto other nations without close scrutiny. Of course, it is not an overstatement to say that foreign capital exerted many positive effects on a nation’s economy such as accelerating investment after getting flown into the nation,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domestic financial industry through competition, and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However, hasty liberalization of the financial sector and the financial market liberalization right after a crisis translates into greater exposure and vulnerability to the foreign capital for speculation, perhaps more vulnerable than any other nation in the world. In addition to the financial market, most of the public companies such as the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and KT&G Corporation as well as the SOC infra businesses are dominated by the foreign capital. In particular, the large top 10 companies that are listed in the stock market are exposed to potential hostile M&A as the share of the foreign invest ranges from 20% to as high as 50%. As abnormal phenomena such as decreased profit results due to high dividend pay-off, investment in facility and R&D which are essential for the stable growth of our economy are neglected. In order to sustain the growth of a nation and its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vestment in facility and R&D, yet the companies won’t have the means to make such investments if the capital is flown out to a foreign country via high dividend pay-off caused by the capital for speculation. Moreover, when the foreign capital, flown in excessively is flown out rapidly due to the outside shock or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instability, this could in fact trigger the second wave of currency crisis, which in turn translates into the loss of financial sovereignty and difficulty for the general public. Accordingly, since we can grow only through export driven and liberalization means, we should indeed pursue after the liberalization of capital transaction, but we also need to control indiscriminate, reckless capital inflow and outflow, as we had experienced during the financial crisis. Likewise, government needs to develop set of measures. The set of measures suggested in this research to prevent excessive outflow of the capital for speculation that is already present in Korea include Tobin’s tax, systematic measures such as variable deposit requirement, policies to manage the economy,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reinforcement of the employee stock ownership system, use of the pension plan, reinforcement of the public announcing system, strengthening of the regulation for company management, and reform of the Chaebols. These measures will help to prevent the problems concern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foreign capital for speculation in advance, and to enable preparation in line with the flow of the international capital market. These regulations and effective counter plans vitalize the domestic financial capital market, form stable investment environment for companies and so forth. Internally, they grow the domestic industries and financial capital. Externally, they regulate sudden capital outflow and control the capital for speculation. Although this may sound rather far fetched, but constructive criticism and regulation towards the movement of short-term capital for speculation can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the international economy in the longer run.

      • 성체신심 연구

        김현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votion in the Eucharist being of great help in believers's religious life is derived from Communion as "the source of overall Christian life and definite point". Through Communion, Christians attend on actually living Jesus' body under the image of bread and grape wine, in other words, unite with Him, enjoy eternal life, and receive blessings of salvation from Him. And the reason why Christians enjoy the effect of Communion is because Jesus is extant in the body, and that Christians respect the body cane be said to be a natural act, a significant and sincere mind. However, such Communion is not carried out actively in believers. There are still quite a few believers not ware of Communion well, and some of them cause trouble as they go too far or to excess, So churches need to have believers ware if what a right Communion is. Thus this article strives to explore how Communion was conducted historically, and how it would be of help enriching Christians, and in what direction it should go. This study is composed of 4 chapters, the first of which will address the history of Communion from the first church and the second Vatican public council, and the second chapter investigate thevarious types of Communion, and the third explore how Communion would serve our spiritual character connecting devotion in the Eucharist. Finally, the fourth chapter will what a right devotion in the Eucharist. The devotion in the Eucharist in Catholic churches is the two pillars of churches' public devotion activity in Communion along with devotion in the Holy Mother. These days, devotion in the Eucharist has been continuously performed, which is the very thing of bringing spiritual affluence to Christians, and having them go to the Eucharist more often, and experience perfect unity with Christ, and His love more deeply. Many popes recommended such devotion in the Eucharist to believers through many encyclics and recommendations. But devotion in the Eucharist should be precluded from going to a wrong direction. Since excessive devotion in the Eucharist leads Catholic believers out of a ceremony due to superstitious factors in that, and sometimes led to impair the Eucharist. Thus for devotion in the Eucharist to be service to the church community, it should go for a ceremony. And churches should pay a special attention not to get out of any ceremony, and faithful in education for a right devotion in the Eucharist for Catholics and help them with attending the devotion in the Eucharist well in various ways. In doing so, the devotion in the Eucharist would lead Christians to a ceremony, especially, Communion, and furthermore, then take its foundation as a faithful action to lead them to a mature religious life.

      • Flu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using Exciplex Host and Phosphorescent Sensitizer

        김현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While the display industry is expandi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OLEDs are replacing conventional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due to their various advantages. In addition, OLEDs have been applied in the field of solid-state lighting. However, in order for OLEDs to be widely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technology, both efficiency and device stability problems must be solved.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which is an index of efficiency in OLEDs, is composed of out-coupling efficiency and internal quantum efficiency (IQE). Many researchers working on OLEDs and organic semiconductors have increased the out-coupling efficiency through the development of light extraction structures, emitters with horizontal dipole orientation, host and charge transporting materials with low refractive indices. In order to increase the IQE of OLEDs, the development of emitters with high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bipolar host materials, and device structure with a charge balance such as an exciplex-based device has been reported.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important to utilize 75% of triplet excited states as light-emitting process to increase the IQE of OLEDs.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phosphorescence and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ce (TADF) materials which utilize the spin-mixing process between singlet and triplet excited stat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OLEDs. However, the device stability of the OLEDs has been a problem due to slow decay rate caused by spin-mixing process in the emitters. In particular, fluorescent OLEDs are mainly commercialized even though they exhibit low EQE due to a problem of operational lifetime in the blue reg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esearches on harvesting triplet excited states while using conventional fluorescent emitters have been performed. However,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dye-based OLEDs showed lower efficiency than those of phosphorescent and TADF OLEDs due to the inefficient triplet harvest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ovel system which can solve both the efficiency and the operational lifetime problem of the OLEDs. This thesis deals with the research topic of efficient triplet harvesting by stable conventional fluorescent emitters to fabricate fluorescent OLEDs with high efficiency and long operational lifetime. Chapter 2 contains a system which can utilize both the sensitizing effect and the induced heavy atom effect to efficiently harness triplet excited states by conventional fluorescent dyes. We used an exciplex host and a phosphorescent dopant to increase the singlet fraction of the fluorescent emitter by using spin-mixing process in the phosphorescent dopant and increased reverse intersystem crossing caused by induced heavy atom effect. Utilizing a newly designed system, we realized a fluorescent OLEDs with EQE of 23.7%, which was the world's highest efficiency based on the conventional fluorescent dye-based red OLEDs. Using opt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we have found that a fluorescent OLEDs with a maximum external quantum efficiency close to 30% can be obtained when all the singlet excitons on the fluorescent emitter emit light. Based on the idea, Chapter 3 shows the results for highly efficient fluorescent OLEDs with long operational lifetime using an exciplex host and a phosphorescent sensitizer. By using a conventional fluorescent emitter with high photoluminescence quantum yield, fluorescent OLEDs with EQE more than 25.0% were reported. The energy transfer process reduced the decay lifetime of the exciplex and the phosphorescent material, which exhibit long decay process by spin-mixing process. As a result, the fluorescent OLEDs showed operational lifetime (LT50) over 99 hrs at 1000 cd m-2, which are longer than those of phosphorescent OLEDs and fluorescent OLEDs with exciplex host.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2 and 3, we tried to extend the combination of exciplex host and phosphorescent sensitizer to the blue fluorescent OLEDs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device stability of the blue OLEDs, which are key issues in the OLEDs. However, the sensitization by the phosphorescent dopant in the blue region has been regarded as a difficult area due to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ultraviolet-emitting material for efficient energy transfer. Chapter 4 contains the results for a blue fluorescent OLEDs using a phosphorescent sensitizer. According to the photophysical properties, we found that spin-mixing in a deep-blue phosphorescent sensitizer followed by energy transfer process to blue fluorescent emitter can occur even though the phosphorescent sensitizer exhibits small energy difference from the blue fluorescent emitter. As a result, a blue fluorescent OLED with a maximum EQE of 15.3% was developed through triplet harvesting using a phosphorescent sensitizer. 다양한 전자 장비의 개발로 디스플레이 산업이 확장되는 가운데, 유기발광소자는 높은 색 순도 등의 다양한 장점으로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기존 디스플레이를 대체하고 있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조명 분야로까지 확대되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기발광소자가 미래 기술에서도 광범위하게 상용화 되기 위해서는 효율과 소자 안정성 문제를 모두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유기발광소자에서 효율을 나타내는 지표인 외부양자효율은 외부발광효율과 내부양자효율로 구성된다.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 반도체 분야에 종사하는 많은 연구자들은 광추출 구조, 수평 배향을 가지는 발광체, 저 굴절률 호스트 및 전하전달 물질의 개발 등을 통해 외부발광효율을 증가시켜왔다. 내부양자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광발광 효율이 높은 발광체 물질과 양극성 호스트 물질 개발, 그리고 엑시플렉스 기반의 소자와 같은 전하균형이 맞는 소자 구조 개발 등이 보고되었다. 한편, 내부양자효율을 중가 시키기 위해서 75% 의 삼중항을 빛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많은 연구자들은 스핀혼합 과정을 활용하는 인광 도펀트, 열 활성 지연형광 발광체를 개발하여 유기발광소자의 효율을 개선시켜왔다. 하지만, 발광체 내에서의 스핀 혼합과정에 따른 느린 감쇄 속도로 인해 소자의 구동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청색 영역에서 수명 문제로 인해 낮은 외부양자효율을 보임에도 형광 유기발광소자가 주로 상용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기존 형광 염료를 사용하면서 삼중항을 수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기존 형광 염료 기반의 소자들은 적은 삼중항의 수확 때문에 인광 유기발광소자나 열 활성 지연형광 유기발광소자와 비교하여 낮은 효율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의 효율과 수명 문제를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고효율, 장수명의 유기발광소자를 제작하기 위해 안정한 기존 형광 염료를 사용하면서 효율적인 삼중항을 수확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제 2 장은 감광 효과와 유도된 중금속 효과를 함께 활용하여 기존 형광 염료의 삼중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인광 도펀트의 스핀 혼합과정과 유도된 중금속 효과에 의한 엑시플렉스의 증가된 역항간 교차에 의해 형광 도펀트의 일중항 비율을 증가시키고자 엑시플렉스 호스트와 인광 도펀트를 함께 사용하였다. 새롭게 설계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23.7% 의 외부양자효율을 갖는 형광 유기발광소자를 구현하였고, 이는 기존 형광 염료 기반의 적색 유기발광소자 기준으로 세계 최고의 효율이었다. 또한 광학 계산과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 형광 염료의 일중항이 모두 발광할 경우 최대 외부양자효율 30% 에 가까운 형광 유기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러한 내용을 근간으로, 제 3 장에서는 엑시플렉스 호스트와 인광 감광제를 사용하여 고효율, 장수명의 형광 유기발광소자를 달성한 결과를 담고 있다. 광 발광 효율이 높은 형광 도펀트를 이용하여 25.0% 이상의 외부양자효율을 가지는 형광 유기발광소자를 보고하였다. 에너지 전달 과정은 스핀 혼합 과정으로 긴 감쇄 과정을 보이는 엑시플렉스와 인광 물질의 감쇄 시간을 감소시켰다. 그 결과, 엑시플렉스와 인광 감광제를 포함하는 형광 유기발광 소자의 구동 수명은 99시간 이상으로, 인광 유기발광소자, 엑시플렉스 기반 형광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수명보다 향상된 값을 보였다. 제 2, 3장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유기발광소자에서 핵심 문제인 청색 유기발광소자의 효율, 수명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엑시플렉스 호스트와 인광 감광제 조합을 청색 형광 유기발광 소자에도 적용시키고자 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청색 영역에서 인광 도펀트에 의한 감광효과는 원활한 에너지 전달을 위한 자외선 영역의 물질 개발 필요 때문에 어려운 영역으로 여겨져 왔다. 제 4 장에서는 인광물질을 감광제로 활용한 청색 형광 유기발광소자에 대한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광 물리적 특성에 따라, 우리는 청색 형광 발광체와 적은 에너지 차이를 보이는 진청색 인광 감광제를 사용하더라도 감광제에서 스핀 혼합과정에 이은 형광 도펀트로의 에너지 전달 과정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광 감광제를 이용한 효율적인 삼중항 수확을 통해 최대 외부양자효율 15.3% 인 청색 형광 유기발광소자를 보고하였다.

      • 위암 환자의 담즙 CEA 농도와 장기 생존 및 간전이에 관한 연구

        김현구 고신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론 : 2003년까지 대장 직장암 환자에서 담즙 CEA 농도와 간전이에 대한 연구논문은 10여 편이 학술지에 발표되어 있으나, 위암환자에서 담즙 CEA 농도가 수술 후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관한 논문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암 환자에서 수술 중에 담낭의 담즙 CEA를 측정하고, 담즙 CEA 농도가 간전이 및 장기 생존에 상관성이 있는지 조사하였다. 방법 : 1989년 12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만 7년간 고신대학교 복음병원에 입원한 위암환자 500명에서 위 수술 중에 채취한 담낭의 담즙 CEA를 ELISA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중 근치적 위 절제가 이루어진 환자들 중에 수술 후 병기가 확인되고 수술 후 위암 이외의 원인으로 사망한 환자들로서, 수술 후 생존유무가 확인된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연령 및 성별 분포와 담즙의 CEA 농도를 임의로 고농도군(≥10ng/ml)과 저농도군(<10ng/ml)으로 나누어 생존에 미치는 영향과, 간 전이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결과 : 위암의 근치적 절제가 이루어진 374명의 환자의 성별 분포는 253명의 남자와 121명의 여자들로서, 그들의 평균 나이는 52.5세(21-76세)이었다. 이들의 수술 수 추적율은 98.93%(374/378)이었고, 1명의 수술 후 사망하였고, 수술 사망률은 0.2%(1/500)이었다. 사망한 환자는 간에 다발성 전이가 있었으며 위배출구의 폐색으로 고식적인 위절제후 위-공장문합술을 받았던 환자로 수술 후에 문합부누출과 창상의 열개로 사망하였다. 이 환자는 고엽재 중독환자로, 이 때문에 창상의 치유가 안됐을 것으로 추측한다. 대상환자 전체적인 생존율은 69.12%이었으며, TNM병기에 따른 생존율(%)은 병기 ⅠA, ⅠB, Ⅱ, ⅢA, ⅢB 및 Ⅳ에서 각각 95.75, 92.49, 79.79, 50.88, 43.29 및 22.62 이었으며, 각 병기별로 유의한 생존물이 유의하게 낮아졌다.(p =0.000) 담즙 CEA 고농도군의 생존율은 55.42%, 저농도군은 76.45%로 양군간에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12) 담즙 CEA 고농도군의 간 전이율은 11.5%(14/122)었고, 저농도군의 간전이율은 1.9%(5/252)로서 양군간에 매우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0) TNM 병기별로 담즙 CEA 농도에 따른 생존율은 병기 Ⅰ + Ⅱ에서는 담즙 CEA 고농도군에서는 95.45%, 저농도군에서는 87.69%(p=0.1618)로써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진행암인 병기 Ⅲ + Ⅳ에서는 담즙 CEA 고농도군은 생존율이 25.99%, 저농도군은 57.80%(p=0.0217)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위암 환자에서 수술 중에 담즙 CEA농도를 측정하여 그 값이 10ng/ml 이상의 고농도군일 때에는 수술 후 장기적인 추적조사에서, 간전이를 포함하여, 다른 곳으로의 재발율이 높으므로, 술중 담낭 담즙 CEA농도가 위암 환자에서 불량한 예후의 한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런 고위험군에서는 향후 재발의 방지를 위한 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라고 생각한다. Purpose : Despite numerous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carcinoembryonic antigen(CEA) in gallbladder bile and liver metastasis in colorectal cancer, no similar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gastric carcinoma. We, therefore, undertook the present study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allbladder bile CEA and liver metastasis as well as the post-operative survival rate in gastric carcinoma patients with curative resection. Methods : In 374 gastric cancer patients (253 males, 121 females, age 21-76 years) operated in Kosi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1989-1996, the CEA concentration in gallbladder bile was determined during operation and the value was related to the rates of post-operative survival and liver metastasis during follow-up period. Results : The overall rate of patient survival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e in TNM stage. The 13-year post-operative survival rates for the stage Ⅰa, Ⅰb, Ⅱ, Ⅲa and Ⅲb were 95.72%, 92.49%, 79.97%, 50.88% and 43.29%. respectively, and the 10 year survival rate for the stage Ⅳ was 22.6%.The patients with a high (≥10ng/m1) biliary CEA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rate of survival than those with a low (<10ng/ml) biliary CEA. The 13-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was 55.42% for the high CEA group and 76.45% for the low CEA group (p<0.01). Also, the patients with a high biliary CEA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11.5%) of liver metastasis than those with a low biliary CEA (1.9%) (p=0.000). In patients with low TNM stages ( Ⅰ and Ⅱ), the CEA level did not affect the post-operative survival rate (95.45% and 87.69% in the high and low CEA groups. p=0.1618), but in those with high TNM stages ( Ⅲ and Ⅳ),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igh CEA group (25.99%) than in low CEA group (57.80%) (p =0.0217). Conclusion :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 gallbladder bile CEA level obtained in an advanced-staged gastric cancer operation may be used in prediction of post-operational survival rate and in sorting out high risk patients for cancer recurrence, especially in the liver area.

      • 저형청 배지를 이용한 인간세포의 연속관류 배양에 의한 tPA의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김현구 江原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promyelocytes were cultivated to produce tPA in low serum containing medium. Maximum cell density and tPA production were 2.3 x 10^(6) cells/ml and 240 ng/ml in batch cultivation. To enhance tPA productlvlty, 160 nM of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horbol ester) was added in the medium. In adding phorbol ester, the cell growth was not increased, but tPA production was enhanced to 420 ng/ml, which is two times than when no phorbol ester added. 5.27 X 10^(6) cells/ml of maximum cell density and 324 ng/ml of tPA production were obtained in perfusion cultivation. Maximum perfusion rate was 0.25 ml/min and total tPA production was 3.05 mg/50 days. In general, although it was reported that dilution rate was linearly related to specific growth rate in steady state in continuous cultivation, this study was not support the fact. In adding 160 nM of phorbol ester into 5 % serum containing medium, the cells were gradually differentiated to granulocytes. As the phorbol ester was added in excess (320 nM), much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By examining fluorescent microscope, apoptosis was prevailed from lag to stationary phase and to high agitation speed. The necrosis was prevalled in thawed cells and during latter periods of the cultivation. tPA was most produced in apoptosis and seldom produced in necrosis. To obtain higher tPA productivity, the cells must be maintained in apoptosis, not necrosls phase when the cells were dying. It is possibile to produce monoclonal antibody to selectively react on useful or harmful components in food by using the method refered in this study, and as people take fatty foods, tPA demands will be increased due to accumulating fats and thrombi in the blood vessel. Moreover, it is possibly sure that the development in the food industry will be accelerated in case that protein from and/or the cell itself are effectively utllized.

      • 체외순환에서 박동 혈류와 비박동 혈류가 신장의 조직관류에 미치는 영향

        김현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Background: It has been known that pulsatile flow is physiologic and more favorable to tissue perfusion than nonpulsatile flow. In clinical circumstances, pulsatile blood pumps have been applied in open heart surgeries requiring cardiopulmonary bypass (CPB) 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However, due to complex engineering technology and potential of blood cell trauma together with lack of definitive advantages of pulsatile flow in short-term application, pulsatile pumps is currently not used widely in CPB for open heart surgeries. Although nonpulsatile roller or centrifugal pump remains as a standard, absence of pulse of blood flow is known to be unfavorable to peripheral tissue perfusion and oxygenation. Nonpulsatile flow also requires 20~30% higher pump output than pulsatile blood flow to meet the optimal peripheral perfusion. Thus pulsatility of blood flow is still attractive especially in critical situations such as cardiopulmonary arrest, but quantitative data are yet needed to be provided.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irectly compare the effect of pulsatile versus nonpulsatile blood flow to tissue perfusion pressure and flow of the kidney in ECC under cardiac arrest. Methods: Twelve Yorkshire swine, weighing 25~40kg,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Group 1 of nonpulsatile cenrifugal pump (Biopump, n=6) and Group 2 of pulsatile pump (T-PLS, n=6). A transverse sternotomy was performed at the 3rd intercostal space and heart was exposed in the supine position. The kidney was exposed via a separated incision at the left flank. A perfusion probe was inserted 2~3 cm depth into the left renal subcapsular parenchymal tissue. After systemic heparinization of 3 mg/kg, a total CPB circuit was constructed from the right atrium to the aorta. Cardiac fibrillation was induced by 9 volt battery and then aorta was cross clamped. The pump was started and maintained at flow rate of 2 L/min for 1 hours. Tissue perfusion flow was measured by using a QFlow^(TM)-500 tissue perfusion measurement system with TDP(Thermal Diffusion Probe). Hemodynamics and tissue perfusion flow of the kidney were measured at baseline (before bypass) and every 10 minutes during the bypass period. Serologic parameters were collected at baseline and 60 minutes after initiation of bypass. Results: Baseline parameter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ulsatility was significantly more prominent in the pulsatile group throughout the bypass period (pulse pressure; 5±2 mmHg in group 1 vs. 58±8 mmHg in group 2; p=0.000). Since 20 minutes bypass, mean perfusion pressure was substantially higher in the pulsatile pump (ranged 39.8~45.5 mmHg in group 1 vs. 48.7~52 mmHg in group 2),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t 60 minutes bypass (41±4 mmHg in group 1 vs. 49±5 mmHg in group 2; p=0.023). Renal tissue perfusion flow was substantially higher in the pulsatile group throughout bypass (ranged 48.5~64.1 mL/min/100g in group 1 vs. 51.0~88.1 mL/min/100g in group 2),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t 30 minutes bypass (47.5±8.3 mL/min/100g in group 1 vs. 83.4±28.5 mL/min/100g in group 2; p=0.026). Serologic parameters including plasma free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showed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t 60 minutes after the bypass (p=NS). Conclusion: pulsatile flow is more beneficial to tissue perfusion pressure and flow of the kidney in short-term extracorporeal circulation.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observe this effects on the other vital organs or its long-term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