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행수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회화 기법을 활용한 미술치료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아동의 교우관계와 언어적, 비언어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발달장애아동이 정서적 안정감을 가지고, 나아가 사회적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교우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둘째,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언어적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비언어적 행동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다. 이 연구의 대상 아동은 경남 A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일반학급에 속해있는 발달장애아 6학년 여자아이 1명이다. 이 연구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연구자는 회화기법에 관련한 미술활동을 평균 주2회를 기준으로 총 24회에 걸쳐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결과를 위한 도구로는 교사의 평정척도로 8문항으로 구성된 사회적 상호작용 평정척도와 정정순이 사용한 사회적 상호작용 평정척도를 초등학교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절차는 사전검사, 프로그램 적용(중재), 사후검사, 자료 처리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기간은 5월부터 10월까지 7개월간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교우관계 향상에 효과적인다. 둘째,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언어적 행동변화 향상에 효과적인다. 셋째,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비언어적 행동변화 향상에 효과적인다. 이 연구에서 얻은 결론을 통해 앞으로의 연구들을 위한 제한점과 제언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된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 프로그램이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 단일 연구대상에게만 실시하였으나 장애정도, 아동의 연령별, 장애영역별 등 다양한 특성을 가진 아동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회화중심 미술치료 교육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확실한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후속연구에서는 매개변인을 확실히 통제하여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넷째, 상호협력관계에서 지원할 수 있는 미술치료교육의 방법적 접근, 효과, 사례에 대한 연구와 미술치료 교육의 적용영역의 확대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과제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peer relationships on a child who h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effects of verbal and nonverbal actions on these children by using the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program. The researcher also wanted to improve the emotionally stable child's social skills. The purpose can be specified as follows; First,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hips on a child who has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sing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Second, to find out the effect of verbal action change on a child who has developmental disability by using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Third, to find out the effect of non verbal action change on a child who has development disability by using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female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he was in a normal class of the elementary school in A city in Kyeongnam. During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photorealism art activities twice a week. This in total was 24 times. For the social interaction evaluation, the researcher used the Evaluation chart for Teachers which consisted of 8 questions and social interaction evaluation chart which was used by JUNG, Jung Soon. The second evaluation chart was used after being amended to suit elementary school level. For the study procedure, I was instructed in order of a preliminary inspection, program application(mediation), follow-up inspection, data processing. The effect has been researched for about 6 months, from May to Octob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focused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is effective for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ability on their peer relationships. Second, a focused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verbal action change on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ability. Third, a focused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is effective to improve nonverbal action change on a child who has a developmental disability With these results, I'd like to make thes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First, further study is needed on the effect of the focused photorealism art therapy education. Mak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se would provid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Second, as only one child who was developmental disability was selected in this study, further study is needed to find out from those children who have different degree of disability, expanding the limitation of the child age, disability categories and ect. Third, the study has no strict regulation, further study needs to increase reliability of the result of the research by controlling parameters. Forth, further study about methodical approach effects in the case of art therapy education which can support in mutual cooperation relationship is needed. Also, this study need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appling this application into the field of art therapy education's.

      • 암모니아 산화반응용 백금기반 나노촉매의 합성 및 특성분석

        김행수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mmonia as a fuel for low temperature fuel cells has many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fuels such as hydrogen and light hydrocarbons including methanol and ethanol because it can be not only supplied as liquid form but also oxidized without pollutants such as CO2. Despite of these excellent thermodynamic properties of ammonia, ammonia-feeding fuel cells are hardly realized due to a sluggish electro-oxidation kinetics even on platinum-based catalysts. In this work, various types of Pt-based nanostructures including Ru-modified Pt/C, hollow Pt and cubic Pt have been designed to improve the electro-catalytic performance of Pt in ammonia oxidation. The modification of Pt/C with Ru nanoparticles was carried out by impregnation of Ru with various contents on a commercial Pt/C. The Pt/C modified with 0.5mol% Ru showed higher catalytic performance than unmodified Pt/C, while Ru more than 2mol% was turn out to be detrimental to the catalytic performance of Pt. Hollow Pt nanostructures were prepared using [Pt(NH3)4]Cl2 precursor through one-step method. Compared to Pt aggregates, which was synthesized using H2PtCl6, hollow Pt nanostructures delivered 2.4 times higher oxidation current (-0.2 V vs. Hg/HgO). This was likely due to higher electrochemically active surface area (ECSA) of hollow Pt. Cubic Pt nanoparticles were prepared using DMF as a solvent and reducing agent for Pt precursor. Contrary to the conventional methods using surfactants, small amount of Fe precursor was employed for the control of Pt crystalline structure. The morphology of prepared Pt was dependent on the amount of Fe precursor used. Prepared cubic Pt nanoparticles compared to a commercial Pt black showed 5.4 times higher electro-oxidation performance though it has lower ECSA.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electrooxidation of ammonia would be occurred exclusively on Pt (100) surface, and prepared cubic Pt nanoparticles has higher surface area of Pt (100).

      • 부모에 대한 애착과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 수준과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김행수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와의 애착과 자기 효능감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부와의 애착과 모와의 애착 각각들이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대학생진로지도를 위한 상담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애착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둘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신뢰, 부모와의 소원정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 셋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인 부모와의 의사소통, 부모와의 신뢰, 부모와의 소원정도와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미치는 영향의 성별에 따른 차이 등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도, 경상도, 충청도 각각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 1,2,3,4학년에 재학 중에 500을 대상으로 집단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436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이들에게 제공된 설문지는 부모애착, 자기효능감, 진로미결정,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구성되었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미결정 점수와 진로준비행동의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부모와의 애착과 자기효능감을 예언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와 모와의 관계가 세부적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부와 모와의 애착의 하위요인들을 예언변인으로 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는 모와의 애착보다는 부와의 애착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역시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는 부와 모와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부모애착의 하위요인들의 영향을 보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에는 부와의 소원함과 모와의 신뢰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진로준비행동에는 남학생의 경우에만 모와의 의사소통과 부와의 소원함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발달과정에 아버지와의 부정적 관계, 어머니와의 긍정적 교류 정도에 의해 중요한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influence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specially it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attachment of a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considering influences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to prepare the definite plan of counseling for the college students’ career. The study subjects to be verified through this research are firstly the influence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and self efficacy on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ly relative influences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reliance on the parents, estrangement from the parents, and subalternate factors of the self efficacy; general and social self efficacy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irdly differences of the influences according to gender of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parents;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reliance on the parents, estrangement from the parents, and subalternate factors of the self efficacy; general and social self efficacy on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perform the research, the questionnaires were massivelyconducted with 500 college students among the freshman, sophomore, junior and senior from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Kyeonggido, Kyeongsangdo and Chungcheongdo, and data of the 436 students was analyzed. The questionnaires was composed as the measurement of the attachment to the parents, self efficacy, undefined care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confirm the research subjects, the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scores of the undefined caree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attachment of the parents and self efficacy as in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to research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mother on the specific features, the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of the father and mother as in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firstly for the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the attachment to the father was more important rather the mother, and the self efficacy likewise gave an important influence. Nevertheless, th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mother did no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Secondly, for the influences of the subalternate factors of the attachment to the parents, the estrangement from the father and reliance on the mother were influenced on the career decision of the college students, however, the communication with the mother and estrangement from the father were influenced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ly in case of male students. As a conclusion, the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llege students was importantly influenced by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father, and how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other was. Through the research result, limitation of the study and upcoming project were discussed.

      •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과 개별성-관계성의 매개효과

        김행수 강남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개별성-관계성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동서양의 독특한 문화적 차이는 부모의 양육태도나 양육방식에서 차이를 보여 왔고, 이러한 차이는 자녀들의 심리적 특성을 상이하게 발달시켜 왔다. 개인주의적 가치가 강한 서구에서는 개인주의 가치가 심리적 특성으로 기능하는 개별성(individuality)을 강조하였고, 집단주의적 가치가 강한 한국사회에서는 집단주의 가치가 심리적 특성으로 기능하는 관계성(relatedness)을 강조해 왔다. 그런데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급격한 문화변용 현상이 나타나고, 나아가 젊은이들 중심으로 서구의 문화특성인 개인주의 경향이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변용이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자녀의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개별성 및 관계성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과 충청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 학생 618명(중학생404명, 고등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개별성-관계성 및 심리적 안녕감 등의 측정 도구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 중 60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는 청소년의 개별성과 관계성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는 청소년의 개별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네 번째는 청소년의 개별성과 관계성을 매개로 부와 모에 따른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고, 다섯 번째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간에 자기존중감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여섯 번째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및 개별성과 관계성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개념 중에서 성취압력적 양육태도와 수용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은 부와 모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개별성과 관계성에서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공감성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자율성과 공감성이 부모의 성취압력적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자율성은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매개하지 못하지만, 공감성은 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은 부와 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개별성과 관계성은 성취압력적 양육태도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를 이중 매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 번째는 부모의 성취압력적 양육태도는 한국문화의 독특한 부모의 양육태도임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성취압력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 발달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율성 발달을 촉진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의 사회 문화적 환경과 민족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부모 교육의 방향을 논의하고, 부적응을 겪고 있는 청소년 상담에서 청소년의 개별성-관계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individuality-relatedness of adolescents in the relation of nurturing attitudes of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ir teenage children. The uniqu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have shown dissimilar ways of parenting attitudes since psychological aspects of their teenage children from both cultures have been developed in a different way. Western societies have strong individualistic value, which has emphasized the individuality as an operating psychological quality. Yet, Korean society demonstrates collectivism value that has stressed the relatedness as an operating psychological quality. Meanwhile, rapid acculturation phenomenon is being observed in Korean society, and thereby individualistic tendency, which is the psychological quality of Western societies, is increasing among younger gen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sts to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individuality-rela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turing attitude of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eenage children in Korean society where rapid acculturation is observed. This study sets research questions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performed validation process. 618 secondary school students (214 high school students and 404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 area were chosen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them to measure how they shaped nurtur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self-esteem, individuality-relatednes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602 surveyed materials were analyzed. First, this study verifies that nurturing attitudes of parents have posi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ir teenage children. Second, this study confirmed that individuality-relatedness has effects on the well-being of adolescents. Third, this study, while considering individuality-relatedness of adolescents as a mediating factor, attempts to search for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ir teenage children. Fourth, this study, while considering individuality-relatedness of adolescents as a mediating factor, attempts to distinguish the paternal parenting attitude from maternal parenting attitude that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ir teenage children. Fifth, this study finds how self-esteem of adolescents works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ir teenage children. Sixth, this study searches for the effects of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self-esteem and individuality-relatedn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As the results show, achievement-driven parenting attitude and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in the midst of subordinate concepts of parenting attitude have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of adolescents. Those effects show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individuality-relatedness, high levels of autonomy and sympathy have positive effects on engendering a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the study confirms that autonomy and sympathy mediate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chievement-drive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While autonomy does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of parents’ recep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sympath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se effects are shown differently between mothers and fathers. Furthermore, the study finds that self-esteem and individuality-relatedness reciproc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of parents’ achievement-driven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Thes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it is understood that parents’ achievement-driven parenting attitude is the unique by-product, resulted from Korean culture. Second, it is advised that parents should encourage adolescents to develop a sense of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cause parents’ achievement-driven parenting will not be effective without psychological encouragement for their childre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oriented on the foundation of unique socio-cultural environment and national identity of Korea, and that maladjusting adoles -cents need intervention through the counseling in order to enhance their individuality –relatedness values. Lastly, restrictions of this study and necessity for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 Symmetric Traveling Salesman Problem을 풀기 위한 유전자 알고리즘에서 유전자 중복을 제거한 세대 구성방법

        김행수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조합 최적화 문제인 Traveling Salesman problems(TSP)을 Genetic Algorithm(GA)과 Local Search Heuristic인 Lin-Kernighan(LK) Heuristic[2]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은 최적 해를 구하기 위해 널리 알려진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세대의 구성을 위해 Tour Construction Heuristic으로 Nearest Neighbor Heuristic을 기초로 하고, LK를 이용하여 주어진 TSP문제에서 Local Optima를 찾고, GA를 이용하여 Local Optima를 바탕으로 Global Optima를 찾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서 이런 GA와 LK를 이용하여 TSP문제를 풀 경우 해가 점점 수렴해가면서 중복된 유전자(동일한 성격을 갖고 있는)가 많이 만들어진다. 보통 이런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 교배나 변이의 방법을 바꾸어서 극복하는 것이 대부분의 방법이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접근 방법은 한 세대 유전자들의 집합을 구성하는 각각의 유전자들의 구성형태가 서로 간에 많은 유사점들을 갖게된다. 이런 많은 유사성을 갖는 유전자(중복유전자)를 제거 함으로써 중복된 유전자들을 다른 지역의 해 공간으로 이동시키고, 탐색을 범위를 보다 넓고 다양하게 검색하여, 더욱 효율적으로 최적 해를 찾아내는 방법에 대해 서 논하겠다. 일반적인 방법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rat195, gil262, lin318, pr107, pr152, lin105, a280의 TSP문제를 대상으로 실험을 한 결과 최적 해를 구할 때 까지의 평균수행시간이 더 빠르다는 결과를 보일 것이다. It is well known method to access to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which is to say Combination Optimization Problem by using Genetic Algorithm(GA) and Lin-Kernighan(LK), Local Search Heuristic for getting Global Optima. In this thesis, I make a foundation on the Nearest Neighbor Heuristic as a Tour Construction Heuristic for the consist of the first generation. I find out Local Optima in the TSP problem by using LK, and I make use of the way of searching out Global Optima in the basis of Local Optima with GA. When we solve the TSP problem by using these GA and LK, a lot of double-genes are made while the solution is being converging. Normally we get over this situation with the exchange of Crossover and Mutation. However, the access I suggest shows a lot of similarities among the genes which are consist of the groups in one generation. I will argue about the method which can search out the optimum solution effectively by getting rid of these similar genes. By moving out these similar genes from one space to another, we can widen and vary the searching area. I compared two methods solving TSP problem in rat195, gil262, lin318, pr107, pr152, lin105 and a280. I will show the result that the accomplishment time for the optimum solution using the method I suggest in this thesis is faster than that of general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