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HMD를 착용한 가상현실 승마가 뇌성마비 아동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해원 청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를 사용한 3차원 가상현실 승마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10명의 뇌성마비 아동은 Horse riding stimulator (HRS, n=5) 그룹 혹은 Horse riding stimulator with virtual reality (HRSVR, n=5) 그룹으로 동일하게 무작위 배정하였다. 균형 평가를 위해 Wii Balance Board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Central of gravity (COG)의 sway velocity and total distance를 측정하였고, 보행 분석기(OptoGait, Microgate S.r.l, Italy)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보행속도와 보장길이(stride length)를 측정하였다. 결과: 그룹 내(intra-group) 전-후 비교에서 HRSAVR 그룹에서는 stride length, gait velocity, COG sway velocity and COG sway distance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HRS 그룹에서는 stride length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룹 간(inter-group) 비교에서는 두 그룹 사이에서 COG sway velocity 제외하고 stride length, gait velocity and COG sway distance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3차원적 가상현실을 이용한 승마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과 균형에 효율적인 치료 방법인지를 확인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서는 승마기구 그룹과 비교했을 때, 가상현실 승마기구 그룹에서 균형과 보행에서 더 많은 향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승마 기구 훈련만을 실시하는 것보다 가상현실을 결합한 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기능적 수행(functional performance)에 향상을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제시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horse riding simulator training using a head-mounted display on gait and bal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10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horse riding simulator (HRS) group (n = 5) or the horse riding simulator with virtual reality (HRSVR) group (n = 5). To evaluate balance, center of gravity (COG) sway velocity and total sway distance of each group were assessed using the Wii Balance Board, and gait speed and stride length of each group were assessed using a gait analysis system (OptoGait, Microgate, Italy). Results: Intra-group comparisons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measure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gait and balance variables such as stride length, gait velocity, COG sway velocity and COG sway distance in the HRSVR group. In the HRS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all variables except stride length. In addition, inter-group comparis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stride length, gait velocity and COG sway distance except COG sway veloc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orse riding simulator training combined with 3D virtual reality can be a new positive therapeutic approach for improving functiona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베르그손의 생명철학을 통해 본 사회와 인간 행위의 문제

        김해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Sociology is led by a tendency to assume a stable system, but a real society is an ever-changing movement. Interest in change is from a fundamental and inherent problem of sociology, and in sociology there has been an effort to capture the dynamics of human action beyond the scheme of structure and the individual. This study focuses on Bergson’s philosophy of life,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being in the movement of a flux of durée as an ideological source to reason the above sociological problems. In Bergson’s philosophy, the concept of society is evolvi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durée, disclosing Bergson’s own social theory.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problems of society and human action from the point of view of life philosophy by clarifying Bergson’s social theory. At the centre of Bergson’s philosophy lies the concept of durée, and as it is noted, the concept of durée gradually developed as Bergson’s thoughts developed. Chapter 2 examines Bergson’s philosophy of life following the progress of the concept of durée. The earliest form of durée in Time and Free Will is time as a sheer movement which cannot be spatialised. Unveiling that the essence of all reality is a growing and flowing process of time, Bergson reveals that we are in a habit of confusing time with space, or quality with quantity. The concept of durée becomes the activity of spirit in Matter and Memory. The spirit represents the reality through the contraction of memory as static and also creates our own rhythm of durée. Durée is established as an ontological principle, as the power of the spirit is understood as the creative power of life in Creative Evolution. According to Bergson’s theory of creative evolution, life evolves as a flux of becoming and a growing process towards the future. Located at the extreme of evolution, the human being is a privileged entity who preserves the power of life. Chapter 3 derives Bergson’s social theory by clarifying the evolving concept of societ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urée. In Bergson’s early work, society is understood as a static and an obstacle to freedom as a fixity. However, society’s fixity stems from the contractions of intellect, which ensures a flexibility. The fact that human society is both fixed and flexible reaveals the speciality of human being’s existence in contrast to animal instincts, which are automatistic. It is now confirmed through Creative Evolution that society is the way of life, intended by life to realize its desire for endless creation. The concepts of society considered so far are aggregated as trends of closedness and openness in Two Sources. Human society is alternating between the tendency of closedness to try to maintain society and the tendency of openness to move forward toward the future in line with the desire for life. With the understanding of society as a movement between two tendencies, Chapter 4 examines the law of social development and the freedom of human action in accordance with the theory of creative evolution. Based on the concept of durée, the impossibility of freedom is a fallacy only occurring by observing actions posthumously. Structure and the individual are also representations obtained by abstracting action in the tendencies of closedness and openness. When attention is paid to the action itself, these external abstractions dissolve and disappear. Thus, society is developing in the process of creative evolution against any kind of determinism, which is the process of fundamentally free human actions as a qualitative leap forward to the future. 사회학은 안정적인 사회 체계를 가정하려는 경향으로 이끌리나 실재로서의 사회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운동 속에 있다. 변동에 대한 관심은 사회학을 태동하게 한 근본적 문제의식에서 비롯하며, 사회학에서는 구조와 개인이라는 도식을 넘어서는 행위의 운동을 포착하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 이 연구는 위와 같은 사회학의 문제를 사유할 수 있는 사상적 원천으로서 실재를 지속(durée)의 운동 속에 있는 것으로 파악한 베르그손의 생명철학에 주목한다. 베르그손의 철학에서 사회의 개념은 지속의 개념이 발전함과 함께 진화하면서 베르그손의 고유한 사회 이론을 드러내고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베르그손의 사회 이론을 규명함으로써 생명철학의 관점에서 사회와 인간 행위의 문제를 고찰하는 것이다. 베르그손의 철학의 중심에는 지속이라는 개념이 놓여 있으며, 주지하듯이 지속의 개념은 베르그손의 사상이 전개되면서 점차 발전하였다. 2장에서는 지속 개념의 발전 과정을 따라가면서 베르그손의 생명철학을 이해해 본다. 『시론』에서 제기되는 지속의 최초의 형태는 공간화될 수 없는 시간이자 운동 그 자체이다. 모든 실재의 본질은 흐르는 시간 속에서의 부단한 변화라는 점을 밝히면서, 베르그손은 우리가 시간을 공간으로, 질을 양으로 혼동하는 습관에 젖어 있음을 드러낸다. 『물질과 기억』에서 지속은 정신의 활동으로서 논해진다. 정신은 기억의 수축 작용을 통해 지속하는 실재를 정적인 것으로 표상하고 또한 우리 고유의 지속의 리듬을 만들어낸다. 『창조적 진화』에 이르러 정신의 힘이 생명의 창조력으로 이해됨으로써 지속은 존재론적 원리로서 정립된다. 베르그손이 검토한 진화론에 따르면 생명은 미래를 향해 전개되는 부단한 과정 속에서 창조적으로 진화한다. 진화의 극단에 위치한 인간은 그와 같은 생명의 힘을 보존하고 있는 특권적 존재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은 지속 개념의 발전을 따라 진화하는 사회 개념을 규명함으로써 베르그손의 사회 이론을 도출해 본다. 베르그손의 초기 저작에서 사회는 고정성으로서 자유에 대한 장애물임이 지적된다. 그런데 그 고정성은 유연성을 담보하는 지성의 수축 작업에서 비롯한다. 인간 사회가 고정성인 동시에 유연성이라는 것은 동물의 본능이 자동주의인 것에 반해 인간 존재의 특수함을 드러내고 있는 것인데, 『창조적 진화』를 거치며 이제 사회는 끝없는 창조를 향한 생명의 열망을 실현하기 위해 생명에 의해 의도된 삶의 방식임이 확인된다. 『두 원천』에서는 이제까지 검토된 사회의 개념이 닫힘과 열림의 경향성으로서 종합된다. 인간 사회는 사회를 보존하려는 닫힘의 경향과 생명의 열망에 따라 미래를 향해 전진하려는 열림의 경향 사이에서 진동하고 있다. 사회가 이처럼 두 경향성 사이에서 운동하고 있음이 확인되는바, 4장에서는 창조적 진화론에 따르는 사회의 발전 법칙과 인간 행위의 자유에 대해 규명해 본다. 지속의 개념에 근거하면 자유가 불가능하다는 것은 행위를 사후적으로 관찰함으로써만 도달하게 되는 오류이다. 구조와 개인 역시 닫힘과 열림의 경향성 속에 있는 행위를 추상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표상이다. 행위의 운동 자체에 주목할 때 이러한 표피는 용해되어 사라진다. 따라서 사회는 어떤 결정론에도 반하는 창조적 진화 과정 속에서 전개되고 있으며, 이는 미래를 향한 질적 비약으로서 본질적으로 자유로운 인간 행위에 의해 이루어진다.

      •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와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의 악곡비교분석

        김해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본연구는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와 유아교육기관에서 서호하는 동요의 악곡 비교분석을 통하여 그 차이와 특징을 알기 위해 실행되었다. 유아들에게 선호되는 동요곡 350곡중 100곡을 선곡하여 부산지역 5세 전담 병설유치원 교사1명, 사립유치원 교사 3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44곡을 선곡 했으며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 44곡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박자,조성,형식및길이,리듬형태,음정,화음,화성,장르 기보법 오류등이며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에는 선행연구의 적절한 동요 기준에 부합되는 곡의 빈도가 높았으나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에서는 높지 않았다. 카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박자, 형식및길이, 음역에 대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성 리듬형태, 음정, 장르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songs in teacher's Nuri-curriculum-guidebook for 5 year-olds, and those whi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prefer. This study finally selected 44 children's songs which children love through a survey to kindergarten teachers: one from a public kindergarten and three from a private kindergarten. After this song selection, the researcher compared these songs with those included in teacher's Nuri-curriculum-guidebook for 5 year-olds. The standards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are beat, majors and minors, musical composition and length, rhythm, key, harmony, genre, errors in sco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chi-square test in SPSS 21.0. The result of this study is below: First, there were more pieces in teacher's Nuri-curriculum-guidebook for 5 year-olds that fit into the standards for appropriate children's songs, suggested in preceeding research, compared to the songs that kindergartens prefer. Second, as a result from chi-squar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in beat, musical composition, length, and range. However, there were n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majors and minors, rhythm, key, and genre.

      • 證券會社 職員의 職務特性과 沒入

        김해원 慶北大學校 經營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review of literatures and also by means of empirical study. A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modeled after the Hackman-Oldham Job Diagnostic Survey. The framework for this empirical study is as in Fig. 1. ◀표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Figure 1. Conceptual Framework of the Study The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y examining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262 staff member of 8 security componies in Taegu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analysis and ANOVA(Analysis of Variance) and its difference of significance was examined at the level of P <.05.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involvement of workers are closely related with job variety, significance and autonomy. Seco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not directly related with job characteristics, but related with the job involvement. Third, growth need strength of workers have moderating effects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urth,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gent, according to workers' position. Fifth, by casing different levels of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possible classfy staffs according to their jobs.

      • 크리티컬 리터러시를 활용한 미디어 비판적 읽기 : 디즈니 <잠자는 숲속의 공주>와 <말레피센트>를 중심으로

        김해원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언어 학습에 있어서 문화를 습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환경의 학습자는 언어의 실제적인 사용과 문화의 습득의 기회를 상대적으로 갖지 못한다. 때문에 문화 학습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문학작품을 이용하는 것은 그 중 하나이다. 문학작품의 이용은 텍스트에서 미디어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으며 언어학습자를 위한 문화 습득에 있어서 유용한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문학작품은 시대적 배경이나 작가의 의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때문에 문학작품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그 이면에 담긴 주장과 이데올로기를 파악하며 편향되지 않는 태도로 작품을 비판적으로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을 읽는 비판적 태도를 기르기 위해 크리티컬 리터러시(Critical literacy)를 활용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 <잠자는 숲속의 공주>(Sleeping Beauty)와 이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한 <말레피센트>(Maleficent)를 비교하였다. 관점을 달리 한 두 작품이 담고 있는 고정관념과 시대적 가치에 대해 외모 및 인종, 권력 및 계급, 젠더의 측면에서 분석 및 고찰하였다. 외모와 인종의 측면에서 두 작품을 비교한 결과 새로운 작품을 통해 ‘아름다움은 곧 선’이라는 외모와 성격과의 관계를 탈피하고자 함을 확인하였다. 공주와 왕자의 모습은 아름답게 묘사하고 마녀와 낮은 계층은 추한 외모를 가지거나 신체적, 정신적으로 열등하게 묘사한 것 또한 극복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권력과 계급의 측면에서 살펴봤을 때 애니메이션은 영웅과 악당의 존재를 명확하게 구분하고 영웅의 지위는 남성에게 부여하였으며 악한 존재는 여성이라는 고정관념을 보여주었다. <말레피센트>에서는 원래부터 영웅이거나 악당인 존재는 없으며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 조건이 영웅과 악당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통해 영웅과 악당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또한 소외된 인물과 지역에 새로운 시각을 부여해 이들에게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하였다. 젠더의 측면에서도 두 작품은 차이를 보였다. <잠자는 숲속의 공주>는 전통적인 젠더의 특성을 반영하여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남성,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여성의 이미지를 내세워 여성을 남성에 비해 열등한 존재임을 나타냈다. <말레피센트>에서 여성의 이미지는 보다 발전되었다. 호기심 있고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여성으로 기존의 이미지를 전복시켰으며 시련을 주는 인물을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에게도 부여하여 고정적인 젠더의 관념에서 벗어나려 노력했다. 이같은 연구 결과는 문학작품을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이면에 숨은 가치나 이데올로기적 의도를 파악해야 하며 선입견 없는 시각을 가지기 위해서 크리티컬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학습자에게 이미 익숙한 이야기를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고정관념의 틀을 깨고 비판적 사고 능력을 키워 영어학습을 위해 다른 작품을 접할 때에도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판단의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 성 보나벤뚜라의 『대전기』를 중심으로

        김해원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전기』 는 전기 형식을 취한 영성신학 작품이며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성장 과정을 일정한 순서에 따라 서술하고 있다. 성 프란치스꼬가 그의 영적 성장에서 보여준 질서는 완덕의 세 가지 길에 관한 정화, 조명, 일치라는 단계적인 과정이다. 이 질서는 『대전기』 에서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는데, 첫째, 시간적인 진행 순서에 따라 서술된 부분, 둘째, 덕의 단계적인 발전 순서에 따라 서술된 부분이 있다. 전자는1-2장이 정화 단계에, 3-4장이 조명 단계에, 14-15장이 일치 단계에 해당한다. 후자는 5-7장이 정화 단계에, 8-10장이 조명 단계에, 11-13장이 일치 단계에 해당한다. 이 덕의 발전 순서는 수직적 질서와 수평적 질서로 나누어 진다. 수직적 질서는 인간이 덕행의 삶에 의해 영적으로 상승하여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데 필요한 질서이다. 수평적 질서는 인간이 영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회복해야 할 모든 창조물 상호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며 영원한 모형에 의해 창조된 질서를 회복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서이다. 이 두 질서는 상호 조화를 이룰 때 각 질서가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성 프란치스꼬는 자신 안에서 이 두 가지 질서를 조화롭게 성취하였다. 성 프란치스꼬가 이들 질서를 따라 영적 성장을 이룸에 있어서 그리스도는 늘 그 중심자리를 차지하였다. 그리스도는 십자가 상의 죽음을 통해서 모든 인간에게 구원의 신비를 이룩하심으로써 교만과 죄로 인해 잃어버린 질서와 조화를 회복할 수 있는 힘을 되찾아 주셨다. 성 프란치스꼬는 이 힘을 차고 넘치도록 받아누렸으며, 그의 영적 성장 과정은 일생동안 그리스도의 십자가 신비에 기초한 삶에 철저함으로써 자기 자신의 원위치를 회복해 가는 과정이었다. 첫째, 정화란 죄악에서 회개로 넘어가는 것이다.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여정은 사랑에서 출발하였다. 그의 영적 성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랑이다. 이 사랑은 성 프란치스꼬의 영적 삶의 본질을 표현한다. 이 사랑은 성프란치스꼬의 영혼이 성장해 가는 과정에서 나타난 정화, 조명, 일치를 가능케하는 원동력이었다. 이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 하느님께 대한 사랑, 이웃에 대한 사랑, 십자가에 못박히신 예수 그리스도께 대한 사랑, 나에 대한 사랑 등 다섯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이 사랑은 하느님의 사랑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으로 병고를 거치는 과정에서 감각의 회복을 얻었고, 성령을 받게 되었다. 이후 성 프란치스꼬는 성령에 사로잡힌 사람이 되어 하느님의 이끄심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하느님의 사랑에 대한 보답으로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에 대한 사랑의 열망으로 불타올랐으며, 그 구체적인 실천 방법으로서 이웃사랑의 실천을 선택했다. 그가 보여준 이웃 사랑의 상징적인 예가 나병환자와의 만남이다. 성 프란치스꼬는 나병환자를 만난 후 결정적으로 회개의 삶을 살게 되었다. 그의 이웃사랑은 비단 사람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피조물을 한 형제처럼 사랑하는 우주적인 형제애로 확산되었다. 성 프란치스꼬가 사랑을 실천함에 있어서 안내자 역할을 한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랑이었다. 십자가의 환시를 통해 성 프란치스꼬의 마음 속에 십자가의 그리스도의 사랑이 새겨졌으며 그는 회개 이후 죽을 때까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가슴에 품고 이를 살아갔다. 성 프란치스꼬는 하느님의 뜻을 알고 하느님의 뜻에 일치하는 자기 위치를 확인하고자 했다. 그 결과 육의 아버지 대신 하느님을 영적 아버지로 택하고 하느님의 자녀로서 충실하게 살아가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이러한 내면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 행위가 지금까지 입고 있던 옷을 모두 벗어 던지는 것이었다. 옷을 벗음은 세상에 죽고 자기를 버리는 완전한 회개를 뜻한다. 이것은 죄에 물든 나를 버리고 '참 나'를 찾아가는 길이다. 『대전기』 에서 언급하는 정화 단계에 해당하는 덕들은 엄격함, 겸손과 순종, 청빈이다. 이 덕들은 성 프란치스꼬로 하여금 감각의 순수성을 회복하도록 하였고 참된 자신에 대해 자각하도록 했다. 성 프란치스꼬가 점차 영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그의 영혼 안에 창조 때 심어진 하느님의 모상이 본래 모습으로 회복되었다. 둘째, 조명이란 회개에서 지혜로 건너가는 것이다. 성프란치스꼬는 '말씀'에 글자 그대로 충실하고자 노력한 결과 복음 정신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그리스도교적 완덕에 있어서 진보하기 시작했다. 이 완덕은 복음적 완덕을 말한다. 성 프란치스꼬가 추구한 복음적 완덕은 그리스도를 충실하게 따르는 것이다. 이 완덕을 향한 여정에서 그리스도는 성 프란치스꼬의 유일한 스승이 되어 그의 삶 전체를 통하여 그를 가르치고 인도하였다. 성 프란치스꼬는 이 완덕의 절정이 곧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는 것이라고 이해했다. 십자가의 그리스도를 닮고자 하는 그의 열망과 노력은 그로 하여금 그리스도와의 일치 안에서 성장하도록 하여 영적으로 뿐만 아니라 육체적 외형적으로도 수난받으신 구세주의 모습을 닮도록 하였다. 조명 단계에서 다루어지는 덕들로 Legenda Major is a new style of writing in which biography becomes theology. Legenda Major is a theological expression of the Franciscan experiense. In the Legenda Major the process of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consists of a threefold pattern, purgation, illumination and unification. Thus chapters one and two, three and four, fourteen and fifteen which are historical in character, correspond to the three phase; purgation to chapters one and two, illumination to chapters three and four, unification to chapters fourteen and fifteen. And this same pattern emerges in the analysis of the virtues of St. Francis, chapters five to thirteen, which may be divided in a threefold manner according to the same approach; purgation to chapters five to seven, illumination to chapters eight to ten, unification to chapters eleven to thirteen. The order of the growth of virtues consists of the vertical approach and the horizontal. The first one consist in the orientation and movement of all created beings in this world to their final end, God. The second concerns the interrelation of all creatures to one another and consists in the disposition, arrangement and association of all things in this world. Christ is of the Cross the center in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The stigmatization of St. Francis is the fundmental pattern of the Franciscan spirit and is a salient principle in understanding the saint's growth in virtues. The process of the spiritual growth starts at love. Lov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piritual growth of St. Francis. This love consists of love of God, love to God, love to neighbour, love to the crucified Jesus, love to oneself. St. Francis' soul turned from the transitory values of earth to the eternal verities of heaven. The process is threefold; to journey from vice to penance; to pass from penance to wisdom; and to travel from wisdom to eternal life. The death of St. Francis is the culmination of the journey begun by him at the time of his conversion. St. Francis is the model of the perfect pass-over into God. The first stage of this threefold development consists in the conversion process of the St. Francis. This comprises chapters one and two of the Legenda Major. It is that period in which the young Francis began to turn from the values of the world and to grow in a deeper sense of humility as well a a material and an immaterial poverty. This growth is characterized by a total stripping or emptying of the young man. It entails a purgation, a mortification, or a dying to one's self, and as such corresponds to those chapters of the Legenda Major, five, six and seven, which treat of the saint's growth in the virtues of austerity, humility, obedience and poverty. This self-emptying enables St. Francis to grasp more fully the life of Christ which was his through the grace of God and inspires him to express this more fully in a total conformity with the Gospel way of life. This is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in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of the Legenda Major. Since chapters eight, nine and ten form Bonaventure's description of those virtues which are indicative of the new life of Christ to which St. Francis strove to conform, i.e., a life of piety, charity and prayer, they reflect this second phase of the saint's development in the spiritual life. The thorough conformity with Christ led to its expression in the stigmata and deepened the St. Francis' consciousness of the Pashal Mysteries. Accordingly, even as St. Francis was dying he strove to imitate the Crucified Christ, both in his desire to be united with His sufferings and in his eagerness to win as many souls as possible for him. Thus the death of St. Francis became a passover to the Father after the manner of the Redeemer of all man. Chapters eleven, twelve and thirteen, which treat of his St. Frsncis' understanding of Scripture, the efficacy of his preaching and the stigmata, lead to this final stage of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in chapters fourteen and fifteen of the Legenda Maj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