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쯔쯔가무시 환자 혈액에서 프로테오믹스 기법을 활용한 진단표지 단백질 발굴
Scrub typhus is caused by the obligate intracellular Orientia tsutsugamushi. The bacterium is maternally inherited in trombiculid mites and transmitted to humans by feeding larvae. No direct serological protein biomarker of scrub typhus has been known. To identify biomarkers of initial diagnosis, detection of symptomatic scrub typhus patients and monitoring for scrub typhus, serum proteins reflecting alteration in their proteomes were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a total of twenty one spots which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were found by comparing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patterns among human sera of acute febrile patients, pre-therapeutic and post-therapeutic scrub typhus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The expression levels of PRO2044, PRO2675, apolipoprotein E, albumin-like protein, glutathione peroxidase, WFDC5, fibrenogen gamma, seren/cystein proteinase inhibitor clade G member 1 splice variant 2, complement factor B, alpha-1-B glycoprotein, increased in serum of scrub typhus patients, whereas the other eight proteins including proapolopoprotein, immunoglobulin G1 Fc fragment, transferrin , Ig mu chain C region, decreased. The results suggest that these proteins can be used as diagnostic and monitoring biomarkers of scrub typhus if further studies were done. 쯔쯔가무시병은 Orientia tsutsugamushi의 감염에 의한 급성 발열성 질환으로 털진드기(Leptotrombidium mite)에 물려서 감염된다. 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이나 가피(eschar)형성을 볼 수 있으며, 피부발진은 발병 후 5-8일경에 몸통 부위에 주로 발생한다. 확진은 리켓치아를 분리하거나 혈청검사로 이루어지지만 임상에서는 리켓치아의 분리가 어려운 까닭에 혈청검사의 도움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직접적인 혈청학적 진단 표지 단백질들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쯔쯔가무시병의 진단 표지자를 발굴하기 위하여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치료 전과 치료 후의 혈청 그리고 급성 발열성 환자의 혈청을 정상인과 비교하였다. 이차원적 전기영동상 정상군과 쯔쯔가무시병 환자의 치료 전, 치료 후 혈청과 급성 발열성 환자의 혈청을 비교하였을 때, 환자군의 혈청에서 총 21개의 단백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 중 Apolipoprotein E, Albumin-like protein, glutathione peroxidase, WFDC5, PRO2044, PRO2675, Apolipoprotein A-IV precursor, Fibrenogen gamma, seren/cystein proteinase inhibitor clade G member 1 splice variant 2, Complement factor B, Alpha-1-B glycoprotein 등은 환자군에서 높게 발현되었으나, PRO2044, non-identification proteins, Proapolipoprotein, immunoglobulin G1 Fc fragment, Transferrin at two, Ig mu chain C region 등은 감소된 발현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쯔쯔가무시병 환자에서 발현이 변동된 21개의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이런 단백질들은 쯔쯔가무시병의 진단적 표지 단백질로 활용될 수 있고 나아가 병태생리 규명 및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표적 단백질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터키의 대 쿠르드 정책 변화 원인 분석 : 2002년, 2003년 방송법, 언어교육법 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1923년 터키 공화국 창건 이래 터키 내의 소수 민족인 쿠르드 문제는 지속되어 왔다. PKK의 무장 투쟁뿐 아니라 쿠르드의 민족적 정체성을 인정 받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 되어 온 점은 터키 정부와 쿠르드 간의 갈등을 드러내고 있는 증거이다. 이러한 갈등 상황에서 터키는 쿠르드 뿐 아니라 소수 민족의 존재 부인으로 정책을 일관해 왔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터키 정부의 쿠르드 정책에 뚜렷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데 특별히 문화정책에 개방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공영 방송에서 쿠르드 언어로 제작한 프로그램을 방영하게 하였고 쿠르드어를 가르치는 언어과정들이 개설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법적 근거는 2002년과 2003년에 있었던 방송법과 언어교육법의 개정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터키 공화국 창건 이래 터키가 유지해 왔던 소수 민족 부인 정책을 철회하고, 소수민족의 언어로 방송을 방영하게 하도록 그리고 소수언어를 가르칠 수 있도록 정책을 전환시킨 원인을 모색한다. 가장 큰 소수민족인 쿠르드 문제가 심각했던 상황에서 이러한 정책으로의 전환은 사실 상 대 쿠르드 정책 전환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정책 전환 과정에서의 행위자들의 논의를 추적함으로써 대 쿠르드 정책 전환 과정을 재구성하고, 행위자들의 입장에 서서 대 쿠르드 정책 변화 원인을 규명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정책 변동 이론인 사바티어의 지지연합 틀을 터키 상황에 맞추어 본다. 사바티어의 지지연합 틀은 정책에 대한 공유된 가치 체계인 정책 신념을 중심으로 입법인들, 정부, 관료들, 학자, 언론, 시민단체, 이익단체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특정한 지지연합을 구성하여 정책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지지연합들이 새롭게 구성되거나 기존 지지연합들이 변동이 되기 위해서는 특정한 경로들을 거쳐야 하는데 이때 외부적 충격, 내부적 충격, 정책학습, 협상화된 동의라는 특정한 경로들이 신념을 바꾸거나 자원의 배분을 바꾸어 지지연합의 지형을 바꾸게 되고 이로서 정책 변화가 일어난다. 기존의 연구자들이 대 쿠르드 정책변화에서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하는 여러 가지 원인들을 토대로 사바티어의 정책 변화 경로들을 재구성 하였을 때(협상화된 동의는 제외시킨다), 외부적 충격으로서 1999년 유럽연합 후보국 지위 확정, 내부적 충격으로서 PKK 지도자 압둘라 오잘란의 체포와 PKK의 휴전선언, 그리고 정책학습의 세 가지 경로들이 대 쿠르드 정책변화를 이끌어 낸 가설들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경로들 중 어떠한 경로가 대 쿠르드 정책 변화를 이끌어 낸 독립변수인가를 규명하기 위해서 이 논문에서는 기존 연구들, 신문 자료들, 의회 토론 자료들 등을 참고하였다. 이로서 2002년, 2003년의 방송법과 언어교육법에 개정에 영향을 주는 행위자들을 추적하고 이 행위자들의 지지연합으로서의 연계와 행위자들의 발언들을 통해 정책변화 원인을 규명해 보았다. 정부, 정당들, 군부, 시민단체, 언론 등의 주요 행위자들 중 일부(MHP)는 지속적으로 대 쿠르드 정책의 강경파의 역할을 하였다. 일부는(대통령, 시민단체들) 지속적으로 대 쿠르드 정책을 지지하였다. 정책변화 시기에 정책 신념의 변화를 보이는 행위자들은 일부 정당들(SP, DSP, ANAP)등 이었다. 하지만 이들도 유럽연합 가입을 중요한 변수로 언급하고 있다. 또한 신념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유럽연합 가입을 위해서 법안을 지지하는 행위자들도 (정부, 군부, DYP, YTP) 존재하였고 이들은 정책 실행 전략인 이차적 신념 때문에 법안에 동의한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대 쿠르드 정책에서 지지연합들이 공통적으로 법 개정을 지지한 이유는 유럽연합 가입을 위한 개혁이었다. 이로서 2000년 초반 대 쿠르드 정책에서 유럽연합 가입을 위한 법적 개혁이 대 쿠르드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원인 이었음을 알 수 있다. Since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Turkey in 1923, ethnic struggles persisted between the Turkish government and the Kurds, a major minority group in the nation. PKK’s armed conflicts, along with efforts for recognition of Kurdish ethnic identity, are the evidences of such struggles between the Turkish government and the Kurds. However, the government consistently denied the existence of all ethnic minoriti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Kurds. However, there are some openings in the policy, especially in cultural policies. Previously forbidden Kurdish broadcastings and the education of Kurdish language, although still subjects to government scrutiny, has found ways to Kurdish society. The grounds of these changes are the amendments to the Broadcasting Law and Language Education Law in 2002 and 2003. This study aims to find what caused the changes in minority policies, from that of denial of minorities and suppression of their cultures to that of allowing the broadcasting in minority languages and educating the languages. The changes mean the changes of policy toward Kurds in the context of acute conflict between Turkey and Kurds in 1990s. Therefore, this study reconstructs the policy change process by chasing the discussion of actors related in the proces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Paul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1999, revised in 2007), a theory of policy change, as a tool for explaining the process. Sabatier’s ACF assumes that the shared policy-beliefs among the various actors, such as Parliament members, government, bureaucrats, researchers, civil organizations and interests groups, became the driving force in formation of advocacy coalition in the policy subsystem to bring about the changes in Turkey’s Kurdish Policy. However, four different paths are necessary for policy changes, whether by re-organizing the coalitions or creating a new thereof, and the four paths—Policy-Oriented Learning, External Perturbations or Shocks, Internal Shocks, Negotiated Agreements—make actors change their policy-oriented beliefs or re-arrange the resources of the coalition. The policy change happens by these changes of policy subsystem. This study reconstructs the three paths (except for the Negotiated Agreements) after observing articles that commented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change of Turkish policy toward Kurd: The first path is decision of European Union on the status of candidacy of Turkey in 1999 as an External Perturbations or Shocks; the second path is the arrest of Abdullah Öcalan who was the leader of PKK and the cease-fire of PKK in 1999 as Internal Shocks; the third path is Policy-Oriented Learning as itself. To determine which path is the in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employs existing studies, newspapers articles, and records of discussions of the Congress of Turkey. By aforementioned materials, this study traces the actors influencing the process of amendments of the laws, and determines the cause of these amendments investigating the actors’ actions as advocacy coalitions. Some actors, like MHP, among the government, political parties, the military, civil organizations, and media continued to stand on the hard-liner. On the other hand, some others such as the president and some civil organizations continued to support the soft-liners. Yet, the motivation of different actors varied from one to another. Some actors, such as handful of political parties like SP, DSP and ANAP, were motivated because of the changes in their policy-beliefs. However, they also included the European Union entry as an important variable. Conversely, some actors such as the government, the military, DYP, and YTP were motivated purely to meet the European Union entry requirements. The agreement was reached for the amendments to the policy strategies, which was the change of secondary belief. In the end, the grounding factor which enabled different actors in the advocacy coalition to agree upon the amendments to the Kurdish policy was the need of reforms to meet the European Union entry requirements. It is evidential, therefore, that these reforms to meet the European Union were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and force behind the changes to Turkey’s Kurdish Policy in early 2000s. Keywords: Turkey, Kurdish policy, policy change factors, minority policy, cultural policy, advocacy coalition, Sabatier, European Union entry requirements, policy belief
김한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논문은 2014년 6월 3일 김영의홀에서 열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 오르간과 김한나 석사과정 졸업연주회에서 발표된 작품에 대한 연구이다. 연주회 프로그램은 바로크, 낭만, 현대의 시대별 작품을 효과적인 연주를 위한 순서대로 구성하였으며, 곡목은 니콜라우스 브룬스(Nicolaus Bruhns)의 『대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Das grosse Praeludium und Fuge in e-moll)』,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Sebastian Bach)의 『트리오 소나타 6번 사장조 BWV530(Trio Sonate Nr.6 G-Dur BWV530)』, 모리스 뒤르플레(Maurice Duruflé)의 『알랭의 이름에 의한 전주곡과 푸가 Op.7(Pré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7)』, 율리우스 로이브케(Julius Reubke)의 소나타 다단조 <시편 94편>(Sonate c-moll <Der 94. Psalm>)』, 나지 하킴(Naji Hakim)의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를 기리며(Hommage à Igor stravinski)』 3악장 Final로 구성되었다. 니콜라우스 브룬스의 『대 전주곡과 푸가 마단조』는 환상적 양식(Stylus Phantasticus)의 즉흥적이며 자유로운 부분, 대위법적인 부분, 그 밖에 다양한 요소의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된 작품으로 17세기 바로크 북독일 오르간 음악의 특징을 볼 수 있는 작품이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의 『트리오 소나타 6번 사장조 BWV530』는 바흐의 아들과 제자들을 위한 교육 목적의 작품으로, 기악 음악이 발달했던 바로크 시대의 실내악과 앙상블의 영향을 받아 두 개의 손 건반과 페달을 가진 오르간을 위한 곡이다. ‘빠름–느림-빠름’의 템포를 가지는 세 개의 악장으로 이루어져있으며, 독립적인 세 개의 성부가 특징적이다. 모리스 뒤르플레의 『알랭의 이름에 의한 전주곡과 푸가 Op.7』는 주앙 알랭(Jehan Alain)을 추모하기 위한 곡으로 알랭의 이름에 의한 동기와 알랭의 『리타니(Litanies)』를 주제로 삼았다. 20세기 인상주의의 영향으로 색채적인 음색과 교향악적인 화성, 교회 선법을 사용하였다. 율리우스 로이브케의 『소나타 다단조 <시편 94편>』은 스승인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를 잇는 19세기 낭만 시대의 대표적인 오르간 작품이다. 시편 94편 중 아홉 개 절의 가사를 바탕으로 가사의 내용을 관현악적인 색채의 폭 넓은 화성과 연주자의 기량을 나타내는 비르투오조적인 부분, 셋잇단음표와 부점 리듬 등의 발전되는 리듬, 풍부한 악상으로 표현한다.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단일 악장의 순환 형식이다. 나지 하킴의 『이고르 스트라빈스키를 기리며』의 마지막 악장인 Final은 그의 음악 인생에 큰 영향을 준 스트라빈스키의 작곡 스타일에 그의 역동적인 리듬, 온음계에 기초한 자유로운 화음, 글리산도, 두꺼운 화성 등 독창적인 스타일이 더해진 흥미로운 작품이다. 이와 같은 각 곡의 핵심적인 특징을 중심으로 오르간 연주자로서의 연주법과 김영의홀 슈케(Karl Schuke) 오르간 음색 조합의 예를 통해 오르간 음악에 대한 이해와 실제 연주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about the pieces presented at master’s degree graduate recital held at Kim Young Ui Hall on June 3rd, 2014 and they were played by Kim Hannah who majored the organ at the college of music in Ewha Womans University. The program was composed of pieces from the Baroque Period, Romanticism, and from modern era and ranged for effective recital. The titles of them are『Das grosse Praeludium und Fuge in e-moll』 by Nicholaus Bruhns, 『Trio Sonate Nr.6 G-Dur BWV530』 by Johann Sebastian Bach, 『Pré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7』 by Maurice Duruflé, 『Sonate c-moll <Der 94. Psalm>』 by Julius Reubke, and the 3rd movement Final of 『Hommage à Igor Stravinski』 by Naji Hakim. 『Das grosse Praeludium und Fuge in e-moll』 by Nicholaus Bruhns consists of extempore and unrestrained features of Stylus Phantasticus, contrapuntal features, and other various features from various elem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 music from north Germany of the 17th century Baroque period can be experienced through this piece. 『Trio Sonate Nr.6 G-Dur BWV530』 by Johann Sebastian Bach was for educating his son and his students and was composed for two keyboards and pedals under influences of chamber music and ensemble from the Baroque period when the instrumental music was flourishing. It consists of three movements with tempos of ‘Fast-Slow-Fast’ and three independent voice parts ar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memory of Jehan Alain, Maurice Duruflé composed 『Prélude et Fugue sur le nom d’Alain Op.7』 motivated by the name of Alain, and based its theme on 『Litanies』 by Alain. Under influence of the impressionism, coloristic tone, symphonic harmony and church mode were used in it. 『Sonate c-moll <Der 94. Psalm>』 by Julius Reubke is a representative organ piece of 19th century Romantic period, succeeding his teacher, Franz Liszt. Based on the lyrics from nine verses of Psalm 94, the contents of the lyrics are expressed by the wide harmony of symphonic color, virtuoso features that show player’s talent, developing rhythms like triplets or dotted rhythm, and plentiful musical motifs. It is a circulation format of single movement that can be divided largely into three parts. The last movement Final of 『Hommage à Igor Stravinski』 by Naji Hakim is very interesting for its distinctive styles like energetic rhythm, unstrained harmony based on the diatonic, glissando, heavy harmony on the basis of the composing style of Stravinski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person to Naji Hakim’s music life. With the key characteristics of each piece introduced above, understandings in organ music and dedication to actual performance were intended through the playing style as an organ player and the organ registration of the Karl Schuke organ of Kim Young Ui Hall.
본 연구에서는 목질계 바이오오일을 열분해하여 생성된 바이오오일의 수첨탈산소화반응 및 알코올 혼합반응을 이용하여 개질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알코올 혼합반응에서는 메탄올을 용매로 선택하였고, 700-900℃의 높은 온도에서 소성시킨 돌로마이트를 첨가하여 알칼리 촉매가 바이오오일의 알코올 혼합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바이오오일의 산도, 점도, 안정성, 구성 성분을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촉매의 소성 온도, 메탄올 함량, 촉매 함량을 변화시켜 바이오오일의 연료적 특성을 향상시키는 반응 조건을 최적화 하였다. 800℃ 이상에서 소성한 돌로마이트는 구성성분이 Ca,Mg(CO3)2에서 Ca,MgO2로 전환되었고 이는 바이오오일의 산도를 저감시키는 반면 점도나 안정성에 있어 좋은 결과를 가져오지 못하였다. 보다 고품질의 바이오연료로 전환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바이오오일의 모델물질인 구아이아콜을 선택하여 Pt/HY 촉매 하에서 수첨탈산소화반응을 수행하였고, 저온(200℃)에서 구아이아콜의 반응 중간체인 1,2-dimethoxy benzene, phenol, anisole 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아이아콜이 사이클로헥산으로 전환되는 반응 메커니즘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생성된 중간체들로 다시 수첨탈산소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구아이아콜의 수첨탈산소화 메커니즘을 더욱 명확하게 규명하였다. In this study, bio-oil upgrading was investigated by hydrodeoxygenation (HDO) of model compound and blending wood pyrolysis oil with alcohol. In the case of blending wood pyrolysis oil with alcohol, methanol was chosen for alcohol, and dolomites which were calcined at high temperature was used as catalyst. The characteristics of bio-oil including acidity, viscosity, stability, and oil component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an effect of alkaline catalysts on stabilization reaction. Also, optimization of the reaction conditions was performed by changing a mixing ratio of methanol (10-30 wt%), calcination temperature (700-900℃) and concentration of catalysts. Component of dolomite calcined above 800℃ was changed from Ca,Mg(CO3)2 to Ca,MgO2. Ca,MgO2 and this dolomite abated acidity of bio-oil. However, this catalyst increased viscosity and instability because the alkaline earth metal was dissolved in the bio-oil. HDO of various bio-oil model compound, guaiacol, was carried out using Pt/HY. At low temperature condition (200℃), 1,2-dimethoxy benzene, phenol, anisole were discovered as intermediates of HDO in guaiacol. Therefore, in order to clarify mechanism of guaiacol to cyclohexane, the HDO of intermediates of guaiacol such as anisole, phenol, 1,2-dimethoxy benzene was performed. Then, the mechanism of HDO of guaiacol was finally suggested.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김한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에 거주하면서 만 4세, 만 5세의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30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 (1995)이 개발한 ‘양육스트레스 척도 축약형(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PSI-SF)’을 이경숙, 정경미, 박진아, 김혜진(2008)이 우리나라의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축약형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Korea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은 김정미와 임희선(2014)이 개발 및 타당화한 ‘부모상호작용행동 검사(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Parent: IBSP)’를 놀이상황에 맞게 유예진(201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은 Nilsen, Huyder, McAuley와 Liebermann (2017)이 개발한 ‘일상의 실행기능 척도(Ration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REEF)’를 권두리와 신나나(2021)가 번안·수정하고 타당화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해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각 측정 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측정 변인 간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에서 Model 4를 통해 분석한 뒤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대상 어머니들의 양육스트레스는 보통보다 조금 낮은 수준이었으며 유아의 실행기능과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종속변인의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만 5세 유아의 실행기능수준이 만 4세 유아보다 높았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의 실행기능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과 유아의 실행기능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은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실행기능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놀이상호작용과 관계성을 가지며, 어머니의 놀이상호작용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maternal play interaction mediate’s association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Three hundred seven mothers with 4 to 5-year-old children living in the northwest of South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he study used three different measures: maternal parenting stress with K-PSI-SF(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maternal play interaction with a modified version of the Interactive Behavior Scale for parents(IBSP) by Yoo(2019),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with REEF(Rations of Everyday Executive Functioning) by Kwon and Sin(2021). Preliminary analysi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s. T-test examined whether children’s age and gender affect the results. SPSS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play interaction in the link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of maternal stress was lower than average, but maternal play interaction and executive functions were higher. Age significantly affected the results of executive functions; 5-year-old children performed better than 4-year-old children, while gender was not related. The findings also indicate that maternal play interaction was positively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executive functions. Most importantly, this maternal play interaction mediated the link between Maternal parenting stress and executive functions.
드뷔시 초기 피아노 음악에 관한 연구 : 2개의 아라베스크를 중심으로
김한나 협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프랑스 작곡가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는 프랑스적인 음악의 추구와 그의 독창적인 작곡기법을 통해 그 시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독일의 낭만주의 음악에서 벗어나려고 했다. 특히 그 당시 낭만주의 음악에서의 감정의 과장된 표현이나 긴 형식에 반대하여 프랑스적인 섬세함, 간결함, 세련됨을 추구하였다. 그 시대에 매우 혁신적인 것이었지만 과거의 전통과 단절된 것이 아니라 서로 조화를 이루며 프랑스적인 민족주의 음악을 탄생, 발전시킨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드뷔시의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들은 인상주의 회화와 상징주의 문학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었으며, 특히 상징주의 시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그만의 색채로 프랑스적인 인상주의 음악을 꽃피우게 되었다.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던 드뷔시는 그가 추구하고자 한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을 피아노작품에서 많이 보여주었다. 이는 그가 피아노를 단순히 멜로디만을 표현해주는 악기로서가 아니라 화성과 조성의 융합의 악기라고 여기고, 그의 정서와 인상을 작품으로 표현하는데 더욱 노력했기 때문이다. 드뷔시의 피아노 작품에는 이와 같은 인상주의의 음악적 특성이 잘 나타나 있다. 중세 선법과 온음음계 및 5음 음계의 사용, 불협화음과 부가화음의 사용, 다양한 박자와 셈여림을 이용한 유동적인 선율과 리듬, 짧고 서정적인 형식, 피아노의 다양성을 최대한으로 살려 표현한 관현악적 색채감 등은 드뷔시만의 독특한 기법으로 많은 피아노 작품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드뷔시 피아노 작품 중 초기 작품인 <2개의 아라베스크>는 환상적인 스타일의 서정적 소품으로 제 1번은 아름다운 아르페지오가 반복되면서 주선율이 매우 감미롭게 진행되고 있고, 제 2번은 활기차고 능동적인 밝은 효과를 주는 곡으로 초기 드뷔시 음악의 중요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 드뷔시는 전통과 현대를 연결해 주는 혁신적 역할을 한 작곡가로 인상주의 음악을 새로이 창조하여 20세기 현대음악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가교적인 역할을 하였다.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전문성의 매개효과
김한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and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s children's rights, targeting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professionalism,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ccording to their general background (age, career, academic background, institution type, working hours, salary, marital status)? 2. Is ther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professionalism, and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3. Does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have an impact on mediating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and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childcare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daycare center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323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through a Google link. To measur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Kang-jae Lee (2019)'s scale of childcare teacher's respect for rights was used, and the professionalism scale developed by Eun-ju Baek and Boo-kyung Jo (2004)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Mi-ae Choi (2020) was used. The research tool developed by Jinsuk Kim (2009) was used for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with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as used to calculate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using SPSS 20.0, and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the childcare teachers' rights perception, professionalism, and respect for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the childcare teachers, a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é's post-hoc method were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variable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and a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Baron and Kenny (1986) method to find out whether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ed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rough professionalism. The Sobel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gener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there were partial differences in significance i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and professionalism, and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s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ildcare teachers' rights by age, educational background, type of institution, working hours, salary, and marital status. The professionalis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 type, and salary,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ed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professionalism, and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both as a whole and for each component. Third, there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and childcare practic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ed the right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at professionalism, a mediating variable, increased the influence of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rights on the implementation of childcare that respected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refore, childcare teachers' awareness of rights and expertise are significant variables for respecting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a variety of measures for childcare practices which respect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the awareness of rights and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should be improved. Key words: Childcare practices respecting the righ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rights of childcare teachers,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의 관계에서 보육교사의 전문성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 일반적 배경(연령, 경력, 학력, 기관유형, 근무시간, 급여, 결혼여부)에 따라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전문성,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전문성,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 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보육교사의 전문성은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본 연구대상은 현재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들이며, 구글 링크를 통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총 323부의 설문응답이 회수되었다.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강재(2019)의 보육교사 권리존중 척도를 사용하였고, 전문성은 백은주, 조부경(2004)이 개발하고 최미애(2020)가 수정· 보완한 전문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은 김진숙(2009)이 개발한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을 살피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전문성,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인 간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고,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이 전문성을 매개로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의 절차에 의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전문성,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은 일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은 연령, 학력, 기관유형, 근무시간, 급여, 결혼여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문성은 학력, 기관유형, 급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은 학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 전문성,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 간에는 각 변인의 전체와 구성요소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의 관계에서 전문성의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인인 전문성은 보육교사의 권리인식이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력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전문성은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의 의미 있는 변인이며, 본 연구결과는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을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권리인식과 전문성 증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 영유아 권리존중보육실행, 보육교사의 권리, 보육교사의 전문성
김한나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본 연구에서는 전국 배출오염물질 배출량 조사 자료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중부권 대기오염물질별 배출량을 연도별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권역별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대기환경관리의 정책을 검토할 필요성을 인지하여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을 중점으로 기준연도인 2016년부터 시행 전년도인 2019년까지 배출량 및 삭감량을 조사하였다. 중부권 한반도에서 중부 지역(중앙에 해당하는 영역)을 이르는 말(출처 : 네이버 어학사전)로서, 대전·세종 전지역, 충북 일부지역, 충남 일부지역, 전북 일부지역으로 총 25개의 지역이 포함되어 있다.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 따르면 중부권 전망배출량을 부문·지역별 배출허용총량을 산정하여 5년동안의 오염물질별인 초미세먼지(PM2.5) 15%, 미세먼지(PM10) 15%, 질소산화물(NOx) 35%, 황산화물(SOx) 51%,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0%의 삭감률로 저감대책을 수립하였다. 전망배출량은 2016년 배출량 기준으로 삭감대책이 세워졌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준연도를 2019년으로 설정함으로서 산정되는 전망배출량 및 삭감배출량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결론을 요약할 수 있다.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배출량을 기준으로 산정하고 오염물질별 삭감계획을 세웠으며 2016년 배출량과 2019년 배출량의 삭감량을 분석한 결과, 초미세먼지(PM2.5) 3,918톤, 미세먼지(PM10) 12,720톤, 질소산화물(NOx) 87,568톤, 황산화물(SOx) 2,746톤으로 나타났고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1,731톤 증가함으로 나타났다. 기준연도를 2019년으로 설정하고 2020년부터 5년간 시행할 기본계획의 저감대책으로 예상 삭감량을 적용한 결과, 중부권의 2024년 오염물질별 예상배출량은 초미세먼지(PM2.5) 16,033톤, 미세먼지(PM10) 35,575톤, 질소산화물(NOx) 87,243톤, 황산화물(SOx) 26,037톤,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63,779톤으로 조사되었다. 중부권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에는 지역별·오염물질별 배출허용총량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오염물질별 배출허용총량보다 초미세먼지(PM2.5) 6,055톤 삭감, 미세먼지(PM10) 12,720톤 삭감, 질소산화물(NOx) 87,986톤 삭감, 황산화물(SOx) 19,639톤 삭감,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16,149톤의 예상삭감량을 산출하였다. 이는 2016년의 높은 배출량을 기준으로 산정된 삭감률 및 대책을 현실성에 맞는 최근 통계자료를 활용한 삭감률 및 대책을 검토하여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향을 다시 세울 필요성이 충분해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추진 대책의 안정화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고 오염물질 저감의 한계를 연구하여 권역별 대기환경관리 기본계획 및 대기환경정책의 성과를 기대하고자 한다.
통합학급에서 협동놀이가 발달지체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한나 공주대학교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how cooperative play can be implemented in inclusive classrooms to improve the peer interaction of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below research issues is examined in this study. First, how does cooperative play influence the social initiation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classroom? Second, how does cooperative play influence the social response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ird, how does cooperative play influence social interaction in the inclusive classroo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e subject is a 5-year-old developmentally disabled boy who is part of a class of 20 general and three disabled children. He has ten months of the inclusive class and has been receiving speech therapy for a year. Regarding social interaction features, this target children takes part in interactions with his teacher more voluntarily than their peers and chooses solitary play over free play. An initiative behavior such as peer play is observed, but the reaction and social engagement behavior are hard to be seen. In this study, the ABAB design of single-case research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cooperative play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inclusive classroom. The ABAB design was planned to demonstr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between target behavior and intervention through repeated introduction and withdrawal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e same target's actions have directly repeated the same target's actions with implementing the AB design, thus intensifying internal validity. From April 5, 2022, to May 25, 2022, this study was conducted 24 times in 8 weeks. The baseline (A1) was measured between April 5 and April 8, the intervention (B1) between April 11 and April 27, the baseline (A2) between April 29 and May 4, and the intervention (B2) between May 9 and May 25. The following are the criteria for selecting cooperative games for this study. First, it reflects the features and play tendency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ing examined. Second, it reflects the media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the disabled. Third, the game's rules are not complicated and consist of cooperative games with simple rules. Fourth, it comprises cooperative games that can be played together rather than stimulating his competitive mentality. Fifth, it chooses cooperative games that offer positive play experiences or various chances for peer engagement. The cooperative play action plan took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level of the disabled in the inclusive class. It included a program that provided an environment to encourage the engagement of the disabled. When the children expressed an interest in cooperative play or interaction but did not completely participate, it attempted to encourage effective engagement through curriculum adjustment. Regarding observation and measurement, interaction behavior with his peers was operationally defined. Experimental scenes were recorded to collect data, separated 20 minutes into 10-second intervals, and measured utilizing partial-interval record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social initiation behavior in the with developmental delay increased through cooperative play in the inclusive class. Second, social response behavior in the with developmental delay increased through cooperative play in the inclusive class. Third, social interaction in the with developmental delay increased through cooperative play in the inclusive class. This study shows cooperative play in the inclusive class effectively improved peer interactions of the developmental delay.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학교생활적응도 및 가족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학교생활적응도 및 가족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강원도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 학생 202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으로 분석하였고, 주요 통계분석은 t-검정과 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성, 학교생활적응도, 가족탄력성, 자살생각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에서는 자아정체성과 자살생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경제수준에서는 가족탄력성에서 차이를 보였고, 성적수준에서는 가족탄력성, 학교생활적응도, 자살생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학교생활적응도, 가족탄력성, 자살생각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도, 가족탄력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계가 나타났다. 자살생각과 자아정체성, 학교생활적응도, 가족탄력성 간에는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도 및 가족탄력성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정체성과 학교생활적응도는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으나, 가족탄력성은 유의한 영향이 없었다.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 학교생활적응도의 향상과 더불어 청소년기 발달과제인 자아정체성의 확립이 매우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