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자의 지각된 가치가 이용 만족도와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당근마켓 이용자를 중심으로

        김푸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고거래는 인터넷, 모바일 기술 등의 발달과 함께 전 세계적인 소비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당근마켓, 번개장터 등의 온라인 플랫폼과 함께 그 어떤 유통 채널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이며, 모바일 기술과 접목된 확장성으로 꾸준히 이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간 중고거래 플랫폼과 관련된 선행연구는 행동 동기를 예측하는 것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고 있어 이용자가 가지고 있는 소비 활동의 근간인 가치에 초점을 맞춰 이용자의 가치가 플랫폼 이용 만족,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중고거래 플랫폼 중 국내 최대 중고거래 플랫폼인 당근마켓 이용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 문헌분석, 정성연구 등의 방법으로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관련 연구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21.0 및 AMO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하고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결과는 설정한 지각된 가치 5가지인 기능적 가치, 감성적 가치, 사회적 가치, 경제적 가치, 경험적 가치 모두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만족도를 매개로 지속사용의도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마케팅적 관점에서 중고거래 플랫폼 이용자의 가치에 초점을 맞춰 중고거래 시장 트렌드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하고 지속 성장이 예상되는 중고거래 관련 플랫폼 기업의 마케팅적 요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소비자 활동 관련된 연구의 학술적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Second-hand trading is becoming a global consumption trend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mobile technology. In particular, in Korea, it is a field that is growing faster than any other distribution channel along with online platforms such as Carrot Market and Lightning Market, and the number of users is steadily increasing due to scalability combined with mobile technology. Previous research related to second-hand trading platforms has been conducted with a focus on predicting behavioral motivations, focusing on the values that are the basis of users' activities and examining the impact of users' values on satisfaction with platform use and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latform. I want to study it. To this end, users of Carrot Market, the largest second-hand trading platform in Korea among various second-hand trading platform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 research model was built through method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and relevant research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using SPSS 22.0 and AMOS. This is the result of verifying and analyzing the data using the 2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ll five perceived values, functional value, emotional value, social value, economic value, and experiential valu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atisfaction, and that satisfaction also affected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the product. analyzed.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it focuses on the value of used trading platform user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to improve understanding of used trading market trends and can be used as a marketing element for used trading platform companies that are expected to grow continuously. It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n academic reference for research related to various consumer activities.

      •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김푸름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dent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media literacy that affect these relationships, and adapts to school life through strengthening media education. A total of 3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local children's centers and local churches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research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to reduce children alienated from media experience. 302 copies Of the 310 recovered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except for eight with low response rates.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respondents on media education experience, media literac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parents had the highest limited intervention, followed by interactive intervention and school media education.Media literacy had the highest use of smart devices, followed by Internet use, critical understanding, self-expression, and participation.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the highest in teacher-related adaptation, followed by adaptation to school rules, friendship, and learning activitie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xpression, a subregion of media literacy, in the influence of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self-expression is completely mediated.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has no direct influence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indirectly affects them through self-expression media literacy. Thir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on school life adaptation, critical understanding, a sub-region of media literacy, was fully mediated. Children's media education experience has been shown to have no direct impact on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life, indicating that it indirectly affects the cause of critical understanding as a medium. The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strengthen and expand media literacy programs for children. At the school level, media literac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strengthened and diversified. In particular, we should focus on areas that positively affect school life adaptation, such as self-expression and critical understanding. Families should share more conversations about media use with their children and adopt an approach through guidance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restrictions. This helps children develop media literacy. Second, support for customized media training is required. For this purpose, support must be provid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individual students. Considering the various backgrounds and needs of students, we can create positive effects by providing customized media education programs. In addition, special support for vulnerable groups is needed. Additional support and resource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from economically challenged families or those who need more adaptation to learning activities. Through these activities, various support is needed to prevent vulnerable groups from being alienated from the media experience. Third,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ies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so that front-line schools,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an use them effectively. next on, resources should be allocated and supported for media education experience at the national level. Media education programs and related resources should be evenly distributed to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and special support policies for the vulnerable should be prepared in a socially integrated direction.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효과 검증 김푸름 사회복지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본 연구는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과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를 확인하 고 이들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 여, 미디어 교육의 강화와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적립을 통하여 학교 생활에서의 적응을 돕고 미디어 경험으로부터 소외되는 아동을 줄이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연구 대상으로 광주, 전남의 지 역아동센터와 지역교회에 다니고 있는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320명 을 선정하여 설문지 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310부 중에서 응답률이 낮은 8부를 제외하고 302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 출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디어 교육경험, 미디어 리터러시,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응답 자의 기술통계분석결과 부모의 제한형 중재가 가장 높았으며, 대화형 중 재, 학교 미디어 교육 순으로 미디어 교육경험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스마트 기기 활용이 가장 높았고, 인터넷 활용, 비판적 이해, 자아표현, 참여성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응은 교사 관계 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교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 학습활동 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 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영역인 자아표현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자아 표현은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은 학교 생활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으며, 자아표현의 미디어 리터러시 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미 디어 리터러시의 하위영역인 비판적 이해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비 판적 이해는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미디어 교육경험은 직접적으로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비판적 이해라는 변인을 매개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따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을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의 강화 및 확대가 필요 하다. 학교 차원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다양 화해야 한다. 특히, 자아표현과 비판적 이해와 같이 학교생활 적응에 긍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역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가정에서는 아동들과 미디어 사용에 대해 더 많은 대화를 나누고, 제한보다는 지도와 참여를 통한 접근을 채택해야 한다. 이는 아동의 미디어 리터러시 발달에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맞춤형 미디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별 학생의 필 요를 고려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학생들의 다양한 배경과 필요를 고려하여, 맞춤형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긍정적인 효과 를 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취약 계층에 대한 특별 지원이 필요하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정의 학생들이나 학습활동 적응이 더 필요한 학생 들에게 추가적인 지원과 자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취약 계층이 미디어 경험으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 하다. 셋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책을 개발 하여 일선 학교와 교사, 학부모, 학생들이 실질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국가 차원에서 미디어 교육경험에 대한 자원의 배분과 지원이 필요하다.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과 관련 자원을 학교와 지역사회에 균등하게 배분하고, 취약 계층을 위한 특별 지원 정 책을 마련하여 사회통합적인 방향으로 가야 한다. *주제어 : 미디어 교육, 학교생활 적응, 미디어 리터러시

      •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연구

        김푸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Due to the crimes shocking our society, the schizophrenia has become a mental illness many people are concerned with. The schizophrenia is a relatively ordinary mental illness; 1% people over the world suffer from this illness. The patients would recover from the illness sometimes, but in most cases, the illness would be healed and then, recur, and thus, the illness would be chronic. In short, the schizophrenia should be managed for a life-time rather than be fully treated. (Korean Society for Schizophrenia Research, 2017). Schizophrenia may well be treated if medication and mental rehabilitation should be prescribed appropriately (Park Sang-gyu, 2006). Recently, as the Mental Health Welfare Act began to be in effect, the mentally-ill people could decide to return to the community for themselve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In Korea, various mental health projects are operated to help the schizophrenics rehabilitated and returned to the society: daycare hospital, nursing home, mental health welfare center,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etc. Among them,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used mostly by the schizophrenics, and thus, they are training and guiding their patients in various ways.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2018).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for the group art therapy increase, because the art therapy is perceived to be an effective psychological group therapy for the mental patients. Namely, the schizophrenics who rely on the art therapy for their treatment increase, while our society is becoming more and more concerned with the art therapy. Thu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effect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the schizophrenics’ rehabilit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Max van Manen’s method of the analytical phenomenology comprehending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s.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essence of schizophrenics’ experiences of the group art therapy at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thereby, provide some basic academic data useful to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schizophrenics, while conducing to the art therapy at the relevant facilities. For such purpose, the study point was set up as follows; “What experiences would the schizophrenics using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have? And what meanings and essences would such experiences have?” In order to find the answer to the above study point, this study reviewed Max van Manen’s research method of the analytical phenomenology, and thereupon, proceeded through a total of 11 stages consisting of the 4 activities: concentration in the essence of experience, exploration of the existential experience, analytical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analytical phenomenological writing. The researcher sampled a total of 10 mental pati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4 months at minimum and 9 years at maximum. The period for which the subjects suffered from the schizophrenic was 5 ~ 34 years. 3 were males and 7 were females. One was in 30’s, four in their 40’s and 5 in their 50’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ubjects for the period from June to November, 2018. The researcher had one or two interviews with each of the subjects. The subjects agreed to the procedures of the study. Thus, they were urged to be engaged in art activities, while the data were being collected. The collection of data stopped when a considerable amount of data had been collected. As a result of applying Max van Manen’s metho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9 essential themes and 27 sub-themes could be determined. The 9 essential themes were as follows; “At first, I participated in the group art therapy with little concern, but I would be a positive participant gradually”; “I feel a sense of relief through simple and easy art working, feeling comfortable for therapist’s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 “Because I am not good at art, I feel a shame, being embarrassed.”; “I feel happy for and attracted to the group art therapy expressing my internal emotion.”; “I feel warm-hearted and grateful, while I feel homogeneous for my group members who are communicating and sympathizing with me.”; “I feel happy for the group art therapy, because I could see myself as positive through the art therapist.”; “I feel that the group art therapy would help the group members to change into positive and bright people.”; “At first, I questioned that the group art therapy would heal me, but I would feel that I love myself more and that it has helped me much”; “At first I feel painful for the symptom and mal-effects of the medicine. But as I could concentrate in the art therapy, I would forget about the depression.” Based on such results and others – the result from analyzing the existential data, analytical phenomenological essays and discussions, this study could make the following 5 conclusions regarding the group art therapy for the schizophrenics; First, the schizophrenics using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re obliged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at first, and therefore, they would feel some difficulties for the symptoms of their diseases and the mal-effects of their medication, but as time went on, they would be concentrated in the art therapy. Secondly, the schizophrenics using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uld feel a shame and embarrassed at first because they were not good at art, and so they would favor a simple and easy art working that they could approach relatively easily. Thirdly, the schizophrenics who uses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question the effect of the group art therapy at first, but they would feel that they could better express their internal emotion, being relieved of their stress, and therefore, that the group art therapy had some effects of treatment on their illness. Fourthly, the schizophrenics using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uld sympathize with their group members and would become more and more confident to change positively. Fifthly, the schizophrenics using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ould feel good for the art therapists who were concerned with them, trying to understand them, and thereby, would see themselves positively, feeling happy. The abov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significant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n the academic aspects of the art therapy, this study applied Max van Manen’s analytical phenomenological method to the group art therapy, and as a result, it contains the art therapy apporach with vivid languages. Secondly, It was found that art therapist’s positive attitudes and encouragement were essential for the group art therapy. After all, this study would help not only the mental rehabilitation facility workers but also the art therapists to more understand the schizophrenics, being conducive to people’s understanding of the art therapy as well as the conditions for art therapy. 최근 우리 사회에 충격을 주는 범죄들로 인해 조현병은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 정신질환이 되었다. 조현병은 전 세계적으로 인구 100명당 1명에게 찾아올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정신질환이며, 발병 후 회복이 되기도 하지만 회복과 재발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만성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완치보다는 평생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대한조현병학회, 2017). 조현병은 약물치료와 정신 재활을 병행하면 환자의 치료 효과가 높으며(박상규, 2006), 최근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으로 정신질환자들은 스스로 지역사회 복귀를 결정할 수 있게 되었다(보건복지부, 2017). 국내에서는 조현병 환자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위해 낮병원, 거주시설,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 등의 정신보건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정신재활시설은 이용자의 대부분이 조현병 환자로 이들의 사회적응을 위한 각종 훈련과 생활 지도를 실시하고 있으며(한국정신재활시설협회, 2018), 조현병 환자의 재활을 위한 심리 치료적 접근으로 집단미술치료의 수요가 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차 늘어나는 조현병 환자의 미술치료 체험에 대한 관심과 시대 변화에 따른 흐름을 반영하면서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이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현상의 체험을 이해하는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에 대한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더 나아가 미술치료 현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하며, 그 의미와 본질은 무엇인가?”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체험을 생생하게 이해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체험 탐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적 글쓰기의 4가지 활동으로 구성된 총 11단계의 연구단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총 10명으로 S시의 정신재활시설에서 최소 4개월에서 최대 9년 동안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 연구참여자 10인의 조현병 진단 병력은 5년에서 34년까지 다양하며 남성 3명, 여성 7명으로 연령은 30대 1명, 40대 4명, 50대 5명이 구성되었다. 이들 연구참여자와의 심층 면담은 2018년 6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최소 1회에서 최대 2회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동의하에 인터뷰 중 연구 참여자의 미술 작업을 요청하여 함께 수집되었으며, 모든 자료가 포화 된 시점에 자료 수집을 종료하였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자료 분석을 한 결과 <처음에는 집단미술치료에 관심이 없는 상태로 참여했지만, 점점 적극적으로 참여함>, <간단하고 쉬운 미술 작업을 통해 안도감을 느끼고 치료사의 시범과 설명이 편안함>, <미술 실력에 자신감이 없어서 스스로 부끄럽고 창피하게 느껴짐>,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는 즐거움과 매력을 느낌>, <동질감이 느껴지는 집단원과 함께 소통하고 교감하면서 따뜻함과 감사함을 느낌>, <미술치료사를 통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집단미술치료 시간이 행복함>,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자기를 표현하면서 집단원이 밝고 적극적으로 변화한다고 느낌>, <집단미술치료가 처음엔 치료가 될까 생각했지만 나를 사랑하게 되고 나에게 도움이 되었다고 느낌>, <처음에는 증상과 약 부작용으로 힘들었지만 집중하다 보니 우울감을 잊게 됨>으로 본질적 주제 9개와 하위 주제 27개가 도출되었다. 이 같은 연구결과와 실존적 자료 분석,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 논의를 바탕으로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의 집단미술치료 체험은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의 결론을 내렸다. 첫째,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는 처음에 집단미술치료를 참여하라는 권유를 받아 의무적으로 참여하면서 증상과 약 부작용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는 자신의 미술 실력에 자신감이 없어 부끄럽고 창피하다고 느끼며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간단하고 쉬운 미술작업을 선호한다. 셋째,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는 집단미술치료가 처음엔 치료가 될지 의문을 가지지만 내면의 감정을 표현하며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치료적 효과가 있다고 느낀다. 넷째,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는 동질감이 느껴지는 집단원과 교감하면서 자신과 집단원이 점점 자신감이 생겨 적극적으로 변화하는 경험을 한다. 다섯째,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는 자신에게 관심을 보여주며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미술치료사를 통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며 행복함을 느낀다. 이 같은 연구의 결론이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측면과 미술치료 현장에 제공하는 의의와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학의 학문적 측면에서 본 연구는 정신재활시설을 이용하는 조현병 환자들이 집단미술치료를 받으면서 느낀 심리적 체험을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생생한 언어로 담아내고 있다. 정신재활시설에서 실시되는 미술치료 현장에서는 미술치료사의 긍정적인 태도와 격려해주는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신재활시설 종사자들뿐만 아니라 미술치료사들에게 조현병 환자들의 이해를 높이고 미술치료 현장에 대한 이해와 실제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

      • 한국 민속 신앙의 가신을 재해석한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캐릭터 개발 및 응용 방안을 중심으로

        김푸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민속 신앙인 가정 신앙의 가신을 재해석한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 개발과 그 응용을 중심으로 한 작품연구논문이다. 한국의 민속 신앙은 이 땅에 뿌리내리고 살았던 우리 민족의 삶과 역사가 녹아있는 전통 신앙이자 소중한 문화이지만, 현대에 이르러 신앙의 행위와 의미는 약화되거나 소멸되고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마을 공동체와 가정의 형태가 달라지면서 삶의 모습이 이전과 다르게 바뀌고, 이에 따라 마을과 가정 안팎에서 이루어졌던 민속 신앙의 믿음 또한 변화한 것이다. 민속 신앙은 보통 우리 민족의 삶에서 신화나 풍습, 구전 등을 통해 계승되어 왔으나 현대의 대중들이 이를 문화적으로 소비하기 위해서는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계승 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통의 새로운 계승 방법으로써 민속 신앙 중 가신 신앙에서 모셔진 가신을 활용한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문화 콘텐츠로 응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옛것을 그대로 재현해내는 것이 아닌 고증된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자의 미적, 조형적 감각과 상상력, 개성을 반영해 새롭게 재해석한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이를 통해 한국 전통 민속 신앙의 고유성, 한국만의 우수성과 차별성을 강조하고 한국 전통 문화 계승의 새로운 방향성과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목적 및 목표를 가지고 작품 연구를 통해 총 15명의 가신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을 개발한다. 15명의 가신은 철륭신, 조왕신, 측신, 감은장아기, 삼신, 쇠군웅신, 구슬할망, 배서낭, 자청비, 영등신, 안칠성, 밧칠성, 왕신, 야광귀, 호구신을 대상으로 한다. 이 캐릭터들은 전해져 내려오는 본풀이와 고증된 기록을 바탕으로 새롭게 다듬어 창조한 캐릭터이기 때문에 저마다의 독특한 개성과 성격, 외모 등에 있어 다채로운 특징을 가진다. 또한, 개발한 가신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을 확장하여 게임 트레일러 애니메이션, 컷툰(웹툰), 출판물과 같은 문화콘텐츠를 응용 방안으로써 제시하고자 한다. 가신 신앙과 같은 전통문화를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으로 개발하고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응용하는 것은 전통문화의 본질적 가치를 현대에서 새롭게 만들어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연구의 지속은 전통 문화유산을 알리는 세계적인 콘텐츠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대한민국만의 경쟁력을 확보해 국가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보고가 된다. 본 연구자는 우리의 전통문화를 재해석해 캐릭터를 창조해내는 것은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라고 여긴다. 또한, 문화상품 개발이 아닌 영상, 게임, 웹툰과 같은 문화콘텐츠로 활용해야 하며, 이는 곧 우리의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보급하는 실천적 방법으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 李應禧의 박물학적 한시 연구

        김푸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玉潭 李應禧(1579~1651)가 저술한 『玉潭遺稿』와 『玉潭私集』을 검토 대상으로 하고, 그중에서도 다양한 사물을 소재로 읊은 漢詩에 주목하여 여기에 담긴 작자의 의식과 이 작품들의 문학사적 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응희는 경기도 안양 부근 향촌의 士族으로 살아가면서 일기를 쓰듯 거의 매일 시를 지으며 생을 보낸 인물이다. 살림이 넉넉지 못해 스스로 농사를 지으면서도 출세할 욕심을 버리고 안분지족하였는데, 그의 빈한한 삶을 달래준 수단이 바로 시 짓기였다. 이응희는 벗과 교유하며 주고받은 시, 자연 현상에 대한 감회를 적은 시, 체험을 통해 터득한 사물의 정보를 담은 시 등 다채로운 한시 작품을 남겼다. 특히, 그가 말년에 쓴 「만물편」은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하여 사물의 정보를 함축적으로 담아낸 작품으로서 가치가 높다. 이응희가 활동한 시기에는 壬丙兩亂이 일어났다. 이로 인해 역대 서책이 다수 소실되자 이를 복구하는 차원에서 백과사전식 類書가 다수 출간되었다. 이응희 또한 이러한 시대적 배경에 발맞추어 다양한 정보를 담은 백과사전식 한시를 지었다. 『玉潭私集』에 수록된 「萬物篇」이 그것이다. 이응희는 「만물편」을 짓기 전부터 주변의 사물을 대상으로 시를 지어왔다. 그 중 대표적인 항목은 새를 읊은 詠鳥詩이다. 이응희는 영조시를 연작하여 새에 관한 많은 정보를 다루었다. 예컨대, 새의 명칭, 울음소리, 새에 얽힌 일화 등이 실감나게 묘사되어 있다. 또 어떠한 사물의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작자가 활동한 시기의 人情世態를 드러낸 것도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만물편」은 2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는데 그중 음식에 관한 작품은 대체로 이응희가 실제 체험하고 터득한 정보를 담은 경우가 많다. 농작물을 직접 재배하거나, 음식을 직접 만들고 맛본 경험이 음식 항목에 고스란히 드러난다. 여기에 작자의 개인적 느낌, 풍부한 전고와 주석 등이 가미되어 있다. 이응희의 꾸준한 작시 태도가 ‘만물’을 소재로 한 박물학적 詠物詩를 짓게 된 원동력이 되었다고 본다. 이응희는 감각적이고도 핍진한 묘사를 통해 의식주 관련 사물, 동식물, 그리고 생활 주변 사물을 그려냈다. 그의 박물학적 한시는 작자의 해박함과 문학적 소양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조선 중기의 문화사를 엿보게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encyclopedic poems of Oktam 玉潭 Lee Ŭnghŭi 李應禧(1579~1651), and researches on his consciousness in the poems and its position in Korean literature based on examining his Oktamyugo 『玉潭遺稿』 and Oktamsajip 『玉潭私集』. Lee Ŭnghŭi was suburban gentry near Anyang, Gyeonggi-do, who lived his life composing poems just as writing diaries every day. He had to struggle for living, which led him to turn away from governmental dreams and plow as a farmer under self-satisfying his fate. Poetry was what relieved this indigent days. Lee wrote diverse poems of social relations, his feelings about the nature, or informations which he learned through experience. Especially, his Manmulp'yŏn 「萬物篇」, which he wrote in his late period, is implicit poem about information of surroundings based on his abundant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thus very distinguished work. The period when Lee Ŭnghŭi was most vigorous happened the Imjin-Byŏngja Invasions(壬丙兩亂). During the invasions many books and papers were burnt, in result publication of encyclopedic writing(類書) was frequently conducted as recovery of the loss. Lee also coped with the periodic current, and wrote encyclopedic poems. Manmulp'yŏn in Oktamsajip is one of them. Lee Ŭnghŭi used to write poems about his surroundings before he wrote Manmulp'yŏn. One of the poems would be ‘Songs of Birds(詠鳥詩)’. Lee wrote series of ‘Songs of Birds’ and dealt with various informations about birds. For example names of each species, how they cry, or anecdotes about birds are depicted realistically. These poems not just give objective informations about subjects, but also show social conditions of the period. Manmulp'yŏn has 22 subjects, and among them ‘food’ has the most cases of Lee’s own experience. How to raise crops or how to cook foods are based on his experience, and these are shown clearly in ‘Food’ part of Manmulp'yŏn. Here Lee added flavour of his own feelings, plenty of canons and annotations. Lee Ŭnghŭi’s consistant attitude as writer should have been the driving force of writing ‘Songs of Things(詠物詩)’, encyclopedic poems of his. Lee depicted subjects like necessaties of life, animals and plants, and objects around him in very sensitive and vivid description. His encyclopedic poems allow us not only to find Lee’s comprehensive understandings and literary attainments, but also to spot cultural history of Mid Chosŏn dynasty.

      • 노스탤지어의 내용과 기능의 탐색

        김푸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노스탤지어의 심리적인 측면들을 탐구하였다. 구체적으로, 노스탤지어의 내용, 촉발인, 그리고 기능에 대하여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노스탤지어가 긍정적인 심리적 자원으로서 적응 및 성격 변인들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노스탤지어의 내용, 촉발인, 그리고 기능에 대하여 탐색적인 연구를 실시하였다. 10세~70세의 다양한 연령대를 대상으로 하여 노스탤지어 상태 기능 척도(Hepper et al., 2012)와 노스탤지어의 내용과 촉발인 측정 항목들(Wildschut et al., 2006)을 적용해서 탐구한 결과 노스탤지어가 자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정서이며 동시에 높은 사회성을 내포하는 정서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과거에 경험하였던 익숙하거나 낯익은 사건들이 노스탤지어의 주된 촉발인임을 알 수 있었다. 더 나아가, 노스탤지어의 상태기능척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인인 긍정적 자존감, 긍정적 정서, 사회적 연대성, 그리고 삶의 의미가 노스탤지어의 긍정적 기능을 구성함을 발견하였다.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서 노스탤지어의 긍정적 기능이 다르게 경험되는지 탐색해본 결과, 남자가 여자보다 노스탤지어의 ‘긍정적 정서’에서 유의미하게 더 큼을 알 수 있었으며, 연령대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 2에서는 노스탤지어의 기능을 부적 기능까지 포함시켜 정적 기능과 부적 기능 모두를 조사하였다. 또한 노스텔지어를 정서 상태로 간주했을 때 어떤 정서 상태인지를 조사하였으며, 노스탤지어의 정서와 정적 기능 및 부적 기능이 성별과 연령대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적응 및 성격변인들과 어떤 관련을 갖는지를 살펴 보았다. 더 나아가, 노스탤지어의 긍정적 기능(Hepper et al., 2012)의 정서 조절 역할(Wildschut et al., 2006)을 매개모델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노스탤지어는 정적 기능이 더 크지만 부적 기능 또한 포함하고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노스탤지어 정서는 혼합정서로서 정적 정서와 부적 정서를 모두 포함하고 있지만 그 크기는 정적 정서, 저각성 부적 정서, 고각성 부적 정서의 순서임을 알 수 있었다. 노스탤지어의 기능과 정서내용은 남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10~30세 집단과 31~70세 집단 간에는 나이 많은 집단이 정적 기능도 더 크고, 정적 정서의 정도 또한 더 컸다. 노스탤지어의 기능과 적응 및 성격변인의 관계에서 정적 기능은 외향성,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그리고 자존감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살펴볼 수 있었으며, 부적 기능은 외로움, 신경증 성향, 그리고 우울과 정적 상관을 갖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맥락에서 노스탤지어의 긍정적 기능의 부적 정서 조절 효과를 살펴본 결과, 외로움이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그리고 자존감에 대하여 갖는 영향이 노스탤지어의 긍정적 기능에 의하여 매개됨으로써 감소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육군 병사의 코로나19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푸름 경북대학교 수사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적으로 신종 감염병의 발생 및 확산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예방 및 예방행위에 대한 인식도 높아지고 있다. 또한 군은 감염병 발생 시 집단발생의 위험성이 매우 높으나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육군 병사의 코로나19 감염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보병사단 육군 병사 170명을 대상으로 2023년 1월 1일부터 31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program 27.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육군 병사들의 코로나19 감염예방행위는 코로나19 감염지식, 군생활 적응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불안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향요인으로는 군생활 적응을 잘할수록, 코로나19 확진이력이 있을수록, 감염예방 교육경험이 있을수록 코로나19 감염예방행위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육군 병사들을 대상으로 감염병 예방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기적 교육에 힘쓰고, 병사들의 군생활 적응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며, 효율적인 건강관리 지도와 실천을 위한 환경조성에 힘써야 할 것이다.

      • Program Annotation :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 7, Op. 10, No. 3 R. Schumann, Davidsbündlertänze, Op. 6 L. Liebermann, Gargoyles, Op. 29

        김푸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ree piano works selected from the writer’s graduate recital, which include: L. v. Beethoven’s 「Piano Sonata No. 7, Op. 10, No. 3」, R. Schumann’s 「Davidsbündlertänze, Op. 6」, L. Liebermann’s 「Gargoyles, Op. 29」.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is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the Classical period.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transition from the Classical era to the Romantic era.「Piano Sonata No.7, Op.10, No. 3」, one of his 32 piano sonatas, was written between 1797 and 1798, which belongs to his early period. He attempted to develop a musical style based on the Classical style, which his predecessors had achieved. This sonata consists of four movements, and each movement is cast in the forms of‘Sonata-Allegro, Sonata-Allegro, Minuet, and Sonata-Rondo'. Robert Alexander Schumann(1810-1856) is considered as a musician representing 19th-century Romanticism, emphasizing the expression of individual feelings or ideas. Schumann's early piano work,「Davidsbündlertänze, Op. 6」, consisting of 18 pieces, is his representative 'Character Piece'. In addition, the work shows Schumann’s love for his beloved Clara as he uses a motive borrowed from Clara Wieck’s 「Soirées Musicales, Op. 6, No. 5」in the opening.「Davidsbündlertänze, Op. 6」, clearly exhibits a tendency toward being individual and subjective in the Romantic period. Lowell Lieberman(1961- ) is an American composer, representing neo-Romanticism. Based on the Classical style, his music incorporates the free expression of Romanticism, the atmosphere of Impressionism, and the use of atonality.「Gargoyles, Op. 29」, consisting of four movements, demon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Lieberman's piano music, in combining both traditional and modern compositional techniques.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과정 졸업연주 곡목인 루트비히 판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Piano Sonata No. 7, Op. 10, No. 3」, 로베르트 슈만(Robert Alexander Schumann, 1810-1856)의 「Davidsbündlertänze, Op. 6」, 로웰 리버만(Lowell Liebermann, 1961-)의 「Gargoyles, Op. 29」에 대한 작품해설이다. 베토벤은 고전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로 고전시대 음악양식을 확립하였으며, 낭만시대의 문을 여는 결정적 역할을 했던 작곡가이다. 그의 32개 피아노 소나타 중 하나인「Piano Sonata No. 7, Op. 10, No. 3」은 1797-1798년 사이에 작곡된 초기 작품으로, 선대의 고전 양식을 토대로 형식이나 주제를 자유롭게 발전시키려는 그의 시도가 담긴 작품이다. 이 곡은 네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악장은‘소나타-알레그로, 소나타-알레그로, 미뉴에트, 론도-소나타’의 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슈만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음악가로서, 개인의 감정이나 사상의 자유로운 표현을 우선시하였다. 그의 초기 작품「Davidsbündlertänze, Op. 6」 또한 낭만주의적 성향을 짙게 띄고 있는 슈만의 대표적‘성격 소품’이다. 18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클라라(Clara Josephine Schumann, 1819-1896)에 대한 사랑의 감정이 작품 전반에 나타난다. 슈만은「Davidsbündlertänze, Op. 6」을 통해 자유로운 형식 안에서 다양한 성격의 표현을 강조한 낭만주의 음악의 특징을 뚜렷이 보여주고 있다. 리버만은 미국의 신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며, 그의 음악은 고전적 형식에 기초하여 낭만주의의 자유로운 표현과 인상주의 음악의 색채, 무조 경향의 조성 사용을 통하여 여러 시대를 아우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네 개의 악장으로 구성된「Gargoyles, Op. 29」에서는 현대적 작곡 기법과 낭만주의의 성향을 효과적으로 결합한 리버만의 피아노 작품의 특징을 확연히 볼 수 있다.

      • 자유학기제의 예술 활동을 통한 진로탐색 연구 : 비닐을 활용한 설치미술을 중심으로

        김푸름 인천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교육혁신은 OECD를 중심으로 협동능력, 의사소통능력 등 21세기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것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미 여러 나라에서는 청소년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고,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기 위해 자유학기제와 비슷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아일랜드의 전환학년제, 영국의 갭이어(Gap Year), 스웨덴의 직업교육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도 학생들이 미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창의적 체험활동, 학교 스포츠클럽 활동 등을 도입했으나 여전히 흥미, 자신감 및 행복지수가 낮은 상황이다. 또한 초등학생에 비해 중학생들의 장래희망이 ‘없다’는 비율이 급증하는 등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기 위한 교육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런 시점에서 초·중등 교육을 학생들의 꿈과 끼를 키우는 행복교육으로 변화시키는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해 2016년부터 자유학기제를 모든 중학교에서 시행하게 되었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동안 학생들이 시험 부담에서 벗어나 꿈과 끼를 찾을 수 있도록 토론·실습 등 학생 참여 수업으로 개선하고, 진로탐색 활동 등의 다양한 체험활동이 가능하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 오전에는 기본교과 수업을 진행하고, 오후에는 동아리 활동, 예술·체육활동, 진로 프로그램, 학생선택프로그램 등을 진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유학기제 예술·체육활동의 미술 수업에서 설치미술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하여 설치미술을 활용해 진로탐색과 자기이해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사전 설문을 통해 학생들은 진로와 관련된 미술수업을 받은 적이 대부분 없었으며, 설치미술의 개념을 모르고, 설치미술 수업을 접해본 적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수업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본 수업이 진로고민과 자기이해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미래직업탐색빙고를 통해 학생들은 새로운 직업과 그 직업이 하는 일을 알게 되었고, 현재의 나, 미래의 나 활동지를 통해 자신과 자신의 미래에 대해 생각하고, 꿈을 이루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해야 할지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018년부터 자유학기제가 자유학년제로 확대되어 1500여개의 중학교에서 실시된다. 이를 위해 더 다양한 예술 활동 프로그램과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는 지금보다 직업세계가 빠르게 변화하고 더 세분화될 것이다. 이런 변화에 맞춰 청소년들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탐색의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 진로교육이 시도돼야 할 것이다. Recent educational innovation centered by the OECD is being emphasized for cultivating core capabilities such as cooperation capability, communication capability etc. of 21st century talented people. Other countries are already running similar systems like Free Learning Semester(FLS) to offer an opportunity to adapt to a new environment and search for a career for adolescents’ appropriate aptitude and talent. For instance, there is a Transition Year in Ireland, Gap Year in UK, Vocational Education in Sweden. Our country also introduced a creative experience, school sports club activities to foster potential capabilities of students, but their interest, confidence and happiness levels are still low. And also, the rate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don’t have dreams drastically increased compar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 it’s time to switch the educational paradigm to increase their dreams and talents. In this situation, FLS was introduced from 2016 in every middle school to provide a turning point that changes the first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to the happiness education which increases students dreams and talents. FLS reforms the lecture by encourag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discussion and practice, to help students find their dreams and talents without exam pressure during one semester in middle school. FLS is a system running the curriculum with flexibility to let students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such as career search. Their progress basic subject classes in the morning. And in the afternoon, club activity, art sports activity, career program and chosen activity. This article aims to design and execute an Installation Art Class in FLS, and find out how Career Search and Self-Understanding form by practicing Installation Art. As a result of pre-survey, students mostly had not received art class related career, did not know the concept of the installation art, and had never heard about installation art class. After the class, the survey was conducted, which found out how this class influenced their concerns about career paths and self-understanding. In consequence, students recognized new job information through future occupation search bingo, and thought about themselves, their future through the activity sheet; Me Now My Future. Also, they had time to contemplate what kind of effort they should do specifically to realize their dream. FLS will be expanded to Free Learning Year from 2018, and introduced to 1500 middle schools. So, various art activity programs and infra-structure should be created. The occupation field is going to change more rapidly and be subdivided more than before. Keeping up this, a various career education to provide the career search opportunity which is proper to adolescents’ aptitude and interest should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