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비선형 복합 경화 모델 파라메터 추정

        김태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주기적인 하중을 받는 물체의 주기 소성 거동을 더욱 잘 예측하기 위해, 다수의 실험 결과로부터 합리적으로 비선형 복합 경화 모델의 파라메터를 추정할 수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한 케이스의 실험 결과에 편향되지 않은 결과를 도출하고 파라메터를 추정하는 프로세스를 간략화 하기 위해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재료의 거동은 ASTM E606에 기반하여 Uniaxial, Rate-Independent 거동을 하도록 가정하였고, 재료는 RT(Room Temperature)에서 거동하도록 가정하였다. 재료의 Stress와 Strain의 관계는 비선형 복합 경화 구성방정식을 통해 서술하였다. 비선형 복합 경화 구성 방정식은 비선형 등방 경화와 A-F(Armstrong-Frederick) 비선형 이동 경화로 이루어져있다. 본 연구는 한 케이스의 실험 결과에 대한 GA(Genetic Algorithm)수행, 타 문헌에 기재된 경화 데이터 추출방법과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방법의 비교, 마지막으로 Pareto Optimization개념을 도입한 Pareto MOGA 수행으로 총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 이로써 GA를 통한 솔루션이 한 실험 결과에 대해 얼마나 정확히 추정하는지 검증하고, MOGA를 통해 다수의 목적 함수에 대해 합리적인 솔루션을 도출 및 검증할 수 있었다.

      • 5축 초음파 커팅 시스템 설계 및 머신러닝을 활용한 최적화 연구

        김태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투명교정 필름은 매우 얇고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로 눈에 잘 띄지 않고, 발음의 어려움이 없기 때문에 치아 교정 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투명 치아교정 장치는 투명교정 필름에 열을 가한 후 치아 보정 틀에 올려놓고 진공 성형한다. 일반적으로 성형된 제품은 가위를 사용하여 투명교정 필름을 잘라내어 제작하고 있다. 소재의 특성상 가위를 사용하더라도 쉽게 자르기 어려우며, 가공 면 또한 매끄럽지 않기 때문에 착용에 불편함이 야기된다. 다양한 커팅 가공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열가소성 복합소재인 투명교정 필름 PETG의 커팅 연구는 미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초음파 커팅은 초음파 진동을 동적으로 적용한 기술이다. 고주파 진동을 이용하여 절삭면의 마찰 저항을 줄이고 높은 절삭력으로 재료 손상을 방지하여 난삭재 절단에 사용되는 고정밀, 고효율 가공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치아교정용 투명필름 PETG 시트를 초음파 나이프로 절단할 수 있도록 5축 초음파 절단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으며, 5축 기계의 작동제어 및 초음파 절단을 위한 NC-code 생성 및 모션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계적인 작동 및 가공경로를 확인하였다. 파동방정식 이론과 공진조건식을 통해 초음파 Step 혼을 설계하고 Modal 해석과 Harmonic 해석을 통해 Transducer에 최적화된 초음파 Step horn과 knife를 검증하고 제작하였다. 초음파 knife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공진주파수 측정, 초음파 진폭 측정, 초음파 발열 측정, 절삭력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고 초음파 커팅 가공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실험 인자를 선정하고 수준을 결정하였으며 다구찌 실험계획법(Taguchi Method)을 적용하여 최소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S/N비, 회귀분석, 주 효과 분석, 분산분석을 통해 실험 인자의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다구찌 망소특성 예측을 통해 PETG 초음파 커팅 가공의 최적화 조건을 도출하였다.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은 다구찌 실험계획법으로 실시한 실험 결과를 머신러닝 프로그램에 동일하게 입력하여 데이터 분석을 통한 최적화 결과를 예측하였다. 머신러닝에서의 주 효과 분석은 Scatter plot 결과를 통해 상관계수 r값으로 실험 인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머신러닝에서 사용할 통계분석 예측모델은 Linear regression, Random forest, Adaboost, SVM을 사용하였으며 입력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측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예측된 최적조건의 확인실험을 통해 예측결과와 비교하여 통계분석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 성인 ADHD성향, 대인관계문제와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간의 관계

        김태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ADHD 성향, 대인관계문제와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 경기 지역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59명(남: 205명, 여: 154명)을 대상으로 Conners’ 성인 ADHD 평정척도 한국판(CAARS-K), 대인관계문제 척도(KIIP), 인터넷 중독 척도(KS-A),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검사(AUDIT)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통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인 ADHD 성향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관계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성인 ADHD 성향은 하위변인에서 부분적으로 남녀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보고된 학업수준에서 학업수준을 낮음으로 보고한 집단에서 성인 ADHD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석 경험이 있는 집단이 결석 경험이 전혀 없는 집단보다 높은 성인 ADHD 성향을 보였다. 넷째, 성인 ADHD 성향은 대인관계문제,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모두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인터넷 중독과 알코올 중독 간에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 ADHD 성향과 대인관계문제, 인터넷 및 알코올 중독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를 바탕으로 성인 ADHD 성향은 일상생활에서 대인관계문제의 심화와 함께 다양한 중독의 문제에 노출 될 위험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 소나무 공간분포의 지형학적 분석

        김태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Spatial distribution and pattern of tree species has been employed as a useful tool for analyz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occurrence pattern of the tree species. Topographical factors such as elevation, aspect, slope, TWI(Topographic Wetness Index) have a major impact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From tho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opographical factors for understanding and predict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 grid size plays critical role for determining the topographical factors of spaces appearing the tree species. The topographical factors created from DEM(Digital Elevation Model) with too small or large grid size might not represent actual topographical factors which are ecologically meaningful. This research estimated Pinus densiflora distribution and suggested an optimal grid size of DEM for ecologically better explaining spatial distribution and appearance pattern of Pinus densiflora. With optimal grid size, it was analyzed that appearance frequency in Pinus densiflora area and in the class of Pinus densiflora by topographical factors. In two study area covered a wide elevation, appearance frequency of Pinus densiflora in Pinus densiflora area and in the class by topographical factors were analysed in each class by elevation. And this work ultimately aimed at topographically analyzing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s a result of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by aspect with different grid size, Pinus densiflora appeared in all aspect with smaller grid size, while distributed in specific aspect decreased with bigger grid size. 100m grid size in two area that showed obvious difference of distribution by aspect in Pocheon and Seoraksan could represent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The results of appearance of Pinus densiflora by topographical factors showed that Pinus densiflora appeared mainly on 0m~400m elevation in Pocheon and 400m~800m in Seoraksan and Chiaksan, 15°~30° of slope and 0~2 of TWI in all area.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of appearance frequency in Pinus densiflora area by aspect. On the other hand, appearance frequency in the class of Pinus densiflora were similar in most classes of topographical factors.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below and above 400m of elevation. There was not enough difference in appearance frequency in Pinus densiflora area above 400m of elevation but a sharp difference by topographical factors below 400m of elevation. Appearance frequency in the class of Pinus densiflora were similar in most classes of topographical factors in all elevation.

      • 지석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취락 내 석기제작 양상

        김태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analyze production tendency of the stoneware at the settlements in the Bronze Age through comprehending whetstone, which is essential tool for production of stoneware, and excavation tendency within the settlements. The most important attribute of whetstone is functional property. It could be figured out on the working surface of whetstone which makes contact with processed implement. In other words, when the particular work was conducted, a vestige of the process would remain, and it can be a distinct evidence by which people could recognize what work was implemented. Also, for this reason, the size and shape of the whetstone related to the aspect of working surface are able to b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for classifying whetstones by form. In this dissertation, I categorize the whetstones to 6 types by the size and shape. In terms of the size, there are two types of large size and small size, and regarding the shape, I assort them into three forms, such as pillar-shaped, plate-shaped, and indeterminate forms. In accordance with above-mentioned types, they are distinguished about portability and intentionality of polishing. Furthermo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except those properties is rock type. Since the data of rock type analyses which was performed to specific relics, however, are somewhat insufficient, it remains as further research task. Through examining the tendency of whetstones excavation within the real colony, the aspects of stoneware production in the settlement could be understanded. First, selecting target sites which has differences in time, area, and position, and applying existing research which sorts dwellings into the dwellings in which people produced stoneware or not, we can find more whetstones relatively in the production dwellings than those of no production. Also, through the distinction of the whetstone composition which is figured out in the production dwellings, we can perceive possibility of a division of labor, but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obvious aspect of a division of labor because they are so small in number. In sequence, as a result of comparison about the condition of whetstone excavation in the target sites, there is a broad distinction in terms of time and area. With regard to time, we can detect the difference with declining excavation proportion of small pillar-shaped whetstones which was used to detailed process of complicated stoneware and increasing that of large whetstones. It has the same way of the simplification of models for mass production of stoneware proceeded in the latter part of the Bronze Age. On the other hand, regarding area,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rock types rather than forms, the case that most of whetstones are made of sandstone is figured out in ruins in Gyeongsang province. To find out if this difference is from preference about the rock type or from the geologic difference, analysis of clear condition of rock type and producing area should be accompanied. 본고의 목적은 석기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도구인 지석에 대한 형식 분류와 취락 내 출토 양상을 확인하여 청동기시대의 취락 내 석기 제작 양상을 파악해 보는데 있다. 지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속성은 기능적인 속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석이 직접적으로 가공하고자 하는 도구와 접하는 작업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특정한 작업이 행해진 경우 지석에는 그 흔적이 명확히 남게 되며, 이는 곧 지석을 통해 어떠한 작업을 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적인 증거가 되어준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작업면의 형태와 연관된 지석의 크기와 형태는 지석을 형식 분류함에 있어 중요한 속성이 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지석을 크기와 형태에 따라 6개의 형식으로 분류하였다. 크기는 대형과 소형, 형태는 주상과 판상, 부정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형식에 따라 휴대성과 마연의 의도성에서 차이가 나게 된다. 또한 이외에도 중요한 속성으로 들 수 있는 것이 지석의 암질이라고 할 수 있는데 개별 유물에까지 행해진 명확한 암질 분석에 대한 자료는 다소 부족한 실정으로 추후 연구과제로 남겨 두게 되었다. 이러한 지석이 실제 취락 내에서 출토되는 양상을 확인해 보면 취락 내에서 석기가 제작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시기와 지역, 입지에서 차이가 나는 대상 유적들을 선정하고 그 유적 안의 주거지를 석기가 제작된 주거지와 그렇지 않은 주거지로 나누는 기존의 연구를 적용해 보았을 때 제작 주거지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지석이 출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제작 주거지 내에서 확인되는 지석 조성의 차이를 통해 분업의 가능성 역시 확인할 수 있었지만 절대적인 수량이 적어 명확한 분업의 양상을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다음으로 대상 유적들의 지석 출토 상을 비교한 결과 시기와 지역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시기적으로는 복잡한 석기의 세부적인 가공에 사용되는 소형의 주상 지석의 출토 비율이 줄어들고 대형 지석의 출토 비율이 늘어나는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청동기시대 후기에 확인되는 석기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종의 단순화와 궤를 같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상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송국리 문화의 파급에서 벗어나 있는 북한강 문화권이나 검단리 문화권의 경우에는 오히려 판상 지석의 수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대표적으로 전기부터 후기까지의 변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용암리 유적의 경우 공방지와 주거지 간의 석기 제작 단계 분화 등이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여겨진다. 또한 암질에 있어서도 지역적인 차이가 확인되는데 이 역시 송국리 문화권과 연결하여 해석할 여지가 있으나 경상도 지역의 경우에는 송국리 문화권의 파급과 관계없이 출토된 지석의 대부분이 사암제인 것을 볼 때 지역별 차이는 지질학적 여건에 의한 차이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차이가 암질에 대한 선호에서 온 것인지 지질학적 차이에서 오는 것인지는 확인해 보기 위해서는 명확한 암질에 대한 동정과 산지 추정 분석이 동반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으로 지석을 통해 청동기시대 취락 내 석기제작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대상으로 삼은 유적들의 지석들이 모두 제작에 사용되었다고 단언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더욱 명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석기제작이 상정되는 주거지들로만 한정한 분석 역시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물론 제작 주거지 출토품으로만 지석을 한정한다면 수량의 한계로 유의미한 분석이 불가능하지만 앞으로 계속된 자료의 축적이 이루어진다면 머지않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각 문화권의 간의 제반사항과 다른 기종들을 포함한 분석을 위해 전기부터 후기까지 변화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이 증가한다면 지석에 대한 연구 역시 석기연구의 한 방향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 사이버犯罪 國際共助搜査의 限界와 成功要件

        김태민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랜섬웨어, 텔레그램 성착취 등 사이버범죄는 코로나19 상황에도 불구하고 증가하고 있다. 사이버범죄는 국경이 없다는 특성이 있어 여러 국가 간 법집행기관의 국제공조수사가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간 외교관계, 각 국가의 형사관할권 등을 이유로 그간 효과적인 국제공조수사는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번 연구는 선행연구와 경찰청 인터폴 국제공조 담당자 인터뷰 등을 통해 공조절차의 복잡성, 공조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점, 공조로 확보한 증거의 증거능력 인정 문제, 타국에 공조이행을 담보하기 어렵다는 점 등을 한계점으로 도출했다. 그리고 사이버범죄에 있어 인터폴 국제공조수사 사례를 선정하고 이를 분석하여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성공요건을 발굴해 실무적 시사점을 준다. 성공요건으로 신속성, 법적 구속력이 있는 조약 가입, 공조대상국과 높은 신뢰관계, 민간 IT기업 등과의 공조체계 구축 등으로 확인하였다. 이러한 성공요건들이 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인터폴 국제공조의 법적근거 마련, 공조채널 확대, 공조절차 간소화, 공조 절차 표준화 등 법・제도적 및 정책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Recently, Cyber crimes such as ransomware and telegram sexual exploitation have been increasing despite of the COVID-19. Since cybercrime has no borders,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s by law enforcement agencies between countries are essential. Nevertheless, effective international cooperation investigation has been difficult due to diplomatic relations and the criminal jurisdiction of each country. This study draw the limitations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of cyber crimes through previous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the National Police Agency's Interpol International Cooperation Officer. It was drawn a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In addition, Interpol international cooperation investigation cases in cyber crime are selected and analyzed to discover success requirement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nd give practical implications. As the success conditions, it was confirmed that promptness, accession to a legally binding treaty, a high trust relationship with a partner country, and a cooperative system with private IT compani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plications of these success factors, we propose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improvement measures such as preparing a legal assistance for Interpol international cooperation, expanding mutual asi channels, simplifying mutual aid procedures, and standardizing mutual aid procedures.

      • 밸런스워킹PT 운동이 중·노년기 여성의신체적·정신적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태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ages—Research I and Research II—to identify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that middle-aged, old women underwent after they participated in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he research result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are briefly presented in the following paragraphs. Research I involved a Balance Walking PT exercise twice a week for 12 weeks for 30 middle-aged women. During the exercise, we examined the following: physical characteristics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skeletal muscle mass); health fitness factors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blood lipid indicators (TG, TC, LDL-C, and HDL-C); and mental health (sentiment, adjustment to reality, and other area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With regards to chang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women, the Balance Walking PT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basal metabolism, and skeletal muscle mass. Moreover, the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flexibility, and cardiopulmonary endurance, which ar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indicating that such exercise improves the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factors of middle-aged women. Meanwhile, the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blood lipid indicators by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G and TC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HDL-C; it also reduced the concentration of LDL-C, but not significantly. Last, the exerc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domain as a sub-factor of mental health change (positive distortion, inconsistency, depression, anxiety, panic attack, agoraphobia, obsessio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bsessive and compulsive behaviors, PTSD, anger/attack, and physicalization); issues related to adapting to reality (psychosis); and other areas (suicide, addiction, sleep disorders, vulnerability to stress, inter-personal sensitivity, and low controllability).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fear-induced anxiety in the emotional domain, or manic syndrome and paranoia in case the participants had issues related to adapting to reality. Therefore, the 12-week Balance Walking PT exercise is anticipated to be conducive to the subjects for main taining their health-related physical strength, and should help any physical changes they undergo; it would also influence a positive change in the lipid metabolism levels, and enhance their mental health. ResearchⅡ involved conducting a balanced walking PT chair exercise twice a week for 36 weeks, with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Subse- quently, the effects on fall prevention physical strength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scale), physical characteristics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body fat mass, and skeletal muscle mas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TG, TC, LDL-C, HDL-C, AIP, AI, and LCI),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the skeletal muscle mass of elderly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Moreover, it did not affect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involving TC, LDL-C, HDL-C, and AI. However, regarding the changes in fall preventi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scal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exercis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us showing an improvement in the fall prevention physical strength of elderly women. With respect to physical characteristics,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through the reduction in the values of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body fat percentage, and body fat mass. There was also a positive effect on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in elderly women, as their blood TG was reduced and the rise in AIP and LCI levels was suppressed. Moreover, a positive change was noted in those suffering from depression. Regarding the participants’ quality of life, the exercise had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such as motor ability, daily activities, self-management, pain/comfort, anxiety/depression. Consequently, the 36-week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helped elderly women aged 75 years or older to improve their physical strength for preventing falls.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lipid concentration, and arteriosclerosis indicators.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the 36 weeks of Balance Walking PT chair exercise can help lower depress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Balance Walking PT exercise program, in which customized settings can be applied according to users' health status, is judged to be very effective in improving women's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improving their blood lipid indicators after crossing middle age. 본 연구는 밸런스워킹PT 운동 참여에 따른 중・노년기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Ⅰ과 연구Ⅱ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구Ⅰ은 중년기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2회 밸런스워킹PT 운동을 실시한 후, 신체적 특성(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 대사량, 골격근량), 건강 체력 요인(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 혈중 지질 지표(TG, TC, LDL-C, HDL- C) 및 정신 건강(정서 영역, 현실 적응 문제 영역, 기타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중년 여성의 신체적 특성 변화에서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기초 대사량, 골격근량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 체력 요인인 근력,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중년기 여성의 건강 체력 요인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TG, TC의 농도를 감소시키고, HDL-C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혈중 지질 지표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LDL-C의 농도 감소는 있었지만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정신 건강 변화의 하위 변인인 정서 영역(긍정왜곡, 비일관성, 우울, 불안, 공황발작, 임소공포, 강박, 강박증, 강박성격, PTSD, 분노/공격, 신체화)과 현실 적응 문제 영역(정신증), 기타 영역(자살, 중독, 수면문제, 스트레스 취약성, 대인민감성, 낮은 조절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정서 영역의 공포불안과 현실 적응 문제 영역의 조증, 편집증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2주간의 밸런스워킹PT 운동은 중년 여성의 건강 관련 체력을 유지시켜 주었고, 신체적 변화와 지질 대사의 긍정적 수치 변화에 도움을 주었으며,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연구Ⅱ에서는 36주간 주 2회, 75세 이상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낙상 예방 체력(근력, 유연성, 균형척도), 신체적 특성(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 골격근량), 혈중 지질 농도 및 동맥경화 지표(TG, TC, LDL-C, HDL-C, AIP, AI, LCI),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사후 측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은 75세 이상 노년기 여성의 신체적 특성 중 체중, BMI, 허리둘레, 체지방률, 체지방량의 수치를 감소시켰으나 골격근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낙상 예방 체력의 변화 중 근력, 유연성, 균형 척도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보여 노인 여성의 낙상 예방 체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인 TC, LDL-C, HDL-C, AI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혈중 TG를 감소시키고 AIP, LCI 수치의 상승을 억제하여 노인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운동군의 경우 우울에서도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36주간의 밸런스워킹PT 체어 운동은 75세 이상 노인 여성의 신체적 특성 및 낙상 예방 체력 향상에 도움을 주었고, 혈중 지질 농도와 동맥경화 지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노년기 여성의 우울을 낮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건강상태에 따라 맞춤형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 밸런스워킹PT 운동 프로그램은 중년기 이후 여성들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과 혈중 지질 지표를 개선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차량군집주행용 무선통신시스템 구현 및 테스트베드를 통한 성능평가

        김태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AVCS is to increase throughput of traffic in a highway and to improve highway safety by incorporating new technologies into vehicles. It is known that the effective method increasing the traffic throughput on an existing highway is to group the automated vehicles into tightly spaced vehicle group formation. The vehicle platooning is based on an automatic vehicle following system that is suggested by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hrough PATH (Partners of Advanced Transit and Highways) project in the U. C. Berkeley. In this dissertation, the implementation issues of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 system are considered for the vehicle platooning experiments via a testbed. The testbed, which consists of three scaled vehicles and one study.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of the vehicle-to-vehicle or the vehicle-to-roadside plays a key role for keeping the relative spacing of vehicles small in a vehicle platoon. In this dissert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the reliable protocol of the flexible network architecture are implemented for the vehicle platooning experiments, using the low-cost, ISM band transceiver and the 8-bit microcontroller.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of a scaled vehicle of the testbed is achieved for the longitudinal vehicle dynamics. The controller is designed by the constant spacing strategies, and the experiments is achieved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testb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