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강남구 교회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김청호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첫째, 지역사회 복지공동체의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실천을 위한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며, 둘째, 지역사회 복지협력체계의 활성화 방안으로 교회의 다양한 자원을 지역사회에 활용하는 복지 유형을 연구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교회와 지역사회, 사회복지관들의 복지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들을 통해 현황등을 밝히며, 현재 교회와 지역자치단체와 사회복지관들간에 복지 연계활동 실태등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교회의 여러 자원이 지역사회의 복지활동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를 유형별로 조사하고,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지역사회복지의 전문적, 체계적인 활성화 방안으로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자료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은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교회와 지역사회, 사회복지관의 현황을 조사하고자 현재 사회복지사역을 하고있는 서울지역 48개 교회와 강남구청 문화관광부 통계자료에서 강남지역 71개 교회의 목회자, 강남구 지자체(구청, 동사무소)의 사회복지공무원 28명, 강남구 종합사회복지관 사회복지직원 68명, 자원봉사자 중 기독교인 61명 등 27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강남구 71개 교회는 설문지 발송후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직접전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그 외 203명은 직접 면접 방법 또는 자기 기입식 설문방법으로 기입케한 후 바로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입력 및 분석은 SPSS win 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의 복지공동체 현황과 실태에 대한 응답자료를 각각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를 위한 협력체계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교회와 지역사회, 교회와 사회복지관의 현황 내용을 비교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목회자ㆍ자원봉사자)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면 교회가 지역사회복지에 참여하는 일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참여도는 교회재정과 시설의 부족으로 소극적이었고, 교회의 규모와 특성에 따라 지역사회복지에 재정적 지원과 함께 교회가 건물을 개방하고, 인적자원(자원봉사자)등을 지원하여 지역사회복지에 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회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전문화와 체계화를 위해서 교회사회복지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둘째, 지역사회의 자치단체(복지행정기관)와 사회복지관에서 보는 교회의 지역사회 복지 체계를 살펴보면 교회가 지역사회복지(봉사)에 참여하는 일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 있으나 참여 정도에 있어서는 적극적인 태도를 바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사회의 복지공동체인 교회와 지자체, 사회복지관, 자원봉사자의 복지협력관계를 살펴보면 교회목회자와 자원봉사자들은 지역사회복지 협력관계를 강한 협력관계로 발전되기를 희망하고 있으나 현재 지자체의 사회복지 공무원들과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직원들은 약한 협력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았으며. 지역사회 복지공동체 간에 복지서비스를 계획하고 전문적,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지역사회복지 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는 것은 모두가 필요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회의 지역사회복지가 일반사회복지와 다른 점은 그 동기가 하나님으로부터 출발한다. 교회는 지역사회의 어려운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 안전망(Social Safety Net )이 되어야 한다. 또한, 교회의 지역사회복지는 자치단체와 지역사회복지관이 주민에게 제공하는 최저한의 생활보장과 복지증진을 보충하는 방향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복지공동체의 효율적인 복지서비스 실천을 위한 교회와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 제안을 다음과 같이 들 수 있다. 1) 지역사회복지 협력체계 네트워크를 세 주체간에 상시체제로 운영해야 한다. 2) 지역사회복지 공동체의 협력적인 관계는 세 주체가 함께 공유하고 있는 관심과 가치관에서 출발해야 한다. 3) 지역사회가 더불어 사는 복지공동체의 기능과 역할 가운데 지역사회의 자원과 분배와 조정하는 일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는 복지행정의 기능과 정보를 통하여 지역주민의 문제와 해결을 위하여 지역교회에 제공하는 역할을 해야하며, 사회복지관은 전문적인 복지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홍보하며 역할을 분담하고 교육, 훈련, 실습 등의 전문적 관리서비스를 지역교회에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교회는 지방자치단체와 지역사회복지관의 복지서비스를 지원하고 실행하는 체계로 지역사회와 사회복지관의 사회복지 노력이 미치지 못하는 지역사회 주민의 문제 해결과 욕구에 개교회의 여러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4) 따라서, 지역사회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를 통하여 지역사회를 위한 프로그램의 중복과 누락을 조절하고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활발하게 지역사회복지 사업들을 전개해 나갈 수 있다고 본다. 셋째, 지역사회의 복지협력체계 네트워크 활성화를 지원하는 교회의 복지 유형으로 강남지역 교회를 연구 조사한 결과로 볼 때 A형: 교회 건물을 개방한 지역복지활동형, B형: 교회의 자원봉사자를 통한 자원복지활동형, C형: 복지관을 설립 복지운영형, 기타형: 교회 규모에 따라 지역교회 연합하여 복지실천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넷째, 개교회가 속한 지역사회의 욕구에 맞는 다양하고, 창조적이고 자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교회내 사회복지전문가(가칭:교회복지사)를 두고 교회 담임목회자의 목회파트너로 고용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 ed to find out and present basic dat a necessry for establishing the "church- community welfare network," a tool enabling community welfare service providers to carry out their services effectively. To seek ways to facilitate the church- community we lfare network, this study also examined types of church social work, that is, how churches use their resources for the community.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on welfare activities carried out by churches, commun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 looked at cooperative welfare activities among churches,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 and examined types of church social work, that is, use of church resources for community welfare activities. The research result s were viewed as neces sary data for establishing the 'church - community welfare network,' a tool allowing for professional, systematic performance of community welfare services. To know about welfare activities carried out by churches, communiti 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establishing the church- comm unity welfare network,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74 subjects - - pastors in 48 churches in Seoul, currently involved in social welfare services, in 71 churches in Kangnam- gu, selected from the statistical data of the Culture & Tourism Department of Kangnam - Gu District Office, 28 officials working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government offices (Kangnam- gu district office and dong offices), 68 social workers of the Kangnam- gu social welfare center and 61 Christians out of volunteer workers. For 71 churches in Kangnam- gu, the researcher telephoned them and obtained their answers for all questions over the phone. In worry of few returns of questionnaires, a telephone survey was used for the churches. For the other 203 subjects, the researcher int erviewed them, reading questions personally to subject s and writing down their answers, or the subjects read questions and wrote answers on their own. Their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soon after they finished answering questions. For data input and analyses, SPSS win 8.0 was applied. A frequency analy sis was adopted for the statistical treatment of subjects' answers about their welfare activities in the community. The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conduct ed to compare church - community cooperative welfare services with church-social welfare center cooperative welfare services. These two cooperative relations were compared for establishing the church- community welfare network.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church workers (pastor s and volunteers) showed very positive attitudes toward church's involvement in community welfare services. However, their actual participation was inactive due to lack of church funds and facilities. Examples of church's involvement in community welfare activities, though different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urch, included financial assistance, opening of church buildings and/ or supply of human resources (volunteer workers). Church workers agre ed at the need of church social workers for professional, systematic performance of welfare activities by churches. Second, local government offices (welfare authoritie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showed a very positive view about church's particip ation in community welfare(services). As to the degree of participa tion, however, they wanted churches to be more active in community welfare services. Third, church workers (pasto s and volunteers) hoped a stronger cooperative rel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However, officials working for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worker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were in weak cooperative relationship. All of these three groups agreed at the need of establishing the "cooperative community welfare network" for planning and performing welfare services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in joint among the group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 First, church social work differs from general welfare services in that it is motivated to follow God's words. Church must be a social safety net for the weak in the community. Additionally, church social work must be reframed to be a suppleme nt to programs provided by local governments or community welfare centers for residents, e.g.,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and welfare promotion. Seco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 community welfare net work," a tool for carrying out services effectively,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 1) The cooperative community welfare network must be operated full time by the three groups ; 2)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the groups must be based on their common concerns and values ; 3) since the distribution and adjustment of community resources are important, out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welfare service provIders, local governments must supply the functions of and information about welfare administration to churches for solving the problems of residents ; community welfare centers must develop and publicize professional welfare programs and supply profes sional management services education, training and practice to churches in the community ; and churches, supporting and carry ing out welfare services of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must seek ways for using their resources effe ctively to solve residents' problems and to meet residents' needs which are not reached by local governments and community welfare centers. 4) From this perspective, the community welfare network is deemed to contribute tocarrying out community welfare programs effec tively and actively by preventing overlapping and ommis sion of programs and assigning the priority to the programs. Third, types of church social work for network facilit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research conducted with churches in Kangnam- gu, are characterized as follows : A model type refers to welfare activities for the community, e.g., the opening of church buildings ; B model type includes resource- based welfare activities, e.g., the supply of church's volunteer workers ; C model type is the operation of welfare facilities, e.g.,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welfare center ; the final model type is the practice of welfare services in coalition with other local churches according to the church size. Fourth, churches must hire social workers (tentatively named: church social workers) as partners of pastors for developing diverse, creative and autonomous programs meeting the needs of the community.

      •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의 빠른 진단을 위한 뇨시험지검사(Uropaper 10^(�), Multistix 10SG^(�))의 사용

        김청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은 복수를 가진 간경변증 환자에서 흔하고 중한 합병증이다.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경험적 항생제치료를 가능한 한 신속히 시작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저자는 복수를 가진 간경변증 환자에서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을 신속히 진단하기 위한 뇨시험지검사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4년 1월부터 5월까지 고대구로병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한 복수를 동반한 간경변증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은 입원 당시 복수천자를 시행하여 채취한 복수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백혈구, 다형핵세포 분율 검사, 복수 배양검사를 시행하였고 뇨시험지검사(Uropaper 10^(�), Multistix 10SG^(�))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 전체 68명(남자 52명, 여자 16명; 평균나이 55.8세)의 간경변증 환자에서 112개의 복수를 채취하였다. 간경변증의 원인은 B형 만성간염이 41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알콜에 의한 경우가 13명으로 많았다. Child-Pugh 분류는 A가 4명, B가 22명, C가 42명이었다. 11명의 환자가 초기 복수천자에서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으로 진단되었다. +1이상을 양성으로 하였을때 Uropaper 10^(�)의 민감도와 특이도, 정확도, 음성 예측도는 각각 93%, 89%, 89%, 99%를 나타내었고 Multistix 10SG^(�)의 민감도와 특이도, 정확도, 음성 예측도는 각각 86%, 92%, 91%, 98%로 역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복수를 가진 간경변증 환자에서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을 진단하기 위한 뇨시험지검사(Uropaper 10^(�), Multistix 10SG^(�))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방법이며, 이 검사는 빠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검사에 양성일 경우 신속한 항생제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d/Aims :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SBP) remains a prevalent complication of cirrhosis with a high mortality. Timely diagnosis and treatment are essential to survival.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agnostic accuracy of a rapid urine reagent strip(Uropaper 10^(�), Multistix 10SG^(�) for SBP in cirrhotics. Methods : I analyzed sixty eight consecutive patients(52 males, 16 females; mean age 55.8 years) with cirrhosis and ascites. A diagnostic paracentesis was performed on hospital admission in all patients. Each fresh sample of ascitic fluid was tested using Uropaper 10^(�) and Multistix 10SG^(�). The results of urine reagent strip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routine analysis for white blood cell count, polymorphonuclear cell count and culture of ascites. Results : Eleven of the 68 patients had SBP. Sensitivity was 93%(13 of 14), specificity was 89%(87 of 98),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9% if considered a reagent strip postive when the cutoff was≥+1 in Uropaper 10^(�) test. Sensitivity was 86%(12 of 14), specificity was 92%(90 of 98),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as 98% if considered a reagent strip postive when the cutoff was≥+1 in Multistix 10SG^(�) test. Conclusion : Using urine reagent strips is a rapid and easy method for the diagnosis of ascitic fluid infection. A positive result could be an indication for rapid empirical antibiotic therapy.

      • 삼백초의 성분 및 일산화질소 생성저해 활성

        金靑浩 충북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Nitric oxide (NO) plays a vital role in the regulation of the immune system. The production of NO can cause a variety of diseases, such as inflammation and cancer. As a part of ongoing research program searching for anti-inflammatory constitue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the MeOH extract of Saururus chinensis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nitric oxide production in RAW264.7 cells. The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methylene chloride soluble fraction led to the isolation of a new 7,7′-epoxylignan: (7S,8S,7′R8′R)-3,3′,4′,5′-tetramethoxy-4,5-dimethylenedioxy-7,7′-epoxylignan (4), a new 1,4-diarylbutane lignan: saururin C (10), four new (8-O-4′) neolignans: sauneolignan A (15), sauneolignan B (16), sauneolignan C (17) and sauneolignan D (18); two new disconnected lignans: ent-sauchinone A (21) and ent-1′-epi-sauchinone (22), six new sesquineolignans: saucerneol L (25), saucerneol M (26), saucerneol N (27), saucerneol O (28), saucerneol P (29) and saucerneol Q (30), eight new dineolignans: 4-O-demethylmanassantin A (32), 3-O-demethylmanassantin A (33), manassantin A1 (34), manassantin A2 (35), 3-O-demethylmanassantin B (37), 4-O-demethylmanassantin B1 (38), 4-O-demethylmanassantin B2 (39) and manassantin C (40), a new quinone: sauquinone (41), a new phenylpropanoid (4S,5S)-4-(3,4-dmethoxy)-5-methyl-1,3-dioxolan-2-one (44), and two new secolignans: sausesolignan A (45) and sausesodineolignan A (46) along with twenty one known compounds, rel-(8R,8'R)-dimethyl-(7S,7'R)-bis (3,4-methylenedioxyphenyl) tetrahydrofuran (1), di-O-methyltetrahydrofuriguaiacin B (2), (7α,8β,7′β,8′α)-2′-hydroxy-3,4,4′,5′-dimethylenedioxy-7,7′-epoxy lignan (3), dihydroguaiaretic Acid (5), (-)-austrobailignan 6 (6), saururin A (7), saucerneol I (8), (+) saururinone (9), machilin D (11), (1R,2R)-2-[4-allyl-2,6-dimethoxyphenoxy)-1-(3,4,5-trimethoxyphenyl]propan-1-ol (12), (1R,2R)-2-[2,6-dimethoxy-4-((E)-prop-1-enyl)phenoxy]-1-(3,4,5-trimethoxyphenyl) propyl acetate (13), (-)-raphidecursinol B (14), ent-sauchinone (19), saucerneol D (22), (-)-saucerneol methyl ether (23), (-)-saucerneol (24), manassantin A (31), manassantin B (36), myristicin (42), elemicin (43), saurufuran A (47). The structures of these isolates were determined by the basis of physicochemical evidence and spectroscopic analysis such as 1D, 2D-NMR, CD and HR-ESI-MS spectrum. Among them, compounds 11, 20, 39, 42 and 43 showed the most potent inhibitory activities with IC50 values ranging from 1.85 μM to 4.30 μM. Compounds 5, 8, 10, 13-19, 21 and 40 also showed strong inhibitory effects with IC50 values ranging from 5.20 to 9.08 μM and compounds 2, 3, 7, 9, 12, 25, 27 and 33 exhibited inhibitory effects with IC50 values ranging from 10.46 to 16.90 μM, as compared with the positive control aminoguanidine with IC50 value of 16.60 μM. These results support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is plant tha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a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and cancer.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how these compounds inhibit NO production.

      • 결측값 대체를 위한 데이터 재현 기법 연구

        김청호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결측값에 대한 대체(imputation)는 평균 대체와 Rubin (1987)이 제안한 방법론들과 Stekhoven and Bühlmann (2012)이 제안한 랜덤 포레스트 대체 방법, Dixon (1979)이 제안한 K-최근접 이웃 대체와 딥러닝을 기본으로 한 오토인코더 대체와 잡음제거 오토인코더 대체 방법을 활용한다. 대체는 관측된 데이터에서 발생한 결측값(missing value)을 적절한 값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결측된 데이터를 완전한 자료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결측값을 한 값으로 대체할 수도 있고 여러 값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여러 개의 대체 값을 제공하는 것을 다중대체라 하며, 그 목적은 일종의 점추정값인 대체 값의 불확실성을 고려함으로써 추론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결측값을 대체하는 방법 7가지를 설명하고, 이러한 방법들을 연속형의 모의실험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에 접목시켜 방법론을 비교하였다. 비교결과 대부분의 경우에서 다중 대체 방법인 랜덤 포레스트 대체 방법과 잡음제거 오토인코더 대체 방법의 성능이 좋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