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실에서 시행된 응급 기관 삽관의 1차 시도 성공률에 대한 연구

        김창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요지 연구목적 : 본 연구는 2개 대학병원 응급실에서 응급기관 삽관을 시행 받는 대상자들의 역학적 특성과 기관 삽관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여러 변수들이 삽관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2006년 3월 1일부터 2008년 8월 31일까지 30개월간 서울한양대학병원과 구리한양대학병원 응급실에서 응급 기관 삽관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관찰 연구이다. 자료는 삽관 의사가 삽관 후에 작성한 응급실 기관 삽관 기록지(Emergency airway management registry)를 통해 수집 하였다. 연구결과 1. 본 연구의 대상군은 총 1243명의 기관 삽관자 중 붕괴된 기도를 가진 환자를 제외한 774명이었고 남자가 484명(62.5%), 여자는 290명(37.5%)이었다. 70대가 192명(24.8%)으로 가장 많았고 평균연령은 58.26세였다. 남자의 평균 연령은 54.96세, 여자의 평균연령은 63.75세로 여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연령이 높았다.(p=0.000) 2. 기관 삽관의 원인은 질병이 539(69.6%)명, 외상 및 중독이 235명(30.4%)이었고, 질병으로인한 원인 중 뇌졸중이 174명(22.5%)으로 가장 많았다. 3. 전체 삽관 성공률은 79.2%였고, 삽관의 난이도(difficulty of airway)가 쉬운 경우, 신속순서삽관(Rapid Sequence Intubation)을 시행한 경우, 삽관자의 임상과가 응급의학과인 경우, 그리고 삽관자의 연차가 높은 경우 삽관의 성공률이 높았다.(p<0.05) 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서 기관 삽관의 난이도, 삽관자의 임상과, 신속순서삽관의 시행이 삽관의 성공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삽관자의 연차는 1년차와 2년차 이상 사이에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Subgroup analysis에서 기관의 난이도가 어렵지 않을 경우에는, 타과는 2년차 이상과 1년차 사이에 성공률의 차이가 없었으나 응급의학과는 2년차 이상이 1년차보다 성공률이 높게 나왔고(OR=2.50, p=0.003), 타과는 신속순서삽관의 시행 여부가 성공률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응급의학과는 신속순서삽관을 시행한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의미 있게 성공률이 높았다.(OR=2.80, p=0.001) 또한 1년차와 2년차 이상 모두에서 신속 순서 삽관을 시행한 경우에 성공률이 의미 있게 높게 나왔으나 2년차 이상 군에서 Odds ratio가 2배 이상 높았다.(OR=2.31, 5.15, p<0.05) 결론 응급실에서 시행되는 기관 삽관의 성공률은 대상자의 기도의 난이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으며 시술자의 측면에서는 시술자의 전문성과 병용 약물의 사용(RSI)이 성공률에 영향을 미쳤다. 시술자의 전문성에서는 응급의학과가 다른 임상과에 비해 성공률이 높았고, 2년차 이상이 1년차에 비해 숙련도가 높아 성공률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별로 나누어 분석한 subgroup analysis 에서는 응급의학과는 2년차 이상이 1년차에 비해 의미있게 성공률이 높아 응급의학과에서는 연차가 올라감에 따라 기관 삽관의 숙련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숙련도가 높은 시술자가 신속순서삽관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응급기도관리에 있어서 응급의학과 고년차(2년차 이상)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우리나라 지방행정제도의 발전과정에 관한 연구 : 충남 아산시를 중심으로

        김창선 선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originally aimed to provide the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administrative changes in Asan area. Due to lack of historical evidence, however, it was conducted using related historical facts. I hope it will help not only study the past but also review current administrative systems. It is assumed that the King of Yeomno, the first country in Asan area was just a symbol of the nation and the tribal chiefs of each region centering on Onyang such as Tangjung, Eumbong, and Shinchang dominated and enforced the three powers of legislation, jurisdiction, and administration based on customs and common sense. It appears that during the Three Kingdom Period in Korea, the time when Asan area was under the influence of Baekje was after Ungjin Cheondo, the transfer of Baekje's capital in 475. Accordingly, it seems that strong native powers in the area could enter central politics and have certain political positions as the strategic significance of Asan area was increasing, Unified Silla was desperate for securing military points. In this era, it was Tangjungjoo(湯井州) in Asan that was chosen as a military base to fight against Baekje's revival army and the Tang Dynasty military force. It appears that although Asan in the era of Silla once emerged as a military point shortly after the fall of Baekje, since then it didn't get much attention in terms of politics. During the Goryeo Dynasty, even though Asan area emerged strategically while fighting against Kyeonhwon, the first king of Hubaekje it became less important in general. Particularly, this is reflected by the fact that Asan belonged to Cheonanbu(天安府) with three newly established counties and prefectures for a while. Cheonanbu emerged as a new administrative district as the first king of Goryeo made Asan a military stronghold to attack Hubaekje, and Goryeo strengthened the function of Asan area in terms of politics and wanted to hold near-area powers in check with it. As a result of such policies towards local areas during the Goryeo Dynasty, Asan was intentionally downgraded except for earlier Asan in the dynasty. However, Asan, thanks to its geographical position, became a shipping stronghold and its marine transportation function also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Joseon Dynasty. The administrative system in the Joseon Dynasty was different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now. During the dynasty, all administrative affairs were totally controlled by the king according to centralism regardless of each local government office's position, When there were meritorious retainers, devoted sons, or rebellions, the concerned land itself was given a prize or punishment. For instance, the concerned counties and prefectures were upgraded or downgraded. Although some of this administrative system were changed over Gabokyoungjang(甲午更張, the Gabo Reform) in 1914, during the Japanese Ruling Era, they were all changed for the convenience of the colonial rule regardless of our will. In this period, Asan, Onyang, and Shinchang in Asan area were integrated into Asangun.

      • ベッドレストによる微少重力が引き起こす骨量減少機構

        김창선 早稻田大學 2001 해외박사

        RANK : 248639

        骨은 破骨 細胞에 의한 骨吸收와 骨芽 細胞에 의한 骨形成을 恒常 反復하는 (리모델링) 活發한 組織이다. 이 骨 리모델링에는, 骨吸收와 骨形成과의 사이에 共役 關係가 존재하며, 兩 過程 間의 動的 平衡 狀態에 의하여 骨의 構造와 强度가 一定하게 維持 된다. 骨多孔症이나 卵巢 摘出 患者등에 있어서는 이 動的 平衡이 무너지며, 骨吸收 優位의 骨代謝 回轉 亢進이 發生하여 骨量 減少를 일으킨다. 骨은 身體의 支持 機關으로써, 適度의 運動이나 機械的 負荷는 骨量을 增加시키지만, 宇宙 飛行과 같은 微少 重力 環境下에 있어서는 急激한 骨量 減少를 일으키며, 臨床的으로는 廢用成 骨萎縮 또는 廢用成 骨多孔症으로 알려져 있다. 微少 重力에 의한 骨量 減少 機構의 解明을 目的으로 多數의 硏究가 擧行되고 있으나, 病態 生理나 詳細한 메카니즘에는 아직 不明한 點이 많다. 宇宙의 微少 重力 環境의 擬似 實驗으로 對 人間의 베드 레스트(bed rest)實驗이 거행되고 있다. 本 硏究에서는 微少 重力이 骨代謝에 미치는 病態 生理의 解明을 目的으로 하여 健康한 男性 18人(23±5.1세) 에 -6度 헤드 아운 틸딩 head down tilting 베드 레스트를 擧行으로 하여, 微少 重力 環境에 의한 1)骨量 減少 機構의 解明, 2) 骨量 減少에 있어서의 2型의 存在, 3) 骨吸收의 日內 리듬의 解明을 檢討했다. 그 結果 20日間의 베드 레스트에 의한 急激한 骨量 減少는 荷重骨에 著明하며 , 海線質·皮質 모두 각 각 0.9%, 0.4%의 骨量 減少가 일어나는 것이 밝혀졌다. 骨代謝 마커의 分析으로부터 , 이 骨量 減少는 骨形成의 抑制보다는 破骨 細胞의 活性에 따른 骨吸收의 亢進에 의한 것이 推察되었다. 또한 末梢血 單球로부터 인터루킨 interleukin (IL) -1, IL-6, 腫瘍 壞死 因子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의 단백질이 過剩 産生되고 있었으며, 同一 사이트카인의 mRNA도 過剩 發現 하고 있었다. 이로부터, 微少 重力 環境下에서의 破骨 細胞의 活性과 骨吸收의 亢進에 이들의 骨吸收性 사이트카인이 强하게 關與하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그리고 末梢血 單球에서의 Ca 感知性 受容體 Calcium sensing receptor (CaSR) 의 過剩 發現이 밝혀진 것으로부터, 骨吸收性 사이트카인의 過剩 생산에는, 血中 Ca++ 의 上昇과 함께 CaSR의 過剩發現에 의하는 것이 推祭되었다. 한편, 先行 硏究에서는, 宇宙 飛行後의 骨量 減少에는 各 飛行士 間의 差가 심하며, 同一 實驗에 있어서도 一部의 飛行士에서는 骨量 減少를 인정하지 않는 相違한 結果가 示唆되고 있으며, 一定한 見解를 얻지 못하고 있다. 本 硏究에 있어서도 被驗者 間의 差가 示唆 되었다. 지금 까지는 이러한 差異를, 宇宙 飛行의 其間이나 分析 方法등에 따른 個人差에 의한 것으로 認識되어 왔다. 그러나, 骨量 減訴는 多因子姓 疾患이며, 複數의 環境因子와 遺傳的 因子의 相互 作用에 의해서 일어나는 可能性이 있다. 즉, 骨量이 減少하기 쉬운 遺傳的 素因을 保持한 사람이, 同一의 環境 因子에 暴露되었을 때는, 다른 사람 보다 빨리 骨量 減少를 發生할 可能性이 있다. 따라서, 베드 레스트 實驗의 結果를 個人差에 焦點을 맞추어, 詳細하게 再 分析을 實施한 結果, 2型의 骨吸收 패턴의 存在를 發見했다. 骨芽·破骨 細胞가 함께 活性化되어 高 骨代謝 回轉 狀態로 骨量 減少를 일으키며, 主로 海綿骨에서의 骨量 減少가 일어나는 A型과, 骨芽·破骨 細胞의 活性에는 變化가 일어 나지 않고, 海綿骨과 皮質骨의 모두에서 各 同量의 骨量 減少가 일어나는 B型으로, B型의 骨量 減少 機構는 메카노센서 mechano-sensor인 骨 細胞의 活性化를 통하여 骨間質에서의 骨量 減少를 일으키는, 즉 骨 細胞性 骨溶解를 일으키는 것이 示唆되었다. 이 相異한 骨量 減少 機構에는 遺傳的 因子의 强한 關與가 推測되어 지며, 遺傳的 因子의 關與를 밝히기 위하여 遺傳子 多形性을 vitamin D receptor (VDR), estrogen receptor (ER) 에 대해 檢討를 實施했다. 그러나 本 硏究에서 分析한 遺傳子 多型에서는 結論을 얻지 못했으며, 다른 遺傳子 多型을 包含한 , 앞으로 더욱 詳細한 檢討가 必要하다고 생각되었다. 또한, 骨代謝 回轉에 있어서, 夜間부터 早朝까지 骨吸收·形成가 함께 亢進하여, 日中에 低下는 日內 리듬의 存在가 示唆 되어있다. 베드 레스트의 負荷에 의하여, 즉 身體 活動의 抑制뿐 아니라, 身體로의 重力을 排除하여 微少 重力 環境을 부여함으로 해서, 上記의 骨吸收의 日內 리듬이 變化 할 수 있다는 假說을 세워 眞僞를 檢討하였다. 그 結果, 14日間의 베드 레스트 群과 對象群에서, 同樣의 日內 리듬을 보이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것으로부터 日內 變動 리듬은 身體 活動이나 荷重의 有無, 즉 外的 因子에 의한 것이 아니라, 그 외의 內的 因子나 覺醒 리듬을 포함하는 生體 리듬에 의하여 細持되고 있는 可能性이 示唆되었다.

      • 침수심을 고려한 유역단위의 홍수조절편익 추정

        김창선 仁荷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난 세기에 있어서 홍수로 인한 피해는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홍수는 사회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역의 저지대에 급속한 도시화와 같은 일련의 결과로서 범람원은 소멸해버리고 또한, 홍수는 더욱더 급속해지고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홍수의 빈도나 강도의 증가가 주원인이라는 것이 확실하다. 홍수피해조사는 홍수피해 완화정책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일련의 홍사상 후 신속한 홍수피해조사는 범람원에서의 안전한 활동,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위한 재정적 지원, 홍수보험 평가 등 여러 가지 목적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홍수조절편익은 2가지 중요한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유형편익은 화폐의 가치로 환산할 수 있는 것으로 직접편익 또는 간접편익으로 분리할 수 있다. 둘째, 무형편익은 돈의 가치로 환산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홍수로 인한 피해액 산정에 있어서 가끔 피해 항목이 누락이 되는 경우와 또는 피해액이 과소평가가 되는 경우도 있다. 즉, 홍수 피해평가가 실질적인 피해평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홍수로 인한 피해항목 모두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단지 물리적인 피해, 농작물, 공공시설에만 임시적으로 조사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유역을 중심으로 한 홍수조절편익을 추정하였다. 1) 기존의 편입면적비를 이용한 유역전환방법을 편입 인구비를 이용하여 유역전환 2) 홍수범람구역내 산업별 자산액(재고액, 감가상각, 부가가치)을 조사 3) 행정구역별 피해액을 유역으로 전환시켜 직접편익 및 영업정지피해액을 추정하였다. 이와 같은 추정에 의하여 기존의 피해액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직접편익에서는 기존의 피해액과 비슷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lood damage loss is rapidly increased in the last century. River flooding has a severe impact on society. With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lower flat area of river catchment, natural flood plains are vanishing and as a consequence, Floods are becoming rapid and devastating. The damage caused by floods in resent decades has been extremely server. It is evident that both their frequency and their intensity are increasing. Flood damage assessment has importance in flood disaster mitigation. After a flood event, quick damage assessment is important for many purpose such as flood relief work, estimation of financial supports for affected people, evaluation of flood insurance, etc. Generally, Such flood control benefits are classified into the two major categories. First, Tangible benefit can be expressed in monetary terms, either as direct or indirect losses. Second, Intangible benefit is not readily convertible to monetary units predominantly related to stress But Floods causing moderate damage are occasionally omitted, or their damage greatly underestimated. That is, Flood damages estimates do not represent an accounting of actual costs, nor do they include all of the losses that might be attributable to flooding. Rather, they are rough estimates of direct physical damage to property, corps and public infrastructure.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is improvement plan of flood control benefits estimation based on watershed by: 1) Not existing incorporation area ratio but incorporation population ratio on methodology of watershed conversion 2) Estimating property(inventory, depreciation, value added) of industrial in flood plain 3) Estimation of direct and operation suspended damage on administrative district and watershed district. Then present the result which the total damage and compared it with existing damage. So, result show that the direct damage is the same results with existing damage.

      • 韓國企業의 連繫貿易 行態와 決定要因에 관한 實證的 硏究

        김창선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6 국내박사

        RANK : 248639

        Countertrade defined as a reciprocal linkage between sales and purchases of goods, services and technology, and in that role, many enterprises has carried out countertrade as a competitive marketing tool in actively growing business in international trade. The pattern of countertrade has developed from simple barter to more complicated buy-back or offset which including technology transfer and industrial cooperation of concerned parties. Currently, estimated share of countertrade range from as high as 30 percent to low as 5 percent in international trade.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few perspectives on countertrade. It boils down to following three: (A) an objective view on types, magnitude, importance, and motives of countertrade (B)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above factors reflected in Korean enterprises of which engaging in countertrade (C) an empirical research of the determinants of countertrade transactions with respect to macro and micro approach. The data collection methods applied to examine the 15 hypotheses were based on mail survey on the countertrade practices and secondary statistical data on its macro determinants in Korean exterprises. A response rate of 24.9 percent achived through the survey were acceptable in wiew of the scope of this study. Of all the 320 responses, 172 yielded information of successful countertrade practitioners, 148 reported a failed project. A rational and systematic model is produced which measures how the practices of Korean enterprises will impact on countertrade projects and identifies some factors that may be more important than others. Some of the major finding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A figure of US$1,436 million of Korean trade was cited as involving some forms of countertrade, which was equivalent to 11% of total Korean exports and imports in 1994. 2. In the regional pattern on countertrade, Korean enterprises have conducted most frequent countertrade with People's Republic of China with 44 cases, secondly, U.S.A. with 23 cases, thirdly, Japan and Republic of China with 16 cases respectively. 3. Counterpurchase was the most prevalent form of countertrade with sample sizes, while offset was the most available type with amount basis. 4. Most of enterprises which participate in countertrade were larger on size than those who do not participate. This feature implies that size of the respective enterprises could be a key role in determination of success of countertrade(i.e. larger enterprises are more eligible to absorb or avert risks, if any, which imposed on countertrade). 5. Enterprises which are experienced in countertrade have conducted more international sales than those which have not experienced thereof. The active international participation of the experienced party enable them to have more opportunities in activities of countertrade. 6. The results would imply that there existed relationships between countertraded goods and corporate structures, countertrade types and company sizes, company types and a firms's international experiences, the geographic regions and specific forms of countertrade and countertrade types and industry types. 7. In search of the macro determinants of countertrade transactions, empirical tests are conducted using data from a database which records Korean countertrade transactions during 10 years from 1985 to 1994. Statistical tool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re applied to test hypotheses on the macro factors(i.e. Current account balance, Foreign direct investment, Consumer price fluctuations, External debt. Terms of trade and Foreign exchange fluctuations) of countertrade in Korean enterprises. Results which were obtained explicitly imply that all the macro variables except consumer price fluctuations are insignificant. 8. The micro determinants of countertrade in Korean enterprises may include: ① establishing long-term relationships, ② increasing a firms's sales volume, ③ increasing a company's competitiveness. This study reveals that countertrade transaction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forms of trade in view of Korea's trading circumstances. Based on the fact that it is crucial to set up more diverse strategy and to overcome protective barriers. Also, it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by more widespread knowledge involved in countertrade with a delicate research and analysis. Inspired by frequent use of countertrade in international trade, Korean enterprises would be obliged to enter into countertrade activities in the near future. Furthermore, to remain competitive in respect of rapidly growing trade ties with eastern Europe and developing countries, they would inevitably be well informed and prepared for its adaptions.

      • 표고재배시 발생하는 Trichoderma spp.의 동정 및 표고균과 Trichoderma의 경합력 검정

        김창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Trichoderm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athogens in the cultivation of shiitake mushroom (Lentinula edodes) in Korea, and sometimes causes severe damage in the production of the mushroom. Trichoderma species attack mainly mycelia of L. edodes in bed logs and sawdust cultur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species of Trichoderma associated with shiitake mushroom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richoderma species, shiitake mushroom competitors,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competition between shiitake and Trichoderma species were also studied in the laboratory. Competition between shiitake and Trichoderma species was checked by dual culture on PDA and sawdust media (oak sawdust and rice bran cakes ratio, 8:2; moisture content ≒ 60%) and the mycelial growth rate of them on sawdust media was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289 isolates of Trichoderma species were collected from shiitake mushroom farms of different districts and Forest Mushroom Research Institute in Korea. Based on cultur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sequence analysis of ITS region, rpb2 and tef1 genes, the Trichoderma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 harzianum,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T. longibrachiatum and three unrecorded species, T. sp. 1, T. sp. 2 and T. sp. 3. 2. The predominat species was T. atroviride and T. sp. 3 complex (43.3%) followed by T. harzianum (32.9%), T. citrinoviride (10.7%), T. sp. 1 (6.6%), T. longibrachiatum (3.5%) and T. sp. 2 (3.1%). 3. The three unrecorded species of Trichoderma were readily differentiated from the previously reported species of Trichoderma on the basis of phylogenetic analysis of ITS, rpb2 and tef1 genes.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ycelial growth rate, colony appearance and phialide branching pattern of the three unrecorded species were also distinct from the other species of Trichoderma. 4. Phylogenetic analysis of ITS sequence data revealed that the Trichoderma sp. 1 and T. cf. stramineum KRCF224 belong to the same group but clearly distinct from T. stramineum CBS 114248 (ex-type). Although phylogenetic position of T. sp. 1 isolates was closely related to Hypocrea catoptron on the basis of rpb2 and tef1 sequence analysi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distinct from those of H. catoptron and T. stramineum. Branching pattern of conidiophores of T. sp. 1 was gliocladium-like but that of H. catoptron and T. stramineum were phachybasium-like and phachybasium- to verticillium-like, respectively. 5.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combined analysis of ITS, rpb2 and tef1 sequences indicate that T. sp. 2 was related to H. farinosa. Since the isolates of the T. sp. 2 did not produce conidia on SNA, PDA and CMD media,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isolates of the species couldn’t be not observed. More work is needed to identify this species. 6.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TS sequence data and micr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dicated that the isolates of the T. sp. 3 were closely related to T. atroviride. Howeve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rpb2 and tef1 sequence data revealed that the T. sp. 3 was phylogenetically distinct from T. atroviride and other Trichoderma species. Colony appearance of the T. sp. 3, especially on SNA media, was also distinct from that of T. atroviride. 7. The competition tests between shiitake and Trichoderma species indicated that the seven species of Trichoderm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their ability to invade into the mycelial blocks of shiitake. On sawdust media, T. sp. 1 and T. sp. 2 strongly invaded, T. harzianum and T. sp. 3 moderately invaded into the mycelia blocks of shiitake, while T. longibrachiatum did not or slightly invade into the mycelia blocks of shiitake. 8. Mycelial growth rate of Trichoderma species and the shiitake was investigated on sawdust media. Mycelial growth rate of Trichoderma species was approximately 3-5 times faster than that of the shiitake. Among the Trichoderma species, the mycelial growth of T. harzianum was faster than the other species of Trichoderma, while that of T. sp. 1 was the slowest. 9. Among the seven species of Trichoderma associated with blue mold of shiitake, five species including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and three unrecorded species (T. sp. 1, 2 and 3) were newly reported as the shiitake mushroom competitors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molecular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 propose the three unrecorded species as the new species. 본 연구는 표고 재배사에서 분리한 Trichoderma를 분자생물학 및 형태학적 방법을 통해 동정하고, 표고균과의 경합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Trichoderma의 분자생물학적 동정에는 ITS, rpb2, tef1 유전자를 사용하였고 각각의 그룹에 대한 형태학적 조사를 하였다. 경합력 측정에는 PDA 및 톱밥배지에 대치배양하는 방법과 각각의 균주를 톱밥배지에 접종하여 균사생장속도를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1. 전국의 표고재배사 및 산림조합중앙회 산림버섯연구소에서 수집한 289개의 Trichoderma spp. 균주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들을 PDA에 25℃ 10일간 배양한 후 균총의 특징에 따라 그룹을 나누었으며 이들 각 그룹에서 대표적인 29균주를 선별한 후 ITS, rpb2, tef1 유전자를 PCR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나누어진 그룹에 대한 형태학적 조사를 하여 최종적으로 T. harzianum,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T. longibrachiatum과 미동정된 T. sp. 1, 2, 3으로 확인되었다. 2. 염기서열 분석과 형태적 특성을 토대로 동정한 Trichoderma 균 중에서 우점종은 T. atroviride 및 T. sp. 3 complexs와 T. harzianum으로 전체 289 균주 중 각각 43.3%, 32.9%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 T. citrinoviride (10.7%), T. sp. 1 (6.6%), T. longibrachiatum (3.5%), T. sp. 2 (3.1%) 의 순이었다. 3. 미동정된 3종의 Trichoderma는 ITS, rpb2, tef1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기존에 보고된 Trichoderma 종들과 구별되었으며 배양적, 형태적 특징도 다른 Trichoderma 종과 구별되었다. 4. T. sp. 1은 ITS 염기서열 분석에서는 T. cf. stramineum KRCF224와 일치하였으나 T. straminineum CBS 114248 (ex-type)과는 다른 그룹을 이루었다. T. sp. 1은 rpb2 및 tef1 염기서열 분석에서는 Hypocrea catoptron과 가까운 그룹을 이루었으나 형태학적으로 T. sp. 1의 분생자경 형태가 gliocladium 형인데 반해, T. stramineum은 phachybasium 또는 verticillium 형이고, H. catoptron은 pachybasium 형으로 서로 다른 종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T. sp. 2는 SNA, PDA, CMD 배지에서 분생포자를 형성하지 않았다. 그러나 염기서열 분석결과는 이들이 독립적으로 그룹을 형성하면서 H. farinosa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Trichoderma 속에 들어간다는 것을 알수 있으며 이들의 균사생장패턴 역시 다른 Trichoderma와 매우 흡사하였다. 6. T. sp. 3는 ITS 염기서열 분석결과 T. atroviride와 매우 근연의 종으로 나타났으나 rpb2, tef1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서는 명확하게 다른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T. sp. 3와 T. atroviride는 배양적 특징 중 SNA 배지에서의 균총의 특징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7. 표고균과 Trichoderma 균간의 경합력 검정시, PDA상에서 T. longibrachiatum을 제외한 나머지 Trichoderma 균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었지만 모두 표고균이 자란 부분으로 침입해 들어갔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톱밥배지에서는 T. sp. 1과 T. sp. 2가 가장 강한 침입력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T. harzianum, T. sp. 3, T. atroviride, T. citrinoviride 순이었다. T. longibrachiatum는 PDA에서와 마찬가지로 표고균 쪽으로 거의 침입하지 못하였다. 8. 톱밥배지에 표고균 및 각 종의 Trichoderma 균을 접종하여 균사생장속도를 측정하였던 바 대체적으로 Trichoderma 균이 표고균에 비해 3~5배정도 빠르게 생장하였다. 그리고 T. harzianum N185 균주가 가장 빠르게 생장하였으며, T. sp. 1 균주가 다른 Trichoderma 균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느린 생장을 보였다. 9. 표고버섯 푸름곰팡이병에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진 7종의 Trichoderma 중에서 5종의 Trichoderma 즉, T. atroviride, T. citrinoviride와 3종의 미기록 종인 T. sp. 1, 2, 3은 표고버섯의 유해균으로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었다. 분자생물학적, 형태학적 분석의 결과 3종의 미기록 Trichoderma는 지금까지 보고된 바 없는 신종으로 추정되었다.

      • 대중음악 가사의 운율과 프레이징 반복을 통한 표현력의 파급효과

        김창선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 문 요 지 대중가요란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 다수의 대중들에게 파급되어 널리 알려진 가요를 칭한다. 이러한 대중가요가 대중들의 내면적 또는 무의식적인 정서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치기 위한 장치로 단지 음악적인 기능만 있는 것은 아니다. 대중들이 해당 대중가수에게 가지는 애정 정도에 따라 퍼지는 경우도 있고, 아이돌 가수와 같이 가수들의 외모를 비롯한 외적인 상품성이 대중들에게 해당 가요를 선택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이렇듯 해당 가수의 수용자가 많아질수록 음악이 퍼지는 파급력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 속 문학성이 과연 대중에게 음악적으로 어떻게 기능하는지 그 상관성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다. 대중가요에서는 가사가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장문의 가사 안에서도 리듬체계라고 할 수 있는 특정한 공식들이 존재한다. 음악에서 일정 패턴을 나타나는 리듬이 있듯이 문학에서도 글 쓰는 것에 따른 일정한 규칙들이 있다. 그리고 가사와 선율이 반복되는 현상도 문학과 대중가요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일정한 형태의 반복을 통해 그 가요에서 나타내는 감정의 대한 내용을 대중들에게 보다 더 잘 인지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이렇듯 문학과 음악의 기능에서 비슷한 점들을 분석하면 문학이 대중에게 기능하여 전파되는 형태와 음악이 전파되는 형태의 공통 기능 및 파급효과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