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꽃을 통한 자성적 삶에 대한 연구 : 연구자 작품 중심으로

        김창만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elf-nature is what the essence of original nature is made true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mind. It can be said that the self-nature, or the reason of mind gathers the laws of original nature as it is in the most compact way. The logic of self-nature does not stick to one's possession and has nothing to preserve as it is not the substance with its own characters and not different from the emptiness of sunyata which is the essence of original nature. Since it has nothing to retain like this, the self-nature spreads outward again according to the theory of causality. The self-nature, or the truth of mind is not far from the reflection of mirror which illuminates all intertwined things by the theory of causality just as it is. The emptiness of mind makes it possible to contemplate truth as it is. Nature and human beings live other-dependent lives that cannot exist alone. However, human beings live intellectual lives, not instinctive ones while living rational lives by selfish possessiveness. Though it looks like the world can be turned to a utopia though rational judgments, it does not go in that manner in reality. Clean light shines by being reflected from dirty dust. One who clings to brightness, even though he or she likes it, becomes blind, not being able to see oneself. The world does not get better by human beings' artificial selections. Instead, if humans are not arrogant and accept all dualities of things, not by being obsessed with the dual values but by transcending them like the essentiality of the nature, the world already and always stays fair and impartial. I started my works based on the self-nature of the nature from the introspection that life is given values by rational decision of human being. What I pursue is the attitude which follows autogenic appearances of flowers. I have painted flowers and landscapes as a way of recovering lost self-nature. The act of making an artwork itself is artificial. So I put priority on the sincere expression of my sensibilities based on plain and simple descriptions by minimizing consciousness. I tried to seek for the meaning of self-nature in features in patterns and characteristic styles thorough my works. Accordingly, I tried to illustrate self-examining life escaping from the mundane world through my works as an effort to find self-n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the origin of all these exists in the unconditionally-giving nature and to research the essentiality of nature and the life following self-nature. 본성의 본질이 마음의 깨달음으로 진리화한 것이 자성이다. 마음의 리(理)인 자성은 가장 압축적으로 본성의 여여한 법을 수렴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 자성의 리는 자가성을 띤 실체가 아니므로 본성의 본질인 공(空)의 비어있음과 다르지 않으므로 자기 것에 집착하여 그것을 지키려고 하는 것이 없다. 그렇게 지키려는 것이 없으므로 자성은 연기의 법으로 다시 바깥으로 펼친다. 마음의 진리인 자성은 세상의 모든 것이 연기법으로 얽히고설킨 것을 사실 그대로 비추는 거울의 반영과 다르지 않다. 마음의 비어있음이 사실을 사실대로 여여하게 관조할 수 있게 한다. 자연이나 인간은 홀로 존재할 수 없는 의타기적 삶을 산다. 그러나 인간은 본능이 아닌 지능적 삶을 살면서 이기적이고 소유욕망에 의해 이성적 삶을 산다. 그러나 세상은 이성적 판단에 의해 유토피아가 이상세계가 될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되지 않는다. 깨끗한 빛은 더러운 먼지가 있음으로 반사되어 빛나는 것이다. 밝음에 집착하는 이는 밝음을 좋아해도 자기를 보지 못하여 눈뜬장님이 된다. 세상은 인간이 인위적으로 선택해서 좋아지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인간이 오만하지 않고 자연의 본성처럼 사실의 이중성을 다 수용하지만 그 이중적 가치에 집착하지 않고 초탈하면 세상은 이미 그리고 늘 공평무사하게 있게 된다. 본인의 작품은 자연의 자성을 바탕으로 인간의 이성적 판단에 의한 가치부여의 삶에서 오는 반성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자가 추구하는 것은 꽃의 자생적 출현을 따르는 태도이다. 잃어버린 자성을 회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꽃과 풍경을 그리게 되었다. 작품을 하는 행위 자체는 인위(人爲)적이다. 그러므로 의식을 최소화하여 단순소박하게 표현하는 것을 바탕으로 연구자의 감성을 진실하게 표현하는 것을 우선하였다. 양식적 특성과 개성적인 스타일 속에서 자성의 의미를 본인 작품을 통해 모색해 본 것이다. 이에 자성을 찾기 위한 노력을 본 연구자의 작품을 통하여 탈세속화하여 반성하는 삶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모든 것의 근원은 조건 없이 주는 자연에 있음을 알고 자연의 본성과 자성적 삶을 연구하는 것이 연구자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체험 중심 과학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김창만 대구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탐구 활동의 실태 분석 결과와 수공적 기능이 강조된 HASA(Hands, Head and Heart At Science Activity) 교육과정 기준안에 근거하여 체험 중심 과학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과학캠프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의 면담 자료와 과학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에 기초하여 체험 중심 과학캠프 활동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과학캠프의 프로그램 개발에 중점을 둔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의 개발 요지를 실생활과 첨단 과학을 연계한 체험 중심으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둘째, HASA 교육과정안의 목표에 따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영역에서 고른 비중을 두어 개발하였다. 셋째, 인지발달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생과 중학생 편람으로 구분하고 동일한 학습 모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넷째, 기본 개념과 원리는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바탕을 두었으며 흥미로운 정도, 유익한 정도, 어려운 정도를 고려하여 개발하였다. 과학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개발자들과 운영자들이 기획한 자료와 면담 내용을 바탕으로 개발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또한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의 반응은 캠프 기간 중에 작성한 탐구 보고서와 캠프가 끝난 후 인터넷에 올린 소감을 바탕으로 지식, 탐구, 수공적 기능, 태도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전․사후 설문지를 통해 과학캠프 프로그램 구성 영역과 캠프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증하고,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의 과학적 인식과 태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학캠프 프로그램은 과학 강연, 과학 체험 활동, 과학 경연 및 과학 탐구 주제 토론 등 네 가지의 구성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각각의 구성 영역에 대해서는 다시 하위 항목을 두어 모두 20개 항목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캠프를 적용하는 과정에서는 참여 학생들이 실생활과 첨단과학이 연계된 4개의 캠프 구성 영역들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과학캠프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학생들의 사전 인지수준을 고려한 주제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첨단과학과 관련된 실험기기의 제작 및 캠프 적용에 따른 평가 방법의 한계 등이 개발의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과학캠프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 전 영역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전 영역에 대해 흥미롭고 유익하였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후 설문지를 통한 분석 결과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로운 정도, 유익한 정도, 어려운 정도에서 프로그램의 개발자의 의도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은 체험 중심의 과학캠프 활동을 통하여 여러 가지 과학적 사실과 개념을 획득하고 과학적 원리와 법칙에 관한 지식을 이해하게 되었고 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하여 창의적 탐구능력이 향상되었다고 반응하였다. 특히 직접 만든 완성품에 대해 높은 성취감을 느끼며 수공적 영역을 매우 신기하고 유익한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체험 중심 과학캠프를 경험한 학생들은 과학적 인식과 지속적인 참여, 인간관계 형성 등 과학적 태도 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체험 중심 과학캠프 활동은 초․중학생들에게 흥미있고 유익하며 과학지식의 이해와 탐구능력 향상, 수공적 기능의 증진 및 과학적 태도 함양에 효과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론에 비추어볼 때, 과학지식의 이해 증진과 탐구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과학캠프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내용 면에서는 학생의 흥미와 참여를 고려하여 실생활과 첨단과학을 연계한 주제로 개발하고, 활동 면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조작해보는 체험활동 및 선의의 경쟁심을 유발하는 과학경연 형태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러나 캠프에 참여한 집단의 사전 인지 수준을 고려한 주제의 개발, 평가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과 실행, 개발된 프로그램의 반복 적용을 통한 개발 준거의 점검 등은 앞으로 과학캠프를 개발 적용할 때 개선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과학교육연구센터와 같은 국책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들의 인적 체계나 경제적 지원을 보완하여 지속적으로 과학캠프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전문화하고, 정규 학교 과학교육 차원에서 체험 중심 과학캠프와 같은 학교 밖 과학교육을 연계하는데 보다 적극적인 연구개발과 현실적인 노력을 실행한다면,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 인식이나 이공계 기피 현상 등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판단한다. In this study, practice-centered science camp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 review of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trend of inquiry activity in out-of-school and the HASA (Hands, Head and Heart At Science Activity) curriculum standards emphasizing hands-operated skills. And then we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science camp program, in the base of the interview with the program developers and analysing students' responses at the camp. We emphasized following points in developing the programs. Firstly, we laid emphasis on connecting the real life and high-tech science in contents developments. Secondly, we developed programs evenly containing a field of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by HASA curriculum standards. Thirdly, we maintained the same learning model for both primary and middle school manuals. Lastly, in developing the contents of camp program we considered basic concepts and principles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interest, usefulness, and difficulty on behalf of students.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nd reform plans of developing processes, we analysed the developer's planning materials and interviewed with developers and organizers of the science camp. To investigate the students' responses, students' reports written in the camp and essays written on the internet after camp were analyzed in terms of knowledge, inquiry, hands-operated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We also validated the components of the science camp programs through the pre- and post- questionnaires on the perception of science and science-related attitudes. Science camp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for 4 areas such as science lecture, practical work, science competition, and scientific discussion. Each areas were divided into several programs. Finally 20 programs were developed for 4 areas, which program connected the real life and high tech science.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on developing and application process, we found that special efforts, such as selecting topics considering students' previous reasoning abilities, making instruments related high-tech science, and proper evaluation methods for science camp, are needed in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science camp programs.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tudents' responses about science camp, we found that students participated on the camp actively and showed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interest and usefulness of camp program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udents became known scientific facts and concepts more effectively, and improved creative inquiry skills by joining the science camp.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a sense of more accomplishment and, especially, perceived the programs of hands-operated skills area as most interesting and useful experiences. They also showed positive scientific attitudes like continuing participation and establishing human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practice-centered science camp programs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were interesting and useful for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participated the camp, and had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scientific understanding, scientific inquiry skills, hands-operated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Considering this conclusion, we inferred the implic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cience camp: as an aspect of content, science camp programs need to connect real life with high-tech science, and as an aspect of content, science camp need to include more activities related hands-operated skills and competition activities evoking constructive competitive spirits. But it is necessary that special efforts on evaluation about science camp and developing the subjects considering students' cognitive level should be considered as applying the scientific camp program. Therefore, the agencies which accomplish the national policy enterprise related science education, such as the Scientific Education Research Center, must develope and professionalize science camp program continuously which complements a human resource system and economic support, and should give more attention to joining school science education with out-of-school science education. And such efforts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ositive participation of science.

      • 무인차량의 주행을 위한 향상된 차선검출 알고리즘 설계

        김창만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비전시스템(Vision System)을 이용하여 무인차량의 주행을 위한 향상된 차선검출 알고리즘(Algorithm) 설계에 목적이 있다. 이전의 차선 인식(Lane Recognition) 방법은 도로의 영상에서 차선을 추출한 후 4개의 점을 이용해 차량의 조향값을 구했기 때문에 차선의 손실이나 잡음들로부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알고리즘은 좀더 정확한 차선의 정보를 얻기 위해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AGV(Autonomous Guide Vehicle)와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CC(Adapted Cruise Control)에 사용될 수 있다. 개발한 알고리즘 구현을 위해 우리는 1/10 스케일의 RC카를 이용하였으며, 차량에 장착된 CCD카메라로부터 얻어진 영상 정보는 무선 영상 전송모듈(Wireless Video Transmit Module)을 통해 메인 컴퓨터로 전송된다. 메인 컴퓨터는 전송된 도로영상에서 차선의 정보를 찾고, 차량의 제어 값을 계산한다. 그리고 이 값을 다시 차량으로 전송하고 차량은 이 값을 받아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차선의 정보를 얻기 위해 먼저, 256 그레이 레벨(Gray Level)로 표시되는 영상입력에서 에지(Edge)를 검출한다. 검출된 픽셀(Pixel)들의 곡선 근사(Curve Fitting)를 통해 차선의 직선방정식을 구하고, 이 직선을 이용하여 차량의 제어 값을 계산한다. 이 연구에서 영상의 잡음 제거를 위해 메디언(Median) 필터를 사용하였고, 처리속도 향상을 위해 특정 부분의 영상만을 사용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developing advanced lane detection algorithm for unmanned vehicle. Previous lane detection method to bring on error become of the lane loss and noise. Therefore, new algorithm developed to get exact information of lane. This algorithm can be used to AGV(Autonomous Guide Vehicle) and LDWS(Lane Departure Warning System), ACC(Adapted Cruise Control). We used RC car of 1/10 scale to embody developed algorithm. A CCD camera is installed on top of vehicle. Images are transmitted to a main computer though wireless video module. A main computer finds information of lane in road images. And it calculates control value of vehicle. It transmits control value. This paper detect in input image marked by 256 gray levels to get exact information of lane. To find the driving direction vehicle, it search line equation by curve fitting of detected pixel. Finally, author used median filtering method to removal of noise and used characteristic part of road image for advanced of processing time.

      • Isotopic identification of trophic structure in a Hupo marine ranching ecosystem off the southwestern coast of East Sea : 동해 후포 바다목장 해역에서 안정동위원소 조성에 의해서 밝혀진 저서 먹이망의 중요성

        김창만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enhance fisheries resources by creating hard bottom ecosystem on the sandy habitat in coastal zone, artificial reefs are deployed and juvenile fish are released in marine ranching area. The present study firstly examined trophic structure in the Hupo marine ranching ecosystem of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East Sea. Samplings for colonized biota and potential sources of organic matter were performed at artificial reef (AR), natural rocky reef (NR), and sandy-mud bottom (NS, control site) habitats in July and November 2010. Although little different isotope values of organic sources between sites and seasons was appeared, significantly less negative δ13C of benthic algae than that of phytoplankton were shown. No spatial and seasonal difference of isotopic signature of consumers (divided by cluster analysis) was found between NR and AR ecosystem in July and November. Besides more negative δ13C values of consumers at AR habitats compared to those at NS habitat were presented. Thus, deployment of artificial reefs made the trophic structure of sandy bottom ecosystem alike that of rocky bottom ecosystem though diversify trophic base. Same trophic niche between released and wild starry flounders suggested that successful settlement of released individuals. Further studies directed to long-term monitoring on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trophic structure by the effects of the creations of new macroalgal habitats on fisheries yield.

      • 효율적 안전관리를 통한 추락재해의 예방

        김창만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성장의 가속화로 인하여 우리의 산업현장에서는 생산 및 작업체제가 다양화되어 이를 이용한 생산활동은 근로자 위험상황과 유해환경에 노출되어, '97년도 건설업에서 4일 이상 요양한 18,729명과 사망자 798명으로 집계 되었다. 이중 건설재해의 50%정도가 추락재해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 발생현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추락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원인을 파악하고, 공사비 4천만원 이상의 대구·경북지역의 건설업체의 현장 안전가시설를 조사하고, '97년도 건설 중대재해 사례와 대책에서 사망재해 798건 중 공단조사분 525건에서 81건을 분석하여 추락재해의 영향을 미치는 관리적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건설업 사망재해의 추락재해 예방대책을 위하여 효율적인 안전관리모형을 제시하고, 추락위험등급평가는 FMEA법을 적용했다. Because of acceleration of economic growth, our industry in the spot, which has been making great progress production, many-sided ability of work system, new machine, new method of construction,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new facilities, increase of new chemical material and energy for use, and existing outworn equipments and so forth, resulted in mixedly and constantly new accident and occupational disease as well as conventional one over again. They, therefore, was the total of 18,729 injured and 798 death as of 1997 in construction work. As about 50% of them in construction disaster is fall accident, we should analyze and find the cause of death accident last year, which is based on providing activity for prevention of construction accident, and be help to safety management in the spot. Also, we can prevent fall accident as securing safety, estimating fall- risk of Safety Management Model by FMEA. In this study, by cause analysis survey of death accident in construction work, Safety Management Model about fall accident of work, which is providing for getting rid of and so forth by safety management in the spot, can prevent fall accident in increasing activity and effectiveness of safety management in construction work, as securing safety, estimated fall-risk by FMEA. In acting previous safety review for securely operating bad material and risk-machine equipments and being suitable for fall-risk estimation in grade, and then, prevention against insecure cause before, Safety Management Model can prevent accid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