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청주 도시형 중층 생활한옥 시안 연구

        김찬구 청주대학교 융합신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regeneration of hanok can be divided into conservative regeneration reflecting the lifestyle of the existing hanok, conservative regeneration reflecting the shape, road, and yard as it is, adaptive regeneration that improves or changes the purpose suitable for the times, and active development of new buildings by removing existing hanoks. Among them, the active development that this study aims to focus on is to incorporate hanok into urban living houses that have recently been built around the city center. In addition to the spatial concept shown in the arrangement and plan form of hanok, materials and construction methods adopt hybrid structures of furniture-style steel frames and wood 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RC structure, reflecting the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f hanok.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conditions of an aging hanok facing a historical city center, and presents a model of a multi-layered urban hanok that adapts to the changing living environment by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nok.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new mid-rise urban living hanok plan divided into one lot unit, two lots unit, and block unit for the creation of a new hanok, especially a mid-rise hybrid hanok. ∙ In the draft of a parcel-based urban living hanok,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the hanok located in the upper part (3rd to 4th floors)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the house with 3rd and 4th floors of the main house. There is a parking lot and shops on the first floor, and business facilities (Day Care Center) on the second floor, and an open space for hanging out together in the middle of the third and fourth floors. In addition, through the segmentation of the mass surrounding the courtyard and the heterogeneous material, an open space is placed, and Daecheong, Numaru, Terrace, Balcony, and rooftop yard are placed to facilitate sunlight and ventilation. In the structure and shape field, one or two floors (some three floors) are tailored to RC group, and the upper floor is intended to reflect the modules, size, and shape of the existing hanok as much as possible. It is based on each module of 5.4m in RC, 5.4×6.6m in RC, and 2.7m in wood structure, which is a half module in RC, and extends to a three-story concrete detached house so that RC and wood structure are interpenetrated, and different formative vocabulary is used. Environmental control and facilities form vertical upward airflow from the low-rise quiet space to both spaces in the upper-floor middle, making the air permeability of the building smoother. This is more effective as cold air generated in narrow alleys, parking lots on the first floor, and adjacent spaces rises vertically. Horizontal natural ventilation is also generated through the annex and school windows in addition to the Daecheong, Numaru, rooftop yard, terrace and balcony installed on each floor. ∙ In the city-style hanok between parcels, In terms of layout and function, the overall layout concept is based on the previous parcel unit draft, but according to the directional arrangement method seen in other parcels, it takes individual parcel characteristics as they are and focuses on processing between parcels. In the space between parcels where the parcels meet, there are facilities that can be shared by residents, as well as rooftop yards and semi-open wooden halls on each parcel, centering on the two centers on the third floor where hanok was built. This space can secure a deep and thick field of view in both centers, and smoothly controls the airflow in the building. ∙ In the block-level urban living hanok, In terms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buildings, the overall layout concept maintains the existing alleyway movement system in the east-west direction, while setting directions for joint infrastructure and infrastructure installation, parking lots on the first floor, and external spaces. In the form of market and environmental regulation, various types of spaces for sunlight and ventilation in the block, the segmented middle of the upper hanok, and open spaces are created in various places.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entire block is adjusted through airflow circulation between the negative space generated in the parking lot on the first floor and the narrow alley below. 오랫동안 도시의 거주 기능을 담아왔던 한옥은 과거부터 생활환경, 주변여건에 의해 지속적으로 적응하며 변화해 왔다. 근대 시기에 전통한옥 건축양식에 근대적 건축자재를 첨가하여 새로운 건축 양식을 창출했듯이 한옥은 현재 건축양식을 접목시켜 다양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근대기 도시형 한옥은 보존 및 용도변경, 신축을 통하여 주생활환경에 따른 공간의 변화를 보여 왔으며, 증개축과 대수선 등을 통하여 기능 및 공간 구성을 지속적으로 변경하여 왔었다. 오늘 날의 한옥은 필요한 실 구성보다는 기존의 부속 공간을 철거하여 공유 마당을 확보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다. 또한 신한옥이라든가, 한옥관련 공모전을 중심으로 하여 한옥이 지향하고자, 혹은 한옥에 적용하고자 하는 요소가 무엇인가에 초점을 두면서, 현대인의 삶을 수용하기 위해 중층형의 한옥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 한옥의 신축사례에서 보이고 있는 새로운 한옥의 창안, 특히 중층 규모의 하이브리드 구조의 한옥에 착안하여, 청주 도심에 현존하는 한옥밀집주거지인 서운동 일대를 대상으로 1개의 필지단위, 2개의 필지 간 단위, 그리고 블록단위로 구분하여 새로운 중층 규모의 도시형 생활한옥 시안을 제시한 것이다. 각 시안별로 배치와 기능, 구조와 형태의장, 환경조절 및 설비 상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필지 단위의 시안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길에 대응한 기존 한옥의 배치에 따르면서, 2개 층은 RC조, 상부 층은 기존 한옥의 모듈, 규모 및 형태를 가능한 반영하고자 하였다. 외관은 RC조와 목구조 형태의 상호관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환경조절 및 설비에서 저층부와 골목길의 음(陰)한 공간에서 상층부 중정의 양(陽)한 공간으로 수직 상승하면서 통기성을 원활하게 하였으며, 층마다 설치된 대청과 누마루, 옥상마당 등을 통하여 수평적인 자연환기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2개의 필지 간 시안에 있어서, 배치와 기능은 앞서의 필지단위 시안에 준하되, 다른 필지에서 보이는 향 중시의 배치방식에 따라 전체적인 배치 개념은 개개의 필지 성격을 그대로 가져가면서, 필지 단위가 만나는 필지 간(사이)에서의 처리에 초점을 두었다. 필지가 만나는 필지 간 공간에는 거주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시설과 함께, 한옥이 세워진 3층의 2개 중정을 중심으로 각각의 필지에 개방된 옥상마당과 반개방의 대청을 두어 건축물 내의 기류를 원활하게 조절하였다. 블록단위의 시안에 있어서, 건축물의 구조 및 기능면에서는 앞서의 시안에 준하되, 전체적인 배치 개념에 있어서는 동서방향의 기존 골목길의 동선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동기반시설과 외부공간을 고려하였다. 형태의장 및 환경조절에서는 블록 내 일조와 통풍을 위한 다양한 형태구성, 상층부 한옥의 분절된 중정, 트인 공간을 통하여 여러 곳에서 양(陽)의 공간을 조성하고, 1층 주차장과 좁은 골목길에서 발생하는 음(陰)의 공간과의 기류 순환을 통하여 블록 전체의 열환경을 조절하였다.

      • 國語의 味覺表現 語彙에 대한 硏究

        김찬구 檀國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rphological , phonological ,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the vocabulary of taste expressions in Korean are like this. 1. The pure basic vocabularies of taste expressions can be defined as 달다(Sweet) , 쓰다(bitter) , 시다(sour) and 짜다(Salty) in view of the biological definition that taste is aroused by taste buds through liquid , chemical stimulation. But the sphere of the vocabularies of taste expresions in Korean is not fixed , for taste can be perceived not only through taste buds but through sense organs in our body , exterior stimulation ― the senses of smell, pain sight, and hearing. 2. Taste words in Korean are usually made up of derived adjectives linked with special suffix. And taste words in chinese are rare and are used in the space of a special suffix , or used with a special suffix. 3. In the taste complex words , "salty" can not be mixed with any other. The following tastes are not mixed with each other ― sweet ↔ 떫은맛 , bitter ↔ hot, hot ↔ 떫은맛. And in the formation of these complex words, "sweet" and "hot" are usually put at the front part of the complex words. On the contrary "bitter" is put at the rear. 4. The consistency of the vocabularies in taste expressions depends on vowel contrast. In the line of sweet and salty , clever vowels make stronger consistency. In the line of bitter and sour , dark vowels make stronger consistency , and in the consonant contrast , taste words of pyungum (ㄱ, ㄷ, ㅂ, ㅈ ‥‥‥) have more consistency than taste words of tense consonant, aspirated consonant. The consistency gap between tense consonant and aspirated consonant depends upon personal differences. 5. Taste words in Korean have a divesion. Taste words in the line of sweet are used in the favorable meaning among the ordinary people, and taste words in the line of bitter , sour , salty and 떫다, hot are diversed into unfavorable meaning. Only the derivation of salty (짭짤하다) is used in the favorable meaning. 6. In Korean, basic taste words, modified by adverbs , make various linguistic feelings. 7. In Korean taste words , sweet and bitter are contrast in meaning and "hot" is perceived as a taste by the stimulation of the sense of pain. 8. It is assumed that semantic concords in the context in Korean taste words are due to the feelings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reader. We can say "뒷맛이 쓰다" when we feel unpleasant, but "뒷맛이 달다" is not used when we feel good. Like this, taste words are influenced by social restrictions. I think that the study on taste words in Korean should be done not only through morphologic, phonemic, semantic and syntactic methods but through psycological, socio-linguistic methods.

      • 사삼이 콜라겐 유발 관절염 모델에 미치는 효과

        김찬구 대전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Adenophorae Radix has multiple application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prescription, because its compounds have effects of anti-inflammatory, anti-asthenia and suppressing CD4^(+) T cell immunity responses. However, no study on the anti-arthritic activity of EAR (extract of Adenophorae Radix) has been reported in vitro and in vivo. Rheumatoid arthritis (RA) is a systemic autoimmune disease with chronic inflammation characterized by hyperplasia of synovial cells in affected joints, which ultimately leads to the destruction of cartilage and bone. Cytokine production and gene expression were assessed during CIA (collagen-induced arthritis) model mice in knee joint, draning lymph node (DLN), and spleen, using ELISA and FACS analysis. DBA/1OlaHsd mice were immunized with bovine type II collagen. After a second collagen immunization, mice were treated with EAR once a day for 4 weeks. Oral administration of EAR (200 or 400 ㎎/㎏)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CIA, which extend is comparable to that of methotrexate (MTX, 0.3 ㎎/㎏), as a positive control. The severity of arthritis within the knee joints was evaluated by histological assessment of cartilage destruction and pannus formation. Administration of EAR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CIA and inhibited the production of TNF-α, IL-6 and IL-17 in serum. The erosion of cartilage was dramatically reduced in mouse knees after treatment with EAR. In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s that EAR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progression of CIA and that this action was characterized by the decreased production of TNF-α, IL-6, IL-17 and collagen II specific antibody in seum, B cells (in DLN), CD3^(+) T cells (in spleen, and paw joint), CD11b+/Gr-1+ cells (in paw joint), CD3^(+)/CD49^(+) (in PBMC) and increased proportion of CD3^(+), CD4^(+), CD8^(+), CD4^(+)/CD25^(+) T cells in DLN. The levels of IFN-γ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splenocytes stimulated with CD3/CD28 or collagen were dramatically decreased, while those of IL-4 was increased. In the serum of EAR-treated mice, the levels of IgG and IgM RA factor were decreased. We currently study to clearly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rapeutic role for EAR in CIA model mice.

      • 17~19세기 조선왕조의 국가재정정책 연구와 역사 교과서 서술 방안 : 부세제도 개혁 및 총액제적 재정 운영을 중심으로

        김찬구 공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17∼19세기 조선왕조 국가재정 운영 과정과 관련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다루고, 이를 역사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반영해야 할지에 대한 방안을 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 모색한다. 2000년대 이래 역사학계에서는 조선왕조의 국가재정을 ‘봉건적’으로 규정하는 기존의 이해에서 탈피하여, 재정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비서구 전통사회로서의 조선왕조가 지니는 재정 운영상의 특질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조선시대상 전반을 새롭게 재구성하려는 움직임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과 관련하여, 본고는 17∼19세기 조선왕조의 국가재정정책과 관련한 최근의 연구 성과를 역사교육 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를 교과서 서술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Ⅱ. 조선왕조 국가재정정책의 이념과 실재’에서는 17∼19세기의 국가재정정책을 크게 17∼18세기의 부세제도 개혁과 18∼19세기의 총액제적 재정 운영으로 양분하여 다룬다. 국가권력의 영속과 그를 위한 ‘안민(安民)’ 및 ‘민유방본(民有邦本)’ 이념의 달성을 추구한 조선왕조의 국가재정은, 모든 물류가 중앙으로 집중하고 분산되는 국가적 재분배체제(redistribution)를 지향했다. 그러나 교통과 정보통신기술의 미비 등으로 재정 운영은 때로 일종의 우회로로서 그와는 정반대되는 분권적 ‘경비자판(經費自辦)’ 방식을 취하지 않을 수 없었고, 다른 한편 재정의 중앙집권성을 강화하고 국가적 재분배를 중앙정부 차원에서 구현하려는 조치들이 ‘절용(節用)’ 원칙의 강조를 전제로 ‘양입위출(量入爲出)’·‘손상익하(損上益下)’·‘궁부일체(宮府一體)’의 슬로건 아래 꾸준히 경주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17세기 조선왕조 중앙정부는 16세기의 방만한 재정 운영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상기 슬로건에 바탕을 둔 긴축적 재정 운영 및 재정 개혁을 추진해나갔던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이는 토지세인 전세(田稅) 부문에서는 징수 토지를 새롭게 조사하는 프로젝트에 해당되는 도 단위 양전(量田)의 실시와 운영에 있어 최저세율 관행을 공식화하는 영정법(永定法)의 실시로 나타났다. 또한 특산물인 공납(貢納) 부문에서는 현물이 아닌 쌀·면포·동전 등의 형태로 받아들이는 방식을 공식화하는 한편 추가 징수를 방지하기 위해 징수액에 지방재정 운영을 위한 재원을 포함시키는 대동법(大同法)의 추진, 노동력인 군역(軍役) 부문에서는 각 군사기구의 재정 운영에 대한 통제와 그 액수에 대한 삭감을 전제로 복수의 개혁론을 조합하는 균역법(均役法)으로 나타났다. 특히 군역제 개혁 과정에서 선행된 이정법(里定法)은 면리(面里) 단위로 재원을 부과하고 그 징수를 지역민의 자율적 운영에 맡기는 총액제적 재정 운영의 초기 형태로서 향후의 재정 운영을 암시하는 것이었다. 실제로 총액제적 재정 운영은 18세기 이후 점차 국가재정 각 부문으로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게 된다. 숙종 대 ‘급가매토제(給價買土制)’ 등 왕실재정에 대한 통제 조치, 영조 대 도-군현 단위 토지에 대한 파악 노력인 “여지도서(輿地圖書)” 편찬 및 그와 병행된 전세 부문에 대한 총액제인 전세 비총제(比總制), 정조 대 전국 단위의 호구 수를 정리한 “호구총수”, 그리고 지방재정 및 중간비용의 추가적인 공식화를 명기한 “부역실총(賦役實摠)” 등은 모두 그와 흐름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국가재정 운영의 중앙집권성을 도의 감영과 군현의 지방관청을 중심으로 강화하는 것이었다. 이는 또한 18〜19세기 지방재정의 운영양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단서로 기능한다. 실제로 종래 19세기 조선왕조의 지방재정은 흔히 수탈적 측면만이 강조되어 ‘삼정문란(三政紊亂)’으로 지칭되어 왔으나, 그 이면에는 18세기 총액제적 재정 운영의 확대 이래 지속된 지방재정의 기능·업무의 증대와 19세기 초반 기근의 재발, 지역사회 현실에 바탕에 둔 주민자치적 관행의 다각화 등이 함께 작용하고 있었다. ‘Ⅲ. 역사 교과서의 관련 서술 분석 및 개선 방안’에서는 이상과 같은 일련의 연구 성과를 실제 역사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반영할 수 있을지를 역사 교과서 서술 속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다룬다. 교과서 서술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교육활동 전반의 목표와 성취기준 등을 제시하는 교육과정, 그리고 교과서 서술을 위해 교육과정의 내용을 보다 구체화한 집필기준에 대한 분석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운영 중인 2009·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서술을 분석해보면,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의 교육과정 및 집필기준은 모두 재정을 징수 행위만을 중심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재정 활동에 대한 관심은 교육과정상으로 거의 드러나지 않고 있음이 확인된다. 특히 19세기와 관련하여 일관되게 확인되는, 지방재정 운영을 세도정치와 직접 결부지어 이해하게끔 하는 방식은 당대 조선왕조 국가재정 운영상의 어려움을 구조적으로 파악하는 것을 저해하는 측면이 있는 것은 물론, 18세기와 19세기를 지나치게 단절적인 것으로 이해할 소지 또한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의 이러한 관점은 교과서의 서술 체제와 구성에도 비슷하게 반영되고 있다. 먼저 내용요소별 양적 분석의 경우, 중학교 ‘역사’는 본고가 검토한 교과서 5종 모두 균역법과 삼정문란 위주로 재정사를 다루고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사 강조를 표방한 고등학교 ‘한국사’의 경우 5종 가운데 2종만이 비총제를 매우 적은 비중으로 다루고 있으며, 그마저도 군현 단위의 징수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질적 분석에 있어서도 이는 마찬가지여서, 교과서의 17∼19세기 재정사 관련 서술은 사실을 제시하는 한편으로 특정한 맥락 중심으로 개별 양상이 지니는 의미를 단일화하고, 재정 부문 간 관계를 배제한 채 부문 개별의 양상에 집중하는 방식의 서술을 구사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리하여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본고는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직접 역사 교과서의 17∼19세기 조선왕조 국가재정과 관련한 소단원 내용 일부를 제시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우선 재정시스템과 관련한 문제의식과 연구 성과를 본문의 서술에 반영한 다음 일부 내용요소를 대상으로 보다 심화된 사고를 이끌어내는 발문을 본문 하단에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고자 했다. 또한 학생들이 조선왕조의 국가재정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특징인 이원적 재정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리라 판단, 별도의 ‘재정 구조’ 주제를 설정하여 이를 설명하고자 했다. 아울러 삼정문란을 구조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총액제적 재정 운영의 확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삼정문란 앞부분에 ‘총액제’ 주제를 추가하였다. 본고의 시도는 학습자를 ‘실제 독자(actual reader)’로 길러내기 위한 ‘저자적 텍스트(writerly text)’의 구축 방안의 사례라는 점에서, 또 서구 근대의 관점이 아닌 조선사회 자체의 맥락과 관점에서 탐구하는 활동의 구체화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 두텁게 읽기’의 유의미한 사례로서 비단 역사학계의 연구에서만이 아니라 역사교육 현장에 있어서도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역사학·역사교육학 두 학문 영역 간 격차의 해소라는 오래된 문제의식 또한, 본고와 같은 양자의 문제의식이나 연구 성과 간 접점의 모색 등의 시도 등을 통해 일정 수준에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the process of national fisc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and explores how to reflect this in the field of history and education focusing on writing the textbooks. Since the 2000s, many historical researchers have moved away from the existing understanding that defined the national finance of the Joseon Dynasty as ‘feudal’, and are trying reconstruct the whole system of the Joseon era by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scal operation of the Joseon Dynasty as a non-Western traditional society. In this regard, this paper focuses on how to apply the recent research achievements related to the national fiscal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7th and 19th centuries to the field of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to the wring of history text books. Chapter Ⅱ ‘The ideology and reality of the national fiscal policy of the Joseon dynasty’ deals with the fiscal policy of the 17th ~ 19th centuries, largely dividing it into reforms of the Bu-se system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Chong-aek(total-sum) institution in fiscal management of the 18th and 19th centuries. The national finance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pursued the perpetuation of the state power and the achievement of the ideals of ‘An-min(安民)’ and ‘Min-yu-bang-bon(民有邦本)’ for it, was aiming the national redistribution system in which all logistics were centralized and then dispersed to the regi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traffic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fiscal management had to adopt sometimes the decentralized “Gyeongbi Ja’pan(經費自辦)” method, a kind of detour, which was opposite to the original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government continuously made efforts to implement the measures to realize the fiscal centrality and the redistribution of national finance by central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Jeolyong(節用)” principle, under the slogans of “Yang’ib Wi’chul(量入爲出)”, “Sonsang Ik’ha(損上益下)” and “Gungbu Ilche(宮府一體)”.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17th century, the central government of the Joseon Dynasty seemed to have pursued a retrenched fiscal management and reform under the above slogans based on the regrets of loose fiscal management in the 16th century. Specifically, it was expressed with the Yeong-jeong act(永定法), which formalized the minimum tax rate practices of Yang-jeon(量田) in the unit of Do(county) corresponding to the project to newly survey the taxation lands in the department of Jeon-se(田稅). Also, in the department of Gong-nap(貢納) to pay with things, the taxation method in the form of special local products was formally changed to that of rice, cotton, coins, etc., And in order to prevent the excessive collection, the Daedongbeop(大同法) was promoted that included the expenses for operation of local budgets to the collected amount. And in the Gun-yeok(軍役) to collect labor forces, the Gyunyeokbeop(均役法) was implemented to combine the multiple reforms on the premise that the fiscal operations were controlled by each military organization and the amount thereof were cut off.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the military service reform, the Yijeongbeop(里定法) was implemented in advance to impose the fiscal sources for each Myeon(面) and Ri(里) and to entrust the tax collection to the autonomous operation of the local people. It was an initial form of Chong-aek institution in fiscal management, suggesting the future fiscal operations. Actually, the Chong-aek(total sum) fiscal system gradually expanded from the 18th century to each part of the national finance. The control of royal finances such as ‘Geup-ga-mae-to(給價買土)’ system during the reign of Sukjong, the compilation of "Yeoji(輿地)" books which was an effort to survey the total lands in Do-Gun-Hyeon(districts) and the alongside complementation of Bi-chong(比總) for field-tax, which was a Chong-aek system for the fields, during the reign of Yeongjo, and the “Hoguchongsu(total number of households),” which surveyed the household numbers in the whole country, and the “Buyeokshilchong(賦役實摠),” which specified the formulation of local budgets and medium costs, during the reign of Jeongjo were all in line with the Chong-aek system. Their purpose was to strengthen the centrality of national fiscal management through the Gamyeong of Do and the local offices of Gun-Hyeon. It also serves a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local fiscal administration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fact, the local finance of the 19th century Joseon Dynasty has often been referred to as 'Three Policies's Disorder(三政紊亂)', emphasizing only the exploitation aspect. But behind it there were the expanding function/operation of local finance since the implementation of Chong-aek fiscal system in 18th century and the diversification of residents' autonomous practices based on local reality such as the recurrence of famine in the early 19th century. Chapter Ⅲ. ‘The analysis of the related descriptions in history textbooks and its improvement method’ mainly deals with how to reflect the series of such research achievements onto the actual history education fields, focusing on the content elements in the description of history textbooks. In order to review the descriptions in the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advance the curriculum that presents the overall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writing criteria that further specify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to describe the textbooks. When analyzing the descriptions in the 2009/2015 revised textbooks currently used in secondary schools, it turned out that the curriculums and writing standards of middle schools’ 'History' and high schools’ ‘Korean History’ are all focusing on collecting taxes with scarcely referring the other fisc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local fiscal management during the 19th century is consistently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Se-do politics. This kind of description may not only hinder the structural understanding on the difficulties in fiscal operation of the Joseon government in those days, but also give the misunderstanding that the 18th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were so disconnected. This view in curriculum and writing criteria is similarly reflected in the descriptive system and composition of textbook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content elements, all the 5 middle schools’ ‘History' are dealing with the fiscal history mainly focusing on the Gyunyeokbeop and Three Policies's Disorder. In case of high schools’ 'Korean History,' which was told to emphasize the socio-economic aspects of history, only 2 of 5 textbooks are dealing with the Chong-aek system very shortly, just focusing on the collection by Guns and Hyeon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is was the same. While presenting the fiscal facts in the 17th ~ 19th centuries, the textbooks unify the meanings of individual aspects in a specific context and describe just the situations of individual parts rather than the relation between departments.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is paper intends to directly present some contents of a small section on the national finance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17th ~ 19th century in the history textbook in order to seek concrete improvement measure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irst took a way to reflect the problem consciousness related to the fiscal system and the research results into the description of the text, and then present a footnote at the bottom of the text that leads to a deeper thought about some content elements. Furthermore, under the supposition that,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national finance of the Joseon Dynasty to students, it was necessary to tell them the dual fiscal system,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eature, another subject ‘the fiscal structure’ was set up for the description. In addition, in order to explain Three Policies's Disorder from a structural point of view, it seemed necessary to show the spread of Chong-aek fiscal management. This is why the ‘Chong-aek institution’ was added before the Three Policies's Disorder. The attempt of this paper will be noteworthy not only for the historical research but for the field of historical education as a significant case for the ‘seriously reading of historical facts’ in that it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writerly text' to cultivate the learners as the 'actual readers', and that it specifies the activity to explore the Joseon society in its own context and view point rather than in the modern Westerner view point. The chronological gap between the two disciplines-History and Historical Education-can also be solved to some degree through the attempt of this paper to find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two disciplines in problem consciousness and the research results.

      • Identification of genes involved in cancer stem cell characteristics in doxorubicin resistant breast cancer cells : Doxorubicin 내성 유방암에서 암 줄기세포 관련 유전자의 발견과 역할 탐색

        김찬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유방암은 여성에게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암으로 사망률 또한 높다고 알려져 있다. 사망의 원인은 초기에 발생하는 암보다는 재발이나 전이에 의한 사망이 많이 발생하는데, 약물내성과 암 줄기세포가 이러한 재발과 전이에 주된 원인이 된다. Doxorubicin은 유방암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은 화학약물로 활발하게 분열, 증식하는 세포를 제거한다. 이 약물에는 몇 가지 부작용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가 약물내성을 가지는 세포가 생긴다는 것이다. 최근의 보고에 따르면 약물내성을 가지는데 암 줄기세포가 큰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doxorubicin에 내성을 보이는 세포에서 암 줄기세포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유전자를 찾고, 그 유전자의 기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암 줄기세포를 제거하여 약물내성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암의 재발을 막아서 효과적으로 암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먼저, 낮은 농도의 doxorubicin에 지속적으로 노출시킨 유방암 세포가 모체세포보다 내성을 보임을 MTT assay와 내성표지분자인 P-glycoprotein의 발현을 통해서 확인해보았다. 내성세포와 암 줄기세포와의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기존 연구 보고를 토대로, doxorubicin에 내성을 보이는 세포와 모체 세포의 암 줄기세포를 CD44/CD24, ALDEFLOUR assay를 통해서 비교해본 결과 내성세포가 더 많은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암 줄기세포의 특징 중에 하나인 자가 증식능력을 확인해본 결과도 마찬가지로 내성세포에서 높게 나타났다. Microarray를 통해서 모체 세포에 비해서 내성 세포에서 6배 이상 발현이 증가된 유전자 중에 줄기세포와 연관성을 보이는 유전자 가운데 P-gp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EXT1과 LDHB를 선택하여 암 줄기세포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EXT1과 LDHB가 공격적인 악성종양과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줄기세포 표지분자인 CD44, integrin-6와 내성표지분자인 P-gp그리고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의 표지분자인 Vimentin, N-cadherin, E-cadherin의 mRNA발현을 확인해본 결과, 내성세포가 공격적인 악성종양의 형태를 띄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때 siRNA를 통해 EXT1과 LDHB를 knockdown시킨경우 공격적인 악성종양의 형태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EXT1과 LDHB가 암 줄기세포와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내성세포에서 EXT1과 LDHB를 silencing시킨 후, 암 줄기세포를 확인 해본 결과, 암 줄기세포가 감소하고 자가증식 능력 또한 감소한다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기능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이루어지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줄기세포와 연관성이 높은 Wnt signaling pathway와 PI3K/Akt signaling pathway를 확인해보았다. 많은 암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내성세포에서 -catenin의 증가된 발현과 -catenin의 발현을 억제하는 PI3K와 Akt의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인 반면에 EXT1과 LDHB를 silencing시킨경우 PI3K와 Akt의 활성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서 -catenin의 발현 또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EXT1과 LDHB가 Wnt/PI3k/Akt signaling pathway를 통해서 암 줄기세포를 조절할 가능성에 대하여 확인해보았다. 요약해보면, 본 논문은 내성세포에서 증가된 EXT1과 LDHB가 in vitro에서 공격적인 악성종양의 형태 특히 암 줄기세포와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EXT1과 LDHB가 Wnt/PI3K/Akt signaling pathway를 통해서 암 줄기세포를 조절할 수 있을 거라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유전자를 silencing했을때, 암 줄기세포가 감소하고 자가 증식능력 또한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EXT1과 LDHB가 암 줄기세포를 제거하는 새로운 치료표적이 될 잠재적인 가능성에 대하여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