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기황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증식억제 및 전이과정에 미치는 영향

        김진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우리나라는 매년 암환자가 증가하여 2008년 한해 12만 명의 신규 암환자가 발생하였고 50만 명이 넘는 누적환자가 있다. 그 중 유방암은 여성암 중 누적 환자 수 1위로 여성건강에서 매우 중요한 질환이다. 무기황은 체내 7번째로 많은 미량 영양소로 체내 산화환원 조절 등에 효과가 있으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무기황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의 세포 증식억제, 사멸, 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무기황이 세포증식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무기황 농도를 0, 12.5, 25, 50 μ㏖/L로 처리하여 0, 24, 48, 72시간 배양 한 후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세포증식관련 단백질인 ErbB2, ErbB3, Akt의 발현과 이들 단백질의 mRNA 발현과 활성상태인 pErbB2, pErbB3, pAkt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세포 사멸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사멸억제 인자인 Bcl2와 세포사멸 유도인자인 Bax를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측정하였으며, 세포 사멸의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Bcl2/Bax의 비율을 관찰하였다. 그리고 무기황이 암의 전이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침윤성(Invasion), 침윤시 분비되는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이동성(Boyden chamber), 운동성(Wound healing)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세포 증식에서 무기황 처리 후 배양 시간 0~48시간 까지는 무기황이 인체 유방암 세포 MDA-MB-231 세포증식에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으나, 배양 72시간 후 12.5 μ㏖/L에서 부터 무기황 비처리군을 기준으로 세포증식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세포증식과 사멸 관련 단백질과 mRNA 발현을 본 결과, ErbB2의 단백질 발현과 활성형인 pErbB2의 발현은 무기황 처리농도 25 μ㏖/L에서부터, mRNA 발현은 50 μ㏖/L에서 무기황 비처리군을 100%로 기준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ErbB3의 단백질 발현과 활성형인 pErbB3의 발현 역시 무기황 처리농도 25 μ㏖/L에서부터, mRNA 발현도 25 μ㏖/L에서부터 무기황 비처리군을 100%로 기준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p<0.05). EGFR의 신호를 전달받는 Akt의 단백질 발현은 무기황 처리농도 50 μ㏖/L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Akt 단백질의 활성형인 pAkt는 무기황 처리 농도변화에 따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kt의 mRNA 발현은 Akt 단백질 발현과 같이 50 μ㏖/L에서 무기황 비처리군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Bcl family 중 Bcl2를 측정한 결과 단백질, mRNA 발현에서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단백질인 Bax는 단백질과 mRNA 모두 무기황 처리 농도 50 μ㏖/L에서 유의적으로 발현이 증가하였다(p<0.05). 세포사멸의 지표로 사용되어지는 Bcl2/bax의 단백질 비율을 보면 50 μ㏖/L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생체의 기저막 성분을 화학적으로 조합한 matrigel을 이용하여 막을 이동한 세포를 측정해서 세포의 침윤성을 측정 결과 무기황 처리농도 12.5 μ㏖/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그리고 암세포 침윤시 분비되어 기저막을 분해하고 암세포 이동과 전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MMP-2, MMP-9의 활성과 mRNA의 발현을 알아본 결과 MMP-2의 활성은 무기황 처리농도 25 μ㏖/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mRNA 발현도 25 μ㏖/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MMP-9의 활성과 mRNA 발현은 무기황 처리농도 25 μ㏖/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암세포의 이동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oyden chamber motility assay와 Wound migration assay를 실시한 결과 motility에서는 무기황 처리농도 12.5 μ㏖/L에서부터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Migration 에서는 무기황 처리 24시간 후에는 50 μ㏖/L에서 이동성이 감소되었고 48시간 후 부터는 25 μ㏖/L에서부터 이동성이 감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무기황은 인체유방암 세포 MDA-MB-231 세포의 증식억제와 사멸유도, 전이과정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무기황이 인체 유방암 세포 증식억제 및 전이과정에서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 만 3세 유아들의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한 자연친화경험 탐색

        김진주 건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자연을 지속적이며 일상적으로 접하기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적용 가능한 자연친화교육으로 밀웜이라는 곤충을 길러보았다. 이를 통해 유아들이 밀웜을 기르는 과정에서 나타난 자연친화경험과 활동이 주는 교육적 의미를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S유치원의 유아 20명을 대상으로 유아가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자연친화경험과 교육적 의미를 심층적으로 기술하고자 참여관찰 및 영상 촬영, 연구자 저널 등의 방법으로 자료를 전사하여 범주화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이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해 자연친화의 경험은 두려움에서 관심기울이기, 작은 생명체와 친구가 되어가면서 밀웜과 자연과의 거리를 좁혀가며 생명의 소중함을 깨달아 갔다. 둘째,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한 유아의 교육적 의미로는 밀웜을 세심하게 관찰하면서 밀웜에 대한 지식을 넓혀갔다.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관찰은 생명체에 대한 경험과 새로운 사실들을 세밀하게 그림으로 표현 될 수 있도록 도왔다. 셋째, 자발적으로 질문하고 탐구하는 시간은 유아들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유아와 유아, 교사와 상호작용을 통한 언어표현의 시간을 마련하여 다양한 언어표현이 이루어졌다. 넷째, 유아들은 밀웜을 직접 길러보면서 곤충의 성장과정을 경험을 통해 배우게 되었다. 직접 길러보는 경험은 유아들에게 밀웜에 대해 돌봄의 마음을 갖게 하였으며 나아가 자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자연의 공생 관계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다. 다섯째 ,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한 교사의 교육적 의미로는 밀웜 기르기 활동을 시작함에 부모의 편견, 전문지식의 부재 등으로 밀웜 기르기 활동의 어려움을 직면하게 되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끊임없이 방안을 모색하는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교사는 교사 효능감이 증가 되었다. 또한 유아들과 밀웜을 관찰하고 변화의 기쁨, 슬픔을 나누며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해 학습공동체의 장이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밀웜 기르기 활동을 통해 유아와 교사 모두 자연친화적 태도를 갖게 되었으며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일회성의 동물 기르기가 아닌 일상적이며 지속된 활동의 동물기르기 활동이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관동별곡>의 학습 내용 및 지도 방안 연구

        김진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begins with a question of how to deliver an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s Gwandongbealgok properly as a teacher, making students feel enthusiastic, and I design an instructional syllabus in preparation for an instructional learning method using an actual school site. Gwandongbealgok is one of the greatest literary works which occupies the literary history position in an authorized textbook as well as a national textbook. Despite the literary phase, however, it was regrettable for the work to be recognised to study for the test.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the advantage of the review of the instructional learning methods about the Gwandongbealgok which has been proceeded, and proposes the new methods to fill up the limit. In the 2nd chapter for this now, I set the aim of the education for Gwandongbealgok through the pursuing of the goal of classical poetry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9. I want to look at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domestic literature based on what and why students should learn and what and how teachers should teach. In the 3rd chapter, I classify it into two categories for understanding the necessary elements. First, it is the content of an instructional learning. Based on the lives of a writer, Jungchul, I examine the lives of him as a writer as well as a politician and I want you to ease to understand his creative motive of his work. I will make students easily understand the content which should be learned by analyzing it. Second, it is the method of an instructional learning. I present the Gwandongbealgok syllabus of the instruction and I try to develop a new model of instructional learning based on a traditional learning model. I design the class not a teacher-oriented learning but a student-oriented learning, by applying it in an actual class, and I want to test the effect of instructional learning model in this thesis. Like this, Gwandongbealgok, a study which creates an instructional learning methodology for delivering the value of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continued, and I hope my paper will be a cornerstone for it.

      • 선언의 관점에서 본 예술가의 사회적 발화 : ‘제4 집단’ 과 ‘현실과 발언’ 을 중심으로

        김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iscuss on the reason why artists perform their artistic idea and practice not only as visual form but also through speech acts that take social and political aspects, and to examine its perlocutionary effect. For these aims, I focus on manifesto or Seoneon in Korean and other linguistic forms which correspond to its definition and use that are the most powerful discourse to perform collective identity and idealism, similarly utopian vision, of human being who keeps the social and political rights from the beginning of modern era. In the early 20th century, among Korean artists, Kim Bok-Jin wrote drafts for manifesto of several art and literature movements which strongly resisted the power structure of colonialism and the early capitalism of Choseon (former dynasty and name of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era in 1920s.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Korean War, from 1950s, refusing to follow feudal rules and values on arts from the past, many artists, addressed as “modernists artists” by others and also themselves, started to manifest or declare their revolutionary aesthetics as “new art.” Following decades, influenced directly and indirectly the democratic movements from 1960s, artists’ speech act as manifesto included demanding changes of system in arts and culture into more democratic and modern ways. These tendency towards manifesto or speech acts by artists were growing again in 1970s and 1980s, when democratic movement and revolution were happened, and till the late 1990s, into two different direction such as experimental performance art or socially and politically engaged art in Korea that is so-called Mijung Art (translated as People’s Art in English) or Realism (Hyunsiljuui in Korean). Therefore, I can say the Korean artists performs speech acts socially and polit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manifesto.” Yet, in spite of these historical clues and archival traces, it’s not easy to find singular studies focusing on artist manifesto or social aspect of artists’ speech act in Korean. Thus, I take no priority except Seoneon or manifesto and effect of the written and spoken words for this study that claims re-inventing them and the social and political significance. In order to bridge the gap of the study that here is no earlier study on Korean artists’ speech acts or Seoneon, I consider artist manifesto, as the corresponding one, from the European modern and avant-garde art history during the Modernity and Revolution around 19th century. Manifesto traditionally functions as militant and ruling means by autocrat, legal rhetoric, religious or divine revelation, academic argument, and rarely a very detailed list of the urgent cargo should be deliver upon arrival. Based on these historical uses, manifesto has public and political contents, tends to take future tense or urgency, and is required to perform communicative or disputative relation between sender and receiver of message. The modern and avant-garde artists take this linguistic form, based on the political aspect, and at the same time, because of its re-invention through the French Revolution and the Communist Revolution. The re-invented manifestos call repressed people who are invisible in society or history like “ghost” as “we,” who perform together the written and spoken revolutionary mission and Isms to subvert the control structure and to live un-ruly, finding their right back. According to this calling, the repressed existence becomes the subject of manifesto from the object so that the replacement produces radical “performativity.” For this calling of “we,” artists present sort of useless and empty acts for instance to write their signature on the paper which has no legal or political effect in real, and to announce the invalid documents in public. The performer or subject should overcome this kind of “theatricality” confronted with performativity in general speech act. However, for the artists, the theatricality makes motivated stage on which their speech acts turn into more real or more social one. As for another issue, future performativity, manifesto highlights “always new, and the beginning” as the founding text of a Ism or collective movement. The future subject, who dreams realization of a new idea and leap from the contradictory past, is found in the later artists’ speech acts and manifestos which drive the historical aspect pulling death and birth of a “new art” or divisions of aesthetics. Additionally, I refer media as the last issue in regard to speech act or manifesto. Because, many artists’ manifesto are distributed through media such as newspaper, magazine, or bulletin, and also used as public media to present socially or politically arguable opinion. These four characteristic issues of artists’ manifesto or speech acts ― subjective or radical performativity, theatricality, future performativity, and media ― are revealed among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art, and socially and politically engaged art from late 1960s to 1990s in Korea. In detail, the former one is the Fourth Group’s Declaration that lasted for about two month in 1970; the later one is begun by Hynsil Dongin (translated as Reality Group or Coterie literally in English) in 1960s, expanded by Hyunsilgwa Bareon (translated as the Reality and Utterance in English) in 1980s, and scattered by many micro movement groups of this Minjung Art in 1990s. These artists’ manifestos and speech acts are recognized as parts of Korean avant-garde movement from each different philosophical and academic point of view. And each of them call receivers as “we” who are subject of performativity and will join a group or a collective practice through the speech acts. And these artists transform their stages of performance or happening into a place of speech act; they published the text of manifesto in exhibition leaflets, catalogue, or sometimes literary zine, so that their exhibition or publishing is regarded as artistic production or practices itself. In the historical understanding, the former one is a future experimentalism of nihilistic or irrational act breaking from reality; the laters are constructivism of reality drawing future liberated from contradiction and repression of the past and the hegemony. On the other hand, these two impact on the field of speech acts into different ways such as cultural consumption and political struggle. Although these differences, here is a firm conclusion that these are meaningful artists’ speech acts which take an important linguistic and aesthetic form such as manifesto and unfold the revolutionary, artistic, futuristic and relational performativity in the realm of the social and the political. 이 논문은 왜 예술가가 시각적 형태가 아닌 사회/정치적 의미를 내포한 글과 말로 예술적 생각과 행위를 발산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것의 발화 효과는 무엇인지에 관해 논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근대의 사회/정치적 권리를 가진 인간으로서의 집합적 정체성과 이상을 공적으로 표명하며 수행하는 가장 강력한 발화인 ‘선언’에 주목한다. 20세기 전후 한국 예술가들 중 1920년대 김복진은 정치적 사회의식을 추구하는 예술운동의 원리를 선언한다. 독립/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예술가의 선언은 봉건적 관념을 타파하고 당대/현대의 새로운 조형을 추구하는 모더니스트에 의해 행해진다. 이어서 1960년대 민주화의 영향 속에 예술가들의 선언은 관료적인 예술행정 개선과 문화제도의 민주화 요구에 이르게 된다. 그리고 1970년대와 80년대 극렬했던 사회적 발언의 시기를 지나 90년대까지도, 실험과 현실로 대표되는 한국의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의 선언이 있었다. 이처럼 선언은 조형과 다른 측면에서 예술가로서의 세계관을 구체화하고 그 효과를 발휘하는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이를 본격적으로 다룬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자는 이처럼 선언을 통해 발현되는 한국어권 예술가들의 발화의 사회/정치성을 다시 살려내고자 선언의 관점을 전면에 내세운다. 같은 언어권에서의 예술가 선언 중심의 선행연구가 부재하다는 논리적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본 논문은 19세기 전후 모더니티와 혁명의 시기, 유럽 중심의 아방가르드 예술사에서 발견되는 예술가 선언, 즉 artist manifesto를 학문적 참조점으로 삼는다. manifesto는 권력자들의 군사적 통치 수단, 법적 수사학, 신의 계시나 학문적 권위를 가진 주장, 그리고 간혹 시급히 운송해야 할 수화물의 상세한 목록을 의미했다. 이러한 전통적 쓰임을 바탕으로, manifesto는 정치적인 힘을 발휘하는 공공적 내용을 담고 있으며, 그 내용은 현재보다는 미래에 일어날 일에 가깝고, 이러한 메시지의 발화자와 그를 수행하는 역할로서의 수신자의 관계를 전제한다. 이와 같은 정치적 발화 형태인 manifesto 예술적 선취는 이러한 기존의 manifesto의 성격을 바탕으로 하며, 동시에 프랑스 혁명과 공산주의 혁명의 선언을 통해 변혁된 의미와 역할에 기인한다. 이 선언들은 억압받으며 권력을 획득하지 못한 ‘유령’과도 같은 존재를, 그러한 근대적 인간으로서의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권력관계를 전복할 혁명으로서의 이념을 공동으로 수행할 ‘우리’(we)로서 호명한다. 이 호명을 통해 이전의 manifesto에서 발화 주체의 권위에 의해 메시지에 복종해야 했던 수신자가 주체의 자리를 획득하는 수행성(performativity)을 발현한다. 이 ‘우리’들을 불러내기 위해 예술가들은 실제 법적, 권력적 효력이 증명되지 않은 자신의 manifesto에 서명하거나 낭독하는 행위를 벌인다. 이러한 무효의 행위에서 비롯되는 연극성(theatricality)은 정치적 선언이나 언어 행위 일반에서의 수행성과 대치되는, 수행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소거해야 할 개념이다. 그러나 이들 예술가에게 연극성은 발화를 실제적이고 사회적인 국면으로 바꿔놓는 계기가 된다. 그리고 예술가들은 그들의 집합적 운동성을 정초하는 텍스트로서의 manifesto를 “언제나 새로운, 최초의” 것이라 주장한다. 과거로부터 발생한 현재의 모순을 극복하고 새로운 이념적 실천을 꿈꾸는 manifesto 속 주체의 모습은 이후 예술가들의 발화에서도 공통으로 발견되며, 이로써 manifesto는 역사적 시간관은 변혁적 새로움을 추구하는 아방가르드 예술의 경합을 이끄는 동력이 되기도 한다. 덧붙여, 예술가들의 선언은 언론 매체를 통해 알려지거나, 사회/정치적 소명의 언로로 활용된바, 매체성을 예술가 선언의 쟁점에 덧붙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네 가지 쟁점, ‘수행적 발화, 수행성과 연극성의 교차, 역사적 주체로서의 인식, 선언의 매체성’을 중심으로 실험예술과 현실주의 예술의 선언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1970년대 2달 남짓 활동하고 단명한 실험예술가들인 ‘제4집단’의 선언, 그리고 1960년대 ‘현실 동인’으로부터 시작해 1980년대 ‘현실과 발언’으로, 또 1990년대에 여러 예술가 소집단으로 분화된 바 있는 이른바 현실주의 혹은 민중미술 계열의 예술가 선언을 다룬다. 이 선언들은 각기 다른 비평적 견지에서 한국적 아방가르드 예술로 인준되는 각각의 흐름 속에서 발화되었고, 선언에서 호명된 주어 ‘우리’는 집합적인 수행 주체로서의 집단 혹은 동인을 지칭한다. 그리고 이들은 선언을 낭독하는 무대를 해프닝 등의 행위예술로 승화하거나, 전시의 서문 격에 선언문을 배치함으로써 작품 활동 자체를 선언을 수행하는 예술적 실천으로, 전시를 그 무대로서 간주했다. 또한, 역사적 인식의 관점에서 보면, 해프닝이라는 행위를 통해 반이성적, 허무주의적 성격을 드러낸 ‘제4집단’이 현실로부터 완전히 탈주하는 미래적 실험이었다면, 과거의 억압과 모순을 극복하고 예술적, 역사적 주체성을 다시 세우고자 하는 ‘현실 동인’과 ‘현실과 발언’은 미래를 현실에 가까이 당겨놓으려는 구축에 가깝다. 한편, 이 둘의 실험과 현실이라는 각기 다른 지향성은 문화의 소비와 정치적 투쟁이라는 서로 다른 수용장의 효과를 발생시켰다. 그러나 이 둘은 모두 조형 이전에 선언이라는 언어를 선취해 주체적, 미학적, 미래적, 매체적 수행성이라는 쟁점을 사회-예술-언어의 관계항 속에서 펼쳤다는 점에서 충분한 의의를 지닌다.

      •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진주 동의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마취·회복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역량과 안전간호활동의 관계를 조사하고,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2019년 2월 11일부터 3월 1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2개 시 소재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13곳에서 근무하는 마취·회복실 간호사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는 평균 3.71±0.39점, 환자안전역량은 평균 3.74±0.43점, 안전간호활동은 평균 4.03±0.49점으로 나타났다. 2.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연령(F=4.71, =.010), 임상경력(F=3.52, =.009), 마취·회복실 근무경력(F=4.84,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안전역량은 최종학력(F=3.81,  =.024), 직위(t=-3.19, =.002), 임상경력(F=2.93, =.023), 마취·회복실 근무경력(F=5.78, <.001), 환자안전업무 경험(t=-3.41, =.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안전간호활동은 최종학력(F=5.16, =.007), 직위 (t=-2.86, =.005), 임상경력(F=2.63, =.036), 마취·회복실 근무경력(F=3.89, =.005), 환자안전업무 경험(t=-2.87, =.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문화(r=.57, <.001), 환자안전역량(r=.71,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문화와 환자안전역량 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65, <.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역 량과 하위영역인 환자안전 지식(β=.274, <.001), 환자안전 기술(β=.253, =.003), 환자안전 태도(β=.166, <.028), 대상자 특성의 임상경력(β=.222, =.021), 마취·회복실 근무경력(β=.196, =.037), 환자안전문화의 환자안전 개선시스템(β=.156, =.033)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57%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마취·회복실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향상을 위해서는 환자안전과 관련된 지식과 실무 기술,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태도 등이 강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경력의 개인 편차를 고려하며,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근무환경과 환자안전을 위한 병원 환경 및 시스템의 개선,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경영진의 태도와 리더십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tient safety culture, the safety competence and the safety nursing activity among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s, and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safety nursing activity. Data collection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1 to March 15th, 2019 targeting 156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s working in 13 hospitals including advanced general hospitals, general hospitals and clinics in 2 c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in terms of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 averaged 3.71±0.39 out of 5 points, and the patient safety culture of nurs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e’s age(F=4.71, =.010), the nurse’s clinical experience(F=3.52, =.009), and the nurse’s work experience in anesthesia and recovery room(F=4.84, =.001). 2.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 averaged 3.74±0.43 out of 5 points, and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 of nurs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e’s final education(F=3.81, =.024), the nurse’s position(t=-3.19, =.002), the nurse’s clinical experience(F=2.93,=.023),the nurse’s work experience in anesthesia and recovery room(F=5.78, <.001), and the nurse’s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work(t=-3.41, =.001). 3. The safety nursing activity of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 averaged 4.03±0.49 out of 5 points, and the safety nursing activity of nurs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rse’s final education(F=5.16, =.007), the nurse’s position(t=-2.86, =.005), the nurse’s clinical experience(F=2.63, =.036),the nurse’s work experience in anesthesia and recovery room(F=3.89, =.005), and the nurse’s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work(t=-2.87, =.005). 4. The safety nursing activity of anesthesia and recover room nurs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tient safety culture(r=.57, <.001) and patient safety competence(r=.71, <.001). And the patient safety cultur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atient safety competence(r=.65, <.001). 5.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s safety nursing activity were identified as the patient safety knowledge(β=.274, <.001), the patient safety skill(β=.253, the patient safety attitude(β=.166, <.028) in patient safety competence, the nurse’s clinical experience(β=.222, =.021), the nurse’s work experience in anesthesia and recovery room(β=-.196, =.037), the patient safety improvement system(β=-.156, =.033) in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total descriptive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57%.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in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with enhanced knowledge patient safety, attitude to take patient safety as a top priority, and patient safety practice skill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individual variation of career, improvement of hospital environment and system for long periods working environment and patient safety, and management 's attitude and leadership that think of patient safety as the top priority are needed.

      • 보들레르의 『악의 꽃』에 나타난 '추억' 연구 : 여인 시편을 중심으로

        김진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들레르는 프랑스 문학사에서 많은 대중과 연구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는 이 시인이며, 그에 대한 궁금증을 풀기 위해 그의 시집 『악의 꽃』 특히 추억이라는 주제로 연구해 보고자 한다.그는 특히 아름다움과 여인을 묘사하고 있는 수십 편의 시들이 있다. 여인의 추억에 관한 여러 편의 시들에 주목한 이유는, 보들레르만의 독특하고도 복잡한 미적 세계가 그대로 투영되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추억은 여인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아름다움의 구체적인 이미지로 작용하고 있으므로, 먼저 여인에 관한 연구부터 시작하였다.『악의 꽃』에서 검은 비너스로 불리는 잔느는 실제 미인은 아니었지만, 그의 시에서 매우 관능적이고 매력 넘치는 숱 많고 아름다운 머리를 가진 여인으로 묘사되어 있다.사바티에 부인은 흰 비너스라 부르며 수호천사, 뮤즈, 마돈나로 떠받들며 천국을 지향하는 정신적인 사랑을 보여준다. 사바티에 부인은 검은 비너스 잔느와 함께 보들레르에게 시적 영감을 주어 그의 시작에 큰 영향을 끼쳤다.푸른 눈의 소유자 마리 도브랭은 2류 배우로, 모성적인 따스함을 지닌 누이와 같은 여인으로 나타난다.결론적으로, 시인에게 여인은 자신의 자유로운 육체와 정신을 구속하는 이 세상을 떠나고 싶어 하는 저 세상으로의 문을 열어 줄 수 있는 매개체로 나타나는 것이며, 심연으로 가라앉고 싶은 시인의 욕망은 여인에게서부터 출발점이 되게 한다.보들레르에게 있어서 여인은 연애의 대상이 아니라 그에게 가장 풍요한 몽상의 원인을 제공 한다. 즉, 보들레르는 시적 상상 세계를 그가 사랑하는 여인들에게서 숙련시키고 확장시켜 나간 것이다. 여성을 통해 절망하기도 하고 쾌락에 취하는 보들레르에게 있어서 여성은 시심의 고향이며 살아있는 뮤즈였다.보들레르는 『악의 꽃』에서 여인을 자신의 상상력에 따라 섬세하게 미화하고, 아름답게 변모시켜 프랑스 시에서 아름답고 매력적인 연애 시편들을 만들어 내었다. Dans l'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Charles Baudelaire suscite en permanence l'intérêt et la curiosité des chercheurs et des lecteurs. Ainsi, je vais examiner ses poèmes sur le souvenir dans『Les Fleurs du mal』.Il en est ainsi surtout de plusieurs poèmes sur le souvenir des femmes. Il faudra envisager de manière baudelairienne la conception du 《Souvenir》, lequelle se manifeste le mieux dans ses relations intimes avec les femmes. Il nous a donc paru plus logique de commencer notre recherche du côté des femmes.Trois femmes ont exercé une influence sur Baudelaire. Ce sont Jeanne Duval, Marie Daubrun et Apollonie Sabatier. Elles constituent les clés pour comprendre le souvenir baudelairien.Jeanne, surnommée Vénus noire, n'était pas réellement belle mais, dans les poèmes, elle est décrite comme voluptueuse et charmante, possédant des cheveux abondants et flamboyants.Madame Sabatier, surnommée Vénus blanche, est respectée comme son ange-gardien, la Muse et la Madone et elle montre au poète l'amour platonique visant au paradis. Madame Sabatier et Vénus noir, Jeanne, toutes deux ont beaucoup inspiré et influencé Baudelaire en ce qui concerne la poésie et ses compositions.Marie Daubrun a des yeux bleus. Elle est une actrice de deuxième classe mais elle apparaît comme une soeur. Elle possède l'amour maternel qui enface tendrement le coeur de Baudelaire.En conclusion, on peut en déduire que pour le poète, la femme est l'intermédiaire entre la mort, dont il est si désireux, et de ce monde, qui ne cesse d'emprisonner son corps et son esprit. La femme tient la clef de son désir de se plonger dans l'abîme. Pour le poète, la femme n'est point l'objet d'amour mais l'intermédiaire qui procure les sources d'imagination les plus riches. C'est à dire que son monde imaginaire dans ses poèmes est approfondi et agrandit par ses amantes si intimes. Pour Baudelaire qui est parfois désespéré et parfois noyé dans le plaisir, la femme est la source de ses poèmes et également la Muse vivante.Dans 『Les Fleurs du mal』, Baudelaire, par son imagination, embellit subtilement la femme et la transforme merveilleusement pour en créer des chapitres d'amour fascinants et pittoresques.

      • 청소년을 위한 통전적 교육목회의 한 모델

        김진주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논문은 오늘날 사회와 교회의 청소년교육이 단편 일률적이고 획일적인 형태 취하고 있음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청소년의 교육은 통전적이어야 함을 주장하고 이를 한 모델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청소년의 교육은 통전적이어야 한다. 통전적인 청소년의 교육은 먼저 청소년의 존재와 욕구를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서부터 시작할 수 있었다. 내적으로는 청소년기의 발달 심리학적 이해와 외적으로는 청소년들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한 이해 속에서 청소년을 위한 교육의 방향이 통전적이어야 함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청소년을 통전적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청소년을 아동기와 성인기 사이의 과정적 존재에 대한 이해를 넘어서서 그 자체로서 전체의 의미를 가진 존재이며, 신체적, 발달적으로 이전의 아동기와는 달리 급격한 변화를 경험하게 되는 시기이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신체로부터 시작해서 인지, 정서적 심리적 차원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청소년에 대한 심리학적 이해는 그들의 처한 생리적, 심리적 불안정한 현실 속에서 균형잡힌 교육의 필요성을 갖게 하며, 다양한 교육적 접근을 통해 자기자신의 상황을 잘 이해하고 특히 진정한 자신으로서의 자신을 발견하게 하는 통로로 이끌게 된다. 상황이나 환경의 변화에도 변함이 없이 존재하는 자기 자신의 진정한 자아정체감의 발견은 이 시기의 가장 중요한 교육적 주제이며, 교회는 이러한 시기 청소년들의 폭넓은 인지와 사고능력을 잘 이끌어내어 자기 성찰적이고 하나님 앞에 실존적인 만남으로 안내하는 교육을 시도하고 개발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대변되는 오늘날의 사회적 문화적 현실은 청소년들로 하여금 기독교의 비전과 신앙 이야기를 약화시키며 가치관의 혼란을 가져올 수도 있으며 세속적이고 비기독교적인 대중문화와 입시위주 교육환경 가운데에서 상대적으로 더욱 힘을 잃어버리는 성경적 메시지의 위상을 끊임없는 교육을 통해서 바로잡고 비평적이고 자기 성찰적인 교육방법을 통해서 자기의 신앙과 세상에서의 삶이 연결되어 세상에 이끌려가는 청소년이 아니라 세상을 이끌어 가는 청소년이 되도록 교육해야 함을 역설했다. 이러한 통전적인 청소년 이해 안에서 청소년을 위한 통전적인 교육목회의 모델의 가능성은 넬슨의 신앙공동체 중심의 교육이론과 그룸의 해석학적 이론, 해리스의 교육목회 커리큘럼의 이론을 통해서 살펴볼 수 있었다. 넬슨의 회중 중심의 교육이론을 통해서 신앙은 단편 일률적인 방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신앙공동체의 전 삶과 문화를 통해서 전달되어지는 것임을 사회화이론을 통하여 통찰하게 해주었다. 넬슨의 이론은 기존의 전통적인 교육의 방법인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지식 전달 중심의 교육이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공동체의 전 삶과 문화 자체가 갖고 있는 교육의 힘을 발견하고 신앙공동체의 전삶을 어떻게 교육적으로 디자인하느냐에 대한 좋은 통찰을 주는 이론이었다. 청소년을 위한 통전적 교육목회 이론에서 교육의 터전이 되는 장은 기독교신앙공동체 곧 교회 공동체 전체가 된다. 그룸의 해석학적 교육이론은 삶의 터전 속에서 기독교의 복음과 비전이 어떤 과정을 통해서 그 열매로 나타나는가를 알려준다. 청소년을 위한 통전적 교육목회에서는 인지와 사고 능력이 크게 발달하는 청소년 시기이기에 그룸의 해석학적 교육이론의 방법론적 적용이 가능하며, 생명력 있는 신앙을 가능하게 해주고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통전적 교육목회는 앎과 삶을 통합하는 해석학적 방법론을 지향한다. 해리스의 교육목회 이론은 신앙공동체의 전 삶을 구체적으로 커리큘럼화하여 교회 공동체가 갖고 있는 목회적 소명과 비전을 이루기 위한 실제적인 방법과 내용들을 통전적 교육목회의 모델에 적용해주고 있다. 위와같은 통전적 기독교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청소년을 위한 통전적 교육목회는 오늘의 교육목회의 현장 속에 생동감과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다. 이러한 교육목회이론은 청소년에 대한 전체적이고 포괄적 이해, 교육목회의 주체로서 교회공동체의 회복, 성찰적이고 인간 자아의 진정한 삶에 변화를 가져오는 신앙교육의 구체적인 방법들과 그 내용들은 오늘날 포스트모던적 시대와 문화와 다양한 세속적 환경의 도전에 적극적으로 응전하며 새로운 발전으로 나아가게하는 통전적 교육목회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진주 배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가 어떠한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충청남도 C시에 소재한 I유치원으로 만 5세반 2학급(다정반, 미소반)유아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검사 도구는 유아의 자연탐구지능은 Shearer(1996)의MIDAS-forkids(Muitiple Intellgence Assessment Scales for kids)를 정대현(2006)이 수정 보안한 유아용 다중지능 검사도구 KC-MIDAS의 93문항 중에서 자연탐구지능 13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는 유아의 행동영역을 인지적, 신체적, 사회.정서적 영역으로 나누어 측정한 전인옥(1996)의 ‘유아의 자기효능감 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11년 4월 4일부터 8월 26일까지 20주간 주1회, 총2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23명은 프로그램을 적용한 자연친화 교육 활동을 하였고, 통제집단 19명은 자연친화 교육활동대신 생활 주제 중심 교육과정을 지도하였다. 실험집단의 자연친화 교육활동의 프로그램의 시안은 유치원 교육과정 통합활동, 지역사회 연계활동, 자연환경 구성활동의 3가지 범주별 내 요소에 따라 구체적인 활동들을 계획하였으며 생활주제와 자연친화 교육활동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사회적 놀이, 표현적 놀이, 탐구적 놀이로 구분하여 활동계획안을 제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 적용한 자연친화 교육활동의 내용은 자연에 대한 탐구와 체험 활동이 서로 연관성을 가지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같은 생활주제를 다룬 연간 계획에 의해 교육과정을 운영하였다. 사전검사는 2011년 4월 4일부터 4월 7일까지 4일간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는4월 11일부터 8월 26일까지 20주간(주 1회)의 실험을 마치고 2011년 8월 29일부터 9월 1일까지 4일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사후검사 자료 처리는 t-test를 실시하여 집단차이를 확인하고 실험결과를 분석하였다. 실험처치는 매주 1회 대집단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대집단활동 형태로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의 실험처치는 생활주제와 관련된 자연친화 교육활동을 선정하고 각각의 활동을 진행하였다. 자연친화 교육활동의 핵심은 가르치기보다는 유아가 자연 대상과 공유감정을 갖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아의 호기심과 참여하고 싶은 감정을 자극하여 마음을 열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연탐구지능에 효과가 있다. 실험처치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검사에 대해 독립표본 t 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연친화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자연탐구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은 유아의 자연탐구 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자연친화 교육활동이 유아의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다. 자연친화 교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이 통제집단의 유아들 보다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자연친화 교육활동은 유아들의 가지 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자연탐구지능과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연스럽게 자연을 인식하고 체험하는 자연친화 교육활동의 적용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nature- 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on the child's naturalist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effect of the nature-fiendly activity on the child's naturalist intelligence? 2. What is the effect of the nature-fiendly activity on the child's self-efficacy? For this study, the dat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2 children at 2 classes aged 5 (Dajung-ban and Miso-ban) in the kindergarten located in C city, Chungnam province. For this study, I selected 13 items of naturalist intelligence from 93 items of KC-MIDAS, multiple-intelligence scale for kids by Jung Daehyun (2006). KC-MIDAD was adapted from Shearer's MIDAS-for Kids (Muitiple Intellgence Assessment Scales for kids)(1996). For the self-efficacy, 'Child Self-Efficacy Test' by Jeon Inok(1996) was used. The research was accomplished between April 4 and 26 August 2011 with 20 sessions. Each session was carried out once a week. For 23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nature-friendly program was applied while the subject-centered program instead of nature-friendly program was done for 19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The nature-friendly program was planned with detailed activities from 3 categories: kindergarten curriculum integrated activities, community connected activities, and natural environment composing activities. In combination of life subjects with nature friendly activities, lesson plans of social play, expressive play, and investigative play were differentiated and prepared. The nature friendly activiti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activities connecting investigation with experiences of nature environment. For the control group, subject-centered curriculum was provided according to the year plan. The pre-test was accomplished for 4 days from 4 to 7, April, 2011, followed by 20 week intervention (once a week) from 11 April to 26 August, 2011 and post-test for 4 days from 29 August to 1 September, 2011. T-tes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group differences with the scores of pre and post tests. The intervention was made during the time of large group activity once a week. The nature friendly activities related to life subjects were chosen and carried out for the control group. The major point of the nature friendly activity was to make children share their feelings with nature objects, not teacher something to them. To do this, there is a need to intrigue children's curiosity and their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ure-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naturalist intelligence. The group differences of the scores of post-test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as examined with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nd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one of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nature-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had the positive effect on the child's self-efficacy. The group differences of the scores of post-test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as examined with T-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nd mean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one of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o improve child's naturalist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the nature-friendly educational activities are desirable which make children experience and recognize natural things in a natural way.

      • 집단미술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진주 아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집단미술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에 효과가 있는 지 검정해 보기 위한 비동등성 사전사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S시에 소재한 4년제 간호대학에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으로, 실험군 22명, 대조군 24명이었다. 집단미술요법은 실험군에게만 주1회, 90분, 총 8회기로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 간호 대학생 스트레스 척도, 우울척도(BDI)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정도는 4점 만점에 1.30±0.51이었고 하위 영역별로 대학차원 스트레스는 1.33±0.56, 임상차원 스트레스는 1.23±0.61로 나타났다. 2. 연구대상자의 우울정도는 63점 만점에 7.37±3.89였으며 우울수준을 분류했을 때 67.4%가 정상으로, 30.4%는 경증으로, 2.2%는 중증으로 분류되었다. 3. 가설 검정결과 제 1가설 “집단미술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스트레스 점수가 낮아질 것이다” 는 기각되었으나 제 2가설 “집단미술요법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중재 후 우울 점수가 낮아 질 것이다” 는 지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집단미술요법은 간호대학생의 우울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요법이 간호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가능하며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 및 임상 실습의 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상담에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 상업시설 성별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김진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가 사업체 중 자영업자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지원 정책이 운영되고 있다. 대표적인 자영업자 지원서비스의 예는 상권 분석 서비스로 업종별 주요 소비자층, 입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권 분석의 목적은 적절한 입지와 업종 선택,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한편, 소비자의 인구 특성에 따라 구매력과 소비 패턴이 상이해 상권 분석 시 인구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상업시설 이용 패턴을 파악하고 성별 상업시설 이용 상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에 대해 실증한다. 이때 총 매출액, 여성 매출액, 남성 매출액의 절대적 매출액 지표와 더불어 성별 매출액 차이와 비율 형태의 상대 지표를 사용하여 성별에 따른 이용 공간상 차이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LISA분석을 사용하여 성별 매출액 분포 패턴을 시각적으로 분석하였으며, OLS와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성별 매출액 결정 요인을 실증했다. 더불어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업종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여성과 남성의 상업시설 이용 상 차이를 결정하는 요인을 규명했다. LISA 분석 결과 여성과 남성의 매출액의 분포 패턴에는 큰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전체 매출액과 비슷하게 상업‧업무 기능이 발달한 도심과 외곽 지역의 집계구 면적이 넓은 지역을 중심으로 매출액이 높은 지역이 위치하고 주거기능 중심의 지역에서는 매출액이 낮은 지역이 밀집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 지표를 사용한 분석 결과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해당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성은 주로 주거 지역, 남성은 고차 중심지와 가까운 동시에 제조업, 경제·정치 기능의 사업체가 밀집한 지역에서 상업시설 이용 상 우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OLS와 공간회귀모형을 사용한 상업시설 이용 영향요인 분석 결과 여성의 상업시설 이용은 주거지역과 여가활동, 육아와 연계 가능한 지역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사업체의 영향을 받으며 상업·업무 기능이 발달한 지역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불어 외식업과 여가오락업종의 주 소비자는 남성, 의약의료업, 소매업, 학문교육업, 생활서비스업은 여성이 주요 소비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가중회귀모형의 분석 결과 상업시설의 업종별 매출 규모는 해당 업종의 집객력이 큰 시설 주변에 집적할 경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생활밀접업종에서는 집적에 따른 외부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성별 상업시설 이용 상 차이를 결정하는 요인의 실증분석을 통해 성별에 따른 소비 특성에 대해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에서의 분석 결과를 통해 성별 소비자의 소비 특성에 대해 이해함은 향후 자영업자의 마케팅 전략 수립, 입지 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