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케스트라 발달과정과 관련한 교과서 내 감상곡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4학년 음악교과서 감상곡을 중심으로

        김지운 경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페라, 협주곡, 합주곡 등의 클래식 장르를 들으면서 누구나 한번쯤은 그 음악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를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질서정연하며, 일사불란하게 지휘자의 지휘에 따라 음악을 연주하며 연주를 통해 우리에게 감동을 선사한다. 오케스트라는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등의 많은 악기로 구성되며, 악기들의 소리의 조화를 꾀하면서도, 대비되는 악기들의 음색을 통해 극적 효과를 누리기도 한다. 또한 소리의 강약을 독주악기보다 더욱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도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케스트라는 처음부터 지금의 모습을 갖추고 있지는 않다. 많은 음악 장르가 그렇듯이 오케스트라의 처음의 시작은 현대의 모습과 많이 다르고 규모면에서도 큰 차이가 있으며, 여러 시대를 거치며 더욱 발달하고 완전한 모습으로 변모해 왔다. 본 논문은 관련 문헌 자료를 토대로 오케스트라의 개념 정의 및 등장 배경, 구성 악기, 악기 배치와 그와 관련한 음향적 효과, 오케스트라의 각 시대별 특징, 지휘자와 악장의 등장 배경과 역할 등 오케스트라가 지금의 모습을 갖추기까지의 발달과정을 더욱 세세하게 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관현악 감상곡을 분석하고, 그 중 한 곡을 선곡하여 오케스트라와 관련한 음악 감상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음악 감상 수업을 통해 자연스럽게 관현악 악곡을 접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악기의 소리를 통해 악기의 종류와 음색 및 특징을 구별하는 활동을 통해 음악 감상 활동에 대한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Within the baroque period lies fundamental changes in the history of orchestra. One example is the introduction of the double bass. The string quartet, initially consisting of a first violin, a second violin, viola, and cello; understandably, the first violin played the leading orchestral pieces. Wind instruments, having developed beyond its initially supportive role, found a more integral place musically. Orchestra?s themselves would now accompany opera, oratorio, and ballet. The orchestra played an increasingly essential role in these productions. However, as music historically shifted from the baroque to the classical periods, certain instruments, such as the organ and varying wind instruments became more obsolete. Classical music propelled string instruments to the spotlight. A senior violist conducted the the orchestra, guiding each of its musical pieces. Furthermore, the Mannheim orchestra of Stamitz, introduced the clarinet as a standard component of the classical orchestra. The romantic period, brought music to public concert halls; the musicians of the orchestra were now acknowledged as professional performers.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improvements in sound and instrument quality, allowed for even more opportunity for musicians. The quality and scale of the orchestra had grown dramatically. Regarding the appreciation class, teachers should fully grasp the learning characteristics of their students in order to give proper lessons. The quality of a class is fully dependent on the adequate knowledge and preparation of the teacher.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hat the teacher approaches the subject matter with a touch of humanity; they must what to teach and how to teach it. Every possibility to motivate students must be utilized, whether its interactive games, physicality, or channeling a genuine enthusiasm for learn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lesson plan that emphasizes this point of view. We hope it represents a solid foundation in the study of orchestras and the musical instruments within them.

      • 집시음악에 대한 연구 : 사라사테의 『찌고이네르바이젠』을 중심으로

        김지운 숙명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집시들은 한 지역에 정착하지 않고 전 세계를 걸쳐 떠돌면서 차별과 멸시를 받는 유랑 민족의 한과 서러움을 그들의 음악에 담아내었다. 이러한 집시들의 음악은 유럽의 여러 작곡가에게 영감을 주어 집시적인 소재가 가미된 다양한 곡을 탄생시켜 주었으며 지난 연구를 통해 조사 및 분석되어 왔다. 다만, 집시음악에 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브람스(J. Brahms, 1833~1897), 드보르작(A. Dvořák, 1841~1904) 그리고 라벨(M. Ravel, 1875~1937) 등의 작품 분석에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집시음악의 대표적인 작곡가인 사라사테(P. Sarasate, 1844-1908)의 『찌고이네르바이젠』을 주제로 집시음악을 다루었다. 곡의 분석에 앞서 문헌 등을 통해 집시와 집시음악에 대한 특징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또한 본 논문의 주제곡인 『찌고이네르바이젠』의 작곡가인 사라사테의 생애와 음악적 특징을 당시 시대적 상황 등을 기반으로 고찰하고 집시음악의 특징을 기반으로 곡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찌고이네르바이젠』에도 집시음계를 비롯하여 하강형, 아치형 그리고 잔결형 선율 등 집시음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 적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집시들의 사상과 정서를 자유분방한 집시적인 색채로 잘 표현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gypsies did not settled in one area but wandered all over the world and brought to their music one of the wandering peoples who were discriminated against. The music of these gypsies gave inspiration to the composers of Europe and gave birth to various pieces with gypsy material and they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past researches.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on gypsy music are limited to the analysis of work by J. Brahms (1833-1897), A. Dvořák (1841-1904) and Ravel (1875-1937) have.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gypsy music with the theme of 『Zigeunerweisen』 of P. Sarasate (1844-1908),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Gypsy music. Before analyzing the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Gypsy and Gypsy music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rough literature. In addition, I analyzed the lif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Sarasate, the composer of 『Zigeunerweisen』, which is the theme song of this paper,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analyzing the song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Gypsy music.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Zigeunerweisen』 was also featured in Gypsy music such as descent type, arched type, and remained type melody including gypsy scale. In addition, we are able to see that the gypsies express their thoughts and emotions in a gypsy color.

      • Regulation o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 lipopolysacchiride-stimulated rat brain tissues and cortical cells; including primary neuron, astrocyte and microglia : 염증성 자극에 의한 뇌 조직 및 대뇌 피질 유래 일차배양세포에서 tissue p

        김지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riginally studied in blood clot dissolution process, a serine protease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tPA) has also been found in brain and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neural plasticity, neural development, neurotoxicity and glial activation. The enzymatic activity of tPA is regulated by an endogenous inhibitor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AI-1), which is a member of serpin (serine protease inhibitor) family. Because the function of tPA is mediated by both the enzymatic and cytokine-like effect of tPA, understanding the regulatory mechanism of both tPA and PAI-1 may provide more delicate way to modulate these essential regulators of brain fun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ynthesis and release of tPA and PAI-1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brain tissues and cortical cells; primary neuron, astrocyte and microglia. At first, we found that tPA activity transiently peaked and then decreased in cortex and striatum damaged by MCAO. These changes induced from induction of PAI-1. And these variation of tPA and PAI-1 also were founded in LPS stimulated brain tissues. We wanted to know these changes of tPA and PAI-1 in cellular mechanism. So we injected LPS into each cortical primary neuron and glial cell. Strong tPA activity was observed in cultured primary rat neuron with weaker activity in astrocyte and microglia. tPA release to extracellular space is increased with the LPS-treatment in neuron. However, the enzymatic activity of tPA was decreased mainly due to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AI-1 both in neuron and astrocytes but not in microglia. The expression of PAI-1 is highest in astrocytes and lowest in microglia. Actually, we were not able to identify cell-associated tPA in microglia by Western blot assay.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astrocyte is the major source of PAI-1 in brain and plays most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tPA activities by PAI-1 under inflammatory condition. The differential regulation of tPA and PAI-1 in neuron, astrocyte and microglia suggest more attention is required in the understanding of the role of local PA activity in the vicinity of individual cell types. 혈액 응고 과정에서 연구되던 serine protease 인 tissue type plasminogen는 최근 CNS에서 발견되면서, 신경 가소성 조절, 뉴런의 분화, 신경 독성과 글리아 세포의 활성화의 기능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tPA는 내재적 억제자인 PAI-1에 의해 그 활성이 조절된다. tPA가 효소적 작용 뿐 아니라 cytokine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tPA와 PAI-1의 조절 기전을 이해하는 것은 이 물질들과 관련된 뇌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는 염증성 자극에 의한 대뇌 피질 유래 일차배양세포에서의 tPA와 PAI-1이 어떻게 합성되고, 유리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우리는 MCAO 자극을 뇌에 준 후 cortex와 striatum에서 tPA의 활성이 reperfusion 후 3 시간이 지나 일시적으로 증가했다가 6시간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hippocampus에선 tPA의 활성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런 변화는 western blot을 통해 단백질을 측정해 본 결과 tPA의 억제자인 PAI-1 증가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런 경향은 허혈성 질환 후에 생기는 염증성 반응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이 되어, 뇌에 LPS를 주입하여 염증성 반응을 일으킨 후 cortex, striatum, hippocapus에서 tPA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허혈성 실험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tPA가 3시간 후에 일시적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 발견되었다. 이런 경향을 어떤 세포의 기전으로 조절되는 알아 보기 위해 LPS를 대뇌 피질 조직 유래 일차배양세포에 주입 한 후 tPA와 PAI-1의 활성 변화 및 단백질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tPA가 염증성 자극에 의해 세포 안쪽과 바깥쪽으로 유리가 증가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tPA 활성 감소는 astrocyte에서만 발견되었고, 이는 PAI-1의 증가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tPA 활성은 뉴런에서 가장 강력했고, PAI-1의 활성은 astrocyte에서 가장 강력했다. microglia에선 tPA 및 PAI-1의 활성이 가장 약했다. 따라서 염증성 질환에서 대뇌 피질의 tPA의 활성을 조절하는 것은 PAI-1이며, astrocyte가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각의 대뇌 피질 세포에서 유래하는 tPA와 PAI-1가 염증 반응에서 갖는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보다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Ludwig v. Beethoven Piano Sonata No.30 E Major Op. 109의 연구 분석

        김지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의 후기 피아노 소나타는 1816~1827년에 작곡 되었는데, 이 시기는 베토벤이 소나타 구조를 변형시키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소나타 양식을 구축하려고 노력하였던 시기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를 제 1기, 제 2기, 제 3기로 나누어 시기별로 알아보았고, 제 3기로 분류되는 후기 소나타의 특성과 그 중 피아노 소나타 Op.109에 대하여 연구 분석 하였다.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109는 모두 3악장으로 이루어져있다. 제 1악장과 제 2악장은 그 규모가 축소되었는데 2악장의 템포를 보면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의 느린 템포를 사용하지 않고, 빠른 prestissimo로 작곡되어 기존의 형식에서 탈피하려는 베토벤의 의도를 알 수 있다. 또한 축소된 규모의 1,2악장은 규모가 크고 장대한 길이의 3악장의 서곡 같은 느낌이 든다. 3악장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변주곡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고전시대의 변주곡은 대부분 화성적인 구조로 되어있는데 이 변주곡은 성격변주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각각의 변주는 전통적인 고전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각 변주마다 리듬과 박자와 템포의 변화를 주었다. 음악적으로 대위법을 사용하였고 긴 트릴과 이중트릴, 넓은 음역의 사용 등으로 음향적인 효과를 극대화 하였다. 또한 지시어의 사용으로 연주자에게 곡의 의도를 정확히 표현하려 했는데 이것은 당시 소나타 작곡 형식에 있어서 획기적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듯 베토벤은 3악장의 변주형식에 자신의 창조성을 부여하여 새로운 변주형태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렇게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Op.109는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도와 창작기법을 보여주며 앞으로 다가올 낭만시대의 교량적인 역할을 하는 작품으로 피아노 음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Beethoven's late piano sonatas were composed between 1816 and 1927, where he transformed the sonata structure and strove to construct his own original form of sonata.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 periodical investigation of his piano sonata into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period and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operties of his late sonatas classified as the third period and his sonata op. 109 of them. Beethoven's piano sonata op.109 wa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were scaled down in size, and an investigation into the tempo of the second movement revealed that he did not use the slow tempo of traditional sonata form in it but composed it in the fast tempo of prestissimo and strove to get away from the existing form. And the first and second movements reduced in size are felt as if they were the overture of the third movement large in size and length. What is especially noteworthy in the 3rd movement is that he used the variation. The variation of the Classical period is composed of the harmony structure for the most part. This musical variation takes a form of character variation. Each variation was unfettered to the traditional classical form but made changes in rhythm, time and tempo. He made efforts to maximize the sound effect through the musical use of the contrapoint, long trill and double trill, the use of the broad register. And he struggled to express the intent of the music to the performer by using the designator, which can be seen as the innovative thing in a form of sonata composition. Like this, Beethoven played a pioneering role in a new form of variation by conferring his own creativity on the form of 3-movement variation. As seen above, Beethoven's piano sonata op. 109 got away from the traditional form of sonata, exhibited a new attempt and creative technique but demonstrated a bridging role of the forthcoming romantic times.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the work of music that can be valued in terms of boldness and artistry.

      • 메트폴민을 사용하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비타민 B12 결핍의 유병률 및 호모시스테인 수치와의 연관성

        김지운 연세대학교 의학과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메트폴민 사용은 혈청 비타민 B12 결핍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메트폴민 사용 기간과 용량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비타민 B12 결핍이 단순 혈청이 아니라 조직에서의 결핍인지에 대한 부분도 아직 확실치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우리는 메트폴민을 사용하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비타민 B12 결핍의 유병률과 메트폴민 사용 기간과 용량의 연관성 및 조직 수준의 결핍이라 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용인 세브란스 병원 외래를 방문한 총 1,111명의 환자를 등록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혈청 비타민 B12는 경쟁적 결합 효소면역법을 통해 측정하였고, 환자들의 자세한 정보 및 메트폴민 사용 기간과 용량은 의무 기록과 설문, 대면 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결과: 메트폴민을 사용한 환자들에서 혈청 비타민 B12 결핍의 유병률은 22.2% 였으며, 평균 혈청 비타민 B12 수치는 487.7 ± 260.7 pg/mL 였다. 메트폴민의 평균 사용 기간은 10.1 ± 7.0년이었고 평균 하루 사용량은 1,339 ± 479 mg 이었다. 여러가지 인자들을 보정 후 구했을 때, 하루 메트폴민 용량이 1mg 늘어나면 혈청 비타민 B12 값은 0.142 pg/mL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p < 0.001). 또한 종합 비타민제를 함께 복용한 환자에서 비타민 B 결핍이 유의하게 적은 것도 알 수 있었다 (Odds ratio 0.23, p <0.001). 그러나 본 연구에서 비타민 B12 결핍과 메트폴민 사용 기간 사이에 유의한 상관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혈장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메트폴민 사용 기간과 용량에 대한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었으나, 비타민 B12 수치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우리는 1,500 mg/day 이상의 메트폴민 사용이 비타민 B12 결핍의 주요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종합 비타민제를 함께 사용하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혈청 호모시스테인 측정 결과 메트폴민 사용으로 인한 비타민 B12 결핍이 실제 조직 수준에서의 결핍이라고 생각되나, 이는 좀 더 광범위한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Introduction: Metformin use is associated with serum vitamin B12 deficiency. However, studies on the influence of both duration and dose of metformin are still lacking.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prevalence of vitamin B12 deficiency (serum vitamin B12 < 300 pg/mL) in type 2 diabetes patients and its relation with duration and dose of metformin use. Methods: A total of 1,111 type 2 diabetes patients using metformin, who visited Yongin Severance Hospital outpatient clinic, were enrolled in this study. Serum vitamin B12 levels were quantified by competitive-binding immunoenzymetic assay. Detailed information on metformin use and confounding variables was collected from medical records and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 prevalence of vitamin B12 deficiency in metformin-treated type 2 diabetes patients was 22.2 % (n= 247), and the mean vitamin B12 level was 487.7 ± 260.7 pg/mL. The mean duration of metformin use was 10.1 ± 7.0 years and the mean daily dose was 1,339 ± 479 mg. Adjusting for multiple confounders, a 1 mg/day increase in daily metformin dose was associated with 0.142 pg/mL decrease in vitamin B12 levels (p < 0.001). Compared with daily metformin dose of < 1,000 mg, the adjusted odds ratio for 1,000-1,500 mg, 1,500- 2,000 and ≥ 2,000 mg were 1.72 (P= 0.080), 3.34 (p < 0.001), and 8.67 (P<0.001) respectively. In addition, vitamin B deficie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less in patients taking multivitamins together (Odds ratio 0.23, p < 0.001). However,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vitamin B12 deficiency and the duration of metformin use in this study. Serum homocysteine levels were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vitamin B12 levels, but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duration and dose of metformin. Conclusions: The use of more than 1500 mg/day of metformin may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vitamin B12 deficiency, and concurrent multivitamin use may potentially protect against low vitaminB12 levels in metformin users

      •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cell-to-vehicle(C2V) 확장을 통한 전기차 성능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김지운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Globally, the severity of environmental pollution has increased and the development and research of electric vehicles has been active in order to use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s an alternative to reduce greenhouse gas emissions. In addition,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that provides an energy source that provides must have high power, capacity, and safety. The positive cathode active material, one of the four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condary battery, shows different output and capacity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internal molecular structure. In this paper, through the cell-to-vehicle (C2V) process, the results appearing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the cathode active material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linkage analysis from the small unit cell to the final stage the vehicle model. First, the unit cell is tested and optimization is performed using the input variables measured in GT-AutoLion. Cell models with various molecular structures wer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GT-AutoLion's internal database for cell models with secured consistency.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cell models to which different cathode active materials are applied were compared and analyzed and expanded to a benchmarked pack system, and finally analyzed in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vehicle model constructed in GT-Suite. In order to analyze the mileage of the configured electric vehicle, the drive cruising range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driving cycle measurement simulation cycle such as FTP-75, HWFET, US06, and WLTC in GT-Suite. When the pack models to which various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were applied the drive cruising range of the electric vehicle that was driven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display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 視聽覺資料를 活用한 高等學校 高麗時代 文化史 敎育의 效率的 接近方案

        김지운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따라 교육의 모습도 바뀌어가고 있다. 한 반의 학생 수가 줄고, 교육 기자재가 늘어나고, 학습관련 자료들이 풍부해지는 좋은 여건 속에서 교육은 한걸음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역사 교육에서도 진전이 있었다. 시대사에서 분류사로 교과서가 바뀌고, 교과서의 삽화와 지도는 모두 컬러로 전환되었다. 또한, 더욱 다양한 참고도서들과 보조 자료들이 나왔으며, 국정 교과서의 검인정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각 교실마다 최소한의 시청각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장비가 갖추어지게 되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한 일이다. 시청각자료는 이제 학교에서 더 이상 낯선 것이 아니게 되었다. 많은 참고자료들과 인터넷이 수업을 더욱 수월하고 깊이 있게 만들어 주고 있다. 이러한 시청각자료의 활용은 역사교과 특히 문화사 분야의 수업에서 빛을 발한다. 문화사 수업에서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보조 자료의 활용과 인터넷의 활용, 그리고 타 교과와의 연계학습이 그것이다. 이러한 접근 방법으로 주요한 시청각자료 즉, 사진·회화·지도·영상물 등을 수업에 이용할 수 있고 그것은 문화사 교육에 많은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청각자료의 활용은 실제 수업 시간의 부족과 기본 자료인 교과서의 한계, 무분별한 시청각자료의 사용 등으로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 나은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문화사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 그 방법을 모색하였다. 곧 시청각자료의 성격과 분류, 문화사 수업과 시청각 자료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하여 고려시대 문화사에서 구체적으로 시청각자료를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예컨대, 보조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 타 교과와 연계할 수 있는 방법을 각각 활동지, 역사신문, 수업지도안을 짜 봄으로써 구체화시켰다. 시청각자료를 활용한 역사교육은 일차적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과 청각 즉 감각을 이용한 학습이 가능하게 되어 역사를 머리로만이 아닌 느낌과 직관을 동원하여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유로운 역사적 사고력을 통해 창의력 배양에 도움을 주며, 더욱 생생한 역사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모든 수업의 기본이 되는 것은 교사의 열정이 바탕이 된 수업 준비일 것이다. 변화해 가는 교육의 방법을 숙지하고, 시의적절하게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흥미롭고 이해하기 쉬운, 그리고 생생한 역사 교육을 하는 것은 현재의 역사 교육이 해야 할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The form of education has been changing as society changes and develops. Education is gradually progressing in the favorabl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the number of students in class is reduced, educational materials have increased and materials related to learning become abundant. History education also has been making progress. Text books have changed from the era history to the history of classification and illustrations and maps have been changed to be in full color. Also, more diverse reference books and auxiliary materials have come out and the official approvals of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are being actively discussed. Noteworthy is the fact that every class has equipment for utilizing basic audio-visual materials at the least. Audio-visual materials are now no longer unfamiliar in school. Lots of reference materials and the Internet make class work easier and meaningful. Such utiliz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becomes more effective in history class, particularly in cultural history class. Ways to utilize audio-visual materials in cultural history class can be divided into three, namely, utilization of auxiliary materials, utilization of the Internet and class work connected with other subjects. Taking this approach, important audio-visual materials such as pictures, paintings, maps and video images can be used in class, and it is very helpful to cultural history education. However, such utiliz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can pose problems resulting from shortage of school hours, limitation of text books which are basic materials and indiscreet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Ways to resolve such problems and to have better cultural history class using audio-visual materials were explored as follows. This research examines correlation between properties and classific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between cultural history class and audio-visual materials, and based on this, it explores the ways to concretely utilize audio-visual materials in class learning cultural history of the Goryeo Dynasty era. For example, the methods of utilizing auxiliary materials, the methods of utilizing the Internet and the methods of connecting with other subjects are materialized through preparing journals of activities, history newspaper and teaching plans History education using audio-visual materials not only draws interest of students first but also enables the students in class to use the senses of sight and hearing and makes them experience understanding through senses and intuition rather than just through using their head. It is also helpful to nurturing creativity through power of free thinking about history and enables students to learn more vivid history. Basics of all class work should be preparations for class, based on teachers’ enthusiasm. Being well acquainted with, and timely utilization of, changing teaching methods and thereby providing students with interesting, easy and vivid history education should be the important task of current education of history.

      • 오피스빌딩의 관리방식에 따른 임대료와 관리비의 변화 분석

        김지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ffice building is being recognized as the object of direct and indirect investment and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various investors because of its stable operating profit and huge capital gain. Recently the stand point of investment has been converted from capital gains by trading margin to the long-term rental income, the effort to maximize cash flow through the efficient management has been conducted a lot. Therefore how to manage the office building is regarded as an important issue, and the importance of Real Estate Asset Management (Property management) is growing too. Property management is a series of process that is divided into acquisition, management, operation and disposal by the purpose of the real estate owner. The methods are classified as self-management, professional management (management service) and mixed management according to the subject of management. Since each approach has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re will be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subject of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methods was relatively small since the vacancy rate of office market in Seoul had remained low and the high rent levels had been rising steadily. However,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method has been focused as the rise in rents began to falter after going through the international financial crisis in 2008 and vacancy rate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supply large quantities of office buildings. Today’s office market is entering to the phase of change from provider oriented to customer oriented and, because of this phenomenon, it seems that much effort is required in order to attract and retain lessee. Therefore, the need of property management for high-quality leasing services and building management is growing. In spite of these changes in circumstances, the research in office building management is not enough. Existing research is focused on analyzing impact of the management methods on the rent or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management methods. Most of research is concerned the management methods to effect office building on the profit aspect only, but the expense aspect has not been reflected in the research at all. In addition, the common conclusion of all research is that the professional management increases the rent, and it has the limitation that the analysis about the exact cause of the rise has not been done. Therefore, this research carryout the analysis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impacts that management method affects to office buildings in Seoul with the profit and cost aspects. Also, it is measured through analysis whether the increase in rent caused by professional management is the additional expenses to be passed on or the increase of its value. And the research divides the office market by its scale, builds the sub-market,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impacts on each sub-market from the difference of management methods. From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management methods increases the rent about 20.9 percent, maintenance expenses also increased approximately 11.1% because of professional management methods. In addition, since the increase of maintenance expenses are received from the lessee, it is considered that the increase in the rent is not the cost passed on but it is increase of its value. Increase rate of rent caused by the professional management methods in the sub-market by scale, large office buildings is the highest and medium sized office building is the lowest and increase rate of maintenance expenses is medium sized office building is the highest and large office building is the lowest. It is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that due to insufficient data, vacancy rate which affects on the revenue of office building was not considered. However, by observing how the rent and the maintenance expenses had been changed by the method of management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is significant that it considered profit and cost of office building at the same time. 오피스빌딩은 안정적인 운영이익과 막대한 자본이득으로 인해 직‧간접적인 투자대상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다양한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다. 최근에는 투자의 관점이 매매차익을 통한 자본이득에서 장기적인 임대수익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관리를 통해 현금흐름을 극대화시키려는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때문에 오피스빌딩의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가 중요한 사안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부동산 자산관리(Property management)의 중요성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다. 부동산 자산관리는 부동산 소유주의 목적에 따라 부동산을 매입, 관리, 운용 및 처분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관리주체에 따라 자기관리, 전문관리(위탁관리), 혼합관리방식으로 구분된다. 각 각의 방식마다 특징과 장‧단점이 상이하기 때문에 관리주체를 누구로 하는가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서울시의 오피스시장은 공실률이 낮게 유지되고 임대료 수준 또한 높으며 꾸준하게 상승해왔기 때문에, 관리방식의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그러나 2008년 국제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임대료의 상승이 주춤하기 시작했으며, 오피스빌딩의 대량 공급으로 인해 공실율도 높아짐에 따라 관리방식의 중요성이 조명되기 시작하였다. 현재 오피스시장은 공급자 중심에서 수요자 중심으로 변화하는 단계에 접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임차인을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질 높은 임차서비스와 빌딩관리를 위한 부동산 자산관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오피스빌딩의 관리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들은 관리방식이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거나 관리방식을 결정하는 요인을 밝히는 것에 집중되어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관리방식이 오피스빌딩의 수익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비용적 측면은 연구에 전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모든 연구의 공통된 결론이 전문관리 방식이 임대료를 상승시킨다는 것인데, 그 상승의 원인이 정확이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리방식이 서울시 오피스빌딩에 미치는 영향을 수익적인 측면과 비용적인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분석결과를 통해 전문관리에 따른 임대료의 상승이 추가적인 발생비용의 전가로 인한 것인지, 순수한 수익의 증가인지를 판단해보았다. 그리고 오피스시장을 규모별로 세분화하여 하위시장을 구축하고, 각 하위시장마다 관리방식의 차이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문관리 방식은 임대료를 약 20.9%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비 또한 전문관리 방식으로 인해 약 11.1%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용의 상승분은 관리비를 통해 임차인으로부터 수취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임대료의 상승은 비용의 전가가 아닌 수익의 증가로 판단된다. 규모별 하위시장에서 전문관리 방식에 따른 임대료의 상승률은 대형 오피스빌딩이 가장 높고 중형 오피스빌딩이 가장 낮았으며, 반대로 관리비의 상승률은 중형 오피스빌딩이 가장 높고 대형 오피스빌딩이 가장 낮았다. 분석에 있어 관리비를 비용과 일치한다고 가정한 점과 자료의 불충분성으로 인해 오피스빌딩의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실률을 고려하지 못한 점은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증분석을 통해, 매 기간 임차인 지불하는 단위당 임대료와 관리비가 관리방식에 따라 규모별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오피스빌딩의 수익과 비용을 동시에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