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지선의 졸업작품 『창문(The Window)』의 해설

        김지선 동덕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소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공연 'The Window'에서 발표한 4곡의 자작곡에 대한 작곡 배경과 의도를 설명하는 결과물이다. The Analysis of 「The Window」A Work For Graduation Perfomance

      • 디지털 의료영상에서 에너지 변화에 따른 산란선의 DWT 분석

        김지선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디지털 의료영상에서 에너지 변화에 따른산란선의 DWT 분석 김지선 지도교수 : 안 병 주 방사선학과 남부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콤프턴 산란이 화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하여 웨이브릿 변환으로 신호의 특성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에너지의 변화에 따른 산란선의 화질영향 정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학용 도구인 MatLab Tool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하였고, 작성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관전압 증가에 따른 산란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CR과 DR 모두 관전압 변화에 따라서 고주파영역의 주파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아 콤프턴 산란선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4H에서 CR의 경우 80 kVp에서, DR의 경우 90 kVp에서 주파수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이유는 광전효과에 의한 광전자와 콤프턴 산란에 의한 콤프턴 전자, 그리고 콤프턴 산란선이 동시에 검출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서 급격한 주파수의 변화가 나타나는 관전압 영역이 CR은 80 kVp, DR은 90 kVp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DR의 검출기는 에너지에 대한 민감도가 낮은 것으로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CR보다는 DR이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에너지가 높은 영역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산란선의 영향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DR 장치로 촬영을 할 때 촬영조건을 높게 하여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촬영조건을 높게 하여 촬영을 한다면 국민전체의 피폭선량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점진적으로 DR 환경으로 변하고 있는 임상현장의 실태로 보아 DR 검출기에 대한 연구가 진전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학용 도구인 MatLab Tool을 이용한 영상의 화질평가 방법이 공식적인 화질평가의 방법으로 인정되어 유용하게 적용될 것을 기대한다.

      • C. Reinecke Flute Sonata Op. 167 "Undine" , F. Poulenc <Air vif> 에 관한 연구

        김지선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Carl Reinecke (1824-1910)는 19세기 후반의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이며Mendelsshon, Schumann의 고전적 전통의 영향을 받은 작곡가이다. flute에 애정을 가지고 있던 Reinecke가 작곡한 flute와 piano를 위한 소나타 “Undine” 는 Fouque (Friedrich de la Motte Fouque, 1777-1843)의 소설 <Undine>에서 착안된 표제적 음악이다. 물의 요정이라고 불리는 주인공 Undine를 형상화 하여 작곡한 곡으로 물의 흐름을 표현하는 음형이 제시된다. 모든 주제 선율은 주인공의 성격을 빗대어 표현되었는데 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물의 흐름은 16분음표를 주인공의 감정변화에는 대조적인 효과를 주기위해 셋잇단음표를 사용하였다. Francis Poulenc (1899-1963)은 20세기 피아니스트이자 예술가곡 작곡가 이며 신고전주의와 프랑스 6인조의 영향을 받은 작곡가이다. 프랑스 예술가곡 Air vif는 <Airs Chantés> 안에 있는 4곡 중 하나이다. <Airs Chantés> 총 4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전파 시인 Moréas (1856-1910) 시 4편에 곡을 붙인 것이다. Carl Reinecke (1824-1910) was a pianist and composer influenced by the classical tradition of Felix Mendelssohn and Robert Schumann in the late 19th century. Reinecke was emotionally attached to flute and composed a sonata "Undine" for flute and piano which is programmatic music written based on the novel <Undine> by Friedrich de la Motte Fouqué (1777-1843). This sonata was composed by embodying Undine called a water nymph and provides sound pattern representing water flow. All the theme melodies were represented using sixteenth notes to show the protagonist's character. He used triplets to have a contrasting effect on her emotional changes. Francis Poulene (1899-1963) is a pianist of the 20th century, an art song writer, and a composer, influenced by neoclassicism and Les Six. Air vif, a French art song, is one of the four songs in <Airs Chatés>. <Airs Chatés> consists of total 4 songs, and is to set 4 poems, written by a classical poet, Mores (1856-1910) to music.

      • 관광쇼핑만족 연구 : 면세점 중심으로

        김지선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our shopping, important essential sector of tourism activity, has developed a new type of tourism activity into an independent area of tour busin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following purposes. As increase of Korean travelers visiting overseas countries and foreign travelers visiting Korea, the extension of travelers' shopping has gradually spread and increasing interest in duty free shops has gotten popular. The aim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to satisfy them when the travel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shop at the DFS, to examine attribute of tourist behavior closely after shopping activities, and to show the necessity to study on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In addition, as the duty free stores are ones of tourism industries to reduce the exodus of foreign currency and closely related with the nation's economy, the researchers are going to find ways to aim at the duty free shopping through re-visiting and satisfying shopping activit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is based on both text study and empirical study. In text study, the researcher tried to collect materials on the duty free shops as well as contentment of tour shopping and adapt theoretical concept and format, using domestic or foreign publications and the previous studies. The empirical survey was carried out to directly hand out, make filled out, and withdraw total 300 copies of questionnaires, 150 of which at The Shilla Duty Free and the rest at the DF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from Feb. 26 2007 to Mar. 11. Among 300 copies, 210 valid samples excluding omitted items were used for analyzing. The statistics collected in the research were passed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analyzed by SPSS 10.0 for Windows, an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hilla Duty Free Koreans are more satisfied than Japanese. In the DF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oreans are more satisfied with parking lots and shopping space than Japanese, while Japanese are more contented in saving time and atmosphere than Korean. The duty free stores need to enhance and develop the primary factors to be urgently required.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ross-analyzing preferences for DFS products, choosing cosmetics brands and various products launching are required because travelers prefer cosmetics. Thir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satisfactory factors on intent to buy again show that the parking lots follow the atmosphere in The Shilla Duty Free, and that the discount program is important in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This means that effort is needed to provide various services to influence re-buy.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satisfactory on intent of recommendation show the necessity to focus on visual sectors such as whole image of DFS and shopping space. Fifth, a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satisfactory of DFS on whole contentment show sensitiveness to price policy at DF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different discount programs are required. Based on these analyses, the directions of improving for maximizing satisfaction of tour shopping at the DFS are as follows; First, the DFS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needs to develop unique image by making traditional tour souvenir and conducting regular traditional events. The Shilla Duty Free in the city needs to increase shuttle buses, provide special discount chances in order to reduce discomfort of transportation, and implement improvement plans that offer gifts to shoppers using mass transportations. Second, The Shilla Duty Free in the city needs to develop various shopping items that cater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velers by selecting brands and products which they prefer. Third, for domestic or foreign travelers, various sources that influence the intent to re-buy are required. As an effort of enhancing customers' satisfaction and product characteristics for them, the marketing linked with outer stores should be activated,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nd culture events should be offered as charms when shopping. Fourth, as a Frequent Flyer Program, the systematic foundation to satisfy shoppers after shopping activities is urgently needed, and it is able to encourage travelers to revisit by offering discount coupons and special cards. Fifth, Hallyu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untries caught in the Korean wave. More aggressive and sustainable culture tour programs and superior products are required to implement marketing strategies for those countri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sample data were limited to only select duty free shops and there was lack of theoretical basis to explain the factors satisfying the travelers in duty free shopping, which raised an issue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and credibility of the research methodology.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 limitations, the objective data that better estimate the total scale of the duty free market must first be presented. 관광쇼핑은 관광활동의 중요한 필수적 분야로 새로운 형태의 관광활동으로 발전, 하나의 독립된 영역의 관광 사업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관광자들의 해외여행 증가와 방한 외래객의 꾸준한 증가로 관광쇼핑의 확대가 점차 확산 되어 면세점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국내․외 관광자들이 관광쇼핑만족을 면세점 쇼핑시 만족하는 속성 파악과 관광자들이 쇼핑활동 후 선호하는 선택속성을 규명, 유형에 따라서 관광자의 만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진행되었다. 또한, 면세점은 외화 획득과 내국인 외화 유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관광산업의 하나로 국가 경제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 곳이기 때문에 재방문 및 쇼핑만족을 통해 좀 더 면세점 쇼핑을 지향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에서는 면세점과 관광쇼핑만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론적 개념과 틀을 적용하는데 노력하였으며, 이를 위해 국내․외 서적 및 관련 선행연구 논문을 활용하였다. 실증조사는 2007년 2월 26일부터 3월 11일 까지 약14일간 평일과 주말을 이용하여 시내 신라면세점 150부, 인천 공항면세점 150부 총300부의 설문지를 직접 면접하여 배부, 작성하게 하고 회수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 중 누락항목을 제외한 210부의 유효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과정을 거쳐 SPSS 10.0 for Window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실증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적별로 시내 신라면세점의 경우 한국인이 일본인 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며, 인천 공항면세점의 경우, 주차시설과 쇼핑공간은 한국인이 일본인 보다 높게, 시간절약과 분위기에서는 일본인이 한국인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나 국내․외 관광자들이 각 면세점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요인들을 개선 발전해야 한다. 둘째, 면세점 제품 선호도간의 교차분석결과 화장품을 가장 선호하고 있어 화장품 브랜드 선정과 다양한 상품입점이 요구된다. 셋째, 면세점의 만족 요인이 재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시내 신라면세점의 경우 분위기, 주차시설 요인 순으로, 인천 공항면세점에서는 할인제도에 있어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재구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제공에 노력해야 한다. 넷째, 면세점 만족요인이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결과 전반적인 면세점의 이미지 및 쇼핑 공간 등 가시적인 부분에 주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면세점 만족요인이 전반적 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시내 신라면세점의 경우 가격정책에 민감함을 나타내 다양한 할인정책이 요구된다. 이러한 분석토의를 바탕으로 면세점내 관광쇼핑만족 극대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 공항면세점은 전통적인 관광상품 개발과 정기적인 한국적 이벤트를 실시하여 세계 여느 면세점 보다 차별화된 면세점 이미지 개발이 필요하다. 시내 신라면세점은 교통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셔틀버스 확대 및 대중교통 이용시 관광자에게 장점을 부과하는 특별 할인혜택과 소정의 기념품을 제공하여 불편함을 극소화 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이 시급하다. 둘째, 시내 신라면세점은 국내․외 관광자 대상 선호하는 브랜드 선정 및 신상품입점에 있어서 이들이 만족할 수 있는 다양한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외 관광자에게 있어서 상품특성 및 만족 요인 제고의 노력으로 외부 연계마케팅이 활성화되어 환경적인 요소 및 쇼핑 활동시 문화이벤트를 통한 다양한 즐거움으로 재구매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꺼리 제공이 필요하다. 넷째, 상용고객 우대 전략으로, 일회성 관광자 쇼핑이 아닌 재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할인 쿠폰 제공 및 특별카드 제도를 도입하여 관광자 서비스 및 쇼핑 활동 후 만족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마련이 시급하다. 다섯째, 한류 쇼핑상품을 개발하여 한류 열풍이 계속되고 있는 국가를 대상으로 보다 공격적이고 지속 가능한 문화관광상품의 개발과 마케팅전략을 실현하여 관광자들에게 추천할 수 있는 양질의 상품을 제공함이 요구된다. 향후에는 면세점 쇼핑 시 만족하는 속성들에 충분한 이론적 근거 제시로 구체적인 면세점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전체적인 시장 규모를 객관성 있게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의 제시가 선행되어야 한다.

      • 다문화 도서를 통한 교육활동이 유아의 인종 편견 감소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s the effect on infant’s racial prejudice reduction Research quoting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follows. 1. Does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ve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an appearance? 2. Does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ve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their playmates? 3. Does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ve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their abilities? 4. Does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ve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a social class? 5. Does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ve the effect on prejudice reduction for infant’s to help their friend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5 or 6-year-old infants in two public kindergartens in Jangsu county, southern Jeolla Province. (Experimental group : 13, comparison : 18). The infant-prejudice-inspection tool was used that Shin Hyeon Kyeong had used in 2007 as an instrument for this research. The process of the research consisted of preliminary inspections, experimental treatment for 4 weeks, inspections after experiment and the analysis of the result used t verification of SPSS 12.0 for Windows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s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an appearance. 2.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s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their playmates. 3.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s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their abilities. 4.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s the effect on infant’s prejudice reduction of a social class. 5.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has the effect on prejudice reduction for infant’s to help their friends. This research result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activity through multi-cultural reading in infancy reduces the infant’s racial prejudice and which can adopt in infants' education.

      • 부분적으로 잠긴 파이프의 유체부가질량계수에 대한 이론 및 실험적 고찰

        김지선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원자력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수중 펌프는 연직 방향으로 매달린 파이프 구조물로 냉각수를 끌어올리도록 부분적으로 몰수되어 있다. 조수 간만의 차이에 의해 수위가 반복적으로 변함에 따라 몰수되는 높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구조물의 진동특성이 급격하게 변화한다. 이러한 급격한 변화는 파이프 시스템의 안정성 및 정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파이프가 유체에 잠김으로써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파이프가 물에 부분적으로 잠기는 경우의 유체에 대한 진동특성을 계산하기 위해 유체에 의한 부가질량 계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파이프가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는 경우, 물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유체부가질량계수에 대한 식을 이론적 모델을 통해 비교적 간단히 도출하고 이론 결과를 실험과 전산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론적으로 수행한 전산해석의 검증을 위해 실제 원자력 발전소에 쓰이는 파이프 냉각 시스템의 축소 모델을 이용하였다. 파이프 모델이 부분적으로 물에 잠기는 경우, 물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유체부가질량계수에 대해 수위 변화에 따라 전산 해석 결과를 실험의 결과와 비교하여 유체부가질량계수를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물에 부분적으로 잠긴 구조물의 진동특성 분석을 위한 유체부가질량계수를 기존의 복잡한 이론이나 전산 해석 과정 없이 간단한 실험식을 통해 계산하여 다양한 해상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procedure to estimate non-dimensional added virtual mass incremental factors for partially submerged piping systems. The changes in dynamic characteristics of partially submerged pipes are extensively studied in the past. However, these studies involve comprehensive numerical models to track such changes, which could not be applicable for complicated structures. Therefore, in this study, a practical procedure is proposed and developed, where one could estimate the factors using relatively simple empirical processes. First, the first vibrational mode is estimated with the single-degree-of-freedom assumption. Experimental studies are then performed to estimate the frequency changes using a 1/14 scale pipe model, which could be exposed to the different degrees of water level. In low submerged level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oposed model and experiments are in the range of 3-5%, while there are up to 15% errors under the full submerged level.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a superior capability of estimating the non-dimensional added virtual mass incremental factors without using a computational resources, which are confirmed by experimental and FE model studies.

      • 국제개발협력에서의 대학 참여 : 적정기술 (Appropriate Technology) 활용 대학을 중심으로

        김지선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국제개발협력에서 적정기술을 활용한 대학의 참여에 관한 연구이다. 대학이 개발협력의 새로운 주체로서 차별성을 가지고 발전해나갈 가능성이 있음을 밝히고, 적정 기술을 활용한 실제적 전략을 제시한다. 국제 사회는 개도국 내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혜자들이 그들의 지역 문화와 기술을 활용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적정기술(Appropriate Technology)’의 도입에 주목하고 있다. 아울러, 국제화 전략 및 경제, 사회 발전을 이끌 지식 기반 개발 협력으로 대학 및 학계의 협력과 소통에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국내에서는 민관 협력의 예산 규모 확대와 장기적이고 유연한 컨소시움 구성을 기획하는 정책 방향이 추진되고 있다. 최근, 대학이 국제개발협력 활성화와 맞물려 개발 협력의 주체로서 참여 의지를 보이면서 기존의 무상 원조인 장학 지원 형태에서 벗어나 적극적 역할에 대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대두된다. 미국과 영국 등의 대학은 사회적 기여가 곧 사회의 이익과 가치를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협력 주체로 활동하고 있다. 미국의 USAID는 고등교육솔루션 네트워크(HESN)를 도입해 대학의 개발연구소 설립을 지원하며, 여기에 속한 대학과 연구기관들 중에는 ‘기술 개발을 위한 유용성 평가방법’(CITE)이나 ‘국제 개발 혁신 네트워크’(IDIN) 같은 적정기술관련 프로그램을 지원받고 있다. 이러한 해외 정책 사례는 정부 기관의 장기적 지원을 보여준다. 적정 기술을 활용한 해외 대학의 사례들로, 먼저 MIT의 D-Lab은 공학계열 베이스로 경험에 기초한 배움과 참여적 개발을 강조한다. 스탠포드 대학의 D-School은 디자인 연구소 주관 프로젝트 중심 수업과 다양한 프로그램의 시행으로 사회적 기업가 양성을 목표로 하며, 애팔레치아주립대학교는 에코 에너지에 집중해 태양광 투어 및 재생에너지를 타 대학에 소개한다. 라이스 대학은 ‘라이스 360도 연구소’를 통해 국제 사회의 보건에 집중하며, 병원과 협력한다. 홈볼트주립대학교는 환경 친화적 모델을 가진 적정기술센터를 통해 일반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전문 기술 학교 성격인 베어풋대학교는 태양광을 비롯한 친환경적 기술을 제공한 성공적 모델로 사회적 기업으로 성장했다. 이에 반해 국내 대학은 개발협력 콘텐츠에 있어 전문성과 지식과 다양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미비하고, 참여 대학도 소수에 그치는 실정이다. 시대와 환경, 지역과 장소, 주체에 따라 변모하는 적정기술이, 기존 지역의 시스템을 존중하면서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전통적 지혜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삶을 형성하는 패턴을 교육하는 ‘적정한’ 기술로 개발되기 위해 대학의 참여가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된다. 기존 적정기술 실패 사례를 분석한 결과, 실패의 원인으로는, 문화 이해의 부족과 지속 가능성 부족이 꼽혔다. 기술과 개발 사이에 균형을 잡고, 적정기술의 한계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철학적 사고가 강조되는데, 이에 있어서도 대학은 차별적인 장점을 가진다. 오늘날 개발협력은 ‘참여’ 유도나 파트너십 같은 복합적 개발 모델의 추세로 변화하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지속가능한 활동 주체이며, 이 주체가 만들어나갈 모델과 단계별 기획이다. 적정기술은 커다란 기술에서 작은 기술로 탄생한 데 이어, ‘소외된 90 펴센트를 위한’ 디자인으로서의 측면이 강조되는 기술로 변화했다. 일련의 과정을 겪은 적정기술을 대학이 국제개발의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국내 대학의 적정기술 활용 가능성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기 위해 시행한 SWOT 분석에서, 대학은 지속가능한 환경과 인프라 활용 등의 차별성을 바탕으로 교육에 집중된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대학의 역량강화 및 사회적 가치 창출과 아이디어 실현의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강점을 가졌다. 대학이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쌓으며 환경에 적합한 연계 기술을 개발해 나간다면, 차후 지역 사회 이해를 위한 자료로 활용됨은 물론 적정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했다. 대학이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대학생들을 참여시킬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대학의 적정기술 추진 역할을 제안했다. 먼저 대학 내 적정기술 센터를 설립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 및 발굴하며, 현지 정부 기관과의 관계를 형성하고, 대학 및 사회적 기업과의 협력을 맺는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은, 첫째, 인프라 및 고급 인적 자원의 활용을 통한 지속가능한 협력, 둘째 사회적 기업 경험과 창업 기회의 장을 마련하며, 셋째, 효율적인 개발협력의 주체적 기관으로서 대학이 중심이 되어 개도국과의 협력을 이끌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육으로 경험에 기초한 아이디어 실현의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 연구는, 대학이 적정기술을 도구로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책임의 역할을 다하는, 국제개발협력에서의 잠재력을 가진 활동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보여 준다. This research has tried to prove that universities as new agent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have potential growth with distinctions and to suggest the practical strategies that applied appropriate technology. International societies pay attention to the introduction of appropriate technology which is designed to use local culture and technology for solving the poverty problems. Additionally, a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universities and academic communities on knowledge based partnership, which will lead globalization strategies, economics, and social development, public private partnership with the policy of expanding budgets and organizing a long-term and flexible consortium are being pushed in Korea. Recently, universities are showing their will of participating as agents of developmental cooperation, which is interlinked with 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the needs to devise free grants that was in the form of scholarships into more active method is on the rise. Universities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are working as agent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al cooperation for solving poverty problems in terms of social contribution leading the improvement of social benefits and values. USAID in U.S.A. constructed Higher Education Solutions Network (HESN) to sup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in universities and among these universities or institutes some programs were provided related to appropriate technology such as Comprehensive Initiative for Technology Evaluation (CITE) or International Development Innovation Network (IDIN). These international policy cases show as long-term support of organizations of governments. For some cases of universities abroad which are applying appropriate technology could first be the D-Lab of the MIT University. It emphasizes the learning based on experiences and the development by participating based on the field of engineering. D-School of Stanford University has the purposes of promoting social enterpriser by providing project centered courses and various programs under the supervision of design laboratory. Applachian State University: the Department & Technology & Environment Design focuses on echo energy and introduces sunlight tour and renewable energy to other universities. Rice University focuses on health care of international society through RICE 360˚ Institute for Global Health Technologies and cooperates with hospitals. Campus Center for Appropriate Technology (CCAT) of Humboldt State University is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center with eco-friendly model to the public. Barefoot college has grown into a successful model of social enterprise, which provides eco-friendly techniques including solar light. On the contrary, although Korean universities have specialties, knowledge, and various infrastructure, there is inadequate political support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ng universities is a few.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plan for developing appropriate technologies that transfigure according to the age, environment, regions, places, and agents to respect existing local system, understand local societ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wise traditional ways of living, and educate the patterns of living. As a result of analyzing existing failure cases of appropriate technologies, the lack of cultural understanding and sustainability are considered the reason. Education and philosophical thinking are emphasized for balancing technology and development and breaking down the limitation of appropriate technologies. Nowadays international development has been transforming into a trend of multiple models such as leading for participation or partnership. Important factors of these models are the sustainable working agents and the model and each stages of the project. Appropriate technologies have been produced from bigger technologies to smaller ones, and has been changed over time to emphasize the aspects of the design for the 90% underprivileged. After a series of stages, universities have proposed the model of appropriate technologie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tools. From a SWOT analysis to prospect multi-dimensional potential of Korean universities’ ability of using appropriate technologies, universities shows their strength of conducting process that focuses on the education based on sustainable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usage, and providing the opportunities to the students of the universities to strengthen abilities of universities, as well as to create social values and to suggest ideas. Also, if universities would collect data consistently and develop related appropriate technologies, the data could be used for understanding of the local society and the starting point of breaking down the limitations of appropriate technologies. To construct a model which can lead students’ participation, universities’ role of pushing ahead appropriate technology is suggested. Most of all, establish the centers of appropriate technologies in universities, plan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m relationships with local government, and cooperate with other universities and social enterprises. Based on this procedures: firstly, universities have possibilities of sustainable cooperation through infrastructure and qualified human resources; secondly, they provide opportunities of experiencing social enterprise and foundation of new businesses; thirdly,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a university can lead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and have effect on realization of ideas based on experiences from education with various programs. Based on this discussion, this thesis shows the potential of universities as working agents with educational functions using appropriate technologies as tools that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 21세기 박물관의 대중화 전략 연구 : 브랜딩, 포스트-뮤지엄, 가상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지선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21세기 박물관에서 보이는 큰 특징은 ‘박물관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그동안 자신들이 외면했던 대중을 주된 관심의 대상으로 여기고 박물관이 그들을 위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권위주의적이고 대중과 동떨어진 공간으로 기능했던 이전 박물관에 대한 비판적 시각에서부터 출발하였다. 더욱이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은 박물관을 둘러싼 사회를 변화시켰고 박물관이 사회를 반영하고 그 구성원인 대중을 반영하는 곳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천명하였다. 이로써 박물관의 사회 문화적 역할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다. 변화된 사회적 패러다임은 21세기 박물관이 공통으로 대중화라는 목표를 좇도록 하였다. 하지만 박물관의 대중화라는 궁극적인 공동의 목표가 설정되어있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의 박물관이 이를 실현하는 모습은 다소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박물관의 대중화를 이루기 위한 모습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을 각각의 박물관이 대중을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로 빚어진 것이라 파악하였다. 이에 박물관에서 대중의 위치와 역할에 주목하여 21세기 박물관의 대중화 전략을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각 전략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대중의 모습을 파악하였다. 21세기 박물관이 대중화를 위한 주된 전략은 경제가치 전략(객체형의 대중)과 문화생산 전략(주체형의 대중) 그리고 기술적 전략(혼합적 형태의 대중)이 있다. 경제가치 전략은 대중을 소비자로 인식하고 자신들의 고객인 대중을 확보하기 위하여 박물관의 브랜드를 활용하여 분관 사업을 벌이는 전략을 펼치는 것을 말한다. 이와 반대로 문화생산 전략은 대중을 능동적인 참여자로 인식하고 그들이 박물관에서 주체적인 행위자로 역할을 하게 하며 대중이 박물관에서 다양한 문화생산 작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기술적 전략은 온라인 환경을 활용한 전략으로 여기에서는 대중이 소비자이자 생산자가 되는 것을 지향한다. 따라서 가상박물관을 통하여 대중이 소비자이자 생산자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중화를 펼친다. 이처럼 21세기 박물관들은 ‘대중화’라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음에도 서로 다른 행보를 보이며 서로 다른 전략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런데도 이와 같은 행보의 기저에는 박물관을 대중을 위한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노력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박물관의 대중화를 이루기 위해 빚어진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 박물관의 대중화 전략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오늘날 박물관에 필요한 역할이 무엇이고 향후 지속 가능하게 발전될 박물관의 전략이 무엇인지 파악하였다. 이는 앞으로의 박물관의 역할과 모습에 필요한 박물관의 대중화 전략이 무엇인지를 시사하고 있다.

      •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 : 『호산외사』, 『이향견문록』, 『희조일사』를 중심으로

        김지선 韓國學中央硏究院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one of the traditional branches of hanmun prose, the biography (jeon, 傳) is characterized by taking as its topic an individual's daily life or one partial aspect of their life. The biography, when seen as a text which focuses on the life and related details of a real person, is not just one literary genre among many, but has the clear potential to be consid-ered as a historical resource. With this perspective in mind, this thesis looked at collections of biog-raphies of the commoner (yeohang) class (Yeohangjeongijip) from the mid-19th century - which have thus far been researched primarily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studies - as a historical resource, and or-ganized the information on the various people featured in the biographies. The factual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historical figures and cited his-torical documents mentioned within the collections of biographies collec-tions was compiled into a digital environment database. This approach was taken because w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ata are observed in detail, various meaningful stories can be discovered which have other-wise not yet been paid attention. The specific historical texts used as research material in this thesis are the most representative 19th-century collections of biographies of the commoner class: Hosanoesa (壺山外史), Ihyanggyeonmunnok (里鄕見聞錄), and Huijoilsa (熙朝軼事). Among the various figures featured in these three collections, 20 individuals appear in all three, and were thus taken as the main focus of this research. The biographies mention the families of which these individuals were a member, the government offices and po-etry societies at which they were active, the various other people with whom they met (both those who feature in their own biographies and those who do not), and the specific documents they referenced. This vari-ous information was designed into an ontology and compiled as a seman-tic database.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data, other historical docu-ments such as literary collections, ancient documents, and genealogical records, as well as representative historical governmental records such a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 the Daily Record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and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Important Officials (Ilseongnok), were referenced in addition to the three main research subject texts. Through the database designed in this wa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uthors of the three biographical collection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authors and the people referenced in the text, an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people referenced in the text could all be looked at from various angles. The context of the various stories of the commoners of the late Joseon period stretching across various documents was re-searched and the meaningful stories discovered in this process were organized. The database compiled through this research is publically available on the Web. In the future, if various researchers share and uti-lize the database as is the goal of digital humanities, this database will contribute to furthering the research on the extent of commoner culture in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19th-century commoner literature and the status and activity range of commoners. 한문 산문의 전통적 갈래 가운데 하나로서 전(傳)은 한 인물의 일생 또는 생애의 부분적 일면을 소재로 삼는다는 측면에서 특수성을 갖는다. 실존했던 인물의 삶에 초점을 두고 그것을 구체적 내용으로 다룬다는 측면에 주목할 경우, 문학 장르 가운데 하나가 아니라 역사적 사실을 담은 사료(史料)로서 전(傳)이 수용될 가능성 또한 충분하다고 하겠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 기초하여 그동안 주로 문학 방면에서 연구되어온 19세기 중엽의 여항전기집(閭巷傳記集)을 사료로 수용하고, 그 안에 담긴 여러 인물에 관한 정보를 정리하고자 하였다. 여항전기집에 담긴 여러 인물과 인용 문헌 등의 사 실 정보를 디지털 환경에서의 데이터베이스로 편찬하여 데이터 간의 관계를 섬세하게 살펴볼 경우, 기존에 주목하지 못했던 여러 유의미한 이야기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구체적 문헌은 19세기의 대표적 여항전기집으로 알려진 『호산외사(壺山外史)』, 『이향견문록(里鄕見聞錄)』, 『희조일사(熙朝軼事)』이다. 세 문헌에 모두 입전된 20명의 인물을 기준으로 그들이 속한 가문, 몸담았던 관청과 시사(詩社), 관계 맺었던 여타 입전 인물 및 비입전 인물, 그들을 언급한 구체적 문헌 등 여러 정보를 온톨로지로 설계하고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로 편찬하였다. 데이터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주 연구대상으로 삼은 세 문헌뿐만 아니라 문집, 고문서, 족보와 같은 여타 고문헌 자료 및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과 같은 대표적 관찬 사료 또한 폭넓게 참고하였다. 이렇게 편찬된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세 여항전기집 저자들 사이의 관계, 입전 인물과 저자들 사이의 관계, 입전 인물들 사이의 관계를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조선 후기 여항인들의 이야기가 여러 문헌을 거쳐 수용된 맥락을 탐구하고 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유의미한 이야기들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편찬된 데이터베이스는 웹에 공개되어 있으며, 향후 디지털 인문학 연구방법론을 통해 해당 데이터베이스가 여러 연구자에 의해 공유·활용될 경우 19세기 여항문학의 성격, 여항인의 신분과 활동 범위 등 조선 후기 여항 문화의 외연을 더욱 폭넓게 탐구하는 데 있어서 또한 이바지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