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D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소자의 양자 효과 및 전압-전류 특성의 분석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김준혁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요 약 2-D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소자의 양자 효과 및 전압 – 전류 특성의 분석적 모델링에 관한 연구 김준혁 지도교수: Hayun Cecillia Chung ICT 융합기술 전 공 대학원 전자정보공학과 고려대학교 반도체 소자의 성능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은 scaling의 한계에 부딪치면서 구조의 변화, 혹은 소재의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효율을 인정 받은 SOI FinFET 소자는 실리콘 절연 막 위에 Fin 형태의 Multi-gate로 구성 된 MOSFET 으로써 Body 쪽으로 빠지는 leakage current가 적고 multi-gate로 컨트롤 되어 큰 on current를 발생시킴으로써 각광받고 있는 반도체 소자이다. 하지만 소자의 scaling으로부터 발생되는 Short Channel Effects(SCEs)로부터 성능 구현의 한계에 부딪치게 되면서 이에 제시 된 소재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graphene은 크기가 아주 작은 반면 공정이 단순하다는 이점이 있지만 band gap이 존재하지 않아 반도체 소자로써 효율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2-D 물질이라는 소재는 graphene의 이점을 포함하면서 충분한 band gap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D FET이라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를 탄생시켰고 현재까지 진행 된 많은 연구결과 에서도 그 기대를 부각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력한 차세대 반도체 소자인 2-D FET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해 양자 효과라는 물리적 이론을 바탕으로 analytical 모델에 관해 연구를 진행하고자 했다. 2-D FET에서 기존에 진행 된 연구 결과의 모델에 포함되어야 할 물리적 효과를 추가, 개선시켰고 개발된 모델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 논문의 결과 데이터와 비교, 분석했다. 또한 2-D FET의 2-D 물질 Layer 개수 변화에 따른 전기적 구조(electronic structure)에 대한 분석은 복잡하고 어려운 Numerical simulation을 통해 진행되어야 했다는 점을 개선시키고자 했다. 양자효과라는 물리적 모델을 응용해서 간단한 analytical 모델 식으로 유도했고 모델 검증은 마찬가지로 연구 논문의 실험 결과 데이터와 비교, 분석했다. 또한, 부록에서는 현재 차세대 반도체 소자로 양산되고 있는 double-gate FinFET의 compact modeling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상용 모델로 사용되는 BSIM모델은 수 백개의 비 물리적 모델 변수들을 조절하여 소자의 특성을 실험데이터나 TCAD data와 비교하는 방식인데 이는 simulation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회로설계, 공정 설계에 필요한 parameter extraction과정에서 방대한 비 물리적 변수가 추가되므로 산업체에서 효율성 부분에 치명적인 사항이다. 이를 개선하고자 기존에 개발 되었던 모델에 추가, 개선시킨 사항을 기술했고 BSIM과 simulation속도 및 정확도를 비교하여 개선 된 사항을 기술했다.

      • Guanidine을 이용한 plasmid DNA의 정제

        김준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Demand for highly purified and safe plasmid DNA has been continously increased in bioengineering and medical fields as well as in basic molecular biology. In this study, a more convenient method of plasmid DNA purification was developed than existing alkaline lysis method. First, activevated charcoal which was reported by previous our study could remove the proteins of various size. Second, the endotoxin which causes trouble during injection of plasmid DNA into organism could be removed by simple treatment of butanol. Third, guanidine which has been used during RNA preparation substituted for phenol/chloroform, resulting in the minimized using of organic solvent during plasmid DNA purification. Finally, the salt which was used for plasmid DNA was removed by filtration using membrane. In this study, the purification of plasmid DNA was carried out without centrifugation, simplifying the purification process. At Present, purification of plasmid DNA for 10 ml of E. coli culture was possible. Plasmid DNA obtained in this way can be used for DNA recombinant study which includes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ligation, and transformation. In summary, plasmid DNA which is needed for recombination DNA, gene therapy, and DNA vaccine was obtained coveniently and practically. It is suggested that purification method of plasmid DNA using guanidine contribute to the mechanization of plasmid DNA purification in near future. 고도로 정제된 안전한 plasmid DNA에 대한 수요는 기본적인 분자 생물학에서 뿐만 아니라, 생명 공학과 의학 분야에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alkaline lysis 방법 보다 편리한 plasmid DNA 정제 방법을 개발하였다. 첫 번째, 앞서 본 연구실에서 보고한 바 있는 RNase 대용의 활성탄을 사용해 다양한 크기의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었다. 두 번째, plasmid DNA를 생물체에 투여할 때 문제가 되는 endotoxin은 butanol을 처리하여 간단히 제거하였다. 세 번째, RNA 정제 시 사용하는 guanidine을 처리하여 phenol/chloroform을 대체하였는데, 그 결과 유기용매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plasmid DNA를 정제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membrane filter를 이용하여 plasmid DNA 정제 시 사용되는 염을 제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plasmid DNA 정제 전 과정에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지 않고 정제 과정을 간편화 하였으며, 현재 대장균 배양액 10 ml 까지 정제가 가능했다. 이렇게 얻어진 plassmid DNA는 제한효소 처리, ligase 처리, transformation 과정이 포함된 recombination DNA 제작에 사용할 수 있었다. 요약하면, rcombinant DNA 제작, 유전자 치료, DNA 백신을 위해 필요한 plasmid DNA를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얻게 되었다. Guanidine을 이용한 plasmid DNA의 정제 방법은 향후 plasmid DNA 정제의 기계화에도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 능동적 정강뼈 돌림 운동이 정강뼈 비틀림 각, 발목 운동범위, 근신경 조절에 미치는 급성 효과

        김준혁 한국교통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cute effect of active tibial rotation exercise on tibial torsion angle, ankle range of motion, and neuromuscular control. Subjects for this study based on AB/BA Crossover design are divided into two conditions, Core-tex tibial rotation exercise conditions(17 people) and Manual tibial rotation exercise conditions(17 people). A pre-test consisting of tibial torsion angle, non-weight bearing ankle range of motion and weight bearing ankle range of motion and dynamic balance test and shark skill test was conducted before tibial rotation exercise was performed. Post-test using the same tests. Participants performed active tibial rotation exercise using core-tex and passive tibial rotation exercise using manual and were conducted as acute exercise.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tha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tibial rotation exercise were left tibial torsion angle and bilateral non-weight bearing ankle range of motion and bilateral weight bearing ankle range of motion. From the dynamic balance test, bilateral anterior reach and bilateral posteromedial reach, right posterolateral reach, bilateral composite reach distance. From the shark skill test, bilateral test score. Second, There was no variable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s. Third, The variables that ha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duration and conditions were left non-weight bearing ankle range of motion and right posterolateral of dynamic balance test. In conclusion, tibial rotation exercise is considered to be valuable as sports injury prevention training because it’s effective for lower extremity in the aspect of functional and structural regardless of the type of tibial rotation exercise. 이 연구의 목적은 능동적 정강뼈 돌림 운동이 정강뼈 비틀림 각, 발목 운동범위, 근신경 조절에 미치는 급성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C소재 남자 대학생 17명을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실험 전 6개월 간 하지의 부상이 없었던 자로 Core-tex 정강뼈돌림운동조건(Core-tex tibial rotation exercise, CTRE)과 Manual 정강뼈돌림운동조건(Manual tibial rotation exercise, MTRE)군으로 분류하고 AB/BA 교차설계(AB/BA crossover designs)를 적용하였다. 사전 검사는 정강뼈 비틀림 각, 비체중부하 발목 운동범위 검사, 체중부하 발목 운동범위 검사, 샤크 스킬 검사, 하지 동적 안정성 검사를 측정하였고 사후 검사는 운동 중재 후 사전 검사와 동일한 검사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은 Core-tex를 이용한 능동적 정강뼈 돌림 운동, Manual을 이용한 수동적 정강뼈 돌림 운동을 진행하였으며 일회성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정강뼈 돌림 운동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인은 왼쪽의 정강뼈 비틀 림각, 양측의 비체중부하 발목 운동범위, 양측의 체중부하 발목 운동범위, 양측의 샤크 스킬 검사, 하지 동적 안정성 검사 중 양측의 앞쪽 도달거리, 양측의 후내측 도달거리, 오른쪽 후외측 도달거리, 양측의 복합 도달거리로 나타났다. 둘째, CTRE 와 MTRE 양 조건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없었다. 셋째, 정강뼈 돌림 운동 시기와 CTRE, MTRE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변인은 왼쪽 비체중부하 발목 운동범위와 하지 동적 안정성 검사 중 오른쪽 후외측 도달거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의 실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정강뼈 돌림 운동은 능동적 정강뼈 돌림 운동과 수동적 정강뼈 돌림 운동의 종류에 상관없이 정강뼈 비틀림 각, 발목 운동범위 변화, 근신경 조절 측면에서 모두 좋은 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정강뼈 돌림 운동은 하지의 구조적인 측면과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운동손상예방 프로그램으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효율적인 클러스터링을 위한 SDN 컨트롤러 관리 시스템

        김준혁 건국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단일 SDN 컨트롤러 네트워크 환경은 2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째, 단 일 컨트롤러의 경우 장치 수에 따른 통신 부하 및 오버헤드 때문에 다수의 장치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둘째, WAN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는 장치가 컨트롤러와 물리적으로 매우 멀리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전파 지연으로 인해 네트워크 장치의 플로우 수정 시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 다. 또한 레거시 네트워크 위에 존재하는 SDN 네트워크들은 서로 통신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위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SDN 컨트롤러 클러스터링이 있다. 클러스터링 된 컨트롤러들은 장치 제어를 분산하고 처리 부하를 균등 하게 나누기 때문에 대규모 네트워크 처리가 용이하다. 또한 네트워크 영역 에 분산되어 존재하기 때문에 장치 간 지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기존의 SDN 컨트롤러 클러스터링 방식의 경우 SDN 컨트롤러간의 통신 및 컨트롤러 자원 상태에 관계없이 SDN 컨트롤러에서 클러스터링을 맺을 컨트롤러들의 정보를 입력하여 수동으로 작업을 해야 한다. 또한 부하가 발 생한 컨트롤러의 작동이 중지되어 제 기능을 할 수 없을 때 담당하고 있던 장치들의 마스터 쉽을 백업 컨트롤러에게 넘겨 장애를 허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부하가 발생한 컨트롤러의 자원을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용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레거시 네트워크에 위치한 SDN 컨트롤러 간 통신과 SDN 컨트롤러들의 자원 상태에 따라 클러스터링을 관리하는 시스템 연구를 진행 한다. 기존의 SDN 컨트롤러 클러스터링 방식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부하가 발생한 컨트롤러가 작동이 중지되기 전 일정 수치의 부하가 발생하면 그 즉 시 자원의 상태가 좋은 컨트롤러에게 스위치의 마스터 쉽을 넘겨 부하를 분 산시키기 때문에 기존 방식에 비해 효율적이다. 성능평가에 앞서 실제 테스트베드 환경에서 실험하기 전에 시뮬레이션을 위해 미니넷을 이용하여 가상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얻은 데이터를 분석하고 임계치를 설정한다. 그 후 PC와 라즈베리파이 등으로 실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임계치를 적용하여 기존 클러스터링 방식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효율적인 동적 클러스터링 방식을 성능평가한다. 비교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효율적인 동적 클러스 터링이 기존의 클러스터링 방식보다 효율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There are two problems with a single SDN controller network environment. First, a single controller may not be able to handle multiple devices due to communication load and overhead due to the number of devices. Second, on a network such as a WAN, the device may be physically far away from the controller, and latency may be prolonged due to propagation delays when modifying the flow of network devices. Also, SDN networks present on legacy networks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re are clustering of SDN controllers to solve these two problems. Clustering controllers distribute device control and evenly divide processing load, making large-scale network processing easy. Also, since they are dispersed in the network area, delay between the devices can be reduced. In this thesis, we study the system that manages the clustering according to the resource status of SDN controllers and communication between SDN controllers located in legacy network. Prior to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e experiment is conducted by configuring the virtual network environment using the Mininets for the simulation before the experiment in the actual test bed environment. Also, after analyz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it is applied to the actual test bed, and the two data are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clustering algorithm is more efficient than the conventional clustering.

      • 영국 행정법상 '절차적 공정성'(procedural fairness)에 관한 연구

        김준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국가에서 행정은 더욱 적극적이고 형성적인 역할을 부여받고 있다. 그리하여 행정의 객체인 국민은 행정의 기능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행정이 그 과정에서 더욱 공정하고 적법하게 행동할 것을 요구한다. 행정에 대한 절차적 통제가 중요한 쟁점으로 다루어지는 이유이다. 본 논문은 영국 행정법상 절차적 공정성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영국은 적법절차 관념이 처음 시작된 곳이라 평가받는 국가로서, 오랜 기간 행정절차와 그에 대한 법적 통제를 중시해 왔다. 특히 마그나 카르타로부터 시작된 적법절차 관념은 자연적 정의 및 절차적 공정성과 같은 성숙한 법리적 발전으로 이어져 왔다. 영국만의 역사적ㆍ경험적 소산은 적법절차에 관하여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진 우리에게 비교법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우리의 적법절차 원리 역시 그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영국의 마그나 카르타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절차적 공정성은 자연적 정의에 시원적 근거를 두고 있다. 종래 자연적 정의는 사법절차와 사법적ㆍ준사법적 성격의 행정작용에만 적용되어 그 한계가 분명하였다. 그러나 급격한 사회질서의 변화에 따라 행정작용이 다양해지고 행정권한이 확대되었으므로, 행정에 대한 절차적 통제 방법 역시 변화가 요청되었다. 오랜 기간 법원은 일관된 태도를 견지하지 못하였고, 그리하여 영국에서 행정에 대한 절차적 심사는 시기별로 다른 양상을 띠게 된다. 결과적으로 영국 법원은 Ridge 판결을 계기로 절차적 공정성을 개발하였다. 행정에 대한 절차적 심사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절차적 공정성은 자연적 정의와는 달리, 더욱 유연하고 가변적인 개념으로서 개인의 권리와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행정작용을 절차적 심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서는 긍정적 시각과 비판적 시각 모두 존재한다. 이에 따라 현재 영국에서는 절차적 공정성의 적용 범위, 예외적 사유, 한계 등 다양한 쟁점들이 논의되고 있다. 영국 행정법상 절차적 공정성 및 그에 관한 부수적 논의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절차적 권리의 보장에 분명한 한계를 보이는 「행정절차법」과 여러 개별 법규들을 시작으로 하여 우리 행정법 체계 전반을 돌아보게 하고, 현재 헌법상의 기본원리로 통용되고 있는 적법절차 원리가 행정에 대한 재판규범이자 행위규범으로서 의의를 지니는 행정법상의 일반원칙으로 수용될 필요성을 생각하게 하며, 궁극적으로는 국가의 모든 작용에서 적법절차에 대한 우리의 관념이 나아갈 좌표를 설정하게 한다. The role of administration in modern states is both active and formative, resulting in a high degree of reliance among the objects of administration, citizens, on administrative processes. Accordingly, administrative procedures are required to meet high standards of fairness and legality. For this reason, procedural control over administration is an important issue. This thesis focuses on the concept of procedural fairness in English administrative law. As the country in which the concept of due process was born, the United Kingdom has long placed emphasis on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legal mechanisms to control them.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due process, which originated in the Magna Carta, led to the evolution of mature legal principles, such as natural justice and procedural fairness. These developments, the product of the UK’s unique historical circumstances, hold important comparative significance for countries with a relatively short history of due process, such as the Republic of Korea. This holds even more true given that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in South Korean law is based on that adopted in the Magna Carta. Procedural fairness has its foundations in the concept of natural justice. Originally, natural justice had clear limitations, being applicable only to judicial procedures and administrative actions of a judicial or quasi-judicial nature. However, as the scope of administrative action diversified and expanded in conjunction with rapid social change, modifications to procedural controls in this area became necessary. Initially, no consistent approach was adopted in jurisprudence, resulting in varying standards of procedural review in the UK. However, the concept of procedural fairness was developed by UK courts in the wake of Ridge v Baldwin (1964). The purpose of this development was to strengthen the procedural review of administration. In contrast to natural justice, procedural fairness is a more flexible and protean concept, subjecting all administrative action that affects individual rights and interests to procedural review. These changes have received both praise and criticism. The concept of procedural fairness in administrative law is currently under discussion in the English administrative law, with debate on various aspects including scope of application, grounds of exception, and limitations. The concept of procedural fairness in English administrative law, accompanied by discussions concerning its ambit, provide several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administrative law. Beginning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and several other laws that clearly limit the guarantee of procedural rights, this thesis reviews South Korea’s administrative law system as a whole. This review presents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due process, which is enshrineed as a fundamental principle into the South Korean Constitution, meaningfully into Entscheidungsnorm and Verhaltungsnorm. Finally, it proposes measures to actively advance the notion of due process in all state action.

      • Performance Comparison of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with Multi-Power supply

        김준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생물전기분해전지(MEC) 기술은 지속 가능한 하 폐수 처리 공정이며 폐수를 처리함과 동시에 수소를 생산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다만, MEC에서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전압의 인가가 필요하며, 보통 산화전극(Anode) 한 개에 Power supply 1 채널이 필요하다. 만약 MEC가 상용화가 된다면 많은 전극들이 사용이 될 것이고 그에 따라 많은 Power supply를 필요로 할 것이다. 이 점을 고려하여 Power supply 한 채널에 여러 개의 전극을 연결시켜 MEC 성능을 테스트 하였다. 반응기와 Anode는 각각 3개가 사용 되었으며, 반응기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형태의 Batch mode에서 Power supply 한 채널당 전극 하나씩 연결 하였을 때를 3-PD (Power supply Disconnection), 한 채널을 이용하여 모든 전극에 연결 하였을 때를 1-PD 그리고 반응기가 수리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3-PC (Power supply connection), 1-PC로 설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3-PD 조건에서는 평균적으로 1.42 L/L·d의 수소를 생산했고 평균 수소회수율은 71.22%을 달성하였다. 그러나 1-PD 조건에서는 0.59 L/L·d, 36.54%의 수소 생산 및 수소 회수율을 가졌으며, 이 값은 3-PD 조건 보다 약 2.4 배 가량 차이가 났다. 그리고 1-PC 조건에서는 평균 수소생산량과 수소회수율을 각각 1.41 L/L·d, 89.61%값을 가졌다. 이 값은 3-PD 조건에서보다 우수 하였다. 그리고 3-PC 조건에서는 최대로 수소를 생산하였다. 평균적으로 1.51 L/L·d의 수소생산과 73.36%의 수소회수율을 가졌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기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파워서플라이 채널 수를 1개로 하여 여러 전극에 분배하여도 수소 생산측면에서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제시한다. Microbial Electrolysis Cells (MECs) is an innovative environmental and energy system that produce hydrogen gas from organic matter in wastewater. However, in order to produce hydrogen in MEC, voltage must be applied through a power source, and usually a single anode requires a power supply 1 channel.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MEC, many electrodes would be used and therefore require a lot of power supply. Considering this point, MEC performance was tested by connecting several electrodes to one channel of the power supply. A total of three reactors and anodes were used, and 3-PD (Power supply Disconnection), when connecting one electrode per channel of power supply in batch mode, where the reactor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all electrodes using one power supply channel was set to 1-PD. And when reactor is hydraulically connected, the experiment was set to 3-PC (Power supply connection), and 1-PC. At 3-PD, Average hydrogen production rate was 1.38 L/L·d and the average hydrogen recovery was 77.46%. However, at 1-PD, it had 0.59 L/L·d, 40.41%, which was about 2.4 times higher than 1-PD. At 1 PC, Average hydrogen production rate and average hydrogen recovery were 1.41 L/L·d and 97.47%, respectively. This value was better than at 3-PD. Hydrogen production rate was maximized at 3-PC. On average, it produced 1.51 L/L·d and 79.79%.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umber of power supply channels in one connected reactor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hydrogen production rate side even when distributed to several electrodes.

      • 刑法 第27條의 結果發生不可能性과 危險性에 관한 硏究

        김준혁 慶南大學校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형법 제27조는 ‘불능범’이라는 표제로 “실행의 수단 또는 대상의 착오로 인하여 결과의 발생이 불가능하더라도 위험성이 있는 때에는 처벌한다. 단, 형을 감경 또는 면제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 규정의 결과발생불가능성의 판단기준에 대해서는 크게 자연과학적 · 사실적 기준에 의해 판단해야 한다는 견해와 규범적 기준에 의해 판단해야 한다는 견해로 나뉜다. 전자의 견해는 이론구성이 간명해진다는 점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빈 호주머니 사건이나 불량탄환 사건등을 판단함에 있어서 불능미수로 판단하게 되는 등, 불능미수영역이 무한대로 넓어질 수 있는 결정적인 단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어떤 기준에 의해 얼마나 불가능해야 결과발생불가능하다고 판단할 것인가라는 규범적 기준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규범적 기준에 관해서, 결과발생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결과발생의 ‘위험성’이 없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므로, 현재 통설이 불능미수의 위험성을 판단하기 위해 논의하고 있는 학설들을 원용할 수 있다. 구객관설은 절대적 불능과 상대적 불능으로 구별하는 견해인데, 실질적으로는 자연과학적 · 사실적 기준에 의해 판단하는 견해와 동일한 평면에 있는 견해이므로 부당하다. 주관설은 불능미수와 장애미수를 동일시하는 이론으로서 결론적으로 불능미수를 부정하게 되므로, 불능미수 특정을 위한 결과발생가능성의 판단기준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인상설과 추상적 위험설은 일반인에게 법적대적 인상을 줄 위험 또는 법질서 전체에 대한 위험을 기준으로 삼는 학설이기 때문에 구체적 구성요건에 대한 현실적인 결과발생 위험성을 규명하기 위한 도구로는 적합하지 않다. 즉 여기서 결과발생의 위험성을 판단해야 하는 대상은 구체적인 범죄실현이다. 따라서 구체적인 범죄기수에 대한 구체적인 위험이 없어야 결과발생불가능성이 인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과발생에 대한 위험성은 구체적 위험설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구체적 위험설의 관점에서 행위 이전의 행위자의 위치에 있는 신중한 인간의 판단에 따라 그 행위가 구체적으로 위험하지 않은 범행의 시도라면 결과발생의 위험성이 부정된다. 즉 행위자의 범행계획을 알고 있는 신중한 인간의 사전판단에 의하여 그 행위가 범죄기수에 이르지 않을 것이라고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경우에 범죄기수의 위험성이 부정되고 제27조가 말하는 결과발생의 불가능성이 인정된다. 제27조는 불능미수의 성립요건으로 결과발생불가능성 이외에도 위험성이라는 요건을 요구하고 있다. 통설적 입장은 위험성을 불능미수의 핵심적 요소로 보고 위험성판단에 논의를 집중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위험성이 불능미수를 징표하는 독자적 표지가 아니라는 유력한 견해들이 등장함에 따라 위험성에 관한 논의는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생각건대 형법 제27조에서 말하는 위험성은 미수범 처벌의 근거에 관한 입법자의 생각이 표현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미수범의 성립, 즉 미수개념설정을 위해서는 미수범처벌의 근거로서 미수범의 실질적 불법을 근거짓는 위험성이 확인되어야한다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위험성을 불능미수만의 독자적인 표지라고 말할 수 없다. 입법자는 위험성여부가 첨예하게 문제될 수 있는, 즉 가벌적 위험성의 정도가 가장 약한 불능미수영역에 이를 명문화하고 있을 뿐이다. 결국 제27조의 위험성이란 미수범으로서 처벌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하한의 위험을 규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27조의 위험성은 미수처벌근거 내지 실행의 착수에서 인정되는 위험성과 완전히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불능미수의 위험성에 대한 독자적 표지성을 부인하는 입장 중 일부 견해에 의해 주장되는 것처럼 전혀 불필요한 개념이나 논증의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가벌적 미수영역의 확정을 위해서 반드시 그 정도가 규명되어야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실행의 착수에서 주관적 객관설에 의해서 인정되는 위험성이라는 것은 위험성이 인정되는 그 시기에 대한 판단이지 정도에 관한 판단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불능미수영역에서 논의되고 있는 위험성에 관한 학설들은 위험성의 정도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매우 유용한 도구이다. 다만, 이러한 위험성을 미수개념설정상의 실행의 착수영역에서 규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인지, 아니면 현재처럼 불능미수영역에서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지에 대해서 살펴본다면, 형법도그마틱의 정합성과 형법적 사고순서에 입각해서 미수개념설정을 위한 실행의 착수영역에서 논증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결과발생불가능성의 판단보다는 미수의 위험성이 먼저 판단되는 것이다. 물론 현재처럼 불능미수영역에서 위험성을 논하는 자체가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고, 현재의 논의상황도 법문언에 충실한다는 점에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어차피 위험성이라는 것은 미수범 전반에 걸쳐 요구되는 것이므로, 미수개념설정과정에서 논증이 되어야 이후의 검토단계인 중지미수, 불능미수, 장애미수 전반에 걸쳐 실행의 착수의 위험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할 수 있는 해석이 되는 것이다. 특히 위험성이 불능미수의 독자적 표지라는 입장을 전제로 구체적 위험설에 따르게 되면 미수범처벌근거에서 인상설을 따르고, 불능미수영역에서는 구체적 위험설을 따르는 이른바 2중의 위험성판단이라는 비판을 받게 되고, 불능미수의 위험성을 논하는 학설들이 각각의 판단기준에 따라 무죄로 판명되면 비로소 “외형상은 실행의 착수가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인 실행의 착수가 없는 것이다”라고 하는 설득력이 떨어지는 분석을 하고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본 논문의 해석이 더욱더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요컨대 제27조가 규정하는 위험성이라는 법문언은 미수개념전체에서 반드시 확인되어야 할 가벌적 미수영역설정을 위한 확인적 · 주의적 규정으로서 유용성을 지니고 있지만, 굳이 그러한 법문언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미수개념자체 내지 실행의 착수에서 도출되어야 하는 위험성은 존재할 수밖에 없으므로 제27조에서 위험성이라는 문언을 삭제하더라도 미수영역의 해석론은 달라지지 않는다. 다만, 입법론으로써 굳이 위험성을 규정하려면, 제27조가 아닌 제25조의 미수개념 성립요건상에 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possibility of the consequence-birth on article 27 requires the legal standard, not the real standard. In this view, the impossibility of the consequence-birth means that the dangerousness of the consequence-birth doesn't exist, so we can utilize the theories of the section in the dangerousness on article 27. As the ‘objective theory’ distinguishes the absolute impossibility from the conditional impossibility and exists in the section of the real standard, it isn't proper. The ‘subjective theory’ regards the obstacle attempt in the same right as the impossible attempt, consequently, it denies the existence of the impossible attempt, so it isn't acceptable. The ‘impression-theory’ and ‘abstract dangerousness theory’ are the theories which have the standard of the dangerousness against the whole justification, so they are not proper utilities which get at the roof of the impossibility of the consequence-birth. In this section, the target of the judgement whether the danerousness exists or not is the concrete execution of crime. Therefore, the impossibility of consequence-birth can be recognized when the concrete dangerousness of the concrete crime-completion doesn't exist in the execution of crime. Consequently, the dangerousness of consequence-birth must be understood in the view of ‘concrete dangerousness theory’. Article 27 requests the dangerousness also. The prevalent parties regard the dangerousness as the core point in the analysis of the article 27. But the dangerousness is not the article 27's own factor. The obstacle attempt and the voluntary-stop attempt also have the dangerousness. Therefore the dangerousness of the article 27 means the minimum dangerousness of punishable attempt. To sum up, the impossible attempt on article 27 means ‘an punishable impossible attempt’ with dangerousness. The starts of commissions of all punishable criminal acts including the punishment ground of an attempted crime are the expressions of hostile wills to the law, and so they contain dangerousness to disturb general person's truth within the force of the law. We can call it ‘abstract dangerousness’. This dangerousness is required in all of the attempted crimes, so the dangerousness on article 27 is not an unique factor in the futile attempt. And the dangerousness of the start of commission falls in with the dangerousness on article 27 perfectly. Therefore, the judgement order of the futile attempt can be reform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a punishable attempt has to be preceded according to article 25 with the start of commission and the result non-occurrence. Second, the voluntary stop attempt and the futile attempt must be investigated. If the attempt is not included in both attempt, it is decided in the obstacle attempt finally.

      • 기계적 스트레스에 강인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산화물 게이트 구동회로

        김준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기계적 스트레스에 강인한 캐리타입 게이트 구동회로를 제안하였다. a-IGZO(Amorphous Indium Gallium Zinc Oxide) TFT(Thin Film Transistor)는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TFT보다 공정 온도가 낮고, a-Si (Amorphous Silicon) TFT보다 이동성과 신뢰성이 높아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backplane 기술로 적합하다. 하지만, a-IGZO TFT는 물리적 변형으로 인한 기계적 스트레스에 의해 소자의 열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자에 대한 기계적 신뢰성 향상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2]–[8]. 그러나, 대부분 소자 및 공정에 관한 연구이고 회로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초기 단계인 상황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에 내장된 게이트 구동회로는 기본적으로 신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 동작을 한다. 대부분의 게이트 구동회로는 이전 단의 출력 신호를 다음 단의 구동 TFT의 게이트 노드를 프리차지하는 캐리 신호로 사용한다. 스트레스가 인가되는 상황에서 게이트 구동회로 가 정상 동작을 하기 위해선 캐리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이전 연구에서 스트레스 상황에서 프리차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프리차지 시간을 늘리는 회로가 제안되었지만, 고해상도 및 고 주사율 디스플레이에서 시간제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리차지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듀얼-부트스트랩 구조를 제안하였다. A carry-type gate driver with improved robustness against mechanical stress is proposed for flexible displays. Amorphous Indium Gallium Zinc Oxide (a-IGZO) TFTs are very promising as the backplane technology for flexible displays, because they have a lower process temperature than LTPS TFTs and have higher mobility and reliability than ta-Si TFTs. However, degradation of a-IGZO TFTs caused by mechanical stress when a display panel is bent is a very serious issue. Many research results on this issue have been reported, most of which have approached the issue from the side of material, process or device technologies, but research from the circuit side is in the early stage. The gate drive circuit of a display panel basically operates as a shift register that sequentially outputs signals. In most gate driver circuits the output signal of the previous stage is used as a carry signal to pre-charge the input node of the driving TFT in the next stage. This signal is very important for the gate driver to properly operate, especially under the mechanical stress condition. In a previous study, a circuit technique to elongate the pre-charging time for better pre-charging was proposed, but it faces the time limitation in high-resolution and high refresh rate displays. In this paper a dual-bootstrap structure is proposed to improve the pre-charging cap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