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에서 영어듣기 향상에 미치는 받아쓰기 지도의 효과

        김준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영어듣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받아쓰기를 지도하고 그것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영어 받아쓰기는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향상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영어 받아쓰기는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학습에 있어 자신감과 성취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연구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남 거제시 J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으며 그것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받아쓰기는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전, 실험반과 통제반 모두의 듣기에 대한 사전 평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12주간동안 실험반은 주 2회에 걸쳐 대화문, 노래, 챈트를 중심으로 부분 받아쓰기와 전체 받아쓰기를 혼합하여 지도하고, 통제반은 받아쓰기 과정 없이 말하기, 듣기 중심의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12주 후, 듣기 평가를 실시하여 두 집단 간의 결과를 분석한 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어 받아쓰기는 초등학생의 영어 듣기학습에 있어 자신감과 성취감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받아쓰기에 대한 사전 설문조사에서 실험반과 통제반의 학습자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12주간의 실험을 거치면서, 몇몇의 항목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실험반의 영어교과의 흥미부분에서 사전 설문조사 시 응답자가 28%였던 것이 사후 설문조사에서 56%로 상승하고, 실험반 중, 자신의 영어 성적에 만족하고 자신감을 갖는 부분에서도 사전 설문조사 때보다 사후 설문조사에서 2배의 응답자가 매우 만족한다고 나타나는 등 실험반의 많은 학습자들이 영어 듣기 학습에 자신감과 성취감의 긍정적인 면에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 영어 받아쓰기 지도가 언어 학습의 초기 단계에 있는 초등학생들의 영어듣기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 받아쓰기 시에 사용되었던 대화문, 챈트, 노래 등의 문장들이 학생들에게 익숙해져 생활 중에 노래를 하거나 대화중에 사용되어지는 긍정적인 효과도 나타났다. 따라서 받아쓰기 지도 시, 부분 받아쓰기 지도보다는 더 효과적인 문장 전체 받아쓰기에 비중을 많이 두어 진행하며, 매 수업시간마다 자연스럽게 적용시켜야겠다. 또한 받아쓰기 자료는 대화문만이 아니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챈트, 노래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췌하여 프로그램을 개발 및 활용함으로써 학생들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수업이 되도록 노력하여야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ervise dictation for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see its effectiveness. The following two study projects were established for the research purpose. First, does English dictation affect the English liste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Sefcond, does English dictation positively affect the confiden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s in English listening of elementary students? Fourth grade students of J elementary students in Geoje-si, Gyeongam were subjects of this study to resolve the research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nglish dictation showed attentive effect in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Both test class and control class showed no attentive difference in listening omprehension before the experiment. However, test class was supervised with partial and whole dictation of conversation section, songs, chants two times a week for twelve weeks and control class had no dictation but only the ordinary class of speaking and listening. The listening ability test after twelve weeks in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English dictation showed positive affect on confiden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The preliminary survey test of English dictation in test class and control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veral items showed no difference after twelve weeks of research. However, 28% answers in preliminary survey of English curriculum interest section in test class increased to 56% in post survey. The twice of participants in test class were satisfied with the English grad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the post survey than the preliminary survey whic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idence a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English listening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upervision of English dictatio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listening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in early stage of learning. The conversation section, songs, chants used during the dictation showed positive effect in normal conversation and singing. Therefore, whole sentence dictation should have more portion than partial dictation during dictation supervision and naturally apply to every class. Furthermore, dictation material should be extracted from chants and songs to arouse interest, not just from conversation, for progra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o make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 어린이집 종사자의 멘토링에 대한 인식과 요구

        김준자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종사자의 멘토링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종사자들의 직위에 따른 멘토링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시설유형에 따른 종사자들의 멘토링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 가? 3. 어린이집 종사자의 경력에 따른 멘토교육에 대한 인식 및 요구는 어떠한가? 이상의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설문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고찰은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학술지 및 선행연구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구성하였다. 조사 연구는 연구자가 지도교수의 자문과 선행연구를 통해 작성한 설문지를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전남 동부지역인 순천, 광양, 여수의 어린이집 종사자들을 연구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가용성이 있는 330부를 통계 처리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대한 인식 및 요구에서 대부분의 교사가 멘토링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었고, 직위가 올라갈수록, 경력이 오래될수록 멘토링 참여의사가 높았으며, 좀 더 제도적인 차원에서 지속적인 멘토링을 받기를 바라고 있었다. 또한 교사자질 향상과 역할모델의 필요성, 교사로서의 효능감 증진을 위해 멘토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전담 보육시설 종사자들은 특히 멘토링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멘토를 위한 교육은 어린이집종사자의 경력이 오래될수록 참여의사가 높았는데, 3-6개월 정도, 협의 및 그룹토의방식, 강의, 워크샵 등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의 경력과 근무하는 시설유형에 따른 세분화된 멘토링의 내용과 멘토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