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valuation of Sutureless Cataract Surgery with Implantation of Foldable Intraocular Lens (IOL) through Clear Corneal Incision in normal Beagle Dog Eyes

        김준영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47

        한글초록:수정체나 수정체 막이 불투명해져서 실명에 이르게 하는 중요 원인 중에 하나인 백내장은 개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안내 질환 중 하나이다. 백내장의 치료방법으로는 수술적으로 백내장이 된 수정체를 제거하는 것이 유일하다고 대부분 받아들이고 있다. 수의안과학 분야에도 수정체유화흡입술이 발달함에 따라 개에서의 백내장 치료는 괄목할 정도로 발달 하였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백내장 수술의 성공율이 높아짐에 따라 수의 안과학자들은 어떻게 하면 백내장이 된 수정체를 제거한 후에 보다 더 적절한 시력을 개에게 가질 수 있게 할 수 있을가를 고민하게 되었다. 물론 개가 정시안의 시력이 필요한지에 대한 논쟁의 여지는 여전히 있지만, 일부 연구에 따르면 광학상 초점이 맞지 않는 것이 개에서 시력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투명 각막 절개를 통한 무봉합 백내장 수술이 개의 안구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투명 각막 절개를 통한 봉합 및 무봉합 백내장 수술을 굴절력의 상태와 안압 그리고 각막 절개창에서의 신생혈관의 생성을 이용하여 비교 평가 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접힘 인공수정체가 개의 백내장 수술에서 얼마나 유용한지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눈의 굴절력 상태, 그리고 안압을 평가하여 무수정체 안과 40 디옵터 (D)의 접힘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인공수정체 안을 비교 평가 하였다.본 연구를 위해 여섯마리의 건강한 비글 견을 이용하였으며, 이 여섯마리의 총 열두 안은 AS (봉합 수술을 한 무수정체 안), ANS (무봉합 수술을 한 무수정체 안), 그리고 PNS (무봉합 수술을 한 인공수정체 안)의 세그룹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임상적인 검사를 위해 신체검사와, 혈구 검사, 혈액화학검사 그리고 방사선 사진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개가 이들 검사에서 정상을 보였다. 눈 검사를 위해 눈물량 검사, 안압검사, 안저검사와, 세극등 생체 현미경을 이용한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개가 정상이었다. shallow-groove 투명 각막 절개와 인공수정체의 삽입 그리고 무봉합 백내장 수술 방법은 Fine (1992년)이 제시한 방법을 변형시켜 개의 안구에 적용한 김준영의 방법 (2005) 에 따라 실시 하였다. 3.0 mm 투명각막 절개를 각막 윤부에서 1mm 위쪽에서 실시하였다. Descemet 막에 절개도가 닿은 후에 야간 아래쪽으로 절개를 하여서 절개 구조가 다평면을 가지게 하였다. 수정체 유화흡입술을 실시한 후에 PNS 그룹을 위해 3.2 mm로 절개창을 넓힌 후 40 D의 접힘 인공 수정체를 인공수정체 주사기를 이용하여 삽입하였다. ANS와 PNS 그룹에는 투명각막 절개를 한 절개창에 기질층을 수화시켜서 스스로 폐쇄되도록 하였다. 굴절력에서는, 봉합을 하지 않은 무수정체 안이 약간의 근시 (0.94±0.42 D) (mean±S.E.)를 보인 반면에 봉합 유무에 상관없이 무수정체 안은 심한 원시 (18.39±0.44 D) (mean±S.E.)를 보였고 수술에 의해 변화된 구면화 대응치는 인공렌즈의 삽입여부에 따라 유의성 있게 차이가 있었다(P≤0.05). 봉합을 실시한 안구에서 1.33±0.33 D (mean±S.E.)의 난시가 유발된 반면에 무봉합 안에서는 난시가 유발되지 않았으며 수술에 의해 발생한 난시는 봉합 여부에 따라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수술 후 안압 변화는, 총 28일간의 검사에서 봉합이나 인공수정체의 삽입이 안압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P>0.05). 신생혈관의 형성에서는, 봉합군과 무 봉합군 사이에 의미 있는 다른 점이 절개창에서 나타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개에서 정시안을 회복하는 것과 수술 후 안압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점과 각막에서 의미 있는 신생혈관의 형성이 없는 것으로 볼 때, 투명각막절개를 이용하여 접힘 인공 수정체 삽입을 동반한 무봉합 백내장 수술은 효과적인 개의 백내장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영문초록:Cataract, which is any opacity of the lens or lens capsule,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blindness and one of the intraocular diseases that most frequently occur among dogs. Only the surgical removal of the cataractous len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its treatment. With the development of phacoemulsification in veterinary ophthalmology, however, canine cataract extraction has been remarkably developed as well. The increasing success rate of this technique has prompted veterinary ophthalmologists to look into how dogs can regain a considerable degree of their previous navigation vision after the removal of the cataractous lens. Although whether a dog with cataract requires emmetropia is still the subject of debate among veterinary ophthalmologists, a number of studies have reported that optical defocus i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visual acuity of dogs. This study, therefore,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how effective sutureless cataract surgery with clear corneal incision is on canine eyes. Towards this end, suture cataract surgery was compared with sutureless cataract surgery with clear corneal incision in terms of the refractive error (especially in a cylindrical state) and of the alteration of the postoperative intraocular pressure (IOP) and neovascularization on the cornea at the incision site.The second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how useful foldable IOLs are in canine cataract surgery. Towards this end, the refractive state of the eyes 28 days postoperatively and the IOP change after the same number of days were evaluated so as to compare aphakic eyes with pseudophakic eyes in which a foldable IOL was implan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ix healthy Beagle dogs whose twelve ey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amely: AS (aphakic eyes with suture surgery), ANS (aphakic eyes with no suture surgery), and PNS (pseudophakic eyes with no suture surgery). For the clinical examination, physical examination, complete blood count, serum chemistry,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normal for all the dogs that were examined. For the ophthalmic examination, Schirmer tear test, applantation tonometry, monocular indirect ophthalmoscopy, and slit lamp test were conducted on all the dogs, and the results were normal for all of them. A shallow-groove clear corneal incision, foldable IOL implantation, and sutureless cataract surgery (Kim, 2005) were conducted, which were modified from the study of Fine (1992). A 3.0-mm clear corneal incision was made 1 mm beyond the limbus. After contacting Descemet’s membrane with a knife, the dimple-down technique was used for multiple-planes-of-incision construction. After phacoemulsification, for the PNS group, 40-D foldable IOL was injected with the use of an IOL injector into a 3.2-mm enlarged incision site. For the ANS and PNS groups, stromal hydration of the clear corneal incision was conducted to facilitate self-sealing.In the refractive error, although the pseudophakic eyes without suture were slightly myopic (-0.94 ± 0.42 D) (mean ± S.E.), the aphakic eyes with and without suture were hypermetropic, with 18.39 ± 0.44 D (mean ± S.E.). Furthermore, the surgically induced change of the spherical equivalent when the IOL was implanted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when it was not (P ≤ 0.05). Astigmatism was not induced in sutureless cataract surgery (for both the aphakic and pseudophakic eyes), but 1.33 ± 0.33 D (mean ± S.E.) astigmatism was induced in suture cataract surgery. Moreover, the surgically induced astigmatism in sutureless cataract surgery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at in suture cataract surgery (P ≤ 0.05).In the postoperative IOP alteration, for 28 days, suture and IOL implantation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IOP (P > 0.05). In the neovascular formation at the cornea, no noticeable difference between the wounds of the suture and sutureless groups was detected

      • BiFPN 기반의 RetinaNet을 이용한 객체 탐지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김준영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SNS가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다. 2010년대 이후 컴 퓨터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딥러닝 관련 연구가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딥러닝은 자연어 처리에서부터 컴퓨터 비전까지 안전, 의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특히 컴퓨터 비전 중 영상처리 분야에서 인간의 시각 요소 분석을 컴퓨터가 대신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영상처리 분야 중 딥러닝을 사용하여 영상 내 객체를 탐지하는 객체 탐지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딥러닝 기반 객체 탐지는 스마트폰, 드론, 보안, 자율주행, 로봇,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컴퓨터 비전 기술이다. 이러한 객체 탐지 기법은 사용 목적에 부합되는 결과를 제공하고 실시간으로 동작하기 위해 빠른 속도와 높은 수준의 정확률을 요구한다. 딥러닝을 활용한 객체 탐지 기법은 1단계 기반의 객체 탐지 알고리즘과 2단 계 기반의 객체 탐지 알고리즘으로 구분할 수 있다. 1단계 기반의 알고리즘은 빠른 속도가 장점이지만 비교적 낮은 정확도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2단계 기반의 알고리즘은 높은 정확도가 장점이지만 가지지만 느린 탐지 속도를 포함하고 있다. 현재 딥러닝을 활용한 객체 탐지 기법은 1단계 기반의 알고리즘 장점과 2단계 기반의 알고리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객체 탐지 알고리즘의 성능 향상을 위해 1단계 기반의 RetinaNet 알고리즘에 BiFPN 구조를 적용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FPN이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BiFPN 구조로 변경한다. 또한, ReLU 활성화 함수에 음수가 입력되면 학습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ELU 활성화 함수를 사용하여 학습 중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아울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객체 탐지 모델의 성능평가를 위해 COCO 데이터 집합과 데이터 저장장치 이미지를 활용하여 기존 모델과 비교 및 평가한다.

      • 대학 축구동아리활동이 대학생활만족 및 친 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김준영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extracurricular activitiescollege footballcollegepro-social behavior,the relationship betweenlife satisfactionandis intended toidentify. To this end,college footballclubsinNorth Jeolla Provincehasselectedthefour schoolswere selectedwere200playersand club activities. Measuring Tools college satisfaction songuisuk (2002) survey, based supplement was pro-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Bar-Tal (1979) developed a pro-social behavior, checking whether the Eisenber (1989) of the itai-star self-examination whether based on the adaptation Revision complemented by hanseonah (2010) based on whether the pro-social behavior by writing tests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C + ver 15.0 T-test, variance analysis, one won (one way ANOVA), analysis of the regression analysis was Depending on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se studies the conclusion was drawn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llege football, extracurricular activities, mo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grade, and club career, a four-nyeonmi Only football career, participating in strength, the four or more times winning two clubs contest, the prize prized club competition experienced personnel activ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college football activities that are feeding. Second, according to the colleg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et the mo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partial pro-social behavior (education, career club contest, club tournament prize u: 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is prize may have experienced more grade 4, also winning four times or more clubs participating in competitions, diets that are good working relationship. Fourth, college football and college extracurricular activities satisfy the partial (frequency)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is a profess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nsity involved in the learning activities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This is about 4-5 days a week, less than one hour of exercise an effective means to meet the college. Fifth, college football, pro-social behavi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partial (intensity) an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That is more than two hours from strength to jo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otball participants with pro-social behavior means that the availability. Sixth, college football, college and club activities and life satisfaction, and pro-social behavior showed that almost does not influence.

      • 프로펠러 단면 형상 공력 설계최적화

        김준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트엔진기술의 발전으로 침체된 프로펠러 설계에 대한 연구는 최근의 중·고고도 장기 체공 UAV(무인 비행체), 태양광 비행기 등의 개발에 따라서 다시 설계 기술적 연구가 대두되었다. 그러나 보다 정교하고 완전한 설계를 위해서는 프로펠러 단면 형상의 분포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하며 공력해석도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 CFD)을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펠러 3차원 형상 설계를 위한 전 단계로서, 2차원 단면 형상에 대해서 형상 설계최적화를 수행했다. 프로펠러의 단면 형상을 설계하기 위하여 먼저 CFD를 이용하여 NACA의 풍동시험 데이터로 이를 검증하여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수치최적화 기법으로는 심층 신경망 이론인 딥러닝(Deep Learning)을 사용했으며, 구축된 메타모델로 직접 수치최적화(Direct Numerical Optimization)와 역설계(Inverse Design)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연구내용 프로펠러 단면 형상을 정밀하게 표현하기 위한 NURBS(Non-Uniform Rational B-Splines) 기반의 형상 함수를 사용했다. 이를 사용하여 생성된 익형의 윗면과 아랫면에 각각 5개씩, 총 10개의 조정점을 설계변수로 선정하고, 약 40,000개의 교란익형 형상을 생성시켜 각 case별 CFD 해석을 진행하였다. 해석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익형 형상생성 모듈과 격자생성 모듈 및 공력해석 모듈 들을 개별적으로 Script를 구성하여 자동화하며, 이들을 전체적으로 Visual basic을 사용하여 상호 연결시켜 함께 자동화된 Framework를 구축하였다. 설계최적화 제약조건으로는 익형의 면적을 제약조건으로 삼고, 목적함수를 최대 양항비로 정했다. 직접 수치최적화 알고리즘으로 전역최적화 기법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여 프로펠러의 단면 형상을 최적 설계하였다. 역설계 최적화에서는 익형의 공력특성 및 면적 대비 해당 형상을 앞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시켜 역 메타모델을 구축했으며, 이를 CFD 해석과 비교한 결과와 설정한 오차범위 이내에 들어오는 최대 양항비를 역설계 최적화결과로 삼았다. 역설계 최적화 결과를 직접수치최적화 설계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역설계 최적화 및 직접수치최적화 결과 두 가지 모두 비슷한 설계형상을 보였으며, 최대두께의 위치가 후방에 위치하여 천이위치가 후방으로 약 12% 이동하여 양항비가 약 9% 정도 향상됨을 보였다. 이는 딥러닝의 방대한 데이터에서 뛰어난 예측 능력을 활용한 연구라고 할 수 있다. Research on propeller design, which has been stagnant due to the advancement of jet engine technology, has been redesigned according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mid/high-altitude long-term Unmanned Aerial Vehicles and solar-powered airplanes. However, for more elaborate and complete design, the distribution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peller must be considered, and the aerodynamic analysis also needs to be analyzed through Computational Fluid Dynamic. In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ep for the propeller 3D shape design, shape design optimization was performed for the 2D cross-sectional shape. In order to desig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peller, first, CFD was used to verify this with NACA wind tunnel test data to ensure reliability. As a numerical optimization technique, deep learning, a deep neural network theory, was used, and Direct Numerical Optimization and Inverse Design Optimization were performed with the constructed meta-model. The contents of the study used a NURBS-based shape function to accurately expres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peller. Using this, a total of 10 control points, 5 each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airfoil, were selected as design variables, and about 40,000 disturbing airfoil shapes were created, and CFD analysis was performed for each case. In order to shorten the database construction time through the analysis, the airfoil shape generation module, the grid generation module, and the aerodynamic analysis module were individually configured and automated in scripts, and the entire framework was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Visual basic. As the design optimization constraint, the area of the airfoil was used as the constraint, and the objective function was set as the maximum Lift/Drag ratio. As a Direct Numerical Optimization Algorithm, optimization was performed using a Genetic Algorithm, one of the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s, to optimally desig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peller. In Inverse Design Optimizatio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airfoil and its shape compared to the area were learned using a deep learning technique using an advanced database to construct an inverse meta-model, and the result of comparing this with the CFD analysis and the maximum Lift/Drag ratio that came within the set error range were determined. It was taken as the Inverse design Optimization result. The validity was confirmed by comparing the Inverse Design Optimization results with the Direct Numerical Optimization design results. As a result of Inverse Design Optimization and Direct Numerical Optimization, both showed similar design shapes, and the position of the maximum thickness was located at the rear, and the transition position moved to the rear by about 12%, indicating that the Lift/Drag ratio was improved by about 9%. This can be said to be a study that utilizes excellent predictive power in the vast amount of deep learning data.

      • 폴리도파민 환원 무전해 도금에 의한 폴리스티렌/은 복합입자의 합성 및 물성 연구

        김준영 수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Polymer/metal core-shell particles have drawn tremendous research interest in catalysis, biochemistry, electronics, and photonics. In this study we prepared polystyrene (PS)/silver (Ag) core-shell particles with uniform thickness through electroless plating by employing polydopamine (PDA) and glucose as reducing agents. First, monodisperse spherical PS particles of 3 micrometers were synthesized by dispersion polymerization. Non-spherical particles, either prolate or oblate spheroidal particles, were prepared by stretching or squeezing polyvinyl alcohol film containing the PS spherical seed particles. PS/PDA particles were prepared by self-oxidative polymerization of dopamine, where catechol and amine groups of PDA can potentially reduce silver ions. The thickness of Ag layer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glucose concentration and was found to vary on a function of glucose concentration. We found that th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PS core/Ag shell composite particles were affected by the morphology and shape of composite particles. Ag layers were successfully encapsulated on spherical and non-spherical PS particles, resulting in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The PS/Ag composite particles coated on the prolate PS particles with the aspect ratio of 1.45, the electrical conductivity reached 8.4 × 105 S/m. Different electrical conductivity was observed with varying packing volume fraction and particle shape. Lastly, We investigated the so called "coffee ring effect" of the suspensions composed spherical particles and non-spherical particles. It was observed that the non-spherical PS particles suppressed the coffee ring effect, whereas the spherical counterparts encouraged clear coffee ring effect.

      • 唐代 薛濤와 朝鮮 黃眞伊의 詩歌 比較 硏究

        김준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论文比较研究了代表中国和韩国的妓女诗人薛涛和黃真伊的文学。本论文意在研究唐代薛涛的生活和文学的真相,并进一步深入研究朝鲜朝黃真伊的生活和文学世界。薛涛和黃真伊在时代上相差800多年,在地域上分别属於中国和韩国等具有时间·空间上的距離。但是两個人的妓女身份和才能, 文学性等诸多方面可以看作是充分的比较对象。 本論文共分七章,其內容略述如下: 第一章是序論.提出問題,幷介紹旣存硏究情況及硏究對象和方法. 第二章薛涛和黃真伊的生平和诗歌创作背景进行了研究。虽然薛涛和黃真伊两位诗人的出生年代都不明确,但是通过與文士们的交往对其生平年度进行了研究。作者将诗歌的创作背景分为唐代和朝鲜时代,通过时代性背景和文学性背景分别进行了叙述。 第三章薛涛和黃真伊的交往关係进行了研究。薛涛和黃真伊以妓女这一特殊身份與节度使和文士们交往,这成为薛涛和黃真伊的重要的文学性背景,也是可以推测出生年代的重要的基礎。 第四章薛涛和黃真伊的诗歌内容进行了研究。两位诗人的作品特点是:作为女性,对爱情和离别所共有的作品的内在情调,而且不被世俗所限,表现了人间真实的感情。作品并未停留在女性所特有的感伤,而是将视角扩大到了客观世界,从而将诗的领域扩展到自然诗或边塞诗及懷古诗。薛涛的诗的领域更加多样化,尤其是表现对官吏的讽刺和爱国之情的作品超越一般的语言巧妙又温柔的诗的普遍性,表现出刚健又豪放的笔锋,给人带来感动。 第五章薛涛和黃真伊的诗歌形式进行了分析。薛涛在形式上拥有當时诗人所拥有的一般的技巧之外,尤其喜欢使用七言绝句。黃真伊也喜欢七言绝句,并自由使用多种多样的修饰法,从而被评价为修饰技巧卓越。尤其是她的时调尽量生动地表现了我们民族的的语言之美。 第六章研究了薛涛和黃真伊的文学史性评價和意義及對後代詩壇的影響。薛涛和黃真伊并未停留在妓女这一身份上,而是與當时的一流才子进行交流,开发文学素养,从而形成了所特有的文学领域。薛涛流传着不亚于當代男性作家的多数作品,作品水准也相當高。晩唐张为在『诗人主客图』将薛涛作为唯一的女性放到淸奇雅正的昇堂之位,因此,可以称得上是中国最高境界的女诗人。黃真伊在汉诗中表现得既乾练又懂得节制,并在时调中将人间的情感用美丽又纯粹的民族语言表现出来,其多样化的修饰法和恰到好处的语言选择可以称得上是韩国女性诗人的最高境界。 第七章是结尾 黃真伊和薛涛, 这两位妓女诗人的生平和文学的比较性研究对深入理解中·韩妓女文学有着重大的意义,而且相信能够成为对女性文学不断进行研究的契機和基础,从而使中·韩古典文学更加豊富。在这一基础上,今後将对中国和韩国的妓女文学以及女性文学进行更加全面深入的比较與研究,从而使之成为在中ㆍ韩文学史上更加有意义的研究。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