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형 디젤 배기가스에서 NO2에 의한 디젤 매연 여과 필터의 재생 특성에 관한 연구

        김종훈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air pollution due to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has occurred and has critical influence on environment and society, so people particularly more interested in the air pollution caused by the vehicles such as car and truck. Especially in the case of diesel engine vehicles, they have so many advantages of high power and low fuel consumption in comparison with gasoline fueled vehicles. Although diesel engines have advantages of high power and low fuel consumption in comparison with gasoline engines, several problems with exhaust gas emitted by diesel engine must be solved. The major concern is a reduc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PM) which affects the organic health of people and environmental impact. To reduce emission of diesel soot, 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has become widely known as an indispensable after-treatment component of the purific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in the diesel exhaust gas and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by many researchers.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e development of DPF is the regener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trapped in the filter. Because of the fuel penalty resulting from the increased backpressure of the loaded DPF, it is necessary that the filter be regenerated, either periodically or continuously, during regular engine operation. There exist so various methods for regeneration of the diesel soot captured by the filter. Of these, the NO₂ regeneration which can oxidize the diesel soot at even lower temperature than that of thermal regeneration using O₂ is proposed and widely used to continuously regenerate the diesel soot. However, due to the regeneration of the trapped diesel PM which is associated with a lot of variables, there is a limit with experimental research. Consequently, the mathematical model which is the possibility to assist an experiment feels a necessity and has become extensively adopted to describe the experiments.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anges of exhaust gas temperature and O₂ concentration and then finally numerical simulation to predict the NO₂ concentration required for continuous regeneration of the particulate matter deposited in the DPF is performed by using the 1D simulation code. After conducting the validation of the present study comparing the present result with the previously published data, various numerical experiments are conducted including the proper NO₂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various soot mass flow rate, and then a correlation between the particulate matter flow rate and NO₂ concentration for continuous NO₂ regeneration is suggested.

      • M-WiMAX 시스템에서 다중 접속 간섭에 강건한 레인징 성능 향상 기법

        김종훈 인하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발 이후, 고속 이동 환경에서도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3.5세대 및 4세대 광대역무선 접속 방식으로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방식이 여러 표준안에서 주목 받고 있다. OFDMA 방식은 여러 사용자들에게 각기 다른 직교성을 가진 부반송파들을 할당하여 동시에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접속 방식이기에 단일 반송파 무선 접속 방식에 비해 협대역 간섭에 강인하며 사용자간의 효율적인 자원할당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 하지만, 상향링크에서는 여러 사용자들이 전송하는 각각의 신호가 서로 다른 지연시간으로 인해 한 OFDMA 심볼 내에 선형적인 위상 성분이 발생하고, 이 위상 성분들이 합성되어 다중 접속 간섭 (Multiple Access Interference : MAI) 으로 기지국에서의 레인징 코드 검출 및 지연시간 추정 성능을 열화 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MAI 를 최소화하고, 레인징 코드 검출 및 지연시간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방법에 직렬 간섭 제거 (Successive Interference Cancellation : SIC) 를 적용한 레인징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법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였으며, 3GPP LTE 의 랜덤 액세스와의 비교를 통해 M-WiMAX 의 레인징 성능 한계를 확인하였다.

      • 유산소성 운동이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김종훈 군산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e- and post-exercise effect of an 8-week swimming exercise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Subjects of the study totaled 20 – 10 in control group and 10 in experiment group. The experiment group went through a swimming exercise program, which was conducted 5 times a week over the period of 8 weeks. Body composition (body fat mass and percent body fat) and blood lipid (TC, HDL-C, LDL-C) of before the program and after the 8 weeks were measured.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fat (p<.001) and body fat %(p<.001) over the 8-week swimming exercise program, and the comparison of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vealed that body fat(p<.01) and body fat %(p<.01) of experimen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C (p<.001), LDL-C (p<.001) over the 8-week swimming exercise program, and the comparison of control and experiment group revealed that TC(p<.05), HDL-C(p<.05), LDL-C(p<.001) of experiment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 WTO 體制下에서 中國의 非關稅障壁에 관한 硏究

        김종훈 慶南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rend of new trade liberalization in the process of building for the world trade liberalization, tariff barriers was more lower, but developed countries has been run trade control as a positive non-tariff barriers to enforce their own trade protection. China joins also in this wave of trade liberalization. After China joined at the WTO in Dec. 10, 2001, China has been continuously improved laws and customs to show the appearance as the country of free trade and fair trade befitting its status as the world trade master through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f trade·investment related law and their systems in the 21st century. Even in international trade, China's exports in 2009, beating Germany were crowned world's No.1, and trade volume over the world was ranked No.2. after the United State. In Aug. 1992, trade with South Korea has developed rapidly since the normalization of bilateral trade. Currently, Korea is already the 3rd trade partner of China, China has become No.1 trade partner of South Korea and became the No.1 export market. In current, viewpoint of South Korea, is a top in the reliance on exports and imports from China, and also China is the largest trading partner in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However, despite the substantial increase in trade volume, yet most of the foreign companies entering the Chinese market is appealing to many difficulties. Tariff barriers as tariff cuts in general were greatly relieved, but still remain in various non-tariff barriers clearly difficult to express. In Chinese market, such as a high technical barriers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is very high, barriers of trade customs such as Japan's distribution network is also very high. And institutional barriers resulted from a lower in transparency and predictability of government policy pointed out that are also high. In this regard, the findings of the WTO disputes filed since the launch of WTO in 1995, in the world, countries used the dispute resolution process more than one is a total of 53 countries, among them the United States is still ranked No.1. However, a notable detail here, the fact is that China related disputes are 7 cases among 14 dispute cases occurred in 2009, and this is escalating China related disputes became the leading economic giants. In particular, China's environmental regulations, technical regulations, etc., including the introduction of the scientific evidence is much raised for the validity, but after the introduction, has been identified that are difficult to prove an injustice. Various non-tariff barriers are applied to some companies in South Korea lack such skills are applied to some companies in South Korea for various non-tariff barriers are a serious matter that work as an element to be impossible to enter market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analyse Korea’s countermeasures through the case study of disputes after studied the type and status of non-tariff barriers in China. 세계무역자유화를 이룩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무역자유화 추세에 따라 관세장벽은 더욱 낮아졌으나,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국의 무역보호를 시행하기 위해 적극적인 비관세 장벽으로서 “무역관리”를 실행해왔다. 중국 역시도 이러한 무역자유화의 물결에 동참하여 2001년 12월 10일 WTO 가입 이후 무역·투자관련 법규 및 제도 대폭 개선을 통한 21세기 세계무역 맹주로서의 위상에 걸맞는 자유무역·공정무역 국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법제와 관행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왔다. 국제교역에 있어서도 2009년 중국의 수출은 독일을 제치고 세계 제1위로 등극하였으며 교역규모는 미국에 이어 세계 제2위를 차지했다. 한국과의 교역에서는 1992년 8월 한·중 수교 이래 양국 무역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 왔다. 현재 한국은 이미 중국의 제3위의 무역대상국이 되었고, 중국은 한국의 제1위의 무역대상국이자 제1위의 수출시장이 되었다. 현재 한국의 입장에서 중국은 수출의존도 1위, 수입의존도 1위, 해외직접투자 1위의 가장 큰 교역대상국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대폭적인 교역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대부분의 외국기업들이 중국시장 진출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관세가 전반적으로 인하되면서 관세장벽은 크게 완화되었으나, 명확하게 표현하기 어려운 각종 비관세장벽이 여전히 남아 있다. 중국시장은 미국에서 발달한 인증제도와 같은 기술적 장벽도 높고, 좀처럼 뚫기 어려운 일본의 유통망과 같은 거래관행상 장벽도 높고, 정부정책의 투명성과 예측가능성이 낮은데서 비롯된 제도적 장벽도 높다는 지적들이 많다. 이와 관련하여 WTO의 제소된 분쟁사건들을 살펴보면 1995년 WTO 출범 이후 세계적으로 제소 또는 피소에 의해 1건 이상 분쟁해결 절차를 활용한 국가는 총 53개국이며 그 중에서 미국이 여전히 제소와 피제소 국가로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2009년에 일어난 14건의 분쟁 중 중국과 관련된 분쟁이 7건(중국 제소 3건, 피소 4건)에 이르는 등 거대 경제권이 된 중국 관련 분쟁이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중국의 환경규제·기술규제 등은 도입의 과학적 근거 등 규제도입의 정당성에 대한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나, 일단 도입된 이후에는 그 부당성을 입증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중소기업 등 기술력이 부족한 한국의 일부업체에게 적용되는 각종 비관세장벽은 시장진입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요소로까지 작용하고 있어 그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 비관세장벽의 종류 및 현황에 대해서 살펴본 후, 관련 분쟁사례 분석을 통해 그에 따르는 한국의 대응방안을 모색해 보기로 한다.

      • 외국의 국방획득체계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국방연구개발 발전방안 연구 : 이스라엘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훈 한남대학교 경영·국방전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의 국방획득체계는 시대적 환경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개선을 시도하여 왔다. 특히, 2006년 신설된 방위사업청은 국방부 외청으로 독립되어 우리 군의 무기체계 획득을 전담하는 조직으로 자리매김 하는 등 최근 10여년은 가장 큰 변화가 생겼다고 해도 전혀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개청한지 14년이 지난 시점에서 전반적인 국방획득구조에서 방위사업청 조직이 분리되어 운용됨에 따른 문제점도 또한 대두되고 있다. 물론 방위사업청 개청과 최근 개방형 인사관리제도 등을 통해 전문성을 갖춘 획득인력 풀을 다양하게 형성하고 있는 등 이전과 비교하여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번 연구는‘우리나라의 국방연구개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접근을 시작했다. 국방획득 분야는 각국의 역사적 배경과 경제적인 능력, 국방력, 정치·경제적인 측면 등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지, 어느 나라의 방법이 꼭 좋은 것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이러한 국방획득분야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무기획득 의사결정 요소’를 분석해서 방향을 모색하고 타국의 사례를 통해 이러한 요소들의 한국적 적용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내용은 첫째, 우선 무기체계 획득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요소[군사전략적 원칙(성능보장과 적기전력화), 경제적 원칙(경제적 획득과 운영유지 보장), 기술적 원칙(국산화 촉진)]들은 외국의 국방연구개발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각각의 요소를 외국의 국방연구개발 모델을 통해 비교하였다. 두 번째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국력과 환경을 가진 국가들을 찾아 분석한 결과, 이스라엘을 비교대상 국가로 선정하였다. 세 번째, 이스라엘의 강점으로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지만, 특징적인 강점으로 ① 방산업체가 소요제기시 부터 참여하고, ② 최초단계부터 구매 또는 연구개발 여부를 결정하여 경제적인 획득을 추진하고자 한다. ③ 미국의 재정지원 하에 기초, 몸체분야는 구매하되 소프트웨어, 주요부품에 집중 투자하여 핵심기술을 보유하고자 한다는 점을 강점으로 꼽을 수 있었다. 네 번째, 우리나라와 이스라엘의 국력과 환경적인 요소는 비슷하나 각국의 세부적인 사정은 다르기 때문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3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국내기술수준에 대해 정확하게 검토하여 최초단계부터 구매 또는 연구개발 방향을 설정하고, 특히 소요군과 방산업체가 국방연구개발에 참여하여 업무협조체계가 유기적으로 구축될 수 있도록 해야겠다. 마지막으로 무리한 국산화보다는 국제공동개발을 통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무기획득을 추진해야겠다. 물론 연구의 범위를 이스라엘과 한국을 비교하는 것으로 한정했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는 있다. 미국이나 영국 등 기존의 강대국과 비교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현실과는 괴리감이 있다는 생각에서 연구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비록 이스라엘이라는 유사한 안보환경, 역사적,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 특성을 가진 나라와 비교하여 대안을 제시하였으나, 여러 나라의 사례를 통해 비교했다면 좀 더 합리적이고 신뢰성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다음 연구는 다양한 나라와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국방연구개발 발전방안에 대해 더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방향으로 진행해야 하겠다. Korea's defense acquisition system has been attempting various improvements and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The launch of this study caused the problems of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due to the organizational and structural problems, resulting in a delay in electrification and poor efficiency in terms of invest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is to be equipped with military oriented principles (performance guarantee and timely association), economic principles (economic acquisition and operation maintenance), and technical principles (accelerated localization). second, Israel was selected as a comparative country with similar national power. Third, there are several factors in Israel's deductions. As a characteristic strength, first, the defense companies participate from the time of filling. Second, it is to pursue economic acquisition by deciding whether to purchase or research and develop from the initial stage. Lately, under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United States, the basic and body sectors were obtained. However, it was possible to meticulously deduct the point of focusing on software and major parts to retain core technolog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review the domestic technology level and set the direction of purchasing or research and development from the first stage, and in particular, the military and defense companie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should be able to establish a systematic cooperation system. There is a clear limitation in that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comparing Israel and Korea. Therefore, the next study should be conducted in a direction that leads to more reasonable results for Korea's defense development and development plan through comparison with various countries.

      • 대만의 2.28 轉型正義와 역사 교과서 서술

        김종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만은 1945년 일제의 식민 지배에서 해방되어 중국국민당(이하 국민당)의 통치 아래 들어갔다. 국민당은 1949년부터 1987년까지 대만에 계엄을 실시하고 반공(反共)을 앞세운 권위주의 체제를 유지했다. 그러나 계엄령 해제 이후 민주화가 급물살을 타자 轉型正義 문제가 본격적으로 제기되었다. 대만의 轉型正義에서 핵심 사건은 2·28 사건(이하 2·28)이다. 2·28은 1947년에 국민당 정부가 부당한 통치에 저항하는 대만 인민을 폭력적으로 진압한 사건이다. 2·28 이후 국민당은 가혹한 백색테러를 자행하여 독재 권력의 기반을 닦았다. 2·28 轉型正義에는 민족 의제, 족군 의제, 민주주의 의제가 중첩되어 있다. 2·28은 기본적으로 비민주적인 국민당 정권에 대한 대만인의 저항에서 시작되었으나 대만 역사의 특수성으로 인해 투쟁이 외성인과 본성인 사이의 족군(族群) 충돌이라는 형태로 표출되었다. 사건이 종료된 후 가해자와 피해자 모두 2·28을 민족 문제로 인식했다. 국민당은 2·28 진압을 일본에 의해 노예화된 반민족적인 폭도들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고, 해외의 대만 독립운동 인사들은 2·28을 대만 독립혁명의 기원으로 봤다. 계엄 해제 이후 2·28 평반(平反) 운동이 전개되고 轉型正義가 추진되는 과정에서도 각각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사건의 핵심 성격을 중국인 대 대만인의 갈등(민족 문제), 본성인 대 외성인의 갈등(족군 문제), 지배자 대 피지배자의 갈등(민주주의 문제)로 보는 견해가 대립하였다. 2·28 평반(平反) 운동은 1987년에 결성된 ‘2·28 평화일 추진회’(二二八和平日促進會)가 정부를 향해 진상과 책임자 규명, 피해자의 명예 회복 및 사과와 보상, 관련 입법과 제도 개혁, 기념 활동 등을 요구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에 李登輝 정부는 1992년부터 2·28에 대한 진상 조사, 총통의 공식 사과와 기념비 건립, 피해자 보상 등을 실행에 옮겼다. 그러나 2·28 轉型正義가 과거에 사건의 가해자였던 국민당 정권에 의해 추진됨으로써 진상규명에서 ‘피해자는 있으나 가해자는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2007년 민진당 정부가 위촉한 학자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연구보고서를 발간하여 蔣介石을 사건의 ‘원흉’(元兇)으로 지목하고 2·28 진압을 ‘정부 범죄’로 규정했으나 이후에도 진상 논란은 계속되었다. 국민당은 공권력 남용에 의한 인권침해는 인정했으나 진상을 축소하여 국민당과 蔣介石의 책임을 회피하려 했고, 민진당은 사건의 실체 규명보다는 2·28을 ‘대만 독립’의 명분으로 삼고 선거에서 득표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轉型正義 실천에 혼선을 일으켰다. 2·28 轉型正義 추진에 따라 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서술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2·28은 1990년부터 역사 교과서에 실렸는데, 1995년까지 국민당 정부하에서 발간된 국정 교과서는 사건의 진상을 축소하고 2·28 轉型正義 추진에 대해 국민당의 긍정적 역할을 강조하는 관제적 성격이 강했다. 그러나 2000년 이후 검정 교과서가 발간되고 2·28 轉型正義 추진 성과가 반영되면서 사실에 기초한 서술이 이루어지고 진상에 다가설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轉型正義의 관점에서 볼 때 교과서 서술의 쟁점은 두 가지로 하나는 사건의 원인을 민족 문제, 족군 문제, 민주주의 문제 중 무엇으로 보아야 하는가이고, 다른 하나는 장개석과 국민당의 책임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전자의 경우에는 시기마다, 교과서마다 2·28의 성격 규정에 대한 시각차에 따라 강조점이 다르다. 후자의 경우는 필자가 검토한 어떤 교과서도 장개석의 책임 문제를 다루지 않고 있어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없는’ 轉型正義가 교과서 서술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 U-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상황정보 기반의 아이템 추천 기법

        김종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erests on the health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population aging and change in life styles and environments, and the importance of u-health services, which monitor the state of health wherever users are located and provide health conditions, has also been attract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such u-health services, healthcare services provide medical based health care services for users without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That is, it can be determined as a way that maintains and improves the health condition of users through various devices installed around our circumstances. However, the existing healthcare services are merely presented as a health monitoring level by applying simple remote medical technologies only.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find some commercially activated cases even though there are many trial services. In particular, menu services not reflect personal preferences and situational informations but consider the health and nutrition states of users and that represents a low satisfaction level. Thus, this study proposes a personalized item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context information for providing personalized healthcare services. For establishing real u-health environments, it is necessary to receive the context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platform at proper time in portable devices, which are operated in both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a knowledge model that reflects the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for such services while it is appropriate for medical references is required. This study establishes a data acquisition model based on the OSGi framework and develops a context information model based on ontology in order to perform a ubiquitou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text information will be extracted and classified for implementing the healthcare service used for the context information model. In the healthcare context information model, it can be established using ontology, and a common healthcare model will be developed by considering medical references and service environments. Application and healthcare service developers can use the sensing inform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by authoring device and space ontologies based on this common ontology. One of the personalized service in the ubiquitous environment is to provide services or items, which reflect personal tastes, attitudes, and contexts. Because the existing recommendation system performs the recommendation by using the information directly input by users and application usage record only, it is not possible to reflect the context information generated in u-healthcare environments. This study develops a item context-aware model using the context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xt information model and applies it to the extraction of the missing value in a collaborative filtering process. The item context-aware model reflects the information that selects items by users according to the proper context using the C-HMM and provides it to users. In a preference based item supply method, the solution of the missing value in the preference significantly affects the recommendation accuracy. As a result, this study developed a new collaborative filtering for ubiquitous environments through reflecting the missing preference value and reflecting it to the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the context-aware model.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some tests and evaluations by applying the method to the menu and exercise data.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comparative experiment based on user estimations for the existing content-based filtering, existing collaborative filtering, context-aware collaborative filtering, and ordering method used in context-aware models. In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is superior to the existing other methods.

      • 비평형 대기압 플라즈마에 의하여 여기된 DME/O2 혼합물의 화학 반응성에 대한 연구

        김종훈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존의 상업적 수소 제조 방법은 주로 천연가스와 같은 화석 연료로부터 고온 촉매 화학적 개질 방법과 물의 전기분해에 의존하고 있다. 고온을 필요로 하는 개질법은 시스템의 대형화를 불가피하게 하며 전기분해법은 전기에너지의 가격에 그 실용성이 달려있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전기에너지의 사용과 시스템의 소형화라는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디메틸에테르(DME, CH3OCH3)를 비평형 플라즈마로 상온, 상압에서 분해하여 수소를 제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그 상세한 연구내용에 플라즈마 반응 시 발생했던 탄소의 전극 적층문제, 낮은 DME의 변환 효율과 플라즈마 방전 안정성 등의 문제 해결 방법을 포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평형 플라즈마 방전인 글라이딩 아크(gliding arc)를 이용하여 DME와 산소를 혼합한 가스의 화학반응을 유도하였다. 이로써 MBME(Micro-corona Between Mesh Electrode)를 이용한 DME 플라즈마 분해 반응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수소 생산의 효율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와 동시에 DME/산소 혼합가스의 플라즈마 화학반응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산소의 혼합비율을 점점 높여가면서 플라즈마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가스의 정량 분석과 정성분석을 동시에 수행 하였으며 그 결과 산소의 혼합비가 1을 초과하면서부터 DME와 산소의 화학반응이 활발해 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DME 변환율의 상당한 증가로 생성가스의 양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생성가스의 분석을 통하여 수소와 일산화탄소의 총 생산량과 생성가스 내의 비율도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그 밖에 온도에 따른 효과와 플라즈마에 인가하는 전기적인 조건을 변경하여 효율성을 비교해 보는 연구도 실행하였다. 비교 실험으로 메탄올/산소 가스의 혼합물에도 유사한 플라즈마 유도반응을 시도하였으나 DME/산소 혼합가스의 플라즈마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가스와는 다르게 생성 가스내의 수소와 일산화탄소의 비율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의 양이 증가하는 반응 양상을 보였다. 이것은 DME의 에테르기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그에 대한 상세한 메커니즘 연구가 필요하다. Conventional methods for hydrogen generation include reforming of fossil fuel such as natural gas and water electrolysis. The reforming requires high temperature operation, and thus large scale system is unavoidable. The practical realization of electrolysis depends on the cost of electricity. With the objective of realizing low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and achieving small scale operation, we employed non-equilibrium plasma at ambient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for the production of H2 gas from DME(dimethyl ether). The specific target of the present research includes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such as carbon deposits on the surface of electrodes, low conversion efficiency and instability of plasma discharge.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gliding arc(GA), non-equilibrium plasma discharge was used to induce the chemical reaction of DME/O2 gas mix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gliding type of discharge is far superior to the MBME(Micro-corona Between Mesh Electrode) discharge in terms of the stability of the discharge and the energy efficiency to generate H2 and CO gas from the mixture. From the gas analysis of the reaction produ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ent of the reaction as well as the portion of H2 and CO gas was increased as the ratio of O2 to DME in the mixture was higher than 1.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an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AC power source on the efficiency of the plasma reaction. As a comparison experiment we studied the plasma chemical reaction of MeOH/O2 mixture. The result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DME/O2 reaction in that the portion of CO2 gas was dominant while the concentration of H2 and CO gas was decreased. The prevalence of hydrogen and CO gas produced from DME/O2 mixture may be attributed to the ether group in DME which undergoes unique reaction paths under the plasma excit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detailed mechanism of the re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