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문신 : 김종현 석사 청구권

        김종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63

        원문이 PDF 화일임

      • 탑재형 개질기가 적용된 차세대 마이크로 가스터빈 연소기에 대한 1D-3D 연계해석 연구

        김종현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마이크로 가스터빈 연소기와 on-board reformer가 결합된 advanced Brayton cycle을 수치해서적으로 제안하였습니다. 연구에서 사용한 연소기는 150kW의 열출력과 1200K의 터빈 입구 온도(TIT)를 달성하며, dry low NOx(DLN)를 지향합니다. 신 연소기술인 MILD combustion 구현을 위해서는 극도로 연료가 희박하고 혼합도가 높은 연소환경이 요구됩니다. 하지만 연료가 희박한 환경에서는 연소불안정성과 연소 운전영역이 좁아지는 현상을 야기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연소기 내부의 혼합도를 높이고 희박 연소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소 첨가와 연소 운전 범위의 연관성을 연구하였습니다. 먼저, Target 연소기는 연소영역 설계식을 통해 설계되었습니다. 설계된 연소기는 희박 연소를 지향하며, 연소기 내부 혼합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concept nozzle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다음, 부분산화 개질의 화학반응을 기반으로 concept 탑재형 개질기를 설계하였습니다. 설계된 개질기는 반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해 parametric study를 수행하였고, 발생한 수소 수율을 비교하였습니다. 연소기와 개질기는 각 운전점에서 open loop cycle로 분석되었습니다. 다음 개질기 down-stream과 연소기 up-stream의 주 연료와 연결하여 closed loop cycle을 구성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습니다. 해석 결과에서 OH radical은 산화제가 희석되고 개질기를 통해 유입되는 수소 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고르게 분포됨을 확인하였고, 이는 MILD combustion과 유사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는 산화제가 희박한 환경에서 OH radical 분포와 유사하며, MILD combustion의 기본 연소 특성과도 유사합니다. 해석 결과를 통해 step load operation point을 모사하여 reforming on/off 운전점을 도출하였습니다. 또한 reforming on 운전점에서 pre-reforming section을 구성하여 개질 운전성의 응답성을 향상하였습니다. 최종적으로 다양한 운전조건에서 수소 첨가 시 conversion efficiency를 계산하기 위해 통상적인 부분 산화 개질과 비교하여 타당한 운전점을 도출하였습니다. This study numerically suggests an advanced Brayton cycle which is composed of a micro gas turbine combustor and an on-board reformer. The combustor used in the study achieves a power of 150kWth and turbine inlet temperature(TIT) of 1200K, aiming for dry low NOx(DLN). The implementation of moderate or intensive of low oxygen dilution(MILD) combustion, a new combustion technology, requires an extremely lean burn condition and improved mixedness for combustion. However, under lean fuel environment, combustion instability and the narrow operation range have been issued. In the present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drogen addition and the combustion operation range were studied to improve the internal mixing degree of the combustor, and to improve the lean burn capability. As the first step, target combustor was designed through the combustion chamber design equation. The designed combustor aims to lean burn, and a concept nozzle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mixedness inside the combustor. Next step, A concept on-board reformer was designed based on the chemical reaction of partial oxidation reforming. The designed reformer confirmed to the hydrogen yield by parametric study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activity. The combustor and reformer were analyzed as an open-loop cycle at each operating point. And then closed-loop cycle was calculated and analyzed by connecting between reformer down-stream and main fuel up-stream of combustor.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MILD combustion could be achieved as the OH radicals were evenly distributed having diluted oxidizing agent and increased hydrogen yield from reformer. This is similar to the OH radical distribution in a lean burn condition, and similar to the basic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MILD combustion. Reforming on/off operation points were derived by simulating the step load operation through the result. In addition, a pre-reforming section was configured at reformer operating point and the response time of reforming operability was improved. Finally, in order to calculate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hydrogen addition point under various condition, the appropriate operating points were derived compared to conventional partial oxidation reforming.

      •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수업계획을 위한 관람에서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수 경험에 따른 시각적 주의 분석

        김종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visual atten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informal scienc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a visit to th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for Instructional Planning using a mobile eye tracker.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human and natural hall on the first floor and the Life Evolution Center on the second floor of the Seodaemun Museum of Natural History with 11 teachers at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s the subject. Of them, 5 teachers with informal science teaching experience in a designed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a natural history museum or a science museum and 6 teachers with no informal science teaching experience were divided, and they wore a mobile eye tracker and watched the exhibits freely with the Instructional Planning in mind. During the visit, both the eye movement and the subject of speech were collected. After the visit, semi-structured post interviews were performed. Based on these data, the teacher's dwell time, dwell time rate, focus map, and scan path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with the results of the post-interview, and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well time of 13 exhibits among 91 exhibit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informal science teach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core, key contents, interests, and interests of the exhibits thought by each group were reflected in the dwell time. In particular, it is observed that the teachers with experience made a preliminary plan considering various variables, and the richer the experience, the faster the vis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he broader the optical scope. These results were confirmed to have been viewed in a short, planned route-oriented way, reflecting the strong top-down attention cognitive process. Therefore, teachers need instructional planning strategy that includes efficient movements and core content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variables and contex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well time rate of exhibition elements in 13 exhibit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well time,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even visual attention to all exhibition elements, but the inexperienced group showed a high dwell time rate for the specific media and explanation.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fferent cores, key contents, and interests of the exhibits thought by each group affected each other. Depending on the teachers' experience, the scope of viewing the exhibits varies, which can lead to a different understanding. Since the teachers' experience appears during the execution proces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exhibits by increasing the opportunity to see them through prior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an path in the exhibits, the experienced group made a significant gaze by associating the displays with the descriptions of the displays and paid visual attention to all the exhibition elements. Besides, the core information was quickly checked, and exhibits that matched with background knowledge or the same tended to gaze briefly or pass through. On the other hand, the inexperienced group stared at the main exhibition media and description. To grasp the contents, a visual flow of attention was paid to the explanatory part of the exhibit. The difference in visual attention shown in the differences in experience can represent different aspects of instructional planning and classes, so it is expected to be specific guidance for teachers who have difficulty in a certain level of informal science learning. 이 연구의 목적은 서대문 자연사박물관 수업계획을 위한 관람에서 초등학교 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수 경험에 따라 시각적 주의는 어떻게 다른지를 이동형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서대문 자연사박물관의 1층 인간과 자연관, 2층 생명진화관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공립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11명이다. 이 중 자연사박물관이나 과학관과 같은 설계된 학습 환경에서 비형식 과학교수 경험이 있는 교사는 5명, 비형식 과학교수 경험이 없는 교사는 6명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동형 시선추적기를 착용하고 수업 계획을 염두에 두고 자유롭게 전시물을 관람하였다. 관람이 이루어지는 동안 안구운동과 발화내용을 모두 수집하였으며, 관람이 끝난 후 반구조화된 사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응시 시간, 응시율, 포커스맵, 시선 흐름 등을 사후면담 결과와 함께 정량적·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수 경험에 따라 91개의 전시물 중 13개의 전시물의 응시 시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집단별로 서로 생각하는 전시물의 핵심과 중요 내용, 흥미와 관심이 다른 것이 응시 시간에 반영되었다. 특히, 유경험 교사들은 여러 변인들을 고려하여 사전 계획을 세우고, 경험이 풍부할수록 빠른 시각정보 처리를 보이며, 시각 범위가 넓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강한 하향주의 인지과정이 반영되어 계획된 동선 위주의 짧은 동선으로 관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여러 변인과 맥락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동선과 핵심 내용을 포함한 수업계획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응시 시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13개의 전시물 내의 전시요소 응시율을 분석한 결과, 유경험 집단은 전시물 전체 전시요소에 고르게 시각적 주의를 보였으나, 무경험 집단은 전시물이 나타내는 특정 전시매체와 전시설명에 높은 응시율을 보였다. 집단별로 서로 생각하는 전시물의 핵심과 중요 내용, 흥미와 관심이 서로 다른 것이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험에 따라 전시물을 바라보는 범위가 달라 이해하는 바가 다를 수 있다. 교사의 경험이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므로 사전 답사를 통한 관람의 기회를 높여 전시물에 대한 이해를 더 높일 필요가 있다. 셋째, 전시물 내의 시선 흐름을 분석한 결과, 유경험 집단은 전시물과 전시설명을 연관 지어 유의미한 응시를 하였고, 전체 전시요소에 시각적 주의를 기울였다. 또한, 빠르게 핵심 정보를 확인하고, 배경지식에 부합하거나 같은 형태의 전시물은 간략히 응시하거나 지나가는 시선 흐름의 경향성을 보였다. 반면, 무경험 집단은 전시물의 특성을 나타내는 주요 전시매체와 전시설명을 오래 응시하였고, 내용 파악을 위해 전시물의 설명 부분에 높은 시각적 주의를 기울이는 시선 흐름의 경향성을 보였다. 경험의 차이에서 나타난 시각적 주의의 차이는 다른 양상의 수업계획과 수업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일정한 수준의 비형식 과학학습을 위해 어려움을 겪는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지침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우리 나라 산업재해 통계를 이용한 재해실태분석과 통계제도의 개선방향

        김종현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통계를 바탕으로 재해실태를 분석하고 그 대책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존의 산업재해 통계를 바탕으로 한 산업재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 산업재해사고는 중·소 영세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높다. 둘째, 우리 나라의 산업재해에서 중·고 연령근로자가 산업재해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셋째, 전체 사망재해의 59.3%를 1년 미만의 근로자가 차지하였으며 특히 6개월 미만의 근로자가 49.5%를 차지하여 신규 입사자 및 지금까지 해 오던 작업을 바꾸게 되어 새로운 작업환경에 적응해야 할 미숙련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시기별로 보면, 월별로는 초겨울에 약간 높게 발생하고 기타 월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시간별로는 오전 8시∼10시와 오후 2∼4시에 재해가 많이발생하였다. 다섯째, 발생형태별 및 기인물별로는 전체 사망재해 중 추락재해가 24.3%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데 이것은 가설건축구조물에서 대부분 발생되고 다음으로 협착이 13.3%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프레스, 크레인 등 동력기계에 의해 발생된 것이다. 이러한 실태를 위한 대책은 그 원인이 밝혀졌으므로 명백한데,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산업안전관리자의 의식구조 개혁 및 자긍심제고와 직무를 강화할 수 있도록 사업장내에서 안전관리자를 권한 및 책임을 가중시켜야 한다. 둘째, 노동력 인구 중에서 고연령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도 계속 증가함에 따라 고연령 근로자의 재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신체적 특성에 따른 기능, 지식을 발휘 할 수 있는 직무에 배치하고 개인특성에 맞는 재교육 훈련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신규 채용자 및 미숙련 근로자에게 그 원인을 없애는 데 노력을 기울이도록 하고 안전생활을 습관화하도록 관리 감독자가 철저히 교육을 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시기별에 따른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경영자는 그 시간대 및 요일대를 중심으로 근로자의 바이오 리듬을 활용하여 사업장의 관리책임자 및 근로자 모두가 과학적인 데이타에 근거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다섯째, 제조업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계설비의 계획, 설계, 제작, 설치단계에 까지 근원적 안전화가 도모되어야 하고, 페일-세이프(fail safe) 및 풀 프루프(fool proof)시스템을 활용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cid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statistics policy of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from 1986 to 1996, which is based on industrial accidents statistics published by Ministry of Labor. Although frequency rate of injury and rate injury per 1,000 workers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se period, decreasing rate on severity rate of injury was relatively low when comparing with that of the above indices, and on the con- the rate increased in the early of 1990's. The result implis that serious accidents such as fatal accidents are major problems of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A majority of industrial accidents occurred in two industries : manufacturing(51.6%) and construction(26.9%). Small-sized companies with 300 or less workers accounted for industrial accidents(65.6%), and workers who have been worked for 6 or less months did 49.5%. Industrial accidents were suffered most frequently due to stricture accidents, and the second due to fall accidents, and the third due to overexertion. It is concluded from the above results the status of OUT nation's industrial accidents are still in the stage of the underdeveloped country. Therefore, to prevent and reduce industrial accidents in Korea, effective industrial safety education program, government's investment on safely policy, and reform of employer's and employee's consciousness are needed. Ad, there should be prepared the specific prevention program for the small scale industrial.

      • 효자인증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김종현 성산효대학원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효교육을 효율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i시에 소재한 k중학교(남자학교) 1학년 학생 367명을 실험집단으로 하고 인근 중학교(남녀공학) 1학년 학생 263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하였다. 효자인증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08년 3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의 측정도구인 설문지는 k중학교의 경력있는 선생님들로 구성된 ‘프로그램기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서 본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였다. 제작된 설문지는 신뢰도ㆍ타당도를 거친 후 5가지 구성요소의 변화 척도를 사전ㆍ사후 검사하였으며, 그 결과에 대한 통계 분석 자료는 SPSS V 13.0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효자인증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기획 → 효의 구성요소 확정 →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 → 프로그램 설계 → 프로그램 실행 → 프로그램 효과 평가 → 프로그램 완성의 단계 순으로 진행되었다. 기획단계에서는 효의 구성요소를 확정하는 것이 선행과제였다.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효의 구성요소들을 정리하고 성산효대학원대학교의 두 번에 걸친 Colloquium에서 조작적 정의와 구성요소 등을 검증받았다. 이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 구성요소를 확정하였다. 확정된 5 구성요소는 보은(報恩), 순종(順從), 공경(恭敬), 봉양(奉養), 양지(養志)이다. 프로그램 설계 단계에서는 i시 및 전국 단위의 유사한 프로그램을 조사 분석하여 효자인증 프로그램의 목적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정했다. 프로그램을 선정할 때에는 k중학교의 ‘프로그램기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쳤으며, 효과적인 효교육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는 본 연구자의 15년간의 효교육 경험이 밑바탕이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5 구성요소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 42개를 개발해서 전문가 5인과 k중학교 인성교육부에 근무하는 5인의 교사에게 내용 타당도 검증을 받은 후 수정사항을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했다. 둘째, 효자인증 교육프로그램을 처치한 후의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사전-사후 효과를 검증한 결과를 두 가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효자인증 프로그램으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효교육을 받은 k중학생과 일반적인 효교육을 받은 인근 중학교 학생과의 사후 효교육 효과를 검증한 결과 5 구성요소 모두에서 효자인증 프로그램의 실험처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2) 효자인증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의 향학열이 높아지면서 학력(學力)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리고 학교폭력과 같은 나쁜 행동이 곧바로 부모님의 마음을 아프게 하는 불효를 저지르는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써 행동이 바르고 인사를 잘하는 모범학생으로 변화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2년 동안의 효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효자인증을 획득한 학생 수가 전교생의 59%나 되었고, 효자 학급은 80%로서 학생 대다수가 효자인증을 받으려고 효행을 하고 있다. k중학교는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들이 한마음으로 명품학교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결과 네 개의 대상을 받았으며, 매스컴에서 k중학교의 명품 효교육에 대한 다양한 기사들을 소개해 주어서 학생들에게 k중학생이라는 자긍심과 애교심이 깊어지는 효과도 있었다. 이러한 것들은 효자인증 프로그램으로 학생과 학교에 많은 변화를 주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만의 효의식을 검증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인근 학교의 학생과 비교 검증을 해 보았다는 것과, 효의 구성요소를 보은(報恩), 순종(順從), 공경(恭敬), 봉양(奉養), 양지(養志)의 5가지로 정하여 효자인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점. 그리고 그것으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논문이 ‘방아쇠 역할’을 해서 학교 차원에서의 효교육 프로그램이 더 많이 개발되어 ‘효가 살면 모두가 행복해진다’는 명제(命題)가 실현될 것을 믿으며, 우리 사회, 특히 학교에 효교육이 더욱더 강화되기를 소망한다. 주제어 : 효, 효자인증, 효의 구성요소, 보은, 순종, 공경, 봉양, 양지

      • 호텔 조리직원이 지각한 주방의 인적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종현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비스산업 중에서도 인력에 크게 의존하는 대표적인 산업인 호텔업은 인적산업으로서 단순한 물건의 거래가 아니라 사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고객을 직접 접촉하는 종사원의 중요성은 다른 업종보다 크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사자들의 이직증가는 신규인력의 교육비와 노무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직으로 인한 다양한 손실을 발생하게 되며 경험이 부족한 인력을 현장에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한다. 그래서 호텔 조리직원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 이직에 대한 관심과 연구의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인 종사원들이 그들의 직무에 대해 만족을 해야 고객에게도 만족을 줄 수 있고 나아가서는 호텔업 자체의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텔 조리직원이 지각한 인적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호텔 조리직원이 지각한 주방 인적환경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인적환경요인이 종사원의 이직의도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적환경이 좋으면 종사들의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호텔 조리직원이 지각한 인적환경이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시대에 조리 종사자들이 직무스트레스로 인하여 육체적 또는 심리적으로 고통을 받게 된다면, 경영자뿐만 아니라 고객들에게 까지도 많은 영향을 미쳐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없을 것이다. 이는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도 있어 결국 조직의 유효성도 저하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셋째, 호텔 조리직원이 지각한 인적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직무만족 및 직무스트레스가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 인적환경을 조절변수로 하여 조리 직원들의 멘토링, 상담횟수, 직원들의 communication 등을 변수로 하면 더욱 심화되고 중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되며, 호텔 산업 뿐 아니라 외식 산업, 항공 산업 등 다양한 서비스 산업에서의 세분화된 특징 등을 알아보는 것도 중요한 연구가 될 뿐 아니라 흥미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