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애착이론의 목회상담 적용에 관한 연구

        김종래 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존 보울비로부터 시작된 애착이론이 목회상담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연구들을 기초로 기독교인들과 신과의 애착관계, 목회자와의 애착관계, 교회 공동체와의 애착관계에서 나타나는 애착행동 특성들을 살펴보는 것이다. 첫째, 신과의 애착관계의 특성에서는 하나님 표상이 기독교인들에게 형성되는데 두 가지 가설에 기초해서 다루었다. 즉, 상응가설과 보상가설이다. 초기 양육자와의 애착관계에서 형성된 애착모델에 따라 하나님 표상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보상적인 방법으로 하나님 표상이 형성되기도 한다. 커크패트릭의 기독교인들이 신과의 애착관계에서 보여주는 네 가지 애착행동 특성의 연구를 근거로 기독교인들의 애착행동 특성을 다루었다. 기독교인들의 예배행위, 기도행위, 찬양행위 등이 신과의 근접성, 접촉을 추구하고 유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애착행동특성으로 제시된다. 둘째, 목회자와의 애착관계에서 나타나는 기독교인들의 애착행동은 목회자의 퇴임, 부임이나 개인이 교회를 떠나가는 사건들에서 두드러진다. 분리에 대한 불안이나, 저항의 형태로 애착행동들이 표현되지만, 의식의 수준에서 분리의 상황을 경험하는 개인들은 그런 원인을 단지 성향이 맞지 않는 것으로 결론내리고 서로 상처 받은 상태로 종료된다. 셋째, 교회는 안전기지로서 교회 공동체의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하나님 대상도, 목회자 애착대상도 모두 교회 공동체 안에서 경험하기 때문에 교회 공동체의 안전기지 기능은 매우 중요하다. 개인과 가정, 더 나아가 사회적 측면에서 기능하는 교회의 안전기지 역할은 하나님 대상, 목회자 애착대상과는 또 다른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기독교인 각 개인과 하나님, 목회자, 교회 공동체는 애착을 형성하고 애착모델을 수정해 가는데 있어서 상호보완적이다. 각 개인이 목회자와 맺는 애착관계와 교회 공동체와 맺는 애착관계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데, 교회 공동체와 목회자와의 안정된 애착형성이 하나님 표상에 대한 안정적인 모델을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 준 선형화 기법을 이용한 유역모형의 최적 매개변수 결정

        김종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Prasad(1967) has formulated a nonlinear, lumped, time-invariant model describing watershed response to rainfall. The 2nd-order differential equation was derived from the concept that a nonlinear reservoir with nonlinear outlet control is analogous to hydrologic system storage and discharge. K_(1), K_(2), and N are unknown parameters to be determined. The parameter identification cannot be solved by analytical methods because of nonlinearity. The solution was carried out by a numerical integration procedure on a computer. Quasi-linearization is appli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 lumped, nonlinear model of the rainfall-runoff relationship. The particular numeric procedure employed in this study consists of (1) 4th-order Runge-Kutta method to solve the differential equations, and (2) pattern search method to determine the optimal parameters. For the object function, minimizing sum-square of the error between the actual and computed runoff is used. Inbukcheon, a substream of Soyanggang, is selected and 15 rainfall events are picked out to apply for the model.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1)the value of "N" is 0.4176, (2)the range of "K_(1)" value is between 27.69 and 55.08 and (3)the range of "K_(2)" value is between 2.94 and 427.07.

      • 사회과에서 고지도를 활용한 향토사 학습 방안

        김종래 부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1997~2007)에서 다루고 있던 중학교 사회과의 「지역과 사회탐구」,「지역사회의 역사유적탐구」단원이 완전히 삭제되고 세계지리와 소단위의 한국지리 내용으로 대체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동안 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단원을 충실히 지도하기 위하여 나름대로 부족하지만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과 관련된 향토지리, 향토사 내용을 전달하였다. 또한 사회과 교육의 목표인 정보화․세계화․개방화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에도 아주 적합한 단원으로 활용되어 우리의 것을 알고 더 나아가 세계의 여러 나라에 대한 정보를 습득한다는 점진적 확대 교육의 기본적인 틀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2007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국제적인 인재를 육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우리의 것, 그 중에서도 우리가 지금 살고 있는 지역의 정보, 역사, 문화에 대한 과정을 습득할 수 있는 단원이 배제되어 있다. 그러한 과정이 과연 사회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얼마나 달성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기본 정신인 정보화․세계화․개방화 사회가 요구하는 지식 습득과 시대적 변화를 주도할 민주 시민의 자질을 육성하는 목표를 달성하는데 부합하기 위해 중학교 사회과 여러 단원 중 1학년 사회의 「우리나라의 산지와 하천」이라는 단원을 선택하여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우리의 것을 제대로 알고 향토사의 소중함을 일깨울 수 있도록 사회과 학습에서 접근하여 현재의 모습과 옛 모습을 비교하는 내용으로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시대별를 세분화하여 16세기, 17세기, 18세기의 고지도에서는 우리나라와 부산의 모습을 어떻게 나타내고 있으며 담고있는 내용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교육방법에 활용한 것은 세계전도를 그린 특정 시기의 고지도와 우리나라 전도, 그리고 부산에 관한 군현지도는 부산광역시 시사 편찬 위원회에서 발간(2008.1.31)한 부산 고지도를 중심으로 활용하였으며 구안한 향토사 학습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학습에서 고지도의 세계 전도 속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특징과 현재 지도에서의 특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둘째, 사회과 학습에서에서 고지도의 우리나라 전도 속에 나타난 우리나라의 특징과 현재 지도에서의 특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셋째, 고지도에 나타난 부산의 모습을 주요 내용별로 나누어 행정, 군사, 도로, 하천, 해안, 섬 등을 주요 내용으로 부산의 변천 모습에 대한 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 우리나라 벤처기업과 강소기업 특성에 따른 재무성과 비교 연구 :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김종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해 우리 경제와 기업에 위기가 찾아왔다. 현재 국내 중소기업은 전체기업의 90%이상을 차지하고 고용인구의 88%의 비중을 차지하며 우리나라 경제의 큰 역할을 하고 있지만 경영상의 위기를 벗어나기엔 어려움을 격고 있다. 중소기업은 중견기업, 고성장기업, 벤처기업 등의 기업군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고 최근 강소기업이라는 작지만 강한기업, 작은 규모에 의한 빠른 경쟁력과 의사소통, 틈새시장,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군이 등장하여 중소기업과 중견기업, 고성장기업의 연결고리 및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코스닥 상장 벤처기업 중 강소기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강소기업과 벤처기업은 배태조직, 기업특성, 재무적 성과를 실증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국내 강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차이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소기업과 벤처기업의 배태조직인 연구조직 출신 기업과 기업조직 출신기업의 빈도에 대한 통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기업의 연구조직 출신 기업가들의 특성은 기업의 성장을 위해 외부투자에 대한 인식이 높고 업력이 짧았으며 R&D비율이 높으며 기술혁신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강소기업과 벤처기업의 기업특성 중 업력과 코스닥상장 소요기간에 대한 통계분석은 유의하게 나왔다. 셋째, 강소기업과 벤처기업의 재무성과의 차이점은 수익성의 차이는 강소기업이 높은 결과가 나왔고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지만 나머지 지표인 안정성, 활동성, 성장성에 대한 차이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왔다. The economy and many enterprises of Korea are faced the crisis by the financial crisis in 2008. Small businesses form 90% of whole company and 88% of employment population in Korea. They perform very important role in the economy, but they have a lot of bottlenecks in management to overcome the crisis. Researchers examine small businesses by three categories.:enterprise of middle standing, high growth corporation, venture business. Recently, new category appears in the market called "small giants". Small giants mean small-scale companies, but they have very effective power in the economic development. Because of their small scale, they have fast competitive power, communication, niche market, global competitiveness. We expect that they become a major driver of global competitiveness and connection of small businesses. The target of this study aims at small giants among Kosdaq-listed venture business. This study examines empir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selected small giants and venture business, by incubating organization, characteristic of enterprises, financial performance. The details of the empirical test results are revealed as follow. First, the statistics about the frequency of the research-based spin-offs and the corporate spin-offs of both groups did not reveal any relations. However, the characteristic of research-based spin-offs shows they high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investment for the entrepreneurial growth, their company history is short and they are focused on R&D and technical innovation. Second, the statistics about the company history and the time required to be listed on the KOSDAQ is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 of financial performance of both groups is the profitability. The profitability of small giants is higher than venture busines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of other indicators such as stability, activity, growth are not significant.

      • 성만찬 성례전을 통한 예배회복의 활성화 방안 : 송탄동성교회를 중심으로

        김종래 장로회신학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8639

        목회를 하면서󰡒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를 구상하는 중, 무엇보다도 우선시해야 하는 방향이 바로󰡐예배회복󰡑이었다. 그런데 예배를 회복하기 위해서는󰡐성만찬 성례전 회복󰡑이야말로󰡐흙속에 감추인 진주󰡑를 발견한 것 이상으로 소중함을 느끼면서,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교회다운 교회를 세우기 위한 사명을 새롭게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실제 목회현장에서는 초대교회로부터 종교개혁시대를 이어온󰡐성만찬 성례전이 있는 예배에 대한 인식󰡑이 점점 약화되어 가고 있다. 그것은 예배에 있어서 성만찬 성례전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대한 충분한 인식 부족과, 체계적인 교육 부족 그리고 단지 설교(말씀)중심의 예배만을 국한하는 관계로 나타나는 장애 현상이다. 그래서 필자는 시대적인 사명을 띠고󰡐성만찬 성례전을 통한 예배회복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 본 논문을 위해서 먼저, 성만찬 공동체로서 교회의 본질적인 측면으로 접근하여 성서적, 교회 역사적, 신학적인 근거를 알아보고, 성만찬 성례전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즉, 성서적인 측면, 역사적인 측면, 신학적인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교회경험적 측면 등의 여러 가지 이해를 통해서 성만찬 성례전을 고찰하여 보았다. 그리고 성만찬 성례전을 통한 예배의 활성화 방안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의 변화이론이 도입되었다. 하나는 전공변화이론으로서 필자가 속한 교단이 개혁 장로교단이므로 개혁자들이 주장했던 성만찬 성례전 신학이론을 중심으로 변화이론의 초점을 맞추었다. 또 다른 하나는 구조변화이론으로서 레윈 커츠(Lewin Kurt)교수의 바람직한 변화의 3단계를 근거로 하여 각각의 변화방향을 제시하였다. 성만찬 성례전을 통한 예배의 활성화 방안을 타개하기 위해서 먼저, 전교인들에게 성만찬 성례전에 대한 비전 제시(비전 만들기)를 설교와 세미나를 하고, 교회지도자를 통해서 직간접 경험을 통한 성만찬 성례전의 의식을 갱신하며, 특히 구체적으로 31인 위원회를 구성하여 설교나 교육, 세미나, 방문(견학) 들을 통한 성만찬 성례전의 전 이해를 학습한 후, 실제로 두 가지 유형의󰡐성만찬 성례전이 있는 예배󰡑를 드리면서 보다 더 성숙한 예배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교우들의 예배에 대한 인식이 점차적으로 나아지는 변화가 일어났으며, 일부 구성원들은 고정관념이나 인식의 부족 그리고 체계적인 교육 부족으로 인해 변화의 폭이 정체를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새로운 시대, 후손들을 위하고 진정한 하나님의 교회를 위한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더라도 끊임없는 설득과 교육을 통해 성만찬 성례전을 통한 예배회복의 활성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연구하면서 긍정적이고 아쉬웠던 점이 많이 있었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예배회복의 활성화를 위해서󰡐성만찬 성례전의 중요성󰡑에 대해서 분명히 확인시켜 주었고, 교우들에게󰡐성례전󰡑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고 인식할 수 있는 과정을 보여준 것이 미래를 위해서 참으로 다행한 일이었다. 그리고 교회의 사명 중에서 예배하는 사명이 가장 소중하며 그 중심에 성만찬 성례전이 들어 있으므로 예배를 회복하기 위한 이 시대의 중요한 대안이 됨을 확인해 주는 논문이었다. 또한 성만찬 성례전이 예배의 변두리가 아니라 말씀의 예전과 함께 중심 되는 양대 기둥이라는 것을 교육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주님의 뜻으로 제정된 성만찬 성례전은 예배회복의 활성화 방안을 위해서 없어서는 안 되는 소중한 요소이므로, 누군가가 기도하면서 외롭게 의로운 경주를 계속하지 않으면 진주보다 귀한 보석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위기감을 느낄 수 있었다.

      • 안구의 피로도 감소를 위한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에 관한 연구

        김종래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to prepare a temperature-sensitive pNIPAM polymer-based nanostructure and introduce it to a contact lens by a sandwich method, a poly(HEMA) lens was prepared, a dehydrated temperature-sensitive nanostructure was introduced between two layers of lenses. The contact lenses were soaked in an aqueous solution of timolol maleate (TM), a drug for treating glaucoma. At 25 oC, drug was released at minimum, but at 35 oC, most drugs were released within 1 hour. We developed drug-eluting contact lenses when the lens temperature reaches 35 oC when worn in the eye, while the drug is not eluted during storage temperature. In order to manufacture enzyme-sensitive drug-releasing contact lenses, lysozyme-cleavable chitosan-based hydrogel (chitosan-3) was prepared. Drug-loaded chitosan-3 was fixed to contact lenses. In the PBS solution, the drug was not released even after agitation for a week,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drug was released over about 2 days in 1.5 mg/ml PBS of lysozyme. We developed drug-eluting contact lenses when the lens meets lysozyme-containing tear solution when worn in the eye, while the drug is not eluted during storage condition. In this study, a reactive dye with a blue-light blocking function was fixed to hydrogel contact lenses through chemical bonding, and their blue-light blocking function was analyzed. Vinyl sulfone-based Reactive Orange 16 Dyes were covalently conjugated to hydrogel contact lenses containing a considerable amount of alcohol groups. The resultant contact lenses exhibited good blue-light blocking properti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UV-vis spectra investigation. Reactive Orange 16 Dye conjugated to contact lenses was quantified using Beer-Lambert's law, and the blue-light blocking rate of contact lenses could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reactive dye. The development of blue-light blocking contact lenses that can be mass-produced is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ophthalmic optical medical devices.

      • 수도권 공장건축총량제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종래 중앙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지난 반세기동안, 수도권 규제에 대한 찬반논쟁이 계속되어 왔다. 수도권에 인구, 산업과 자본이 집중함에 따라, 성장지역인 수도권 지역과 침체지역인 지방간의 격차를 조장할 뿐만 아니라 과밀, 혼잡비용과 같은 도시문제를 유발한다고 비판받고 있다. 그로 인해 1970년대 이후, 수도권내에 건축을 제한하는 각종 규제가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1980년대 후반부터, 수도권 규제로 인하여 공장부지 구득의 어려움과 기업경쟁력의 약화를 가져왔다. 그런 까닭에, 정부는 직접적인 규제에서 간접적인 규제형태로 규제를 완화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대표적인 예가 공장건축총량제이다. 공장건축총량제는 1994년에 도입되었는데, 이후 공장건축총량제는 수도권으로의 집중을 완화시키고 지역균형개발을 이루기 위한 중앙정부의 가장 중요한 정책의 하나가 되었다. 이 제도는 건교부가 결정한 건축총량내에서 공장건설을 허용하고 있다. 비록 지속적으로 공장건축총량제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고 있더라도, 아직도 많은 문제를 갖고 있는 제도라 할 수 있다. 시장경제하에서, 대개 기업들은 산업입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자신들의 이익을 최대화하고, 위험을 줄일 수 있고, 다양한 정보와 통신이 제공되는 곳에 입지하려고 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시장, 인력과 사회간접시설이 잘 갖추어진 중심지역에 입지하려고 노력한다. 이처럼, 기업이 집적의 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당연한 현상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산업입지에 따른 공장건축총량제도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크게 두 가지라 할 수 있다. 첫째는 공장총량제가 탄생한 배경을 살펴본 후 공장건축총량제의 문제점을 도출하는 것이고, 둘째는 다각적인 조사를 통해 공장건축총량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공장건축총량제도의 문제점은 크게 5가지로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수도권 분산이라는 정책목표는 근본적으로 재 고려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인구집중은 산업입지에 따른 원인이 아니며, 제조업의 구조 역시 1960년대와는 상당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둘째, 공장건축총량제는 규제기준이 모호하고 모든 수도권지역에 일률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실행하기 어려운 계획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공장건축총량제는 중복규제와 과도한 제한을 가져왔다. 셋째, 공장건축총량제의 대상이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과 대기업에 있으며, 이 대형건물과 대기업에게만 엄격히 적용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대기업에 하청관계에 있는 중소기업에도 불이익을 가져왔다. 넷째, 공장건축총량제는 실질적인 산업입지 수요를 제때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지방정부의 요구사항을 수렴하지 못하고 있다. 실례로, 성장관리지역에 무등록공장을 많이 양산했다. 실제적으로, 분산정책은 합당한 근거를 갖고 있지 않으며, 공장건축총량제는 인구분산과 지방 발전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따라서 정부는 공장건축총량제와 같은 행정적 방식에 의존하는 소극적인 규제시스템보다는 시장 메카니즘(Mechanism)에 맞는 적극적인 정책으로의 전환과 규제를 완화하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