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D기법과 ARIMA를 적용한 컨테이너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김종길 仁川大學校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항만물류 시설확장에 기준이 되는 물동량예측은 개별항만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중요성에 기인하여 다양한 선행연구에서 컨테이너 물동량예측에 관한 다양하고 진보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다수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과거물동량에 근거한 미래예측의 한계를 지적하고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좀 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의 21년간 월별 처리실적 데이터를 확보하고, 선행연구에서 정량적 예측방법으로 자주 사용되는 시계열 예측방법인 ARIMA 모형과 정성적 방법으로서 인과모형 중심의 동적분석 기법인 SD 모형을 사용하여 미래 새로운 컨테이너 물동량 예측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트리거룰을 적용하여 도출된 예측치별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 개발에 미치는 정량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ARIMA 모형은 ARIMA(0,1,1)(0,1,1) 모형을 최적모형으로 선정하였으며, 2011년 2천 70만 TEU, 2015년 2천 637만 TEU, 2020년 3천 456만 TEU로 연평균 5.8%씩 증가하며 2020년 기준 국토부의 예측치와 183만 TEU 차이가 나타나나 비교적 국토부 예측치와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성적 방법으로서 인과모형을 중심으로 하는 SD모형은 컨테이너 물동량의 추세, GDP변화량, Bass 확산모형을 이용한 국제무역변화요인을 종합적으로 반영하여 고려하고, 변수간의 동적관계까지 추적할 수 있는 SD모형을 도입하고 GDP growth rate에 대한 변동을 조정하여 시나리오 기반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2020년 기준 GDP 잠재성장률이 가장 낮은 “Worst”는 2,581만 TEU로 나타났으며, “Best”는 3,056만 TEU로 도출되었다. 가능성이 높은 GDP 잠재성장률 평균치인 “Most likely"는 2,831만 TEU로 나타나 국토해양부에서 예측한 결과보다 442만 TEU, ARIMA 모형 결과보다 624만 TEU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부산항과 인천항 하역능력 기준 적용 시 4천 TEU급 10~14개, 18~26개 선석 개발 규모의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트리거룰 적용하여 도출된 예측별 우리나라 컨테이너항만 개발에 주는 정량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종전 하역능력 기준 ARIMA 모형과 국토부 예측치는 정부계획 상 2015년 중 트리거포인트 시점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어 기존 선석 개발계획의 착공시기를 앞당기거나 추가 선석개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고, SD 모형에 의해 도출된 예측치는 2020년 이후에 트리거포인트 시점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위의 3개의 평균 예측치 2017년 트리거포인트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재산정 총 하역능력 기준 ARIMA 모형과 국토부 예측치는 2018년 중 트리거포인트 시점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었고, 그 시점에서 추가 선석개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고, SD 모형은 2020년 이후에 트리거포인트 시점이 도래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위의 3개의 평균 예측치는 2018년 트리거포인트 시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따라서 국토부의 하역능력 재산정으로 트리거포인트 시점이 약 2년 정도 늦춰진 것으로 판단되며 SD 모형에 의해 도출된 예측치 기준으로 현재 정부계획 이외 추가선석 개발은 필요 없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기존 정량적 예측방법을 수용하고 정성적 동적인 분석기법인 SD모형을 적용하여 급변하는 사회경제환경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예측모델을 구축하고 예측결과를 실증하여 정량적 효과를 제시하였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첫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경기침체와 같은 사건 등이 좀 더 정확하게 반영된 개입분석형 등 여러가지 시계열 모형으로 발전시키지 못한 점이다. 둘째, SD 모형에 적용된 외생변수가 상대적으로 기존 예측방법 혹은 모델들 보다 적어 모형의 신뢰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 어떠한 외생변수(특히, 정책변수)들을 더 적용 가능한 지 좀 더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좀 더 발전된 연구를 통해 SD 모형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 예측력과 신뢰성을 향상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 가치관, 일과 가정의 균형(BWF) 및 조직효과성의 관계

        김종길 동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개인생활 보다 직장 일을 우선시하는 근면한 노동의식은 한국 경제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소득수준이 높아진 1980년대 이후에 태어난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일 중심 가치관이 개인의 생활이나 가정생활을 중시하는 가치관으로 변화하고 있다. 일과 가정의 균형(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BWF)이 조직구성원의 개인적인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일과 가정의 균형 문제는 비단 삶의 만족이나 심리적 안녕의 문제만이 아니라 가정이나 직장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절실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치관이 BWF에 미치는 영향과 BWF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자 사례분석과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가치관 연구의 특성상 질적 연구의 필요성이 크다는 점을 감안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일에 대한 가치관을 크게 내적 가치관과 외적 가치관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변수로서 조직구성원의 역할행동, 이타주의 행동, 이직의도를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외 76개 BWF 우수기업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위하여서는 대구·경북 지방 13개 기업체의 구성원 375명과 25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원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한편, 연구모형의 타당성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적 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업무에 대한 자부심, 조직에 대한 관심은 p<0.05 수준에서 BWF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선호성은 p<0.1 수준에서 BWF와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외적 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경제적 수입에 대한 관심은 BWF와 p<0.05 수준에서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위에 대한 관심과 신분 상승에 대한 관심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가족 중심 가치관의 하위요인 중 부계 가문의 영속화, 부모공경 의식, 친·인척간의 사회·경제적 유대 의식은 p<0.05 수준에서 BWF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 우선성은 p<0.1 수준에서 BWF와 유의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BWF는 조직효과성 변수인 역할행동, 이타주의 행동, 이직의도에 p<0.01 수준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일 중심 가치관과 BWF 간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BWF는 조직효과성의 하위변수인 역할행동, 이타주의 행동과 정(+)의 관계를 갖고,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이 분야에 관한 선행 연구들에 비하여 BWF의 개념, 일과 가정의 상호작용 기제에 대한 폭넓은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BWF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였으며, BWF에 관한 이론의 설명력을 높이는데 좀더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실무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에 대한 내적 가치관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지고 있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는 내재적 보상이 한층 더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장기적으로는 일에 대한 외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 조직 구성원들로 하여금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해서는 외재적 보상을 강조해야 할 것이다. 셋째, 조직 경영자들은 BWF가 역할행동과 이타주의 행동의 강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더 나아가 이직의도를 줄인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일과 가정의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조직경영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values,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BWF)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375 employees in 13 businesses or work places and 389 school teachers in Dae-gu and Kyung-Buk. 856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April 23 through May 4, then 773 answ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May 4. 764 of them were selected to be appropriate for research analysis including 151 manufacturers and engineers(19.8%), 218 office workers(28.5%), and 389 school teachers(50.9%).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values, BWF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76 case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were implemented in the work places. The basic hypothesis of this research was that work values and family values would have an effect on BWF, and that BWF would have an effect on organizational members' role behavior, altruism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The method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pplied to analyze the research data and the relationship among values, BWF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factor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of pride in work, job involvement to BWF proved to have significant meaning at p<0.05 level. Only activity preference proved to have meaning at p<0.1 level. Second, attitude toward earning for BWF is negatively significant at p<0.05 level, and social status of the job and upward striving did not prove to have any significant meaning. Third, everlastingness of the paternal side’s family, parents respect consciousness, social-economic relationship consciousness on relatives and marriage in the sub factors of family-centered values proved to have no significant meaning at p<0.05 level. but family preference proved to have significant meaning at p<0.1 level. Forth, BWF bears significant relationship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role behavior, altruism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s at p<0.01 Level.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rnal rewards for BWF is an important factor emphasized among organizational members with internal work values. Second, the external reward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ose organizational members with external work values for BWF for long periods. Taking these view points, companies can adopt more active introduction of BWF programs into work plac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human resource employment, and maintenance rate improvement, absence rate reduction, customer contact improvement, service improvement, job satisfaction and motivation for working.

      • 경찰수사에 있어서 범죄용의자 식별의 정확도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김종길 圓光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police investigation, the importance of statement made by victims or witnesses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everyday, especially with violent crimes where the statements of witnesses are the key to solving the case. When witness's statement is accurate, cases may be solved easily but if the statement is inaccurate or false, it makes more difficult to solve the case or even leaves the case unsolved.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the ways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tatement made by witnesses who plays an important role in solving crime cases. This study is particularly limited to the identification of criminal suspect from witness's statem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rollable factors of the police investigation system to point out some problems of the identification of criminal suspects and the interviews with witnesses. This study also proposed some possible solutions to improve the accuracy of witness's statement during police investigation process. In order to attain this study's purpose, theocratical studie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es and empirical studies based on in-depth interview and experimental study have been carried out. For the theocratical study, data from domestic and overseas books and previous thesis have been collected. For the empirical study, in-depth interviews and experimental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Also, hypothesis has been made, verified and discussed. Hypothesis 1 is that the rate of identification will vary depending on if there is a target and unbiased instruction. In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re is a target, it does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identification accuracy rate if biased or unbiased instructions are used. However, i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hen there was no target. Therefore, Hypothesis 1 was partially adopted and partially rejected. Hypothesis 2 is that the identification rate will vary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a target and the lineup. In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when there is a target, it does not mak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identification accuracy rate if the presentation is made simultaneously or in order. However, it show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ineup and identification rate when there was no target. Hypothesis 2, also, was partially adopted and partially rejected. Hypothesis 3 is that the identification rate will vary depending on the availability of a target and the number of photographs presented during a lineup.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3 also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there was a target. However, when there was no target, presentation of 5 and 8 photo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dentification rates. Therefore, Hypothesis 3 was partially adopted and partially rejected as well.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some policy-wise suggestions were made by dividing the area into the interview with witnesses and the identification of criminal suspects. For the interview with witnesses, first, new interview technique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icient witness interviews and second, adequate training for such techniques needs to be given to the detectives. Third, to prevent damages due to witness's false statement and to understand if the witness is telling the truth, a statement validity assessment technique called SCAN needs to be adopted. Fourth, to induce positive cooperation of the witness, his/her status and safety must be secured. For the identification of criminal suspect, first, enough space must be provided where witnesses can identify criminal suspects and for the detectives to carry out in-depth interviews with the witnesses. Second, because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recruit people (or their photos) for the supporting role in lineup, a database of people needs to be made to solve this problem. Also, the citizens who participate in the lineup should be paid reasonably. Third, professionals for carrying out objective identification process of criminal suspects must be nurtured. These professionals must not be involved in the investigation so that they can lead the witnesses to objectively identify criminal suspects. In Korea, not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riminal suspect identification and this study may be very suggestive. In fact, with 1,280 respondents, this study's validity is higher compared to other previous studies. Unlike before, this study has divided the respondents into adults and minorities and arrange them appropriately to carry out the experiment. However,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in terms of in-depth interviews and experimental studies. Because not many studies or precedent cases were there to refer, the study could not focus on one particular direction. Also, in terms of experimental study, interviews and experiments with the people who have actually made statements as witnesses before could not be carried out due to many circumstances. The study was conducted mainly based on the responses of high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and it was difficult to interview many different age groups. For more accurate identification of criminal suspects, many studies must be conducted on the subject, and the criminal justice system must give positive support. The strictness of the punishment must be shown to the real offenders and there should be no innocent citizens being falsely charged. 경찰 수사과정에서 피해자 또는 목격자의 진술에 대한 중요성은 날이 갈수록 더해가고 있다. 특히 목격자의 진술이 사건해결의 열쇠가 되고 있는 주요 강력범죄에서는 더욱더 그러하다. 목격자 진술이 정확하면 사건은 쉽게 해결되기도 하지만 반대로 목격자의 진술이 정확하지 않거나, 허위일 때는 오히려 사건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거나, 미제사건으로 남기도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범죄사건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목격자 진술에 대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목격자의 진술 중 범죄용의자 식별과 관련된 부분으로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경찰의 수사절차에서 통제 가능한 시스템 변인에 초점을 맞추어 범죄용의자 식별 절차 및 목격자 면담 상의 문제점과 그 대책에 관해 제언하고, 경찰 수사 단계에서 목격증언의 정확성을 제고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에 의한 이론적 연구와 심층면접과 실험연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적 연구는 기존의 목격진술에 관한 국내 · 외 관련 서적 및 논문 등을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에 대한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실증적 연구로는 심층면접과 실험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여, 그와 관련된 논의를 진행하였다. 가설 1은 표적 대상의 유무와 비편향된 지시문의 유무에 따라 식별률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으로 표적 대상이 있을 때 편향된 지시문을 사용했을 때와 비편향된 지시문을 사용했을 때의 식별 정확률에서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적대상이 없을 때의 경우에서는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가설 1은 일부채택, 일부기각 되었다. 가설 2는 표적 대상의 유무와 라인업 방식에 따라 식별률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검증도 마찬가지로 표적 대상이 있을 때 동시적 제시방법과 순차적 제시방법을 사용했을 때의 식별 정확률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표적대상이 없을 때 라인업 방식에 따라 식별률에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나타나 가설 2도 일부채택, 일부기각 되었다. 가설 3은 표적 대상의 유무와 라인업시 제시하는 사진의 수에 따라 식별률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가설 3의 검증도 마찬가지로 표적 대상이 있을 때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표적대상이 없을 때 정확률에 있어 사진을 5장 제시했을 때와 사진을 8장 제시했을 때 모두 유의미한 비율을 나타내 가설 3 역시 일부채택, 일부기각 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목격자면담 관련 분야와 범죄용의자 식별 관련 분야로 나누어 정책적인 제언을 하였다. 목격자면담 관련 분야에서는 첫째, 효율적인 목격자 면담을 위한 면담기법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둘째로는 이러한 면담기법을 일선 현장 수사관들에게 교육하고, 홍보하여 내실화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는 목격자의 거짓진술에 대한 폐해를 막기 위해 목격자 진술의 진위를 파악하기 위하여 진술 타당도 평가기법인 SCAN 기법을 도입하여 활용해야 할 것이다. 넷째, 목격자의 적극적인 수사협조를 유도하기 위하여 지위를 보장해주고,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방법이 있다. 다음으로 범죄용의자 식별과 관련된 분야에서는 첫째, 현재 수사현장에서 범죄용의자 식별 또는 목격자와 심도 있는 면담을 진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현실적으로 부족하므로, 이러한 공간을 확보하고 개선하는 물리적 환경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라인업을 위한 들러리에 대하여 실물이든 사진이든 현재의 상황에서는 구하기가 매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화를 실현하여야 할 것이며, 이에 참여하는 시민들에게는 금전지급과 같은 적정한 인센티브가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로는 객관적인 범죄용의자 식별절차의 진행을 위한 범죄용의자 식별절차는 진행하는 전문가를 육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수사에 전혀 관여하지 않아 목격자의 객관적인 범죄용의자 지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그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범죄용의자 식별 관련 연구로써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실제적으로 1,280명을 실험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기존에 이루어졌던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그 신뢰성과 타당성을 함께 높인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이루어지지 않았던 성년과 미성년을 구분하고, 인원을 적절히 안배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는 데에서 연구의 차별성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이와 관련한 국내의 연구 및 형사사법기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 범죄용의자 식별을 정확히 하고, 이를 토대로 진범에게는 국가형벌권의 엄중함을 보여주고, 범인이 아닌 선량한 시민은 억울한 누명을 쓰는 일이 없게 되기를 희망한다.

      • 라면 消費者의 購買行態에 關한 연구 : 購買意思決定過程을 中心으로

        김종길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消資者行動은 자신의 成長過程, 所得水準, 文化 및 生活水準 等에 따라 각기 다르게 表出될 수 있으며 최근에는 社會的 要因과 環境的 要因에 따라서도 變化되이가고 있다. 특히 個人的 欲求가 多樣해지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마케팅정책도 여기에 부합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多樣한 政策開發이 必要하다.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마케팅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결국 消費者滿足을 시킬 수 있는 소비자의 구매행동 및 태도와 구매행동과 관련된 購買意恩決定過程을 중심으로 分析하고 현재 라면 5固社 製品들의 認知度를 파악함으로써 브랜드 충성도가 강한 제품의 특성과 관련된 分析을 실시하였다. 木 硏究의 分析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購買行動 및 熊度에 대한 分析結果 要約 1) 라면의 取食頻度는 일주일에 1~2회 이상 먹는 소비자의 경우 10대가 가장 높고 30대, 20대가 그 다음 빈도가 높고 40대 이상이 가장 낮은 편이며 성별에서는 큰 차이는 없지만 여자보다는 남자가 약간 더 많이 취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라면價格에 대한 消費者滿足度는 IMF 이후 수입원부재료의 앙등과 2차에 걸친 라면가격의 상승으로 소비자들은 라면제품의 가격이 약간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다. 3) IMF 이후 消費者의 所得 減少로 용기면보다는 가격이 저렴한 봉지면의 選好比率이 높아졌다. 4) 소비자의 64.1%가 얼큰한 맛의 라면을 좋아하며 매움맛에 대한 만족도는 약간 매운맛이 있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행동 및 태도에 대한 조사에서 조사대상자들은 年齡과 性別에 따라 각기 다른 特性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購買意思決定過程의 各 段階에 대한 分析結果 要約 1) 問題認識段階에서는 조사대상자들이 라면의 식용동기가 밥을 먹기 싫을때와 食事의 代替用으로 먹는 경우가 50.8%로 나타났으며 라면에 대한 基本認識은 '다른 음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영양상태는 나쁘지만 맛이 좋다'고 소비자는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情報探索段階에서는 情報의 源泉은 82.9%가 TV에 絶對的으로 依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代案評價段階에서는 라면 구매시 重要하게 認識하는 것은 10대는 品質과 價格을 중시하고 2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流通期限과 제품의 品質과 價格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企業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디자인, 包裝, 商標에 대해서는 중요시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라면에 한정하기 보다는 소비자 입장에서 食品을 기준으로 갖고있는 선호 심리가 작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또 라면 代替品 比較에서는 라면보다 국수와 냉면을 더 손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자는 라면과 짜장면을 여자보다 선호하고 여자는 냉면과 김밥을 남자보다 선호하고 국수는 남녀 비슷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購買決定段階에서 購買決定時機는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51.2%가 이미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품의 廣告效果가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판단되며, 購買場所는 수퍼마켓이 70% 이상 이용되고 있으며, 가정에서 購買製品의 브랜드를 決定하는 消費者는 주로 子女이며, 實際 購買者는 주로 어머니인 것으로 나타났다. 5) 購買後 行動段階에서는 구매하기 전에 가지고 있던 느낌에 비하여 식용후의 느낌은 약간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국 소비자의 구매후 라면에 대한 개선요망사항은 영양의 참가와 면의 질에 두고 있다. 3. 業體別 商品認知度 分析結果 要約 1) 소비자는 봉지면의 경우 농심의 신라면과 안성탕면을 연령에 관계없이 선호하며 다음으로 삼양라면을 선호하고 있다. 2) 용기면의 경우에는 농심의 큰사발면이 가장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용기면 위주의 영업을 하고 있는 한국야쿠르트의 팔도왕뚜껑이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라면 이외의 봉지면에서는 삼양의 짜짜로니와 한국야쿠르트의 팔도 비빔면의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업체별 선호도에서는 농심 73.2%, 삼양 16.3%, 오뚜기 4.4%, 팔도 4.1%, 빙그레 2.0%로 나타났는데 1, 2위업체의 순위가 매출실적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IMF 이후 브랜드 忠誠度가 강한 제품 위조로 판매가 더욱 신장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 같다. 5) 소비자는 라면판매 1위업체의 농심을 선호하는 이유는 '제품의 맛'으로 나타난 것을 볼 때 라면製造企業에서 가장 重要視해야 하는 것은 '製品力'이라고 볼 수 있다.

      • 韓國金融先物去來制度의 導入과 活性化 方案

        김종길 檀國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國際金融市場은 1970年代初에 이루어진 金融先物去來 導入以後 汎世界的인 去來所開設擴大, 새로운 去來商品의 多樣化, 金融先物去來 Mechanism의 襲邏 등으로 실로 커다란 變化의 狀況을 맞고 있으며, 國際化 開放化 趨勢에 있는 우리 經濟도 直接的인 影響을 받고 있다. 한편, 우리 金融産業은 對內的으로 金利自由化 및 金融産業再編 大勢속에서 극심한 競爭과 體質改善의 진통을 겪고 있고 對外的으로는 資本市場 의 開放또力과 金融의 國際化가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따라 對內 · 外的 資金去來活動에 必然的으로 수반되는 金利, 換率 및 株價 등 各種金融關聯商品의 價格襲勳위험을 다른 사람에게 轉據하여 效果的으로 heding할 수 있는 制度的이고 規格化된 장치로서의 金融先物去來가 導入되어야 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金融先物市場의 創設은 微視的으로는 장래 형성될 價格에 대한 다수의 시장참여자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반영, 미래의 가격에 대한 情報를 제공하고 投資意思決定의 指標로 삼을 수 있어 效率的인 資金調達 및 運用을 可能하게 하며, 巨視的으로는 國民經濟의 債格變動에 대한 신속하고 원활한 對應, 資本市場의 競爭力 强化 등 多樣한 效果가 기대될 수 있다. 따라서 本 硏究에서는 危險에 따른 여러가지 hedging수단 중 先進國에서 날로 活用되어지고 있는 金融先物去來制度를 우리에게 導入하는 것과 관련하여 金融先物去來制度의 理論的 考寮을 살펴본 후 外國의 金融先物 市場의 現況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先物去來의 現況과 問題點을 分析해 봄으로서 빠르면 94년으로 예상되는 韓國先物去來所(Korea Futures Exchange)의 設立에 대한 구체적인 活性化 方案을 제시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金融先値去來가 價格이 效率的으로 形成되도록 함으로써 市場에 流動性(liquidity)을 부여하여 去來規模를 擴大시키고 安定的인 市場運用을 圖謀하며 制度的인 投機場所를 提街함으로써 자금흐름의 歪曲을 시정하는 중요한 機能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投機去來 그 자체를 죄악시하는 政府 및 國民의 認識不足 및 理解不足으로 金融先物去來를 導入 活用하는데 있어서 아직 많은 問題點이 있다. 이러한 諸問題點과 國內 金融先物去來導入을 위한 活性化方案에 대해서 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金融先物去來 導入에 따른 問題點은 運營, 制度, 與件上의 問題點및 導入後의 問題點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패, 運營上의 問題點으로는 金融先物去來産業을 金融産業의 中心産業의 하나로 育成할 것인가 또는 一般實物去來의 補助機能으로 존재시켜 갈 것인가를 決定해야 하는 점이며, 둘째, 制度上의 問題點으로는 仲介會社 에 對한 嚴格한 制限, 制度의 二元化, 去來의 制約, 換率의 價格機能未治 등을 들 수 있다. 셋째, 與件上의 問題點으로는 金融·外換市場의 未發達, 社會全般의 理解不足 및 認識不足 둥을 들 수 있다. 넷째, 先物去來制度 導入後의 問題點으로는 損失規模 擴大可能性, 不公正去來行爲, 시장조작 가능성, 위험확산 역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問題點에 대한 活性化 方案을 要約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金融先物去來制度의 先決課題로는 첫째, 政府規制緩和를 들 수 있고, 둘째, 投機性去來에 대한 認識의 檀換이 요구되고 있으며, 셋째,金融'外換市場을 積極的으로 育成해야 하며, 넷째, 先物人口의 底邊擴大 를 위해 專門人力을 養成하고 弘報를 强化해야 한다. 다음으로 金融先物去來制度 및 諸般與件上의 活性化 方案으로는, 첫째, 金融先物去來 全擔機構(仲介會社)를 通한 去來委託으로 許容하고. 둘째, 實需去來 制限을 緩和하거나 撤廢해야 한다. 셋째, 去來委託窓口의 單一化 및 先物去來 關聯根法을 制定해야 한다. 넷째, 先物去來協議會의 組織機構 및 機能을 强化해야 한다. 다섯째, 不公正去來行爲를 規制하기 위한 電算시스템을 構築해야 한다. 여섯째, 現物市場價格의 安定化를 들 수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 경제가 自律化, 國際化가 加速化되고 構造的으로 先進化되는 과정에서 國內先物市場의 發展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정부 및 일반국민의 投機去來에 대한 認識의 轉換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認識의 轉換이 없이는 國際競爭力을 갖추기 어렵다. 왜냐하면 先進團과 우리 의 競爭國의 經濟主體들은 先進市場을 통하여 자신들이 처한 危險을 投機 去來者들에게 轉嫁시킬 수 있는 반면에 우리나라의 政府·企業 및 個人은 危險을 그대로 안고 국제무대에서 競爭할 것이기 때문이다. Today's world financial market has been changing continuously with a great effort on the extention of worldwide trading system and diversification of trading products since the future exchange mechanism was introduced in the 1970's. It is apparent that Korean Economy, which is now on the internationalizing and opening trend, is under direct influence of the world financial market, In order to reduce risk which comes from a change in the future prices, such as interest rates, exchange rates and stock prices, Korean Economy needs to establish a kind of system in operation. This thesis examines some theoretical effects on the economy when the financial futures transaction system is introduced into domestic financial market. As a result of introduction of that system, several effects could be expected. In the microscopic point of view, effective money supply and its operation could be expected reflecting synthetically many market-participants' opinion of the future prices which can be used as an index for the investment decision. In the macroscopic point of view, a stability in the future price will be an essential for our economy to gain more competition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is paper also proposes some measures to activize the transaction system. Thoses are to bring up that system as a central of the financial industry, to abolish regulation on the financial transaction. to transform the recognition on the public of the speculative transaction, and finanlly, to build up computer system in Korea. When all these measures are fulfilled, more competition could be achieved in the international market and domestic financial market will become active.

      • 汚染總量管理制度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 洛東江上流 靑松郡 地域을 中心으로

        김종길 東洋大學校 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times, eutrophication is becoming serious due to pollutants, which exceed permissible environmental capacity, inflowing into stagnant water; stemming from regional concentrations and a quantitative increase in pollution sources including urbanization, agricultural concentration, expansion of livestock farming, and fishery farming, the grouping of industrial complexes, and the excessive establishment of restaurants alongside rivers, lakes, and the sea. Despite the multi-dimensional and constant efforts of the government, no effective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major water zones such as the Paldang Lake Dam in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has been made. Thus, the government widely recognizes that it is inevitable that a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must be implemented since there are limitations to controlling the increase in pollutant loads caused by the regional development with only the existing post management system. To cope with the existing situation,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for the Han River Water System in 1999 when it established a comprehensive Han River Management Measure. In this manner,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was conducted around the upper stream of the Paldang Lake and since then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has been carried out in full swing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s for Three Rivers. In this paper, improvement methods were sought by drawing from the following problems that have been exposed in the initial stage of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in Korea: First, since the core of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lies in setting up a target level for a pollutant load for water quality, there arose conflicts between the cities/districts(Gun) that want to minimize the burden of the pollutant loads for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that tries to promote actual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by strengthening the target level for the pollutant loads. Thus, this paper suggests a policy that will adequately adjust the target level for the pollutant loads and the demands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substantial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Second, the pollution sources and pollutants are on the increase due to the industrial structure and rapid economic growth that is taking place in our modern society. Meanwhile, the facilities are insufficient for reducing the pollutant sources,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a policy for the reduction in the pollution sources by installing basic environmental facilities, such as sewage treatment plants, sewage maintenance, excretions disposal facilities, and public treatment facilities for wastewater from livestock. Third, the strategies and concrete policies on the government level should be promoted step by step in order to successfully facilitate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We must find more effective improvement methods for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in order that the environmental policy goal for improving water quality and the pending regional problems for local development can be adequately coordinated and resolved. Based on the governments firm intention to improve water quality as stated abov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gional standards, build and expand sewage treatment plants,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load of pollutants, improve a system that will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establish a contact office through adequate consultation with concerned cities and districts; and finally, promote step-by-step and through constant-public notification and education of the necessities for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In the event of constant supplementation of the solutions to problems, R&D for support of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and activ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local residents, it is expected that a substantial improvement in water quality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will be at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