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정선 추계예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pain that every individual undergoes today is caused by not only individual issues but also social issues that every member of the society collectively experience. Therefore, to heal the pain of an individual caused by various reasons, a person’s collective experiences in a society are to be examined in addition to the focus on a person’s inner problems. That is to say, therapeutic approach of art for healing individual trauma is to be sought on a social level. In this study, therapeutic intervention of art in a society is explored to consider art as a means of healing traumatic pains of social member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artists and art therapists, examin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an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In this study, 9 participants were chosen, all of whom had theoretical knowledge on art therapy, experiences of conducting more than 3 projects or programs at least 3 months long in the fields of social art healing, and 3 years of a career experience in art activity for the purpose of healing. The demographics of the participants were 7 females and 2 males, 5 in their forties, 4 in their fifties. In the academic backgrounds of the participants, 2 were college graduates, 7 were doctoral candidates. In the work experiences, 3 had less than 15 years, 6 had more than 15 years. In the number of times of participating in a project or a program, 4 had less than 10 times, 5 had more than 10 times of participating in art therapy programs in a hospital, research institute, rights center, NGO, and university as an artist, an art therapist, a social worker doubling as an art therapist, and an art manager doubling as an artist. This study’s research method and results for each stage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age, an analytical framework of study was made from previous studies and focus questions were developed. A preliminary study was done to confirm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were elicited from the participants and to examine the patterns of statements and detailed contents elicited from the cases of the participants, while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the focus questions to further create abundant statements. In the second stag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9 participants concerning the final focus questions, and idea statements corresponding to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were collected from the cases relevant to social art healing. All the contents were recorded in a verbatim format, and then the statements corresponding to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a common factor point were extracted. In the third stage, a three-member team including the researcher sorted out those with similar contents from 598 statements and extracted 235 statements. Once again final 33 statements were confirmed responding to the feedbacks from 7 participants and 2 experts in the field. In the forth stage, the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similarity classification on the final 33 statements from 9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major dimensions of artists and art therapists, the X-axis was perceived as the dimensions of “social dimension-individual dimension,” while the Y-axis as the “consideration factors-implementation intervention factors” in the planning phase. Then the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on the two-dimensional coordinate values from the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discovered that artists and art therapists perceived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4 clusters. Each dimension was categorized as social, individual, an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intervention. Cluster 1 was named as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an individual dimension in a planning phase,” cluster 2 as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a social dimension in the planning phase,” cluster 3 as “implementation intervention factors in a social dimension,” and cluster 4 as “implementation intervention factors in an individual dimension.” In the fifth stage, artists and art therapists evaluated the importance of final 33 statements concerning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The average of all the statements marked M=4.45. Statement 1, “The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of the participants are to be examined in the planning phase of projects.” and statement 11, “The current fragmented self in one’s overall relationship whether psychological, emotional, or social is to be recognized.” marked the highest average M=5.0. Statement 2, “The stigma that can make the participants feel like victims is to be considered.” marked M=4.89, indicating that it was conceived as being important in social art healing.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social art healing should consider eve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the individual problems when dealing with traumatic wounds and pain. Social art healing includes the whole healing process from recognizing one’s fragmented self to restoring the community. The detailed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art healing is performed by means of projects or programs and thus requires developing programs with an academic basis and verifying its effectiveness. The objective is to acquire the validation of business and the publicity as social service. The intervention of a planner of art healing is required and social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Second, at the planning stage, it became evident that from a social perspective, as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structural support systems are required from an ecological standpoint,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networks and organic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local relevant institutions, to create a physical healing environment for individual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facilitate victims' natural integration into the community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ird, on the social dimension as implementation intervention factors, it was revealed that intervention as facilitators by therapists is necessary, utilizing resources embedded in social relationships. This involves fostering intimacy among participants, forming psycho-social networks, improving awareness through the formation of social empathy and solidarity, promoting a culture of mutual care, and fostering sustainable communities to collectively address the pain of victims. Fourth, on the individual dimension as implementation intervention factors, it was found that professional intervention as therapists is required for the restoration of holistic health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is involves victims recognizing fragmented selves, reconstructing memories, and exploring and activating resources to cope with stress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lineating protective and risk factors through social art healing programs in the absence of a well-established concept of social art healing.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experts, it identifies individual and societal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contributing to the understanding of the healing process and specif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This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ystems for the provision of social art healing as a social service and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imed at training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art healing. 오늘날 개인이 일생을 통해 경험하는 고통은 개인적 차원의 문제로부터 기인하는 부분과 함께 사회 문제로 인해 구성원이 집단적으로 경험하는 고통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개인이 겪는 이러한 복합적 차원의 고통에 대 한 치유의 방향 또한 개인의 내적 문제에 국한되기보다 집단이 경험하는 보다 포괄적이고 입체적인 이해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 고 있으며, 이는 개인 단위를 넘어선 사회적 관점에서의 치유적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성원들의 트라우마적인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술의 사회적 관점에서의 치유적 개입을 살펴 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예술가와 예술치료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들 이 인식하는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과 요인별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사회적 예술치유 분야에서 3개월 이상의 프로젝트 또 는 프로그램에 세 번 이상 참여 경험을 가진 자이며, 치유 목적의 예술활동 경력이 3년 이상인 자, 예술치유 분야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성을 갖춘 자 9명을 섭외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성별은 여성이 7명, 남성이 2명, 연령은 40대 이하 5명(55.6%), 50대 이상 4명(44.4%), 학력은 석사이하 2명(22.2%), 박사수료이상 7명(77.8%), 임상경력은 15년 미만이 3명(33.3%), 15년 이상 6명(66.7%),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참여 횟수는 10 개 미만이 4명(44.4%), 10개 이상이 5명으로(55.6%) 병원이나 연구소, 인권센터, NGO, 대학교 등에서 근무하며, 예술가, 예술치료사, 예술치료사이 면서 사회복지사, 예술가이면서 예술경영전문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선행연구로부터 연구의 분석 틀을 만들고, 이를 근거로 초점질문을 개발하였다. 예비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로부터 치유적 개입요인을 충분히 도출해 낼 수 있는지 확인 하는 것으로 연구 참여자의 사례로부터 도출된 진술문의 패턴과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하고, 보다 풍성한 진술문을 도출하기 위해 초점질문을 수정 보완하였다. 두 번째로는 9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최종 초점질문에 대한 개별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사회적 예술치유와 관련한 사례로부터 치유적 개입 요인에 해당하는 아이디어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모든 내용은 축어록으로 작성한 후 공통요인 관점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해당하는 진술문을 모 두 추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추출된 598개의 진술문에 대하여 연구자를 포함한 3인이 유사한 내용끼리 진술문을 분류, 편집하였으며, 235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다. 이 진술문에 대해서는 연구 참여자 7인과 분야 전문가 2인의 피드백을 받아 최종 33개의 진술문으로 확정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 참여자 9인을 대상으로 최종진술문 33개에 대 한 유사성 분류를 실시하였고, 이를 근거로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행하였다. 예술가와 예술치료사가 인식하는 주요 차원은 X축은 사회적 차원-개 인적 차원으로 인식하였으며, Y축은 기획단계에서 고려요인-실행개입요인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차원분석에서 나온 2차원 좌표값은 WARD에 의한 군집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분석결과 예술가와 예술치료사 는 치유적 개입요인을 4개의 군집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각 차원은 사회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 기획과 실행개입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 군집은 치유적 개입과 관련하여 ‘기획단계에서 개인적 차원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 ‘기획단계에서 사회적 차원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 ‘사회 적 차원에서 실행개입요인’, ‘개인적 차원에서 실행개입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예술가와 예술치료사에게 사회적 예술치유에서 치유적 개입요인과 관련하여 도출된 최종 33개 진술문에 대한 중요도를 평정하도록 하였고, 모든 진술문의 평균은 (M=4.45)으로 도출되었다. 진술 문 가운데 1번 진술문 ‘프로젝트 기획단계에서 참여자의 특성과 배경을 파악한다’와 11번 진술문 ‘현재 자신의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관계 전반 에 걸쳐 파편화된 자아를 인식하도록 한다.’로 평균 (M=5.0)으로 가장 높 게 평정되었고, 그 다음은 2번 진술문 ‘참여자가 피해자로서 느낄 수 있는 스티그마를 고려한다(M=4.89)가 사회적 예술치유에서 중요하게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적 예술치유는 트라우마적인 상처와 아픔 을 치유하는 데 있어서 개인의 문제에 국한되기보다 사회문화적 배경까지 포괄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곧 개인의 파편화 된 자아 인식으로부터 공동체 재건까지의 치유 프로세스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인 치유적 개입요인으로는 첫째, 사회적 예술치유는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단위로 진행되는 것으로 연구기반의 프로그램 구성과 효과성 검증이 요구된다. 이는 사업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사회서비스로의 공공성을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예술치유 기획자로서의 개입이 요구되며, 사회 제 도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획단계에서 사회적 차원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으로 개인의 심리적 안정감을 위한 물리적 치 유 환경조성과 피해자가 예술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공동체로 연결되어 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역내 유관 기관과의 네트워크 형성 및 유기적인 협력 등 사회생태학적 관점에서의 구조적인 지원체계가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차원에서 실행개입요인으로 사회관계에 배태된 자 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참여자간 친밀감 형성 및 심리사회적 네트워크 형성,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따른 인식 개선과 사회적 연대감 형성, 피해자들의 아픔을 함께 해결해가기 위한 상호돌봄문화와 지속가능한 공동체 조 성 등 치료사의 퍼실리테이터로서의 개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차원에서 실행개입요인으로 피해자가 예술활동을 통해 파편 화된 자아를 인식하고, 기억을 재구성하며,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자 원의 탐색과 활성화로 전인적인 관점에서의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것으로 치료사로서의 전문적인 개입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아직 사회적 예술치유의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 사회적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통해 치유목적으로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개인단위와 사회단 위의 치유적 개입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 예술치유의 치유 프로세스 와 구체적인 치유적 개입요인을 도출하였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사회적 예술치유가 사회서비스로 제공되기 위한 제도 마련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사회적 예술치유 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설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부동산개발이익 환수부담금의 적합성평가

        김정선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enforcement of the allotments that is imposed on the people must be stricter than that of taxes. People point out that there is no guarantee of equality rights set by the constitution for allotments, its burden is excessive and redundant, and that is why it is becoming a social issue.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the feasibility of calculation standards, non-redundancy of allotments and legality as the method to solve the above matters and defined the compatibility of allotments to comprehend the above concepts . Also, this study built the analysis model to assess the compatibility of allotments and attempted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pproach on this matter. I think there is a need to closely examine the compatibility of allotments in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llotment system. In this study, through theoretical examination, development act means a physical type, and development gains is defined as including the tangible, intangible, and other socio-economic concepts. I have organized the existing theory on the justification of the returning of development gains, and have established a theory that development gains occur in both the act of changing the land characteristics and the act of construction. I have searched the economic effect of development gains and the measurement of development gains based on existing theories. I have also examined the justification of tax and separate special allotments through precedents. Since preceding studies had randomly classified allotments, I have felt the need to classify all the allotments, and have newl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classify allotments. Through this, I have limited the scop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compatibility are in the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validity of allotments, in the case of allotments exclusively for farm land, allotments were being imposed despite of the fact that development gains had regional differentials, and the allotment ratio appeared have severe deviation by each land category. And there was a severe gap between allotment ratios of similar allotments. Since in the case of some allotments the average allotment on development gains were imposed exceeding the development gains, it had the possibility to encroach capital, and by imposing a fixed amount without connection to development gains, it was not able to respond to the benefit according to the act of development. Second, in case of redundancy, although there was no redundancy between allotments imposed to the act of changing land characteristics and allotments imposed to the act of construction, there was redundancy among allotments imposed to the act of changing land characteristics and among allotments from the act of construction. Third, some gain return allotments were going against the rule of minimum violation and the rule of balance in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among the rule of proportion. Meanwhile, if you analyze just one individual allotment, you can say the extent of violation is small. But if multiple allotments are imposed simultaneously, the extent of the violation will become greater. Therefore, we can say redundant allotments go against the rule of minimum violation. Since securing the compatibility of allotments work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the allotment policy, there is a need for several alternatives. First, if you want to secure validity,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imposition of a fixed ratio to 'site' by usage areas and the gap of land category subject to development. Allotment ratio is due to the contradiction of equally imposing a fixed amount, it must be amended to an allotment that corresponds to the development gains. There is a need to unify the base price at the expiration point of the reconstruction allotment to appraised price. Second, in order to correct redundant impositions, there is a need to simplify the gain return allotment system. We must divide up the development gains into two allotments: allotment from the act of changing land characteristics and allotments from the act of construction, and integrate and manage the allotments from each act into one law. it can be presented that the allotment from the act of changing land characteristics is integrated to integrate allotments into the existing 'law on returning of development gains. It will be reasonable that the existing allotment from the act of construction is amalgamated into 'the law on infrastructure allotment.' As a means to secure legality, in the case of allotment for damaging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if you want to abide by the rule of minimum violation and the balance in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he calculation method must be amended from method based on the land price differential between the land category of the area outside the existing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and the land category before the relevant development to the method based on land price differential between the 'site' within the limited development district and the land category before the relevant development. If you wish to abide by the rule of minimum violation of the reconstruction allotment, you must make sure there are no artificial gains. To do that, you must determine the appraised amount as the price at the point of expiration instead of the sales price. As a result of the study, what I've discovered is that there are rather more development gains in an area serviced with infrastructure. The reason behind it is because the act of development is being carried out while benefiting from various infrastructures already set in place by the government, and therefore, there is more synergistic effect compared to areas with poor infrastructure. Yet there is a problem because the government is imposing not enough allotments to the area benefiting from these infrastructures, and excessively imposing allotments on areas that are not benefiting from infrastructures. In addition to that, by having an improvised response when there are needs from government offices or a social issue arises without being able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allotments, the system becomes more complex and gives rise to the issue of non-validity, overlapping imposition, and illegality. Therefore, there must be continued efforts to overcome invalidity of the return allotment on gains by imposing allotments which corresponds to development gains, and raise the compatibility of allotments by simplifying the allotment system and resolving redundancy and illegality. 국민에게 금전을 부담시키는 부담금제도의 집행은 조세 부담보다 더 엄격해야 한다. 부담금이 헌법에서 정하는 평등권이 보장되지 않고, 과다하고 중복성이 있어 사회 문제화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이같이 지적된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산정기준의 타당성, 부담의 비중복성, 적법성을 제시하였으며 이것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부담금의 적합성이라 하였다. 그리고 부담금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분석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부담금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는데 유효한 수단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먼저, 이론을 고찰하여 개발행위는 물리적인 유형을 의미하고, 개발이익은 유형ㆍ무형ㆍ기타 사회 경제적 개념을 포함한다고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개발이익 환수의 정당성은 선행연구의 이론을 검토하여 정리하였으며, 개발이익이 무엇인가 하는 것은 여러 가지 견해를 검토한 후, 토지형질변경 행위와 건축행위에서 각각 별개로 발생한다는 논리를 세웠다. 그리고 개발이익의 경제적 효과와 개발이익의 측정을 기존 이론을 바탕으로 탐색하였고, 조세와 별도의 특별 부담에 대한 정당성을 판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부담금을 간헐적으로 분류하고 있어, 전체 부담금 분류의 필요성을 느껴 부담금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자 새롭게 시도하였고, 이를 기초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연구의 핵심으로 볼 수 있는 적합성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부담의 타당성 평가결과 농지전용부담금의 경우는 개발이익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런 차이에 관계없이 부과되고 있었고, 부담비율이 각 지목별로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사 부담금간의 부담비율의 격차도 심했다. 일부부담금은 개발이익에 대한 평균부담이 개발이익을 초과하여 부담시키고 있어 원본잠식 가능성이 있었고, 개발이익과 연동되지 않고 일정액을 부과함으로써 개발행위에 따른 편익에 대응하지 못하였다. 둘째, 중복성이 있는 경우로 형질변경행위와 건축행위 간에는 중복성이 없었으나, 형질변경행위에 부과하는 부담금 내에서 중복성이 있었고, 건축행위에 따른 부담금 내에서도 중복성이 있었다. 셋째, 일부부담금은 비례의 원칙 중 최소 침해의 원칙과 법익균형의 원칙에 반하고 있었다. 한편 개별부담금 하나만 놓고 분석하면 침해의 정도가 작다고 할 수 있으나, 여러 개의 부담금을 동시에 부담시키면 그 침해정도는 커질 것이다. 중복성이 있는 부담금은 최소 침해의 원칙에 반한다 할 수 있다. 부담금의 적합성이 확보되는 것은 부담금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작용을 하므로 이를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타당성을 확보하려면 지목별 부담비율의 격차를 줄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용도지역별 ‘대’와 개발 대상 지목의 격차에 일정비율을 부담하는 것으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담비율은 일정금액을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모순이 있으므로 개발이익에 상응하는 부담으로 개정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재건축부담금의 종료시점기준가격은 감정평가금액으로 통일하여야 한다. 둘째, 중복부과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이익환수부담금 체계를 단순화시켜야 한다. 개발이익을 형질변경행위에 따른 부담금과 건축행위에 따른 부담금으로 이원화하여 각 행위에 따른 부담금을 하나의 법률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형질변경행위에 따른 부담금은 기존의 ‘개발이익환수에 관한 법률’로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현행 건축행위에 따른 부담금은 ‘기반시설부담금에 관한 법률’로 통폐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다. 적법성 확보방법으로, 개발제한구역 훼손부담금의 경우에 최소 침해의 원칙, 법익균형의 원칙을 준수하려면, 산정방식을 현행 개발제한구역 외지역의 지목과 당해 개발하기 전의 지목을 비교한 지가 차이에서, 개발제한구역지역 내의 ‘대’와 해당 개발하기 전의 지목의 지가차이를 부담금 산정기준으로 개정해야할 것이다. 재건축부담금이 최소 침해원칙과 법익균형의 원칙을 준수하려면 가공의 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종료시점의 가격을 분양가격 대신 감정평가금액으로 결정해야 한다. 이 논문은 적합성의 평가기준을 평등의 원칙에 두었기 때문에 타당성이 결여되거나, 중복성이 있거나, 부적법하면 정부가 부담금을 자의적으로 부과한다는 판단이다. 즉 적합성을 확보하지 못한 부담금은 평등의 원칙에 반한다할 것이다. 연구결과 발견한 점은 기반시설이 정비된 지역에서 개발이익이 오히려 더 많이 발생한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이미 정부로부터 각종 기반시설에 대한 혜택을 보고 있는 상태에서 개발행위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승효과가 기반시설이 열악한 지역보다 많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기반시설에 대한 혜택을 보고 있는 지역은 부담금을 과소하게 부과하고, 기반시설에 대한 혜택을 입지 않는 지역은 부담금을 과대하게 부과함으로써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부담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부처의 필요나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할 때 즉흥적으로 대응함으로써 체계가 복잡해져 비타당성 문제, 중복부과의 문제, 부적법성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이익환수부담금이 개발이익에 대응하게 부과하여 비타당성을 극복하고, 부담금체계도 단순화하여 중복성과 부적법성을 해소하여 이를 바탕으로 부담금의 적합성을 높이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전자코와 전자혀를 이용한 증류주의 향미특성 분석

        김정선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lavor patterns of Korean distilled spirits using a mass spectrometry-based electronic nose and an electronic tongue. Korean distilled spirits aged in a pottery and stainless steel container and oak barrel and thirteen types of commercial distilled spirits were used for analysis. Flavor analysis of rice spirits developed b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was conducted using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As a result of electronic nose analysis, the flavor change was remarkably observed in oak aging compared to stainless steel and pottery aging. The samples aged at room temperature for more than 9 months were distinc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amp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lectronic tongue, it was found that aging in stainless steel and pottery for 12 months did not change the taste of distilled spirits, and the taste was softened when spirit was aged in oak barrel. Also the distilled spirit aged in oak barrel has highest intensity in sourness and umami. Thirteen kinds of commercial distilled spirits were selected and flav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The flavor patterns of the commercial distilled spirits were clearly identified through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the raw materials. The obtained data of the electronic nose analysis showed that the flavor pattern of the distilled spirits aged in oak barrel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general distilled spiri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lectronic tongue, the distilled spirits made with rice had a stronger flavor than those made with foxtail millet. Compared to the sensitivity value of each taste sensor, the distilled spirits showed various intensities of sourness and umami. Therefore, an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could be successfully used for quality evaluation and new product development of distilled spirits.

      • 조골세포 성장과 세포외 기질형성에 미치는 접골목 추출물의 효과

        김정선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bone formation is made by osteoblasts under the control of hormones and by cytokines and local factors residing in the extracellular matrix of bone. The osteoblasts mineralize bone matrix during bone formation and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is an important process of bone formation. Some oriental drugs have useful effects for bone formation in oriental medicine. Sambucus sieboldiana is a member of the family Caprifoliaceae and has been recommended as a functional material because of its several bioactivities such as arthritis, lumbago, fracture, traumatic-hemorrhagic and promotion of bone formation. Although numerous literatures are available on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the biological activity of Sambucus sieboldiana in bone regeneration process has not yet been well defined. In this study, the effect of Sambucus sieboldiana was, therefore, investigated i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 alteration of MC3T3-E1 cells by Sambucus sieboldiana i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it was examined by cell culture, MTT assay, Von Kossa staining, RT-PCR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in MC3T3-E1 cel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treatment of Sambucus sieboldiana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ell proliferation in MC3T3-E1 cells. 2. Sambucus sieboldiana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mineraliz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culture i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3. Sambucus sieboldian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alkaline phosphatase (ALP) mRN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4. Sambucus sieboldiana significantly accelerated the decrease of osteonectin (ON) mRNA express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5. Sambucus sieboldian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osteocalcin (OC) mRNA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ambucus sieboldiana facilitate the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mineralization in MC3T3-E1 osteoblastic cells, and therefore, that it may have potential properties for development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of bone regeneration materials. --------------------------------------------------------------------- KEY WORDS: Bone formation, Sambucus sieboldiana, Differentiation, Mineralization, Osteoblasts, Proliferation

      • 중학교 『국어』교과서에 수록된 동화 연구 : 전래 동화와 창작 동화를 중심으로

        김정선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1세기 현대 사회의 여러 가지 병폐적인 환경에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아동·청소년들 특히 중학생들에게 동화를 통한 문학 교육으로 이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화는 현대 문명의 부정적 속성을 극복하고, 이데아를 인식하게 하는 통로이며, 잃어 가는 인간성을 회복시키는 전인교육으로서 문학 교육의 궁극적 묵적을 달성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문학 교육에 있어 동화는 단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에서만 다루어지는 문학 교재로 여겨졌다. 그러나 7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는 구성 체제의 다양화 속에 '보충·심화' 영역이나 '생각 넓히기', 대단원의 마지막 '쉼터' 등에 동화 작품이 풍부하게 수록 되어 있다. 이것은 최근에 높아진 아동 문학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동화 문학도 이제 우리 사회와 문학의 당당한 일원으로 제 몫을 충분히 하고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학생들은 동화 작품을 감상하고 즐기면서 체험의 확대, 정서의 순화, 통찰력, 상상력, 심미성, 창조력, 도덕성의 함양 및 인격 형성을 해 나간다.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는 전래 동화(우화, 신화, 전설, 민담)와 창작 동화 역시 이러한 교육 목적을 달성 하는데 충분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르치는 입장이나 배우는 수용자의 입장이나 연구자의 입장, 모두에서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이것은 우리가 문학을 접함에 있어 '단절'과 '나눔'에 길들여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시각 때문에 교육 과정의 정신과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자료이자 도구인 교과서에 수록 되어 있는 작품임에도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문학 교육의 보편주의가 필요하다. 문학교육의 보편주의란 교육의 목적물로써 문학 작품에 대해 열린 시각으로 다양성과 균형 감각을 가져야 한다는 뜻이다. 그것은 대립적 신념이나 미학적 견해나 태도에 대하여 중립성을 유지한다는 뜻이다. 그 모든 것을 긍정적으로 두루 수용할 수 있는 자세를 말한다. 그러므로 동화 역시 훌륭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 문학이라는 확신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태도 인 것이다. 본고에서는 학생들이 이러한 문학 교육의 보편주의에서 동화 문학을 수용 할 수 있길 바라며, 문학 교육의 목적인 언어 예술로써의 문학의 미적 가치를 알고, 삶의 태도와 방향에 도움을 줄 교훈을 얻으며, 사회와 세계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히는 경험의 원천으로 삼는 데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동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격 문학 교육을 하는 시기인 고등학생(17~19세)이 되기 전 과도기의 상태에 놓여 있는 중학생들의 문학적 감수성을 기르는 데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길 바란다. This paper is tendencious to present the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circumstance to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fairy tale to middle school students specially child, teenager who is suffering misery in environment that is various pernicious evil enemy of 21th century modern society. A Fairy tale overcomes negatory intensive training of modern civilization, and there is large meaning to achieve ultimat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as education for whole personality that restore human nature that is way that do to recognize idea, and lose. Nevertheless, Fairy tale has been considered by literature teaching material that is handled in only kindergarten or primary school in literature education. But, Fairy tale work was collected richly to area 'Replenishment·deepening' or 'To widen ideas', last 'Swimteo' of denouement etc, in diversification of composition system in middle school language text book of Korean of the seventh course of study. This has been displaying phase of recently risen juvenile literature, and is speaking that Fairy tale literature is doing enough share to our society and literary grand member now. Students do enlargement of experience, refinement of emotion, insight, vision, aesthetics, creative power, fostering of moral sense and formation of character appreciating and enjoy Fairy tale work. Could know through analysis that transmitted Fairy tale (parable, mythology, legend, folk tale) and creative Fairy tale that publish in a middle school language text book can achieve this education purpose but do enough part. But, teaching situation or actor is dealing indifferently from consumer's situation or investigator's situation, everybody. This can see that is that we receive literature and is 'Cutting' and result tamed to 'Divide'. Because of this sight, is not achieved researcher properly to that is work that is collected in a text book that is data and a tool to realize soul and contents of course of study. Need universalism of literature education to overcome this sight. Universalism of literature education is mind which must have variety and sense of balance by hour angle which open about literary works as object of education. It is belief or intent which keep neutrality about opinion or attitude the esthetics enemy the confrontation enemy. Speak poise that can expropriate the everything positively all round. Therefore, it is that is bearing which confidence called literature which Fairy tale also has excellent value and meaning is necessary first of all. Students desire that can accommodate Fairy tale literature in universalism of these literature education after it is original, and Fairy tale that is collected in a middle school language text book of Korean to make to source of experience that knows literary aesthetic value, and gets instruction to help in attitude and direction of life, and widens width of realization about society and world as language art that is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could know that play an important part. Also, desire that can have opportunity that can know that to foster literary sensitiv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is situated in state of transition period before high school student(17 ~ 19 years old), time that do literature education regularly, becomes Fairy tale literature can do important action.

      •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에 관한 관리자 인식 연구 : 개념도 연구를 활용하여

        김정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이슈와 과제에 대한 독립된 개발주체로서 사회적 책임이 중시되고 있는 국제개발NGO 성과의 개념과 의미, 구성체를 도출하고 구조화하여 성과관리와 측정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국제개발NGO 성과개념의 주요 구성요소가 무엇이며 도출된 구성요소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의견을 반영할 수 있는 개념도 연구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이디어 생성과정에는 국제개발NGO 관리자 12명을 면접하고 축약편집 과정을 거쳐 최종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최종 진술문 분류과정에는 국제개발NGO 관리자 11명, KOICA와 KCOC 관리자 각 1명씩 총 13명이 참여하였고 구조화된 군집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을 평정하는 과정에는 국제개발NGO 관리자 30명이 참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개념도 프로그램인 ‘Concept System Software Core 4.0’을 사용하여 다차원 척도분석,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포인트지도, 군집지도, 군집평정지도, 패턴매치, 고존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을 구성하는 95개의 문항이 도출되었고 구성요소는 조직 내·외부 관계 혹은 가치·과정·결과라는 차원과 9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분류된 9개의 군집은 ‘조직 책무성 강화(군집1)’, ‘조직 핵심가치 실현(군집2)’, ‘조직구성원 성장(군집3)’, ‘이해관계자 참여(군집4)’, ‘재정자원 확보(군집5)’, ‘국제개발협력사업 지속가능성 향상(군집6)’, ‘인식개선(군집7)’, ‘정책제도화(군집8)’, ‘유관기관 파트너십(군집9)’이다. 둘째, 범주화 된 각 군집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을 관리자들의 인식차원으로 비교한 결과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범주는 ‘조직 핵심가치 실현(군집2)’로 가장 측정가능하게 인식하는 것은 ‘재정자원 확보(군집5)’로 나타나 관리자 전체가 성과 구성요소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에 대해 매우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제개발NGO 성과 구성요소의 중요성과 측정가능성에 대해 관리자의 조직특성과 직급 간 비교에서는 모두 유사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특성을 기준으로 했을 때 최종적으로 도출된 95개의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문항 중 40개의 문항들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념문항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범주는 ‘조직 책무성 강화(군집1)’이고 가장 중요하다고 평정한 문항은 ‘조직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관리자의 직급을 기준으로 했을 때 95개의 성과 개념문항 중 43개의 문항들을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념문항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범주는 ‘국제개발협력사업 지속가능성 향상(군집6)’이고 가장 중요하다고 평정한 문항은 ‘조직의 투명성과 책임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최종적으로 도출된 95개의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문항 중 16개의 문항들을 가장 중요하고 측정가능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개념문항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범주는 ‘조직 책무성 강화(군집1)’이고 가장 높게 평정된 문항은 ‘안정적인 재원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주요한 함의로는 첫째, 다의적인 개념으로 이론적으로만 논의되어 왔던 비영리조직의 성과의 개념을 성과 관리 경험이 있는 현장 전문가의 인식을 바탕으로 도출하고 정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조직차원의 성과의 의미와 개념화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국제개발NGO 성과의 구성요소를 중요성과 측정가능성, 조직특성과 직급 간의 비교를 도식화하여 이해를 도왔다는데 의의가 있다. 셋째, 국제개발NGO 성과 개념을 범주와 차원별로 구조화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현장 전문가의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되었기 때문에 국제개발NGO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이 높으며 성과 관리와 측정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국제개발NGO 성과에 대해 기부자 및 자원봉사자, 사업 대상자, 조직내부 일반 직원, 정부관계자, 유관기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 비교를 제안한다. 둘째, 성과 개념에 대한 부분과 더불어 측정지표에 대한 관리자들 간의 논의와 합의를 이끌어내어 지표를 개발하고 양적 연구방법으로 검증하여 국제개발NGO의 성과관리에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performance concepts and meaning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s ("INGOs") as the independent entity for global issues and projects with social accountability taken as an important factor by them, and to derive and structure the constructs so as to present the direction for their performance management and measurement. The concept mapping designed to reflect the opinions of those participating in the study was used to determine the major components of NGOs performance concepts and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the derived components and their measurability. To that end, the process of generating ideas interviewed 12 INGOs managers, and came up with the final summarized statements. The final statement sorting process involved 13 participants, including 11 INGOs managers, 1 KOICA manager and 1 KCOC manager. And, the process of rating the importance of the structured clusters and their measurability involved 30 INGOs managers. The gathered data underwent a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and a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using the mapping program ‘Concept System Software Core 4.0’, and the process went on to analyze the point map, cluster map, rating map, pattern matches, Go Zone, etc.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First, 95 items of INGOs performance concepts were derived, and they were sorted into the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of the organization, the dimension of value-process-result, and 9 clusters. The 9 clusters consisted of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reinforcement (cluster1)’, ‘organizational core value realization(cluster2)’, ‘organizational member growth (cluster3)’, ‘stakeholder participation(cluster4)’, ‘the securing of finance (cluster5)’, ‘the improvement of the sustainabilit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cluster6)’, ‘perception improvement(cluster7)’, ‘institutionalization of policy(cluster8)’, and ‘partnerships with related agencies(cluster9)’. Second, the categorized clusters and their measurabilit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managers' perception. As a result, the perceived most important category was ‘organizational core value realization(cluster2)’, and the perceived most measurable item was ‘securing of finance(cluster5)’, revealing that the whole managers had a very different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components and their measurability. Third,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measurability of INGOs performance components, the managers all had a similar perception among organization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ranks. Fourth, in terms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inally derived 95 INGOs performance concept items, 40 were perceived as important. The category that was rated as having many important items was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reinforcement (cluster1)’, and the item rated as the most important was ‘the increased organizational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Fifth, in terms of the evaluation based on the managers' ranks, of the 95 performance concept items, 43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The category that had the most important concept items was the improvement of the sustainabilit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Program(cluster6)’, and the item rated as the most important was ‘the increased organizational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Lastly, of the derived 95 INGOs performance concept items, 16 were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and measurable. The category that included the largest number of important concept items was ‘organizational accountability reinforcement(cluster1)’, and the item rated as the highest was ‘the stable securing of finance'. The important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this: First, this study derived and arranged the performance concepts of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were regarded only as a multi-meaningful concept and that have been discussed theoretic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the experienced field specialists. Second, regarding the components of INGOs performance amid no research conducted on the meaning and conceptualization of organizational-level performance, the importance and measurability and the comparison of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ranks were mapped and rated to boost the understanding. Third, INGOs performance concepts were structured in terms of category and dimension. Fourth, since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eld specialists' experience, the findings thereof can be more effectively applied to the field operations of INGOs with the direction for performance management and measurement provided. For the advice on the follow-up studies, , multiple INGOs managers should be gathered using the probability sampling method and should be verified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so that this study's validity can be proved and its generalization possibility can be boosted. First, regarding INGOs performance, the follow-up studies should compare and evaluate the common and different perceptions of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donors, volunteers, program beneficiaries, internal employees of the organization, government officials, and related agencies. Second,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along with the performance concepts, should be developed by process of discussing and sorting out based on agreement among the managers and, should be verified with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so that the indicators can be utilized for INGO's Performance Management.

      • 에니어그램을 통한 수술실 간호사의 존재감 회복 경험

        김정선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수술실 간호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의료기술과 새롭게 개발되는 장비들의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 속에서 ‘환자 돌봄’ 의 소홀함을 인식하고 수술간호의 정체성의 상실을 경험하게 된다. 전문적 역할을 수행하는 간호사 자신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자기이해를 통해 확장된 의식은 내적·외적요소에 의한 스트레스를 관리하게 된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에니어그램은 자기이해와 효과적인 인간관계 방법론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 프로그램을 통해 수술실 간호사의 참여과정과 경험의 의미를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근거하여 관련된 변수들을 도출하고, 각 개념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그리고 자기성장을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일 대학병원 수술실에 교대근무를 하는 일반 간호사로 참여자 선정은 에니어그램에 대한 관심은 있으나 깊이 있게 접해 본 경험이 없는 자로서, 에니어그램 워크숍에 참여하면서 연구에 관한 설명을 들은 뒤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였다. 범주들이 포화된 상태에 이를 때까지 자료 수집을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된 참여자는 14명이다. 본 연구의 에니어그램 워크숍은 2009년 1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주 1회 13회기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집단, 소그룹별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워크숍에 소요된 시간은 총 40시간이며 워크숍 종료 후에 개인별면담은 2010년 4월까지 이루어졌으며 1회 면담 시간은 60분에서 240분 정도 소요되었다. 참여자의 성격유형별 특성과 수술업무와 관련된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연구 참여자의 지속적인 자기성찰과 삶의 변화에 대한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집단면담 후 연구 참여자별로 2~3회 개별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후 면담 내용도 동의를 얻은 후 녹음·전사 처리하였다. 그리고 면담 전후의 중요내용, 인상과 느낌 과정에서의 얻어지는 연구자 생각을 수시로 기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참여관찰, 자아성찰일기,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에 따라 이루어졌고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코딩의 분석과정을 통해 78개의 개념과 24개의 하위범주 및 12개의 범주들이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에니어그램을 통한 수술실 간호사의 경험의 인과적 조건은 ‘버거움’, ‘친밀감 상실’ 이었고, 이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은 ‘존재감 부재’ 이었다. 이러한 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변화요구’ 이며, 중재적 조건은 ‘자기발견 하기’, ‘뒤돌아보기’ 이었다. 수술실간호사의 ‘존재감 부재’ 를 해결하기위해 사용된 상호작용전략은 ‘의식적으로 노력하기’, ‘지속적 외부지원’ 으로 밝혀졌다. 이들 상호작용 전략결과는 ‘자기수용’, ‘움츠림‘, ’관계형성‘, ’밀어내기‘ 로 나타났다. 2. 에니어그램을 통한 수술실 간호사의 경험은 ‘존재감 부재’ 라는 현상을 해결해 가는 과정이면서, 다른 모든 범주들을 아우르는 핵심범주로 ‘존재감 회복하기’ 가 도출되었다. 3. 에니어그램을 통한 수술실 간호사의 경험은 핵심범주인 ‘존재감 회복하기’ 는 존재감부재인식 → 변화모색 → 수용 → 극복 → 회복 단계의 5개의 과정을 거치며 전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과정은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패턴을 나타내면서 알아차림(awareness)으로써 자신을 좀 더 깊게 성찰하여 내적성장과 자기변화(self-transformation)를 이루어 내어 존재감이 회복될 수 있도록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에니어그램이 성격유형론이 아닌 내적성장을 위한 도구로서 가치 있는 경험을 밝히고 있다. 이제까지 양적연구에 치중하던 에니어그램 효과연구에서 존재감 상실이라는 동일한 문제를 가진 수술실 간호사들에게 내적성숙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 했으며, 또한 존재감부재의 위기에 있는 수술실 간호사들에게 일시적인 프로그램의 효과성 추구가 아닌 그들의 삶 안에서 지속적으로 자신을 통합하고 미래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목표를 위해 삶을 개척해 나가는 역동적인 모습으로 변화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 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하지만 자기성찰과 존재감회복은 단시간 내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점진적인 성격을 지닌 것이므로 연구진행 기간 동안 개인적인 성찰과 변화의 차이가 있음을 인정 하며, 지속적인 돌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에니어그램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타인을 수용하게 되면서 기술적인 간호에서 환자중심 간호로 전환되어 긍정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의 형성으로 수술환자의 옹호와 대변인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 대학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존재감 회복경험과정은 완성형이 아닌 현재진행과정이므로 장기적인 종단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둘째, 병원부서 내 관리자들은 윤리적 리더쉽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에니어그램을 통한 자기이해와 인간관계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에니어그램 병동 워크숍을 정기적으로 실시하여 관료적 조직체계를 탈피하고 변화와 융통성·신뢰와 배려를 강조하는 관계지향문화와 혁신지향문화를 조성하고 체계화시켜 전략적 관리로 팀워크를 향상시킬 것을 제언한다. 넷째, 간호사가 스스로 자신에 대한 이해가 증진되고 긍정적일 때 생산적인 전문직 자아개념이 형성되므로 에니어그램을 통한 존재감 회복과 전문직 자아개념과의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