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Ce-Zr 혼합 산화물 촉매의 특성분석 및 IPA 탈수반응에서의 촉매활성
본 연구에서의 Ce-Zr 복합 산화물 촉매는 Ce/(Ce+Zr)의 몰비를 달리하여 공침전시켜 합성하였으며, 600 – 900 oC에서 6 시간동안 공기 흐름 하에 소성하였다. 제조된 산화물 촉매를 이용하여 이소프로판올 탈수 반응을 진행하였으며, Ce/(Ce+Zr) 비율 및 소성온도에 따라 산 특성을 확인하여 탈수 분해 반응에서의 촉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제조된 Ce-Zr 복합 산화물 촉매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선 회절 분석, 비표면적과 기공부피 측정, 주사 전자 현미경, 에너지 분산형 X 선, 이소프로판올 승온 탈착법, 피리딘 흡착 IR 측정을 수행하였다. Ce-Zr 복합 산화물 촉매의 소성온도에 따른 표면 산 특성과 반응 활성을 비교하였다. 피리딘 흡착 적외선 분광법 측정으로부터 Ce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루이스 산점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브뢴스테드 산 점의 밀도는 Ce/(Ce+Zr) 몰 비 0.7에서 최대값을 갖는 화산 모양의 곡선을 나타냈다. 이는 이소프로판올 승온 탈착법, 피리딘 적외선 분광법을 통해 브뢴스테드 산점이 탈수 분해 반응 활성에 있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Ce-Zr complex oxide catalysts were synthesized by coprecipitation with different molar ratio of Ce/(Ce+Zr) and calcined under air flow at 600 – 900 oC for 6 h. The following analyze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cluding the acidic functions of the prepared materials. (XRD,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measurement, SEM, EDX, TPD, pyridine absorption IR measurement) The surface acidity and reaction activity of CexZr(1-x)O2 oxide catalyst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calcination temperature. In particular, from the pyridine adsorbed IR measurements, Lewis acid sites gradually decreased as the Ce content was increased, while the density of Bronsted acid sites exhibited volcano shaped curve with a maximum value at 0.7 of Ce/(Ce+Zr) molar ratio. It was found that the Bronsted acid sit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dehydration decomposition reaction activity through the isopropanol temperature elevation desorption and pyridine infrared spectroscopy.
The nasal tip occupies important position in rhinoplasty in Asian because Asian tip has features of round or bulbous shape, lower height and wider base compared with that of Caucasian. The hardness of the nasal tip may increase during the course of a routine rhinoplasty by maneuvers such as incising or excising cuts into the lower lateral cartilage, suturing, and grafting of cartilages. Also, change of hardness may be a component of postoperative dissatisfaction. But, there is no device to measure hardness of nasal tip. We developed "nasal tip durometer" using Teclock Durometer GS series 701 G. The spring rate of Teclock Durometer was converted from 0.223kgf/mm to 0.036kgf/mm to apply to human body. After the remote air switch was fixed to apply with the same speed in patient's nose, we manufactured frame so that can attach to surgical operation table. The reliability, validity, and responsiveness to clinical change of our durometer were evaluated in a clinical study to 20 patients. Our durometer was highly reliable(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r=0.95), valid(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r=0.85), and responsible(effect size=11.37). We concluded that nasal tip durometer was useful to measure the hardness of the nasal tip objectively.
군단급 그린캠프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U'군단을 중심으로
김정배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2019 국내석사
지속적인 군자살사고와 군복무 부적응 용사들의 급증으로 군내 비전투손실 발생 및 지휘부담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군은 군복무 부적응자 및 자살우려자를 대상으로 복무적응을 유도하고 자살예방을 목적으로 2003년 11월 비전캠프의 시범운영을 시작하였다. 2008년 12월 상시 그린캠프 시범운영(1군사) 후 2009년부터 사단급 그린캠프가 운영되었으며, 2011년 7월 사단급에서 군단급으로 그린캠프가 통합 및 확대 시행되면서 비전캠프의 실효성은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2014년 7월 9일 비전캠프가 폐지되었다. 현재 군단급 그린캠프는 본부근무대 소속에서 보충중대로 전속되어 병역심사반과 함께 군단 인사 참모처의 통제를 받고 있다. 운영방식 및 규모는 2주 정규캠프를 기준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월 1회 퇴소심의절차를 통해 입소용사의 향후 거취를 결정하고 있고, 2014년부터 정규 입소시기 외에 위기관리를 위한 상시 입소를 'U'군단이 육군본부(이하 육본) 최초로 시행하였다. 현재 군의 군복무 부적응용사를 위한 시스템은 심리지원을 중심으로 구성되기보다는 군복무에 부적합한 인원을 식별하여 사고 가능성을 사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린캠프 역시 일차적인 운영 목적을 ‘복무 부적응 용사의 치유를 통한 자대복귀’를 두고 있으나 군복무부적합 처리과정의 하나의 관문으로 여겨지면서 복무기피 인원들이 분별없이 들어오고 있다. 군 부적응문제를 개인의 문제로만 보기 보다는 달라진 군과 사회 환경에 변화에 따라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어려움이라는 인식을 확대하고, 군복무간 단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부적응에 대한 이해와 대처방안을 공유할 필요가 있으며 자기 자신, 동료 및 간부들이 현 상태를 파악 가능하게 하여 자발적인 캠프 입소가 되도록 홍보와 이해를 확대한다면 부적응, 자살사고예방에 크게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린캠프가 복무부적응 용사에게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화된 모델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구체적 과업이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으면 관련 운영자가 목적에 맞게 운영하고 실행하기 어려우며 실질적인 치유의 성과를 도출해 내기 어렵다. 군대라는 사회적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여 육체적, 정신적,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도움·배려용사를 대상으로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저위험군 용사와 고위험군 용사가 동시에 참여하고 있어서 직접적 수혜자가 불명확함에 따라 실질적인 성과가 낮은 것이 현실이며, 이에 따른 운영 인원의 에너지 소진과 정신적 어려움, 또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군단급 그린캠프 교육프로그램이 운영 목적에 부합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그린캠프의 발전경과와 유사사례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현재 육본이 제시한 표준 프로그램과 각 캠프별 특성화된 프로그램을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이를 토대로 군단급 그린캠프 프로그램 운영의 나아가야 할 방향과 프로그램 개선을 제시해 본다.
靑少年의 奉仕活動 態度와 動機 및 行動간의 關係에 관한 硏究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봉사활동 참여 실태를 고찰하고,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에 대해 갖는 태도, 동기, 그리고 행동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봉사활동 태도는 태도구성요소에 따라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 행동적 태도로 구분하였고, 3가지 유형의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봉사활동 태도척도를 개발하였다. 봉사활동 동기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로 구분하고, 이들 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봉사활동 동기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행동은 청소년들이 실제 봉사활동에 참여한 시간으로 처리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6개 중학교의 2학년 4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방법은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되어 있는 지난 1년간의 봉사활동 내용과 시간을 조사대상 청소년이 직접 확인하여 조사표에 기술하도록 하였다.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예비조사를 통하여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분석 기법으로는 조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및 봉사활동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변인에 따른 다른 변인들과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해 교차분석,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유형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인지적 태도는 감정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정적 태도는 인지적 태도 및 행동적 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행동적 태도는 인지적 태도 및 감정적 태도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봉사활동과 관련되는 교사 또는 부모나 가족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 사전 교육 경험, 봉사활동 동행대상, 봉사활동 만족도와 같은 개인 변인들이 봉사활동 태도와 동기, 행동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봉사활동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은 ‘봉사활동 만족도’와 ‘부모나 가족의 강조 정도’ 가 인지적 태도, 감정적 태도, 행동적 태도 모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2) 봉사활동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으로 내재적 동기에는 ‘봉사활동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그 다음 변인은 ‘부모나 가족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p<.01)와 ‘교사의 강조 정도’(p<.05)로서 설명량(R2)은 32.8%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외재적 동기에는 ‘교사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와 ‘부모나 가족의 강조 정도’가 모두 p<.05 수준에서 유의했으며, 설명량(R2)은 15.9%로 나타났다. 3) 봉사활동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변인으로는 ‘교사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 봉사활동 동행 대상 중 ‘마음에 맞는 친구들과 함께’, ‘봉사활동 만족도’(p<.05)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후검증 결과, ‘교사의 봉사활동 강조 정도’는 강조 할수록 행동이 증가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변인 중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어떠한 변인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봉사활동 태도, 동기, 행동 간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태도와 동기와의 관계에서 인지적 태도는 내재적 동기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감정적 태도와 행동적 태도만이 내재적 동기에 양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적 태도는 외재적 동기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동기와 행동과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만이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태도와 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인지적․감정적․행동적 태도 모두가 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