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강원 지역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 연구

        김정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강원 지역 역사인물설화의 전반적인 전승현황을 알아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지역적 특수성을 지니고 있는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역사인물설화에 나타난 강원 지역의 민중의식을 고찰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국구비문학대계 - 강원도 편』과 『강원설화총람』의 검토 결과, 『한국구비문학대계 - 강원도 편』의 역사인물설화 각 편은 347편, 인물수는 107명이었고, 『강원설화총람』의 역사인물설화 각 편은 445편, 인물수는 102명이었다. Ⅱ장에서는 이 설화들의 전승현황을 시․군별로 정리하고 이 가운데에서 지역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를 선별하였다. 지역적인 속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는 특정 지역과의 연계성을 가지고 전승되는 각 편들로 출생, 거주, 부임, 도읍, 유배가 연계성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를 근거로 하여 출생․거주․부임․도읍․유배를 선별 기준으로 삼아 다수의 채록수(5편 이상)를 가지고 있고, 전승양상에 있어 유의미한 설화 내용의 역사인물들에 대해 각 인물의 약력과 설화의 전승현황을 정리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정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지역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을 지역 출신 인물, 목민관, 왕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지역에 연고를 두고 전승되는 설화들은 그 지역의 자연적․사회적․역사적 환경 등에 영향을 받기에 이와의 연관성도 고려하였다. 강원 지역 출신 인물설화로는 표 순서에 의해 범일국사, 이이, 임경업, 허균, 김병연, 이괄 설화의 각 편들을 차례대로 살펴보았고, 설화 속의 인물들이 각각 특정 지역과의 연계 가운데 신이한 탄생, 태몽, 풍수, 무용담 등을 통해 뛰어나고 비범한 인물로 위상이 고양되어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원 지역의 목민관 설화로는 강감찬, 권두문, 정철, 허목, 황희 설화의 각 편들을 살펴보았고, 선정을 베푼 목민관으로 전승되고 있는 강감찬, 권두문, 허목, 황희와 달리 정철은 오히려 백성의 삶을 더욱 곤궁하게 만든 목민관으로 전승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의 설화가 한 인물의 생애보다는 목민관으로서의 위민 행적을 형상화하는 데에 더욱 주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강원 지역의 왕 설화로는 경순왕, 공양왕, 궁예, 단종 설화의 각 편들을 살펴보았고, 왕을 바라보는 시선에 주목해 보았을 때 이들 모두가 실패한 왕이라는 공통분모 가운데 경순왕에게는 백성을 위해 전쟁을 하지 않고 고려에 귀부한 인물이라는 긍정적인 시선, 공양왕에게는 미련스럽고 심술궂은 인물이라는 부정적인 시선, 궁예에게는 패주하는 왕을 연민의 마음으로 바라보는 시선, 단종에게는 어린 왕을 지키지 못한 채 그의 죽음을 지켜봐야만 했던 안타까움의 시선이 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지역성이 강한 역사인물설화의 전승양상을 바탕으로 하여 이에 나타난 강원 지역의 민중의식을 고찰해보았다. 먼저 강원 지역 출신 인물 설화를 통해서는 인재의 출현이 많지 않고 인재 등용 또한 어려운 지역 여건 속에서 인재 출현에 대한 민중의 간절한 소망과 역사에 이름을 남긴 지역 출신 인물들에 대한 민중의 자부심을 읽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강원 지역을 다스렸던 목민관 설화를 통해서는 신이한 능력을 가진 목민관이 백성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이야기도, 심술궂은 목민관이 백성들의 삶을 더욱 힘들게 만드는 이야기도, 실제 선정을 베풀었던 목민관을 설화 속에서 다시 이야기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좋은 목민관이 부임하여 척박한 환경 속에서 힘겹게 살아가는 자신들에게 선정을 베풀어 주었으면 하는 민중의 간절한 염원의 표출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강원 지역의 왕 설화를 통해서는 성공한 왕과 실패한 왕에 대한 상반된 인식, 자신의 지역에 나라를 세웠던, 그러나 폭군으로 기록된 왕에 대한 재인식에서 지역의 안정과 발전, 그리고 영광의 재현이라는 민중의 열망을 읽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강원 지역 역사인물설화의 전승현황 정리 및 전승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강원 지역의 민중의식을 고찰한 연구이다. 본 연구가 지역의 역사인물설화를 연구하는 데 있어 기초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교육 현장에서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정남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의 네 가지 하위변인 내성 및 의존, 집착, 생활장애, 강박과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A지역 6학년 남녀 초등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검사, 학교적응검사, 정신건강검사, 휴대폰 중독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중 적절하게 대답하지 못한 39명의 자료를 제외한 337명을 연구대상으로 SPSS Win 18.0에 의해 Pearson 상관계수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휴대폰 사용실태는 일반 휴대폰 사용자가 많았고 휴대폰 사용 기간에서는 1년-2년 미만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휴대폰 사용 요금은 2만원 미만이 가장 높았다. 통화 및 문자메시지의 대상은 동성친구가 많았으며 하루 평균 음성통화는 5분 이내가 하루 평균 문자메시지는 10회-30회 이내가 하루 평균 게임사용 시간은 10분 이내가 하루 평균 사진 및 동영상 촬영 횟수는 5회 이내가 하루 평균 MP3 사용은 10분 이내가 하루 평균 TV 및 동영상 시청은 10분 이내가 하루 평균 무선 인터넷 접속정도는 10분 이내가 하루에 사용하는 휴대폰 총시간에서는 10분-30분 이내가 많았다. 학교 수업시간에 휴대폰을 사용한 경험에 대해서는 예라고 응답한 학생은 48명이며 휴대폰은 등교하면 바로 끈다가 가장 많았고 휴대폰 사용의 좋은 점은 어디서든 연락이 가능하다가 가장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휴대폰 사용의 나쁜 점은 돈이 많이 든다가 가장 많았다. 둘째,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과 휴대폰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의 모든 하위변인들과 휴대폰 중독 간에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과 상관이 있다는 것이다. 학교적응과 휴대폰 중독 간에는 학교적응의 하위변인들 중 내성․의존과 학교생활적응이, 집착과 학교생활적응이, 생활장애와 학교생활적응이, 강박과 학교환경적응에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교적응 하위변인의 점수가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과 상관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휴대폰 중독과 정신건강의 모든 하위변인들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정신건강 점수가 높을수록 휴대폰 중독과 상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자아존중감, 학교적응, 정신건강이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보면 휴대폰 중독의 내성 및 의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학교친구적응, 적대감, 편집증, 그리고 학교생활적응 순이었으며 휴대폰 중독의 집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적대감, 학교친구적응, 그리고 자아존중감 순이었으며 휴대폰 중독의 생활장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학교적응 및 정신건강의 모든 하위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아존중감은 생활장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휴대폰 중독의 강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강박증, 학교환경적응 순이며 휴대폰 중독 전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학교친구적응, 적대감 순이었다. 따라서 학교친구적응 정도가 높고 적대감이 높은 학생은 휴대폰에 중독될 가능성이 높다.

      • 사범대학생의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효능감의 관계 : 다양성 태도와 학생에 대한 태도의 중다매개효과

        김정남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양되고 있지만, 미래의 교육을 책임질 예비교사들과 관련된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는 그 역량 중 하나인 사범대학생들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에 소재한 대학교의 사범대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다문화 효능감에 관련된 다문화 경험, 다양성 태도,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이 변인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다문화 경험 및 다양성 태도가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단순히 다문화 경험이 많거나 다양성 태도가 긍정적이라고 해서 다문화 효능감의 증진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효능감 사이에 두 가지 경로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며, 두 경로의 매개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효능감 사이에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의 단일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가 경험과 효능감 사이에 매개체로 작용한다는 의미이며, 다문화 경험이 많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이유는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 효능감 사이에 다양성 태도와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이중매개효과는 경험과 효능감 사이에 다양성 태도와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두 변수가 매개체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이는 다문화 경험이 많을수록 다양성에 대한 태도 또한 긍정적일 가능성이 높고, 다양성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가 우호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에게 우호적일수록 다문화적 환경에서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감 또한 높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 교사교육과정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초적인 정보 조사에서 드러난 사범대학생들의 다문화와 관련된 강의 수강 경험은 전체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더 많은 다문화교육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 경험과 다양성 태도의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고 학생에 대한 태도가 최종적인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것은 교사의 효능감이 상황-특수적 변수라는 이론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그러므로 교육 봉사 활동, 멘토링, 공부방 활동 등 다문화가정 학생들과 보다 직접적으로 관련된 상황에서의 다문화 효능감 연구도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교사교육과정은 다문화 경험과 다문화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다문화가정 학생들과의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 및 추후과제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들이 있다. 첫째, 이질적인 집단이 섞여있기 때문에 매개효과가 나타났을 가능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의 일반화된 해석을 위해서는 신뢰도가 높은 다문화 경험 및 다문화 가정 학생에 대한 태도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 장애인 그룹홈 사회재활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김정남 대구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at factors made rehabilitation teachers in physically challenged people's group homes burnt out and to discuss how they could stay away from being exhaus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6 rehabilitation teachers who worked in physically different people's group homes nationwide. How much they were burnt out and what affected their exhaustion were examined, an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rehabilitation teachers investigated were exhausted a lot, as the degree of their burnout was above the average. Second,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burnout, total burnout and emotional exhaus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motivation of joining the physically challenged people's group homes and the major type of disability of their clients. The lack of a sense of achieveme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manager of the homes. Third, bum-out had relatively higher correlation to client factors. They were less exhausted emotionally when they took charge of a proper number of clients, and they went through more emotional exhaustion when their clients were in a more serious situation. They felt a sense of achievement less when they gave more frequent counsel to clients, and that sense increased when they built better rapport with clients. They experienced less dehumanization when they gave counsel to clients for more time, were responsible for a proper number of clients, and had higher rapport with them. Fourth, burn-out was also highly correlated to working environment. Those who took care of more works felt more emotional exhaustion, and that exhaustion became less when they had more chances for chal1enge, were paid better, and were given greater autonomy. A sense of achievement got better when they gave more frequent advices to clients and had better relations with them. And they went through less dehumanization when they shared more time with clients for counseling, took charge of a proper number of clients and had higher rapport with them. Fifth,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otal bum-out was workload, followed by challenge, reward, counseling time, and the major type of disability of clients in the order named. The emotional exhaustion was most affected by workload, followed by challenge, the major type of disability of client, and the number of clients in the order named. The lack of a sense of achievement were under the greatest influence of counseling time, followed by the managers of the group homes, rapport with clients, and challenge in the order named. The counseling time exercised the largest impact on dehumanization, and the second most powerful one was challenge. In order to prevent rehabilitation teachers from being exhausted, the client factors and working environment that affect it should be improved. There should be clear guidelines about the number of inmates to be admitted, their qualifications and job description for rehabilitation teacher. The backup system for group home should be reinforced, and counseling education should be offered for rehabilitation teachers to attain self- growth and give more advice to cIients.

      • '그 청소년들의 두려움에 관하여' : 가정 밖 청소년의 취약성과 범죄에 대한 두려움

        김정남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 밖 청소년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취약성모형과 범죄피해모형을 중심으로 가정 밖 청소년들이 가출 전후로 어떠한 신체적 취약성과 사회·환경적 취약성, 비행 및 범죄경험을 갖게 되며 그것이 범죄에 대한 인지적·감정적 두려움에는 각각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19세 이하의 가정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 및 t-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160건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 밖 청소년은 유형별로 45.6~68.8%의 신체적·정서적 학대 및 방임경험을 보여 '학대피해자'의 관점을 뒷받침하였다. 또한 가출횟수와 가출기간에 따른 학대·방임경험의 차이를 유의미하게 보이며 반복가출 및 장기가출이 학대·방임에 의한 것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둘째, 가정 밖 청소년의 비행경험과 가·피해경험 모두 가출을 기점으로 늘어나는 모습을 띠었으며 특히 가출 후 거주지를 옮긴 횟수에 따른 가·피해경험의 통계적 차이가 일관되게 나타나 주거의 취약성에 따른 영향이 적지 않음을 보였다. 셋째, 가정 밖 청소년 10명 중 2명꼴로 인지적·감정적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인지적 두려움은 가출 후 증가폭이 크고 결과의 심각성 또한 높은 범죄유형인 강요와 성폭력에서, 감정적 두려움은 경험빈도가 높은 폭력과 성폭력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두려움과 감정적 두려움 모두 범죄피해경험과 취약성 요인인 가출 후 거주지 이동횟수가 공통적인 정적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성별과 재학 여부 등의 취약성 요인은 감정적 두려움에서만 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가정 밖 청소년들이 가출 전후로 올바른 성장 및 발달에 매우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으며 기존의 일탈·비행소년이 아닌 범죄 취약계층 및 보호대상으로의 관점 전환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토대로 가정 밖 청소년의 학대피해 실태조사, 안정적 주거여건을 위한 대책 모색, 관련 법제도 개정, 차별적 시선 및 용어 개선 등의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 요리활동을 통해 나타난 유아의 행동 및 표상의 변화 : Children's behavior and representation changes in the cooking activities

        김정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children's behavior and representation changes through the cooking activity.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does children's behavior change through the cooking activity? 2. How does children's representation change through the cooking 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 boys and 2 girls for age 5, under the researcher, in Y kindergarten, Changwon, Kyungnam. The researcher wrote participation-observation journals, recorded video tapes and saved children's works to transcribe and classify by category and subject. For the objectivity and validity, in-depth description and multiple analysis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 showed many changes in their behavior through the cooking activities. Children had their curiosity and interest in reading recipes, but expressed the tastes and feelings of their favorite ingredient from the middle stage. At the early stage, they depended on their vision, but later they used several senses through observing, searching, and comparing things. They had observing in the scientific process description, and detail-observing was developed later. Children's predicting was found in the overall activity, and the cooking activities induced more predicting. They put various process descriptions, such as observing, classifying, and predicting, into an integrating activity in the late stage and helping in social ability was found from the early stage. Arranging together appeared with teacher's intervention, but from the middle stage it appeared voluntarily in the form of helping and collaborating. Children became intimate with doing the cooking activity together, which was fun and interesting, and started to play together at play time after participating the activity, too. Second, children showed many changes in their representation through the cooking activities. Children expressed their feelings with short words, but they started to write vivid and prosperous poems to express their feelings into sentences with teacher's verbal support and encourage. Representation activity and children's interaction were not active, but as the process continued children had their expression various and creative, and their interaction active. Childr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physical expression, and expressed diverse and creative ideas. Representational willingness was found in physical expression, works and poetry writing. This findings are proven that it is easier for children to express what they understand with physical expression than to express verbally with writing children's poems. 본 연구는 요리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유아의 행동 및 표상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요리활동을 통해 유아의 행동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2. 요리활동을 통해 유아의 표상에는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한 Y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3명 중 남아 2명과 여아 2명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참여관찰을 통한 저널 쓰기, 비디오 녹화, 유아의 활동작품 등을 자료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전사화를 거쳐 범주화 및 주제화 하였으며 심층기술과 다중분석법을 사용하여 내용의 객관성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리활동을 통해 유아의 행동에 변화가 나타났다. 요리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은 초기에는 요리표를 읽는데 만 관심을 두다가 중기부터는 요리표를 읽으면서 요리재료 중 자신이 좋아하는 것의 맛의 정도, 느낌을 구체적으로 표현하였다. 과학적 개념습득은 초기에는 시각에 의존하였으나 후기로 갈수록 여러 가지 감각을 이용하여 사물을 보다 다양하게 관찰하고 탐색하며, 비교해 보는 과정을 통해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였다. 과학적 과정기술에 있어서 관찰하기는 활동초기에 나타났으며 활동후기로 갈수록 사물을 세밀하게 관찰하였다. 예측하기는 요리활동 전반에 나타났으며 유아들은 예측하기를 통하여 요리과정에 더욱 흥미를 가졌다. 다양한 과정기술은 활동초기에는 유아들의 관찰하기가 나타났으나 활동후기에서는 관찰하기, 분류하기, 예측하기 등 다양한 과정기술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있어서 도와주기 활동은 활동초기부터 나타났다. 제안하기는 초기보다 활동후기로 가면서 자신의 생각을 다른 유아에게 제안해 보는 경향이 더 많아졌다. 함께 정리하기는 활동의 초기에는 교사의 개입이 있었으나 활동중기부터는 유아들끼리 서로 돕고 협동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또한 즐겁고 흥미 있는 요리활동을 함께 하면서 친밀감을 형성해 요리활동 시간 뿐 아니라 놀이 시간에도 함께 놀이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요리활동을 통해 유아의 표상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동시는 활동초기에는 자신들의 느낌을 단어로만 표현하다가 중기부터는 교사의 언어적 지지와 격려에 의해 각자의 느낌을 문장으로 표현하였으며 동시 짓기 표상활동이 활발하고 왕성하게 나타났다. 조형 활동은 활동초기에는 활발하지 못하였으며 유아들과의 상호작용도 활발하지 않았으나, 후기로 갈수록 유아들은 활동적이고 적극적이면서 다양한 표현과 창의적 표현이 향상되었고 유아들 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해졌다. 신체표현은 활동초기와 후기 모두에서 유아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다양하고 창의적인 표현이 활발히 나타났다. 표상의 적극성은 신체표현, 조형, 동시 짓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시를 통한 언어적 표현보다 신체표현이 유아들의 이해를 표현하는데 용이하였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 학교회계 운영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과 참여도 연구

        김정남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학교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학교단위 책임경영제와 함께 목표․성과 중심의 학교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 학교회계제도를 실시함으로써 학교단위 책임경영제를 도입하였다. 그 동안 학교회계제도는 제도적인 면에서는 어느 정도 정착했으나 도입 이전에 비해 학교는 큰 변화가 없다는 비판을 들어왔다. 이는 일선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학교회계 운영에 참여하지 못하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회계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도와 학교회계제도의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와 실제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사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학교회계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고 학교회계제도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도를 파악하기 위해 총37문항의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이 설문지를 대구․경북지역 중등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배포하여 326명의 설문지를 수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학교회계제도에 대해 중등교사들은 전체적으로 조금 아는 정도이고, 학교회계 기간만 잘 아는 정도였다. 디지털학교회계제도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고 답했다. 디지털학교회계제도의 시행을 위해서는 학교회계제도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현행 학교회계 운영 과정에 대한 중등교사의 요구 수준은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실제 운영에 대해서는 ‘보통이다’고 인식하여 요구와 실제 사이의 큰 격차를 보였다. 요구와 실제 사이의 괴리감을 극복하는 것이 향후 교육 발전에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각 단계별로 괴리감이 가장 큰 문제점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재정 계획 및 예산 편성 단계에서는 예산관련 자체 연수 실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괴리감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예산 관련 연수에 대한 교사들의 높은 요구 수준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회계제도의 운영에 대해 교사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재정 집행 단계에서는 예산 집행에 대한 중간 공개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괴리감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재정 집행의 투명성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가 높은 반면 현재 중간 과정 공개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예산 집행의 전 과정을 교사들이 쉽게 알 수 있는 공개 시스템을 운영해야 한다. 재정 평가 단계에서는 학교운영위원회 소속 교사위원들의 결산심의 능력과 학교자체 재정평가에 대한 요구와 실제 간의 괴리감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교사위원들의 예․결산 심의 능력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하고 학교자체 재정평가를 결과를 다음 연도 예산에 반영해야 한다. 셋째, 현행 학교 회계 운영 과정에서 교사의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참여 증진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예산 편성 시기와 교육계획서 작성 시기를 일치시켜야 한다. 교육계획서를 대외용이 아닌 실질적인 계획서가 되도록 예산내용을 구체적으로 담아냄으로써 실질적인 교육계획서를 만들 필요가 있다. 예산 편성 시기를 늦추어 신학기 업무분장 담당자가 예산요구를 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소요예산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한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예산 조정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예산조정에 대한 전문성을 길러야 하고 학교운영위원회 교사위원들의 예산심의에 대한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재정집행 단계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사이동 이후에 예산을 편성하여 예산요구자가 집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예산집행과 관련하여 행정실과 교무실 간의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는 교사들이 예․결산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고 재정분야가 행정실만의 업무가 아니라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분야라는 인식을 높여야 할 것이다. 재정평가 단계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교육활동 평가와 함께 재정평가의 비중을 높여야 할 것이다. 목표와 성과 중심의 디지털학교회계제도를 통해 단위학교 재정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정 평가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Recently, the goal of performance-based school administration has been emerging as a new paradigm for school administration, along with school-based management. Korea has introduced the school-based management in 2001, by operating school accounting system.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was criticised since there has been no significant change in school, as compared with the situation before the introduction, although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has largely settled down in terms of the system. It was caused by teachers' passive participation in school accounting.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accounting system,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request regarding operation of school accounting system and reality and primary factors that obstruct the teachers' participation. Besides, this study tried to find some solutions for teachers' positive participation in operation of the school accounting,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o achieve these objects, a theoretical foundation have been developed by reviewing literatures, and have made 37-question questionnaire to grasp teachers' perception of and participation in the operation of school accounting system. Then,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t was distributed to the total of 400 secondary teacher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and gathered and analysed 326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econdary teachers were generally found to "Know Somewhat" about the present school accounting system, "Know Well" school accounting period and "Don't Know" about digital school accounting system. An effort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school accounting system is needed, for the operation of digital school accounting system. Secondly, the secondary teachers' needs level on current school accounting operation was all shown to be "Need", while "Moderate“ in real operation, which shows a wide gap between needs and reality. To overcome the discrepancy between need and reality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further education development. The problems of the highest discrepancy by each stage are as belows. At the financial planning and budget allocation stage, there was relatively high discrepancy with regard to budget-related training. This is a reflection of the teachers' high needs level for budget-related training. Therefore, a systematic training for teachers, about the operation of school accounting system, is required. At the financial operation stage, there was relatively high discrepancy with regard to interim opening of the financial operation process. This represents that, currently, the process was not opened properly while the teachers' requests for the transparency of financial operation were high. An open system with which teach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whole process of financial operation should be managed. At the financial evaluation stage, discrepancy between deliberative capacities of member teachers in school management committee, needs and reality of financial evaluation of school itself, was shown to be relatively high. We should make efforts to increase the member teachers' capacities for budget/settlement deliberation, and reflect the financial evaluation results of school itself on budget for next year. Thirdly, the following plans to encourage teachers' participation should be developed. In the first place, the budget period should coincides with the period to draft education plan. The education plan should be substantial, not for display, containing detailed budget estimates. With delayed period for budgeting, the person in charge of work arrangement for a new term should request budget estimates, and develop expertise to calculate total budget exactly. In or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budget coordination, the teachers need to build expertise in budget coordination and the member teachers in school management committee should develope expertise in budget deliberation. For the purpose of increasing participation at the financial operation stage, we should let budget requester operate, by coordinating budget after personnel changes. To resolve conflict between administration office and teachers' room during budget execution, teachers should enhance their expertise in budget and settlement, and understand that the financial field is affairs not only of administration office but needed the teachers' positive participation. In order to increase participation at the financial evaluation stage, the financial evaluation, as well as assessment of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be given more weight. The importance of financial evaluation needs to be stressed, to secure transparency and increase efficiency of finance of a unit school by means of goal / performance-based digital school accounting system.

      •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초등교사의 역량과 대책의 효과성 분석

        김정남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be to understand the current teachers’ perspective on school violence in elementary schools, to understand the teachers’ level of competency and their practice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xist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following information were gathered from each participants through a survey: the school district, the size of the school, the grade they teach, the length of their career, the amount of paper work they do, their role as a teacher and their competency according to their sex. The participants’ view of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the severity of the school violence, sever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school, and the reasons for violence were also gathered through the survey. 381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who are working in Incheon city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ce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spondence sample t-test,” and “mean analysis within groups” were completed using SPSS/PC+ Software (ver. 18).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eachers believe that school violence in their school is not so severe, but school violence on a national level is very severe. Teachers also think that verbal abuse, cyber violence, and singling out students are major types of serious school violence. The collapse of family and neglect from parents was perceived as the main reasons. At the same time, hierarchical classroom culture and the stress from entrance exams were conceived as the key reasons for school violence. Second, female teachers rated that they did a lot of work in effort to prevent school violence, but their competency was low comparing to male teachers. Th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character education, school safety, and counseling participated in a lot of preventative activities and had higher confidence. Grade 5 and 6 homeroom teachers did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and had higher confidence than grade 1 to 4 homeroom teachers. Teachers who had more than 20 years of experience in their career gave more lectures about using good language than teachers who had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careers and competency. According to school districts, teachers in mid-level school districts did more school violence prevention activities than teachers in high-level school districts and low-level school districts, but they showed low confidence. As a whole, teachers play various and active roles in order to prevent school violence, but they had low self-confidence. Third, teachers answered that enforcement of parents’ education and their responsibility, enhancing the students’ character education and other various measures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woul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n the contrary, roles and responsibility enforcement of principals and teachers were considered as insignificant factors. The teachers in low-level districts gave slightly lower scores in effectiveness than other groups. Teachers thought that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helped students gain a new understanding about violence which was trivial to their behavior towards bullying. These measures supported that students think themselves as helpers not bystanders. Parent accountability enforcement measures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improvement of school culture, student perception, and definition of justice, and teacher authority enforcement, teacher’s ability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urth, teachers believe they need more time to have rapport with students. In order to create this time, it is essential to reduce the amount of paper work each teachers are required to do.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manuals which include clear examp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reasons for school violence, how severe the problem exists in schools today, and they are making great effort towards preventing school violence. Teachers belie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were necessary and effective. However, they have low confidence in their competency.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made mandatory in order to raise the teacher’s low confidence and professionalism. To solve school violence, teachers encouraged parents’ participations. School violence is not a personal problem, but it should be conceived as a problem to the whole community. Tough action is not the solution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In order to make our schools a “violence-free” environment, more active participation from the parents and students are needed. Moreover, current prevention education must be improved continuously and it is essential for everyone, including the teachers, the students, the parents and the community to get involved in various efforts to create a healthy and safe environment within our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폭력의 실태,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교사의 실천과 역량,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초등교사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중 381명의 응답결과를 기초로 학교폭력의 실태를 파악하였고, 담임교사의 역할 실천정도와 교사의 역량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현재 근무하고 있는 학교의 학교폭력에 대해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한 반면 사회 전반적인 학교폭력 문제는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특히, 학교 폭력 유형별로는 언어폭력, 사이버 폭력, 따돌림 순으로 심각하게 여겼다. 가정환경 문제를 학교폭력의 주요 원인으로 응답했다. 둘째, 학교폭력예방을 위해서 담임교사와 상담교사의 역할 중 담임교사의 역할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했다. 전체적으로 담임교사들은 언어순화교육, 학급규칙 운영 등 학교폭력예방 활동을 자주 실시하고 있지만, 상담, 교실문화 개선 등 생활지도 역량에 대해서는 낮은 자신감을 보였다. 생활지도 역량에 있어서 남교사보다는 여교사가 자신감이 더 낮았다. 학교폭력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보다는 관련 없는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가 자신감이 더 낮았다. 3-4학년 교사가 5-6학년 교사보다 자신감이 더 낮았다. 10년 미만 교사가 법률 이해․ 적용 역량이 낮다고 인식할 뿐, 교직경력과 생활지도역량과는 관계가 없었다. 인천과 경기 지역의 인사 급지인 나(을)급지와 다(병)급지의 교사가 가(갑)급지의 교사보다 자신감이 더 낮았다. 셋째,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중 학부모 교육 확대 및 책무성 강화, 인성교육 실천, 가정과 사회의 역할 강화 대책이 학교폭력예방에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은 사소한 괴롭힘도 폭력이라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학교폭력의 방관자에서 피해자를 돕는 방향으로 학생들의 인식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학교폭력감소에 대해서는 낮게 평정하였다. 또한 다(병)급지의 교사들은 대체로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의 효과성을 타 집단에 비해 낮게 인식하였다. 끝으로, 학교폭력문제의 궁극적 개선을 위해서는 실적위주의 대책을 지양하고 실제적인 대책과 풍토조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생과 래포 형성을 위한 상담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업무경감이 절실하다고 기술하였으며, 구체적인 실제 사례를 통한 학교폭력 대응매뉴얼 마련과 체계적인 프로그램 및 지도안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 담임교사는 학교폭력예방과 관련하여 담임교사의 역할을 상담교사보다 더 중요하게 인식하여, 학교폭력의 원인과 유형별 심각성을 민감하게 파악하고 학교폭력 예방활동을 성실히 수행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수행역할에 대한 자신감은 낮게 나타남으로, 담임교사의 생활지도 전문성을 개발하고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적인 지원과 체계적인 맞춤형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교직경력에 따라 생활지도 역량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결과는 주기적인 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리고, 다(병)급지의 교사들이 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의 효과성을 낮게 인식하는 것을 통해 가정환경이 어렵고 학부모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지역에서는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의 실효성을 거두기 어려움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환경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한 차별화된 지원과 대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초등 담임교사들은 학부모의 인식 개선 및 참여와 지역사회의 도움, 교사의 상담시간 확보, 체계적인 프로그램 등을 통해 더욱 실질적인 방식으로 개선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