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학습자 중심 산림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청도숲속놀이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63

        오늘날 산림의 공익적 기능이 중요해짐에 따라 산림휴양기능이 부각되면서 산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산림교육은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도록 하며 누구나 쉽게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의 교육은 숲에서 직접 체험하고 느끼면서 배우는 산림교육에 적합하지 않다. 이에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가 관심과 흥미를 가지면서 교육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교육분야는 4차 산업혁명과 팬데믹 시대를 거치면서 기존의 교육과는 다른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교육분야도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맞춰 학습자 중심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할 필요가 있다. 최근 산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산림교육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양적 측면에서 산림교육의 증가는 국민들이 산림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그러나 산림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가치관 습득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질적 향상 또한 필요한 상황이다. 현재 산림교육은 공공주도로 운영되어 정형화된 콘텐츠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사회적 수요와 요구에 맞추어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질적으로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공급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의 교육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산림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파악할 수 있는 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CIPP 평가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의견을 반영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학습자 의견을 토대로 개발된 ‘청도숲속놀이학교’에 기획 및 운영을 담당한 운영자와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자료는 사업계획서, 실무진 회의, 워크숍 등의 질적 자료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 자료를 활용하여 평가지표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질적 자료 분석 결과,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산림교육 프로그램은 다양한 지역자원이 투입된 프로그램으로서 기존의 산림교육과 차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프로그램에 대한 참가자의 요구도를 반영하여 개발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본 프로그램은 다양한 주체가 연계해서 체계적으로 운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본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산림자원의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산림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공급자 중심의 산림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산림교육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할 것이다. Due to recent increase in importance of the functions of forests in public interests, attention to the functions of forest recreation rose in tandem. This has sparked a rising interest in forest education. Forest education facilitates people’s learning about forests and its benefits, and offers anyone easy access to forests. However, simply transferr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forest education rather than learning through experience and feeling in a real forest is inappropriat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reate learners who are consumers of education, have an interest in it,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ogram. However, throug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Pandemic period, the education paradigm is changing to learner-centered customized education more than ever before. Therefore, forest education must also move toward learner-centered education. As interest in forests increased, the number of ways for the public to access forest education has quantitatively increased. This is positive because people can easily access the program. However, improving quality is also necessary for achieving forest education goals like acquiring the right knowledge of forests. Currently, the public operates forest education, and it comprises standardized content.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education programs is limited because it must align with social demands. Therefore, developing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from a supplier-centered to a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gram is necessary. In addition, systems that can evaluate forest education programs are essential for quality improvement. This study develops and evaluates forest education programs that reflect learners’ opinions by using the CIPP evaluation model. The research subjects are the operators in charge of planning and operating the “Forest Play School in Cheongdo” based on learner opinions and participants in that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organizing evaluation indicators using qualitative data such as business plans, working-level meetings, workshops, and quantitative data through surveys.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developed was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forest education as a program using various local resources. This is because it is a learner-centered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y reflecting the participants' needs. Furthermore, the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his program was operated systematically in connection with various stakeholders. Additionally, learners recognized that this program coul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local forest resources. Therefore, this study’s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witch from a supplier-centered program to a learner-centered one to improve the quality of forest education. In addition, to continuously operate these forest education programs,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valuate them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 不動産去來時 授受되는 契約金과 關聯한 法律的 爭點 硏究

        김재현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不動産去來時 契約當事者 사이에 授受되는 契約金은 一般的으로 契約締結의 證據, 契約違反時의 代價, 解約權留保의 代價 등의 名目으로 交付되는데, 去來 現實上 당사자들은 이 契約金 授受에 대하여 그 意味와 目的을 分明히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契約金과 관련한 법률적 분쟁이 많은 편이다. 계약금수수와 관련하여 法律的으로 重要한 意味를 지니거나 法律的 분쟁의 主要 對象이 되는 것들에 대한 본 논문의 주된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不動産去來時 當事者 사이에 授受되는 契約金은 當事者의 交付意思에 따라 證約契約金, 解約契約金, 違約契約金으로 區分되고, 모든 계약금은 基本的으로 證約契約金의 性質을 가지며, 특별한 意思表示가 없는 한 解約契約金으로 推定되는 반면, 違約契約金으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당사자 간의 違約金約定이 필요하다. 한편 계약자유의 원칙상 契約金契約 역시 당사자 사이의 그 支給의 約定만 있으면 成立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나, 다만 現實的인 금전수수가 없이 체결된 계약금계약의 효력에 관하여는 민법 제565조의 규정취지에 비추어 계약금의 수수에 附與되는 民法上의 效力 등을 다소 制限하는 쪽으로 解釋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당사자 사이에 수수된 계약금에 관한 당사자의 意思가 不分明할 경우 우리 민법 제565조는 이를 解約金으로 推定하는데, 위 규정은 契約遵守의 원리라는 근대법원리에 반하는 측면이 있기는 하나, 解釋論으로 이를 무시할 수는 없는 바, 우리 대법원이 履行의 着手를 폭넓게 인정하여 결과적으로 민법 제565조의 적용을 제한하는 태도를 취하는 것과 같이 解約金制度를 目的論的으로 해석하여 그 適用에 愼重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解約金條項에 의한 契約의 解除는 “당사자 일방이 계약의 이행에 착수할 때까지”로 限定되는 바, 스스로 이행에 착수한 자는 자신의 행동으로 상대방에게 계약해제의 의사가 없음을 밝힌 것과 다름없으므로, 비록 상대방이 履行에 着手하기 前이라도 契約金의 의한 契約解除는 不可能한 것이고, 여기서 이행의 착수란 단순히 履行의 準備만으로는 부족하고, 債務의 履行行爲의 일부를 하거나 적어도 이행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前提行爲를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에 대한 判斷基準은 判例를 통해 나타나는 구체적인 분쟁사례를 類型化하여 정립해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解約金에 의해 계약을 解除할 경우 통상의 해제와는 달리 原狀回復義務(민법 제548조 1항)나 損害賠償請求權(민법 제551조)이 발생하지 않으나, 해제의 의사표시 이외에 계약금 포기의 의사표시 또는 계약금 배액상환의 제공이 있어야 한다. 한편, 계약당사자 사이에 ‘契約金 抛棄 및 倍額償還’의 약정(違約金條項)이 있는 경우에도 그 特約이 민법 제565조(解約金으로 推定하는)의 적용을 배제한다고 볼 수 없다. 이는 계약을 체결한 이후에라도 상대방이 이행에 착수하기 전에 契約上의 拘束이라는 制約에서 벗어날 수 있는 方途가 필요한 경우가 없지 않고, 현행 民法의 解釋論으로도 違約契約金의 約定이 있다고 하여 解約金의 推定을 全的으로 排除한다는 것은 無理이기 때문이다. 다섯째, 違約金約定에 附加된 失權約款의 효력과 관련하여서는 이를 유형화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판례는 기본적으로 失權約款을 해제조건이 아닌 해제권 유보, 즉 약정해제권을 정한 것으로 판단한다. 먼저 위약금약정에 부가하여 실권약관을 두는 경우(제1유형), 이러한 실권약관은 당사자 사이의 개별적인 검토 없이 계약서에 不動文字로서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계약의 自動解除를 인정하는 것이 당사자 사이의 진의에 부합하는지, 위약한 당사자가 오히려 자신의 위약사실을 들어 계약의 자동해제를 주장하는 나오는 것을 인정해야 하는 것인지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권약관의 효력을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買受人의 중도금, 잔금의 지급과 結付하여 失權約款이 附加된 경우(제2유형), 특약사항란에 별도로 기재된 경우가 많으므로, 동시이행관계에 있지 않은 중도금에 부가된 실권약관의 경우 문언 그대로의 효력을 인정해야 하고, 잔금에 부가된 실권약관의 경우 소유권이전등기의무와 잔대금지급의무가 동시이행관계에 있음을 고려하여 원칙적으로 실권약관의 효력을 제한하여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실권약관이 약관의 형식으로 계약이 체결된 때에는 따로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 따라서 실권약관의 내용은 계약이 해제되는 등 중요한 내용으로서 사업자가 고객에게 명시, 설명하지 않은 때에는 이를 계약의 내용으로 주장할 수 없을뿐더러 고객에게 부당하게 불리한 조항, 즉 사업자의 해제권의 행사요건을 완화하고 또 고객의 원상회복청구권을 포기케 하는 것으로서 무효가 된다. 실권약관이 무효가 될 정도는 아니지만 일방당사자에게 부당할 때에는, 이를 단순히 해제권을 유보하는 특약으로 해석함이 일반적인 경향이다. 따라서 약관에서 일정한 사유가 발생하더라도, 이로 인하여 契約關係가 당연히 消滅하는 것이 아니라, 解除權이 發生할 뿐이다. 여섯째, 매도인과 매수인이 매매계약을 체결함에 있어 계약금만을 지급한 채 장기간 放置하거나, 위약금약정이 있고 어느 일방 당사자의 위약이 있었음에도 당사자들이 명시적으로 계약의 유지, 해제를 논의하지 않고 다른 부수적인 언동을 하는 경우 계약의 목적, 그 이행이 이뤄지지 않은 경위 등 제반 사정을 고려하여 그 계약이 묵시적으로 해제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여야 하고, 만일 계약이 단순히 방치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양 당사자는 계약금에 관한 계약의 해제 등 계약금에 부여되는 일반적인 법률적 효력을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김재현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 문 초 록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및 공학 전공 김재현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학교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학교평가가 본질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이 학교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목적에 맞게 ‘학교평가가 교육의 질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 있는가?’라는 물음에 대하여 조사해 보아야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현재 학교평가의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학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과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적용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학교평가를 이행한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평가의 목적과 기준, 방법 및 결과활용으로 설정된 지표들이 적합한가를 알아보았다. 초․중학교 교사 각각 110명으로 총 220부를 표집하여 2주간 실시한 질문지는 총 205부가 회수되었다.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술통계치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집단 간의 의견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Scheffe 검증 포함)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도구의 신뢰도를 분석하기 위해 내적일관성 신뢰도인 Cronbach Alpha를 산출한 결과 전체 문항에서 0.88~0.89의 범위에 해당하는 매우 높은 신뢰도 지수를 나타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우선 교사들의 학교평가에 대한 인식을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치를 통하여 알아보면 학교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긍정적이기 보다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교원의 특성에 따른 집단별 인식차를 살펴보면 직위에 따라서는 교장 및 교감은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교사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부장교사는 가장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평가의 목적, 기준, 방법 등에서 교장 및 교감과 부장교사, 교장 및 교감과 교사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서는 거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평가의 기준 중에서 재정과 사무는 성별에 따라 p(유의확률)가 0.0454이므로 p < 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경력에 따라서도 거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평가의 기준 중 교육활동에서 경력에 따라 p(유의확률)가 0.0248이므로 p < 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평가의 결과활용 중 교육계획 수립 반영은 경력에 따라 p(유의확률)가 0.0177이므로 p < 0.0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별에 따라서는 거의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별의견을 자유기술방식으로 기술한 결과 학교평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는데 교사들이 학교평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면평가 상의 서류 준비가 너무 많으며 시간상의 허비가 많고 수고만큼의 평가가 어려우므로 서면평가는 최소한 서류만 구비해야 한다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학교평가의 현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대체로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평가의 지표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새로 학교평가의 지표를 정립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학교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 교사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학교평가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 On interval edge-coloring problem in hypergraphs

        김재현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n (proper) \textit{edge coloring} of a graph $G$ is a function $f:E(G)\rightarrow \mathbb{Z}$ so that no two edges sharing an end have the same value. A graph $G$ is \textit{interval edge-colorable} if there is an edge coloring of $G$ such that for any vertex of $G$, the colors of edges incident to the vertex are consecutive. This notion was introduced by Asratian and Kamalian in 1987, in a relation to a scheduling problem. And it has been intensively studied by many researchers, especially focused on a problem to determine if given bipartite graph is interval edge-colorable or not. In this thesis, we introduce an interval edge-coloring problem of a hypergraph and study its basic properties. We also give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an $(n+1,n+1,n)$-regular tripartite 3-uniform hypergraph being interval $2n$-colorable. Additionally, we find some interval edge-colorable bipartite graphs, in a relation of the question by Petrosyan and Khachatrian (2014). 그래프 $G$의 변 색칠은 꼭짓점을 공유하는 두 변이 같은 값을 갖지 않도록 하는 $E(G)$에서 $\mathbb{Z}$로의 함수이다. 그래프 $G$의 모든 꼭짓점에 대해서, 그 꼭짓점과 인접한 변들에 부여된 값들이 연속이도록 하는 변 색칠이 존재한다면, 그래프 $G$가 변 구간 색칠 가능하다고 한다. 이 개념은 1987년 Asratian and Kamalian에 의하여 처음 소개되었으며, 많은 학자들이 이분그래프를 중심으로 이 문제에 대해서 연구해왔다. 이 학위논문에서는, 하이퍼그래프의 변 구간 색칠 문제를 소개하고 기본적인 성질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또한 $(n+1,n+1,n)$-정규 삼분 3-유니폼 하이퍼그래프가 변 구간 $2n$-색칠이 가능하기 위한 필요충분 조건을 주었다. 추가적으로 Petrosyan and Khachatrian(2014)에 의하여 제시된 이분그래프들 중 변 구간 색칠 가능한 이분그래프를 더 찾았다.

      • Effect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on Human Melanogenesis

        김재현 아주대학교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목적: 인체 색소 침착에 대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인체 멜라닌세포에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를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증명하는 것은 이 기전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저자는 배양한 멜라닌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의 발현 여부와 인체 색소 생성에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역할을 밝혀서 임신시 잘 발생하는 색소 질환인 기미의 생성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저자는 면역 세포 염색 방법을 통하여 배양한 인체 멜라닌세포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역전사 중합 효소 반응과 염기 서열 분석을 통하여 전사 단계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가 표현됨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치료후에 멜라닌세포의 증식과 티로시나제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쿨터 카운터와 티로시나제 분석, 웨스턴 블롯을 실시하였다. 결과: 저자는 면역 세포 염색 방법을 통하여 인체 멜라닌 형성 세포의 핵과 세로질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를 증명하였다. 역전사 중합 효소 반응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전사 단계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가 표현됨을 증명하였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가 표현됨에도 불구하고 생리적인 농도와 임신시 농도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인체 배양 멜라닌세포의 증식과 티로시나제 활성도에 개인에 따라 다른 영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인체 멜라닌 형성세포가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를 표현하지만 인체 색소 침착에는 공여자 개인의 변이를 보인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러한 유도기전과 이 수용체들의 기능을 밝히고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멜라닌 형성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기 위해 더욱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핵심되는 말:프로게스테론,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의 수용체, 에스트로겐 수용체, 멜라닌세포 Purpose: The mechanism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in human cutaneous pigmentation are largely unknown. The molecular identification of estrogen receptor(ER) and progesterone receptor(PR) in the human melanocytes is of great importance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The present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R and PR status in cultured melanocytes and the effect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in human pigmentation in vitro in an attempt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pregnancy-induced pigmentation, melasma. Materials & Methods: I performed immunocytochemistry analysis to demonstrate the ER and PR expression in cultured human melanocytes.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nd sequence analysis were done to confirm the expression of ER and PR at the transcriptional level. To determinate the melanocyte proliferation and tyrosinase activity after the treatment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Coulter counter counting, tyrosinase hydroxylase assa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done. Results: I demonstrated the presence of ER and PR in cultured human melanocytes by immunocytochemistry, RT-PCR and DNA sequencing. Despite of the presence of ER and PR, the physiological and pregnant level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showed different effects on the proliferation and tyrosinase activity of cultured human melanocyte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melanocytes express ER and PR, which have individually variable actions in cutaneous pigment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induction mechanism and functionality of these receptors, and the role ofestrogen and progesterone in melanocytes. Key words: progesterone, estrogen, progesterone receptor, estrogen receptor, melanocyte

      • 존재와 이음 : 사이공간에 대한 성찰

        김재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way that Heidegger walked throughout his life is the way of thinking the Being. However, Being was sought under various perspectives by him. In this paper, we attempt to explore Heidegger 's thought about the joint(Fuge) among various perspectives and to reflect on the Between-Space. In order to grasp the overall image of the joint, it is first necessary to read the Heidegger’s texts. In Heidegger’s texts, the thought for the joint is manifested in the abundance of various words associated with the root called fug. Fug, Fuge, Fügung, Gefüge, Verfügung, Sichfügen, Unfug, Unfuge, etc., are related to the semantic field of joint, and Heidegger's joint is sought with these fug-vocabularies. In order to explore Heidegger's thought for joining, one must start by exploring the texts in which fug-related vocabularies appear. There are few discussions related to the joint in early writings, represented by Being and Time. However, the thought for the joint gradually appear in later work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hought for the joint, we have to explore later works in turn.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ought for the joints appearing in the late texts by dividing the thought for the joint appearing in later works into the state of the germ, development, and extension. Heidegger is discussing various aspects and various horizons in relation to the joint in his later works. In Schelling’s Treatise on the Essence of Human Freedom, Heidegger presents the joint as a “system of freedom.” In Contributions to Philosophy, the joints are also seen as the event(Ereignis), the oscillation of requiring and belonging. The joint that the latter Heidegger says is not a fixed joint. It is can not be grasped, defined, calculated, and predicted. The joint is never the teleological process that proceeds toward the ultimate goal. The joint is a system in which oscillation occur. In addition, In Heidegger' s later texts the joint are extended to overcoming the domination that overcome struggle, crack and violence. Furthermore, the joint is the centre of the association and is thought of as a collection. Eventually, the joint is understood as a new identity. So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ing and the joint? According to Heidegg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beings. He call this difference the ontological difference(Ontologische Differenz). These differences are fundamental grounds for Heidegger's thought. Heidegger's difference theory continues to be developed in depth and with a variety of exploration levels, with concepts such as inter-divide(Unter-scheid), between(Zwischen), etc. However, the later Heidegger did not stop in the difference, the thoght for the joint is introduced. So the difference and the joint are two faces of Being in the later Heidegger. Heidegger refers to the encounter of Being and beings with the term “Es gibt.” By giving Being to beings, Being is connected to beings. However, Being gives to beings, but it does not give everything. Being is also hidden. There are dual movements of clearing and concealment. Due to this double movement, the oscillation of requiring and belonging is generated. Struggle, crack and violence arise as a kind of conflict in this movement. Heidegger shows that in the first dimension of the connection, the moment of separation, conflict and collision are working together with. But Being does not just give itself, but also take. Heidegger call this take belonging. Because of belonging. Here, the second dimension of the joint appears. The second dimension of the joint is developed in belonging. If we move one step further from the thought of belonging, it comes to the thought of the inter-belonging. the inter-belonging is one step deeper than the thought for belonging. In the thought of the inter-belonging, Being is the Being of beings, and beings is beings of Being. Such a inter belonging eventually becomes the source of identity. Heidegger 's identity is a new identity by both difference and joint. Thus, the space between Being and beings is a vortex space where the two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is space, differences and joint between Being and beings exist as a unified, but dynamic fact. Heidegger explains this difference and the dynamic unity of the joint as a double wrinkle(Zwiefalt). In this sense, the jointure may be regarded as a system of dynamic wrinkles due to differences and inter belonging. This Between-Space is a space with a gap, but it is also a space that is fitted and connected. The space that is thought through the joint can be more evident in the uniqueness of the Heidegger idea compared with the concrescence of Whitehead or the connection of Deleuze. The space in which Heidegger describe is a space in which there is an irreversible difference between Being and beings, which causes each other to becom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thought for this space is the thought of Being and the joint. Heidegger presents the answer to the "third place," not the "violence of identity" nor "the fiction of difference" through his thought of joint. For Heidegger, the third place is the Between-Space of intimacy, which is the space where the wrinkle movements of difference and joint occur. In this sense, Heidegger 's thought for the joint is the task of thought that must be pondered when contemporary ontology pursues the third possible after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nowadays.

      • 환형연소기에서 불안정성을 제어하기 위한 symmetry breaking을 유도하는 비대칭성 당량비에 관한 연구

        김재현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characterization of symmetry breaking with arrangement of different equivalence ratio nozzle and effect of symmetry breaking by different equivalence ratio. Main parameters are equivalence ratio, Reynolds number, combustor length, and symmetry breaking. As the results, instability occurrence is not observed without duct in this combustor. However, instabilities are excited in condition equipped duct. In this study, only longitudinal mode is observed because of duct and fuel. The amplitude increases rapidly in case of weak symmetry breaking and decreases as stronger symmetry breaking. Especially, the amplitude is damped at the condition below equivalence ratio of 0.65, where flame is detached from nozzle. The three arrangements of different equivalence ratio nozzle are used for investigating the characterization of symmetry breaking.

      • System Design and Optimal Operation for a Hybrid System of a Solid Oxide Fuel Cell and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ing Spark-assisted Ignition

        김재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e proposed hybrid system is to increase system efficiency by using the residual fuel of anode off-gas from a solid oxide fuel cell (SOFC)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In this study, a novel hybrid system using spark-assisted ignition (SAI) in ICE operation is proposed. Since it is the first attempt to use such a new combustion concept in the hybrid system, feasibility of SAI and its effect on the system operation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Furthermore, a novel system configuration is designed for the optimal operation of the hybrid system of a SOFC and an ICE using SAI, based on natural gas. This is the first study to find the optimal configuration design of the SOFC-ICE hybrid system through case study which includes all the possible configurations considering heat transfer quality for the most efficient balance of plants (BOPs) operation. In the end,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affecting power generation related to electrochemical and combustion reaction such as load distribution and air supply rate for SOFC and SAI engine are investigated through response surface method (RSM). The SOFC-SAI engine hybrid system consists of a fuel cell, an engine, external reformers, heat exchangers, catalytic oxidizer and mixers. For system-level analysis, simplified zero-dimensional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except the SAI engine. Especially, fuel cell model was developed considering electro-chemical, internal reforming and water-gas shift reaction, and validated with stack experimental data including load, fuel composition and air flow rate variation. The feasi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SAI engine was investigated directly through actual experiments with a single-cylinder engine under all the operable ranges. Finally, analysis on the energy conversion system performance was conducted by integrating the engine experiment results with the simulation model for fuel cell and BOPs. Firstly, in order to analyze only the effect of the combustion nature on the system, the engine experiments on the SAI were conducted by changing only the engine operating parameters, such as the intake temperature, equivalence ratio and spark timing. As a result,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system using SAI was analyzed in terms of both energy and exergy perspectives. I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node off-gas combustion can be controlled stably (COV: 5–7%) through the SAI, even though the intake temperature is decreased to ~280°C at the low compression ratio of 8.2. It enables better use of thermal energy in the hybrid system, and it leads to increase in exergy efficiency of engine to ~37%. Consequently, thermal self-sustainability is improved and indicated efficiency of ~61.6% is achieved in the hybrid system. In the operating condition, the SAI engine is responsible for ~14% of the system power and produces considerably low NOX emissions (< ~3 ppm at 15% O2 on a dry basis). Secondly, system configuration has been newly developed for the further improved self-operability and system efficiency. Thus, case study of system configurations was performed for the optimal thermal energy distribution, considering the heat transfer quality between heat source and heat sink, e.g., available thermal energy of anode/cathode off-gas and required heat-supply for BOPs operation. Consequently, for the increased external reforming which is important for the hybrid system operation including a fuel cell based on natural gas, the configuration and the arrangement of external reformers have been re-designed. Furthermore, in order to recover the residual heat loss of system exhaust due to pinch limit at a heat exchanger for steam generation, an additional heat exchanger was adopted for the hybrid system. Finally, optimiz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was performed for the novel SOFC-SAI hybrid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Prior to the optimization process,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hybrid system behavior. Based on the parametric study results, design of experiment (DOE) and response surface method (RSM) were used for the optimization of operating conditions, i.e., fuel utilization, air utilization in the fuel cell and equivalence ratio of the engine. The response surface of the energy conversion system is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obtained by least squares method (LSM), using observation data by DOE. The optimal design point on the response surface was investigated by solving the non-linear inequality constraint problem, considering the system operability, i.e., combustion stability in the engine and thermal self-sustainability of the fuel cell. Consequently, the 5-kW class SOFC-SAI engine hybrid system is expected to be capable of achieving the promising efficiency of ~63.2% in the novel system design which has the efficient structure for the optimal heat distribution of anode/cathode off-gas. Furthermore, optimal and off-design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 system are discuss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a novel hybrid system of a SOFC and an ICE using spark-assisted ignition, which refers to multiple combustion strategies, including spark-assisted homogeneous charge compression ignition (SA-HCCI or SACI) as well as conventional spark ignition (SI). This is the very first study implementing such new combustion concept in the SOFC-ICE hybrid system. Feasibility of such SAI opera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actual engine experiment. Based on the investigation, SAI has been adopted in the hybrid system for the ICE operation to cope with ever-varying anode off-gas from the fuel cell stack. The SAI engine could properly combust the almost non-diluted fuel during the system start-up as well as fully-diluted fuel in the design-point operation. Furthermore, the optimal operation for the novel hybrid system designed considering the efficient thermal energy distribution of anode/cathode off-gas was investigated. In the e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operability and efficiency of the 5-kW class SOFC-SAI engine hybrid system are impro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a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the areas of energy conversion system due to the growing demands on natural gas and its promising system efficiency, and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OFC-ICE hybrid system.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내연기관(ICE)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목적은 수소를 포함하는 SOFC 애노드오프가스(애노드배출가스)의 잔여 연료를 내연기관에서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스파크-어시스트 점화(SAI)를 사용하는 엔진을 적용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는 SOFC-ICE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위해 새롭게 시도하는 연소 전략이므로, 상기 연소 전략의 운전 가능성 및 하이브리드 시스템 운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시스템 효율의 향상을 위해 새로운 시스템 구성 설계 및 연료전지와 엔진의 전기화학 반응 및 연소 반응과 관련이 있는 연료이용률, 산소이용률, 당량비와 같은 운전 변수에 대한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SOFC-SAI 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연료전지, 엔진, 외부개질기, 열교환기, 촉매산화장치 및 혼합부로 이루어진다. 전체 시스템 운전 성능의 분석을 위해, 엔진을 제외한 모든 구성 요소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순화된 무차원 물리 기반 모델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해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연료전지의 경우에는, 스택 내부의 전기화학 반응, 내부 개질 반응 및 수성가스 평형 반응 등을 고려하여 개발되었다. 실제 스택 실험 결과와의 정합을 통해 부하, 연료조성, 공기공급 등 운전 조건 변화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연료전지 모델의 정확성을 확보하였다. 엔진의 연소 가능성 및 운전 특성은 실제 단기통 엔진의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연료전지와 시스템 구성 요소(BOP)에 대한 시뮬레이션 모델과 실제 엔진 실험 결과를 연계하여 전체적인 SOFC-SAI 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운전 성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엔진의 연소 현상이 시스템에 미치는 현상을 분석하기 위해, 흡기온도, 당량비, 점화시기와 같은 엔진 운전 변수 변화에 대한 엔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에너지 및 엑서지 관점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운전 성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8.2의 낮은 압축비에서 흡기온도를 ~280℃ 까지 감소시켜도, SAI에 의해 안정적인 애노드오프가스의 연소가 달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OV: 5–7%). 필요 흡기온도가 낮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엔진의 엑서지 효율이 ~37%까지 향상되었으며, 하이브리드 시스템 내 열에너지가 다른 구성 요소에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로 인해,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자열운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61.6%의 시스템 효율을 달성 할 수 있음이 시스템 해석을 통해 확인되었다. 이때 엔진은 전체 시스템 출력 중 ~14%의 전력을 생산하며, 질소 산화물 배출은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시스템 효율 및 자열운전성 향상을 위해 시스템 구성을 새롭게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천연가스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연료전지 운전 관점에서 외부 개질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시스템 내 열원인 애노드/캐소드 오프가스의 열에너지와 BOP 운전을 위해 필요한 열에너지 공급량을 고려하여, 최적의 열에너지 분배를 위한 시스템 구성 설계안을 선정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제안 및 설계한 SOFC-SAI 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최적 운전 조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최적 운전 조건 분석에 앞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운전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운전 변수 별 영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실험 계획법(DOE) 및 Response surface method (반응표면법, RSM)을 사용하여 연료이용률, 산소이용률, 당량비에 대한 운전 조건 최적화를 진행하였다.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반응표면(Response surface)은 최소자승법(Least squares method (LSM))을 사용하여 얻어지는 다중선형회귀모델(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로서, 이를 위해 실험 계획법에 의거하여 수행한 관측 데이터(Observation data)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관측데이터는 엔진 실험 데이터와 시뮬레이션 모델(연료전지, BOP)의 연계를 통해 얻은 하이브리드 시스템 성능 해석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최적 운전 조건은 반응표면 및 연료전지의 자열운전성, 엔진의 연소안정성을 고려한 비선형 부등식 제한조건(non-linear inequality constraint)하에서 분석되었다. 그 결과, SOFC-SAI 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5kW급의 작은 발전 용량임에도 불구하고 최대 ~63.2%의 발전 효율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최대 효율 운전점(설계점) 및 탈 설계점에서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최적 운전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운전 조건에 따라 스파크 점화(SI) 운전 뿐만 아니라 스파크-어시스트 예혼합압축착화(SA-HCCI or SACI)엔진으로 운전이 가능한, SAI를 사용하는 새로운 SOFC-ICE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는 SOFC-ICE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연소 전략이며, SAI 운전의 적합성은 실제 엔진 실험을 통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SAI를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연소 전략으로 채택하였으며, 연료전지의 연료이용률 등 운전 조건이 변화하여도 SAI를 통해 애노드오프가스의 안정적 연소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스템 내 애노드/캐소드 오프가스의 열에너지 분배를 고려하여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성을 설계하였으며, 최적 운전 조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새롭게 제안하는 SOFC-SAI 엔진 하이브리드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성능, 효율 및 운전안정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SOFC-ICE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및 상용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열분해 방법을 이용한 전도성 은 잉크의 합성 및 잉크젯 프린팅 적용에 관한 연구

        김재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전자산업의 기술발전 추세는 디스플레이, PCB를 중심으로 연성화, 대면적화, 저가화가 기존의 고집적화, 다기능화 경향에 비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부합하고 기존의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서 보여지는 고비용, 저효율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전자산업부문에서는 전도성 잉크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기술등이 사용되어지기 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모바일과 같은 전자산업에서 미래의 친환경적인 생산기술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FPCB, RF-ID, Flexible Display Pannel등과 같은 제품을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생산하기 위한 모습들이 보여지고 있다. 잉크젯 프린팅에 이용되어지는 금속 소재로서는 은 나노입자가 그 적용범위로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으며 PDP의 버스/어드레스 전극패턴, TFT등의 제조시에 적용된다. 이는 은이 갖는 우수한 전도 특성과 화학적 안정성에 기인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은 나노 입자를 합성하는 방법 중 Octanoic Acid(C_(8)H_(16)O₂), Dodecanoic Acid(C_(12)H_(24)O₂), Stearic Acid(C_(18)H_(36)O₂)등의 Fatty Acid를 이용하여 Silver Alkanoate 복합체를 제조한 후 이 중간체를 Thermal Decomposition Method를 이용, Dodecylamine을 이용 환원하여 4nm, 6nm, 8nm의 크기를 갖는 나노 입자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나노 입자를 Tetradecane을 이용하여 재분산 시켜 30wt% 의 은을 함유한 전도성 잉크를 제조하였다. 이 전도성 은 나노 잉크를 PI기판위에 잉크젯 프린팅을 한뒤 150℃, 200℃, 300℃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소결 공정을 한 결과 150℃이상의 온도에서 25μΩ-㎝이하의 비저항 값을 얻을 수 있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photolithography process, such as high cost, expensive facilities, and low efficiency, various direct print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atterning process with the precision over a few micrometers. Direct printing technology for mobile and wearable electronics, has been, in recent year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this technology is a cheap and eco-friendly proces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RF-IDs, bio-sensors and flexible display panels were fabricated by this direct printing technology. As metal patterning materials in direct printing process, silver nanoparticles have been intensively studied in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bus/address electrode patterns for plasma display panel(PDP), thin film transistor(TFT) In this study, silver nano 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rmal decomposition metod. Silver nano particles with a diameter of 4nm, 6nm, 8nm could be obtained prepared by a reduction of silver alkanoate(silver octanoate, silver dodecanate, silver stearate) with dodecylamine. Silver nano ink was prepared by the dissolving silver nanoparticles on tetradecane to 30wt%. The silver nano ink was ink-jet printed on Polyimide Film and sintered at 150℃, 200℃, 300℃ for 1hr. When sinterd above 150℃, the resistivity, which is lower than 25μΩ-㎝.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