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Development and Accuracy Evaluation of a Colour Quality Assessment Tool for Indoor Luminous Environments Affecting the Circadian Rhythm of Occupants

        김인태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 colour of indoor luminous environments affects the circadian rhythm and awakening of humans. If the blue colour of a luminous environment perceived by an observer’s circadian action factor (CAF), which represents the impact of light on the hormones and biorhythm of an observer, is high, the secretion of melatonin is supressed. To design an appropriate indoor luminous environment, the final colour of a space perceived by an observer must be accurately predicted and its effects on the observer must be considered. Therefore, this study developed a Colour Quality Assessment Tool (CQAT) that utilizes the spectral reflectance factor of interior finishes and the spectral power distribution (SPD) data of luminaires. In addition,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the CQAT by comparing with full-scale mock-up, and analysed the difference between colour quality of light radiated by luminaire and colour quality of light perceived by observer using the CQAT. Based on accuracy evaluation of illuminance calculation by CQAT, high accuracy was shown with mean illuminance error within 1%. Based on accuracy evaluation of CIE 1931 x-y colour coordinates calculated by CQAT, error of 0.0012~0.0036 was shown compared to measurement values. This error range corresponds to MacAdam Ellipse Step 1~2, indicating extremely high accuracy where most people cannot identify colour difference. Based on accuracy evaluation of wall CCT calculated by CQAT, all cases showed extremely low mean error ratio of 0.63~2.04% except for [Case A 3], which showed relatively high mean error ratio of 7.37%. This is probably due to characteristics of the CIE 1931 chromaticity diagram where error of colour temperature increases as colour gets closer to blue. Based on accuracy evaluation of CCT, SPD and CAF of luminous environment perceived by the occupant calculated by CQAT, high accuracy was shown with mean error ratio of 1.5%, 1.37% and 0.56% compared to measurement values, respectively. The colour quality of different interior finishes was assessed using the CQAT,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uminous environment CCT perceived by an observer differed by 1,882 K (approximately 31%) or more and that the CAF differed by 0.16 (approximately 14%) or more based on the colour of the interior finishes. The errors in the CCT and CAF further increased as an observer moved closer to the walls. Therefore, when designing a human-centric luminous environment that considers the effect of the luminous environment on the observer, a tool similar to the CQAT propos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d to account for the effect of the interior finishes. To increase the calculation accuracy, control functions for the room size, interior material specularity, and finite element size will be added. A tool will be developed that can consider the effect of furniture, dayligh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occupants, and other factors. By making improvement on limitations of CQAT, CQAT can be ultimately applied to websites of luminaire manufacturers. Buyers can configure finishing materials by several clicks, select a luminaire to be purchased, and preview colour quality of luminous environment before purchase. If a finishing material for standard space is selected and target colour quality value is entered, the system automatically recommends a luminaire that can accomplish target colour quality and assists convenient and smart purchasing experience. In addition, CQAT can be utilized to evaluate popular Circadian light, light colour quality and indoor luminous environment or to develop evaluation indicators. 건축 조명환경은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현대인들에게 생리 및 심리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환경 요소 중에 하나다. 과거의 조명환경은 재실자의 시각적 만족도를 위한 기능적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고효율, 고연색성 조명기구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반면, 최근에는 조명환경이 재실자에게 미치는 비시각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재실자의 심리 및 생리적 측면을 고려한 조명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 조명환경의 밝기는 작업능률의 향상에 영향을 미치며 조명기구에 의한 과도한 눈부심은 재실자에게 불쾌감을 느끼게 하거나 시력기능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실내 조명환경의 색(파장), 강도, 노출시간 등에 따라 재실자는 심리적 안정감 및 각성효과를 얻기도 하며 생체적 호르몬, 생체리듬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재실자에게 인지되는 조명환경의 색이 푸른색에 가까울수록 재실자의 생체 호르몬, 생체 리듬의 영향을 주는 정도를 나타내는 Circadian Action Factor (CAF, acv) 가 높아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 억제에 영향을 미친다. 멜라토닌 호르몬 분비가 억제되면 수면장애, 우울증, 성장장애 등의 악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적합한 실내 조명환경을 계획하기 위해서는 재실자가 최종적으로 인지하는 공간의 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야 하며 재실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실내 조명환경의 밝기, 눈부심은 실내 마감환경을 고려한 설계 및 평가 기준이 존재한다. 실내 조명환경의 밝기, 눈부심은 다양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또는 간단한 계산 방법에 의해 예측 가능하다. 실내 조명환경의 색은 일반적으로 조명기구에서 발산되는 색온도를 기준으로 설계하여 실내 마감환경을 고려하지않아 실제 재실자가 인지하는 실내 조명환경의 색과는 다르다. 재실자가 인지하는 실내 조명환경의 색은 조명기구에서 발산되는 색과 실내 마감재 등의 반사에 의한 빛의 색이 혼합된 색이므로 간략식을 통해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내 내장재의 분광반사율과 조명기구의 S.P.D. Data를 활용하는 CQAT를 개발하여 실내 내장재의 색과 광원의 색에 따라 내장재에서 실제로 발산하는 빛과 재실자가 인지하는 빛의 양과 color quality (SPD data, Lumen, CAF, 색좌표, CCT, 구성성분) 를 정확하게 계산하고자 한다. 개발된 CQAT의 정확도를 제고하기 위해 Full scale mock-up 을 활용하여 실제 colour quality 측정값과 CQAT colour quality 계산값을 비교하여 CQAT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가 검증된 CQAT를 사용하여 다양한 실내 마감환경의 색에 따른 실내 조명환경의 colour quality 를 계산하고 재실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QAT를 통해 기존에 계산할 수 없었던 실내 마감재에서 발산되는 빛의 SPD 와 CAF 값을 다양한 조명기구와 마감재에 따라 자유롭게 계산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CQAT의 한계점을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한다면 재실자의 각성을 위해 CAF를 높게 설정해야 하는 공간 (카지노, 간호사 스테이션, 소방서, 경찰서 등 3교대 업무공간) 과 휴식과 안정을 위해 CAF 값을 낮게 설정해야 하는 건축 공간 (휴게실, 침실, 카페, 회복실 등) 의 CAF 값 현황 파악에 활용할 수 있으며, 현황 파악 결과를 토대로, 공간의 목적에 적합한 CAF 표준값 가이드 라인을 개발할 수 있다.

      • 선박 초기 설계단계 시 천수 중 조종성능 추정 정도 향상을 위한 수치적 연구

        김인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선박의 천수 중 조종성능 해석은 선박의 운항안정성 관점에서 중요하다. 선박의 대형화에 따라 제한 수역을 운항하는 선박이 증가하였고, 천수를 운항하는 선박은 심수를 운항하는 선박과 다른 조종특성이 발생하기에 초기 설계 단계에서부터 조종성능 평가가 중요하다. 초기 설계 단계에서 조종성능 추정에는 경험식을 이용한 미계수 추정을 통하여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천수 중 경험식을 이용한 미계수 추정은 오차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경험식의 오차가 큰 미계수는 CFD를 통하여 구하는 방법으로 보완하여 조종성능 추정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천수 중 선체에 작용하는 조종 유체력 미계수를 구하기 위하여 STAR-CCM+를 이용한 가상 구속모형 시뮬레이션을 h/T=1.2, 1.5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Kijima의 경험식으로 도출된 미계수와 타 연구에서 수행된 실험으로 도출된 유체력 미계수, CFD를 이용하여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였고 경험식의 오차가 큰 미계수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오차가 큰 미계수는 CFD 결과를 이용하여 조종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모형시험으로 도출된 미계수를 이용한 시뮬레이션과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제안한 방법이 초기 설계 단계에서 천수 중 조종성능 해석에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요한 블룸하르트(J. C. Blumhardt)의 구원론 연구

        김인태 장로회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원에 대한 이해는 개인이나 공동체의 영원한 운명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이 땅에서의 개인적, 교회적, 사회적, 환경적 실천에도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구원론을 올바로 정립하지 못하면 복음의 진리를 온전히 나타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이웃에 대한 사랑도 올바로 실천하기도 어렵게 된다. 또 구원론의 차이나 상호간의 이해 부족으로 인하여 교회의 연합과 일치가 저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성경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구원이 요청되는 여러 상황에 적절히 응답할 수 있는 포괄성과 시의적절함을 갖고 있고, 복음적인 실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는 구원론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같은 필요에 따라 본 연구자는 요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Johann Christoph Blumhardt, 1805-1880)의 구원론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블룸하르트의 구원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원의 전인성, 사회성, 우주성. 이것은 구원의 대상과 관련된 특징이다. 블룸하르트의 구원관에 나타나는 구원의 대상은 육체와 영혼으로 이루어진 전인, 개인과 공동체를 포함한 모든 인류, 그리고 온 피조물을 포함한다. 이처럼 그의 구원관은 편향되거나 자기중심적이지 않고 협소하지 않은 총체성을 지녔다. 둘째, 구원에 있어서 힘에 대한 강조. 이것은 구원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와 관련된 특징이다. 블룸하르트는 구원에 있어서 힘이 끼치는 영향이 크다고 보았다. 복음이 말이 아니라 능력이듯이 구원도 단지 좋은 말로서만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능력으로서 영향을 미친다. 구원의 능력은 십자가에서 어둠의 권세를 이기신 승리하신 그리스도의 권세이다. 셋째, 종말론적인 하나님 나라의 지상적 성격. 이것은 구원이 일어나는 시·공간과 관련된 특징이다. 블룸하르트의 구원관에는 종말(내세)과 현재 사이의 시간적인 긴장, 그리고 천상과 지상 사이의 공간적인 긴장이 공존한다. 그는 긴장을 이루고 있는 양 측면을 모두 중요시하면서도 종말과 지상(이 땅)을 강조하였다. 그는 현세의 슬픔으로부터 도피함으로써 얻는 천상적인 삶에 만족하려 하지 않았고. 이미 이 땅에서 시작된 하나님 나라가 완성될 종말의 때를 소망하면서 그 나라를 위해 기다리며 서두르는 삶을 살았다. 넷째, 구원의 객관성과 주관성의 조화. 이것은 구원을 이루는 주체와 관련된 특징이다. 블룸하르트의 구원론에서는 구원을 이루시는 주체인 하나님의 객관성(타자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인간적인 노력이 구원에 영향을 끼치는 주관성도 나타난다. 그런데 이 주관성은 하나님의 성령으로부터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블룸하르트의 구원론은 신인협력설을 피하면서 하나님의 은혜 안에서 구원의 객관성과 주관성이 조화를 이룬다. 다섯째, 그리스도 중심적 구원과 보편적 구원의 긴장. 이것은 구원의 조건과 최종 결말과 관련된 특징이다. 블룸하르트는 오직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얻는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창조론적, 신론적, 기독론적, 성령론적 근거와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 사상의 기초하여 모든 피조물이 구원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와 소망을 잃지 않았고 이를 위하여 끊임없이 탄식하며 간구하였다. 따라서 그는 교리적으로는 ‘심판의 이중적 결말론’을 유지하면서 ‘만유구원론적인 소망’을 가졌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여섯째, 하나님 은혜와 인간 행위의 비대칭적 변증법의 관계. 이는 구원에 있어서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응답의 관계와 신앙적 실천에 있어서 기도와 행동의 관계에 관한 특징이다. 블룸하르트에 따르면 하나님의 주권적 은혜는 인간의 응답적 행위를 배제하지 않고 오히려 요구하면서 포괄하기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와 인간의 행위는 변증법적 관계를 갖는다.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가 인간의 행위에 대해 주도성과 우선성을 갖기 때문에 비대칭성을 갖는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그는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면서도 인간의 행동을 소홀히 하지 않았고, 인간의 행동을 강조할 때도 그것이 하나님의 주권 안에 있음을 잊지 않으려고 노력했다.

      • 정확한 양자 색역학 합법칙에 의한 J/psi

        김인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J/\psi$ suppression which is expected to occur in relativistic heavy/ion collision is considered as a key signal of the quark-gluon plasma (QGP)/formation. Especially the behavior of heavy quark systems in nuclear medium/is of great interest: $J/\psi$ suppression in relativistic heavy ion/collision as a possible QGP signal requires detailed knowledge/about the in-medium properties of the $J/\psi$ under ``normal'/non-plasma conditions. It is known that the $D\bar{D}$ threshold/is decreased in the nuclear matter compared to that in the free space./In this thesis we use QCD sum rules to see the change of/$D\bar{D}$ threshold in nuclear medium using the operators up to/dimension-4 and consider its relation to $J/\psi$ suppression. 핵물질 내에서 일어나는 $J/\psi$ 억눌림은 쿼크-글루온/플라즈마(QGP)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주는 것이라 생각되고/있다. 특히 핵물질 내에서 무거운 쿼크 조직이 지니는 성질에 많은/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이는 QGP 신호일 가능성을 지닌 상대론적/중이온 입자의 충돌 현상시 발생하는 $J/\psi$ 억눌림 현상이/``보통의' 플라즈마가 아닌 상황에서 핵물질 내에서의 $J/\psi$의 반응/양상을 자세하게 이해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D\bar D$/쌍으로 이루어진 중간자의 질량 문턱값이 일반적으로 진공에서의/경우에 비해 핵물질 내에서 그 값이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연구에서는 양자색역학(QCD) 합법칙을 이용하여 4차원 퀴크 연산자와/$D\bar D$ 중간자 질량값의 변화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J/\psi$ 억눌림과는 어느 정도의 관계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보도록/한다.

      • 한국군의 합동성 강화 방안 연구

        김인태 경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한반도 안보위협을 극복하고 전투력의 시너지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합동성의 이론적 접근과 사례분석을 통해 한반도 전장 환경에 부합된 한국군의 합동성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선진국에서는 국방조직의 시너지효과(Synergy Effect)를 달성하기 위해 군사작전의 효율성 관점에서 합동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군사기술의 획기적인 발달과 국방조직의 복잡화로 각 군의 기능이 점점 더 전문화․다양화되어 감에 따라 각각의 과업을 적절히 조정하여 이들의 노력을 유기적으로 통합해야 할 필요성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합동성은 그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 구현 범위가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합참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합참의 기능과 각 군 본부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배분하는 등의 구조 및 편성 분야에만 집중한 나머지 사고방식, 문화, 교리 등 근본적인 차원에서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구체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합동성 강화를 위한 그 동안의 강조와 노력에도 불구하고 각 군 간의 불균형은 개선되지 않고 자군 중심주의가 뿌리 깊게 내재되어 있으며 합동 교리나 합동 소요의 도출은 여전히 미흡하다. 하지만 정보화 시대인 오늘날에는 합동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고 합동성이 보장되지 않을 경우 국가 제 부분의 통합이나 다른 국가 군대와의 연합성도 보장되기 어렵다는 차원에서 합동성을 실질적으로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본 연구의 중점은 합동성에 대한 개념 정립, 합동성 강화와 관련된 외부환경과 국내적인 환경여건 평가, 합동성 강화의 필요성 검토 그리고 한반도 전장 환경에 부합하는 합동성 강화 방안 도출에 두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한반도 전장 환경으로 한정하며, 검토 요소는 상부 지휘구조, 합동 인사관리, 합동 군사교육 및 훈련체계 등 3가지 측면에서 주로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더불어 사례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합동성과 관련하여 국내․외에서 발간된 관련도서, 연구논문 및 간행물 등을 통한 문헌적 고찰과 국방부 관련 문서 및 산하 연구기관, 합동참모본부, 각 군의 합동성 관련 부서 및 교육기관 등의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문헌연구의 자료 분석기법을 보완적으로 적용하여 서술적 기법으로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군이 당면하고 있는 2015년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21세기 한반도 전장 환경, 선진 군대의 발전 추세, 북한 군 -ⅵ- 사 위협, 전쟁의 양상 등을 고려시 합동성 강화를 통해 군사력의 통합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시켜야 함을 강 -ⅵ- 조하면서, 지휘구조 개선 측면에서는 우선 합동성에 기초하여 합동 기본개념인 효과중심의 동시․통합작전 구현이 가능하며, 미래 환경에 적합한 지휘구조로 발전시키는 것이 합동성 강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상부 지휘구조는 통합전력 발휘를 극대화하고, 합동작전 수행을 보장하며, 의사결정의 신속성과 효율성이 보장되도록 합참 주도의 전구작전 수행체계를 구축하고, 합동성을 강화하도록 발전해야 한다. 부대구조는 병력 위주의 양적 재래식 구조를 정보․기술 집약형 구조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합동성 차원에서 유․무인체계와 연계된 부대구조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고 각 군의 구조와 편성도 각 군의 고유한 문화와 독자성 및 전문성 발휘가 보장된 가운데 합동성 및 상호 운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기능적 모듈화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합동 인사관리 발전 측면에서는 우수한 인적 자원 확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미래지향적인 인력구조의 발전방향을 정립하여 인적자원 확보를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합동직위 지정과 합동 전문자격 부여기준 및 방법의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합동 전문인력 인사관리로 우수인력의 확보와 활용을 가능케 하고, 군사교육과 근무경험 등을 기초로 합동 전문자격 인증제도 도입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계성 있는 업무수행을 위한 합동직위 지정 및 운영을 확대하고, 이를 위해서 합동직위에 합동 전문인력 우선 보직의 규정을 준수하며, 정기적인 인력 감사를 통한 합동직위 운영 실태를 확인감독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합동 인사관리 제도를 조기에 정착시키고, 합동참모대학 및 각 군 대학의 합동교육 비중 증가와 각군 대학 간 교육 협력 증대, 타군 장교 비율 제고 등의 발전이 필요하다. 합동군사교육 및 훈련체계 발전 측면에서는 합동성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을 교육시킬 수 있는 교육기관을 확충하고, 군종보다는 기능별 학교기관을 확대하며, 사관학교의 통합에 대해서도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하며, 합동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과정을 설치하고, 모든 교육내용에 합동성에 대한 부분을 충분히 포함시키며, 각 군의 간부들을 함께 편성하여 교육시키는 것을 일상화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간부들에게 합동차원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또한 각 군 대학과 합동 -ⅶ- 참모대학을 통합하여 합동성의 요람인 합동군사대학을 창설하는 것도 합동성 강화를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관학교 마다 다르게 편성된 교육과정을 단순화․표준화하여 동질성을 높이고, 군별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전공을 편성함으로써 우리 군의 합동성과 전투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군사교육은 양성과정부터 장군과정까지 단계별 통합된 합동 군사교육 체계 정립도 절실하다. 또한 국방부 교육훈련 기획관리 기능을 각 군 및 작전사의 교육훈련 관리체계와 연계한 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전구급 합동훈련시 각 군 위주 훈련 및 통제개념을 탈피하고 합동전력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며, 합동작전 임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서 작전환경과 첨단 과학기술을 토대로 한 미래지향적인 개인 및 부대훈련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앞으로 한국군의 합동성 강화에는 많은 제한요소가 있다. 각 군 이기주의, 국방개혁 2020,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등의 난제가 그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부분은 합동성 발전 방안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다양하고 추가적인 연구에 의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전투력의 승수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통합이 아닌 합동성을 지향하기 위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며, 그 공감대 형성의 중심에 조직이론에 근거한 조화와 협력이 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우리 군이 지향하는 미래전의 양상에 부합되는 전투력 창출을 위한 합동성 강화로 전력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키워드는「합동성」,「국방개혁」,「상부 지휘구조 개선」「합동 인사관리」,「합동 군사교육 및 훈련체계」이다. -ⅷ-

      • 'panorama'를 통한 자아 정체성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인태 성신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2007년 제작된 본인의 작품【Panorama】시리즈를 대상으로 작품의 전개 과정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주요 내용과 그 제작방법에 관해 연구 분석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한국사회는 산업화의 가속화로 인해 물질의 번영을 이루었으나 반면 물질만능주의, 인간존재의 파편화 등으로 인해 점차 인간의 정신적 측면보다는 물질에 더 큰 가치를 부여하게 되었고 그 결과 사회의 여러 가지 한계 상황으로부터 때론 인간은 욕망의 갈등과 모순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을 상실해 가기도 한다. 본인은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예술작품을 통해 상실된 자아 정체성을 되찾을 수 있는가를 모색하게 되었으며 인간의 형상을 파노라마와 같은 형식으로 펼쳐 한 눈에 모든 면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본질을 이해 하고자 하였다. 제 1장 서론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의 범주에 대해 서술 하였다. 제 2장 본론에서는 1. 자아 정체성의 사회학적, 철학적 접근을 통한 정체성의 모색과 인간의 본질을 작품【Panorama】시리즈에 대한 연구 배경으로 서술하였다. 2. 3차원적 객체를 이차원적 부조로 제작한 이론적 설명과 본인의 시각에 대한 철학을 정리하였다. 3. 본인의 작품【Panorama】시리즈의 제작기법과 재료, 제작 의도를 연구, 분석 하였다. 제 3장 결론에서는 본 논문의 개괄적인 정리 및 정체성의 모색뿐만 아니라 본인의 작품의 진행 방향에 대한 연구 의지를 밝혔다. This study shows an analyses of the main idea that was intend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and the method focused on the series of artistic work【panorama】which was made in 2007. Korean society have achieved national prosperity through the onrush of industrialization but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values have become more valuable than spiritual values because of materialism and fragmented human existence. As a result, humans desire began to lose their sense of self-identity in complication and contradiction from a critical situation. Based on background above, I began to search for a way to find the lost sense of self-identity through arts in these days and tried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human nature by spreading a human figure like a panorama and observing its every side at once. In chapter 1, the introduction describes the purpose, methods and categories of the study. Chapter 2, The main subject. 1 .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of the series of work 【panorama】 through sociological and philosophical approach of self-identity. 2 . Readjustment of the theoretical explanation and my philosophical thoughts of manufacturing a three-dimensional object into a two-dimensional embossed sculpture. 3 . Description of manufacturing methods, materials, study and analyses of the manufacturing purpose. In chapter 3, the conclusion shows a summary of this study, my purpose of searching self-identity and my will for studying the direction of the work.

      • DQ 프레임 단상 인버터의 슬라이딩 모드 제어

        김인태 한양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지구의 화석연료의 유한성과 에너지 수요에 대한 가격 폭등, 지구 온난화에 따라 신재생 에너지 기술 이산화탄소 감축 등의 기술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런 이유로 소형 분산 발전시스템은 전력사용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소형 분산 발전시스템은 다른 에너지 소스를 사용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는 풍력이나 태양광 같은 경우 보통 최종사용자에게 근접하게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내의 전력전자변환기를 통해 소스 측으로부터 부하 측으로 분배시켜준다. 중/저 전력 애플리케이션에서 직류(DC)에 연결된 소스와 교류(AC) 에 연결된 부하간에 유일한 인터페이스로 단상 인버터가 종종 쓰여지고 있다[4]. 계통 유입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인버터 출력 전압 제어와 계통 전류 제어방법이 있다. 출력전압 제어는 전압의 크기와 위상으로 각각 무효전력과 유효전력을 제어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단점으로 계통 임피던스를 정확히 알아야 한다. 반면 계통 전류 제어 방법은 전류 파형에 관심이 있어 전력 제어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상 인버터에 가상의 회로를 도입하여 주로 삼상 컨버터 분석 및 제어기 설계이용에 잘 알려진 DQ 변환을 하는 방법을 쓰고 있다. 단상 인버터의 평균 모델을 구하기 위해 DQ 변환 제어방법을 이용해 해석하였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는 비선형 부하 운전시의 낮은 출력전압 왜곡에서 큰 동적 응답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 전압 유입과 불확실한 부하에 대해 강인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채터링 현상을 최소화 한다면 좋은 응답 특성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통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새로운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를 설계하여 제안하였고 이전에 설계된 PI 제어기와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불확실한 계통 임피던스의 값과 부하의 변동에 대해 제안한 슬라이딩 모드 제어기의 유용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