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릿대잎 추출물이 C57/BL6J Mice의 혈장 adipokines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발되는 C57/BL6J 마우스에 고지방식이에 조릿대 추출물 5%를 첨가하여 11주 동안 사육하면서 체중과 증체량, 체내 지방 조직량, 지방에서 분비되는 adipokines (leptin, adiponectin 및 resistin)농도와 혈장 insulin 농도, 혈장 CRP 농도, 혈장 중성지방 농도 및 콜레스테롤 농도를 측정하여 체중 및 adipokines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고지방식이를 16주 동안 공급하여 비만을 유발하였으며 체중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도록 3군으로 분류하였다. 고지방식이 대조군 (HFD)의 경우 비만 유도기간에 이어 계속 고지방식이를 공급하였으며 조릿대 잎 에탄올 추출물군 (BSE)과 조릿대 잎 열수 추출물군 (BLW)은 고지방식이에 각각 조릿대 70% 에탄올 추출물과 열수추출물을 분말화하여 식이 무게의 5%를 첨가하여 식이로 공급하였다. 이와 같은 세개의 실험군 외에 HFD군과 비교를 위한 정상지방식이 대조군 (NFD)은 27주 동안 정상 지방식이를 공급하였다. 실험 종료 시 체중은 HFD군은 NFD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높았으며 지방 조직량 또한 후복강지방조직, 부고환지방조직, 피하지방조직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FD군에 비해 BSE군과 BLW군의 체중과 각 지방 조직량은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추출 용매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혈장 insulin 농도는 HFD군이 NFD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HFD군과 BSE군과 BLW군의 비교시 BSE군만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BLW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dpokines 농도 중 leptin 농도는 HFD군이 NFD군과 비교시 유의하게 높았으며 BSE군과 BLW군이 HFD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BSE군과 BLW군의 비교시 BSE군이 BLW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추출 용매간의 차이를 보였다. Resistin과 adiponectin은 HFD군과 NFD군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BSE군과 BLW군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RP 농도 또한 실험군간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중 중성지방 농도는 HFD군과 NFD군의 비교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HFD군과 BSE군과 BLW군의 비교시 BLW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추출물에 따른 유의한 차이도 없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HFD군이 NFD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BLW군은 HFD군의 혈장 총 콜레스테롤 농도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BSE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추출물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의 결과로 조릿대 잎 추출물이 식이로 유발되는 비만증에서 체중을 감량시키고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비만으로 유발되는 고인슐린혈증을 개선하고 지방조직에서 분비되는 대표적인 호르몬인 leptin 농도 또한 감소시켜 비만으로 유발되는 비정상적인 내분비 및 생리적 대사 작용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남성 운전직 근로자들에 대한 소그룹기반 심뇌혈관질환 예방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 범이론적 모델을 중심으로

        김은영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mall group-based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CV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stage of change and health behavior among male driving workers who were at risk for CVD. Methods: This study adopted a nonequivalent contro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the intervention was designed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change model. The subjects were male driving workers who had been recruited from two bus transportation companies located in J province. They had at least one CVD risk factor and had a low awareness of the risk for CVD, which were identified by the assessment of stage of change for a lifestyle modification. A total 68 subjects were divided into 34 in experimental group and 34 in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wo groups were selected by matching method in view of age, education and risk factor.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 small group-based CV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through 8 times for 6 weeks and 3 times of telephone interview at two weeks interval. Subjects' risk factors were confirmed by routine medical examination results carried out in 2010. The knowledge, stage of change and health behavior of the subjects were examined with self-report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1, 2010 to Mar. 30, 2011. Data were analysed by using SPSS/PC version 18.0. Demographical and disease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with actual number and percentage,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with χ2-test and t-test, and hypothesis test to evaluate the effect of small group based CVD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with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ANOVA). Results: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53.1±6.40 years(Range 41∼66).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VD prevention knowledge(p<.001) and health behavior(p<.001) at 6 and 12 weeks after interven -tion compared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ubjects who were in pre-contemplation and contemplation stage made progress in the stage of change to contemplation and action, this is significantly different at 6 and 12 weeks after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experimental group(p<.001).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a small group-based education program for CVD prevention is beneficial in increasing knowledge, stage of change, and health behavior to prevent CVD. This education should be continued as a customized intervention for male driving workers at risk for CVD. Key words: Cardiovascular diseases, Education, Knowledge, Stage of Change, Health behavior.

      • 高行健의『一個人的聖經』硏究

        김은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나 혼자만의 성경』의 텍스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작품의 서사 형식적 특징을 도출하고 나아가 그 주제의식을 고찰함으로써『나 혼자만의 성경』에 관철된 미학사상과 문학적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첫째로 서술 형식의 특징을 분석함에 있어서는『나 혼자만의 성경』에 나타난 ‘관조적 태도’와 ‘생동감의 고취’ 및 ‘중립적 글쓰기’ 서사전략에 주목하였다. ‘거리두기’를 통한 ‘관조적 태도’는 가오싱젠(高行健)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특징이지만 특별히『나 혼자만의 성경』이 자전적 소설이라는 인식을 전제로 할 때, 작가의 ‘관조적 태도’는 더욱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작품 전편에 ‘관조적 태도’를 견지한 작가의 의도와 그 효용성을 집중적으로 고찰하고 주인공의 심리를 낱낱이 전달함으로서 작품에 생동감을 부여한 ‘거리 좁히기’ 서술형식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나 혼자만의 성경』에 나타난 또 다른 특징은 각종 이념에 개념적 거리를 둔 ‘중립적 글쓰기’이다. 이는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가 주장한 ‘영도의 글쓰기’ 또는 ‘백색의 글쓰기’와 같은 개념으로 위 이론을 근거로 작품의 서술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나 혼자만의 성경』의 주제의식은 크게 세 가지로 도출했다. 인간 본성의 특징과 삶의 태도에 대한 경고, 나아가 ‘초월적 의식’의 견지를 통한 ‘비정치성’의 추구이다. 본고는『나 혼자만의 성경』에서 성찰한 인간 본성의 구체적 내용과 삶의 태도에 대한 경고의 의미, 그리고 ‘초월적 의식’을 통한 ‘비정치성’의 구현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는 로베트로 에스포시토(Roberto Esposito)의 ‘비정치성 이론’을 빌려 설명을 시도했다. ‘비정치성’은 지극히 정치적인 문화대혁명을 작품의 제재(題材)로 다루는 작가의 서술태도이며 정치적 관점이다. 나아가 지극히 개인적인 일상에 대한 심층적 고찰을 통해 인류 역사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구조적 폭력의 원인을 드러낸 『나 혼자만의 성경』의 審美的 요소를 검토하고 아울러 작품의 현재적 의의와 문학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本文的研究目的是通過分析『一個人的聖經』這部長篇小説,探索它的敘述特點,考察這部小説的主題思想,從而揭示『一個人的聖經』的思想美學與文學意義。 首先從敘述形式方面來看,注重‘關照的態度’,‘提高生動感’,‘零度寫作’三個方面的敘述特點。通過‘拉開距離’實現的‘關照的態度’是高行健作品的普遍特徵,特別是在探討『一個人的聖經』這類自傳體小説時,作家的態度被認為是非常重要的一個要素。同時通過‘缩小距離’的敘述策略詳細傳達了主人公的心理狀態,賦予了作品生動感。因此本文重點考察作家采用‘關照態度’的目的與這種敘述態度在作品上發揮的作用。另外『一個人的聖經』的另一個敘述特徵是‘零度寫作’。這是 Roland Barthes 在『寫作的零度』中明的寫作方式,本論文根據這理論來分析作品的敘述特點。 其次本文揭示了三個方面的主題意識。一是人性的共同特點,二是『一個人的聖經』裡表現出來的對人生態度的警告,三是通過‘超越意識’而追求的‘非政治性’。本稿對『一個人的聖經』中展現的‘人性’與‘警告’的具體内容,以及‘非政治性’的概念與具體構建方式進行了考察。借用 Roberto Esposito 主張的‘非政治性’理論進行分析。此外『一個人的聖經』通過對個人日常生活的深層反省,展示在人類歷史普遍存在并具有反復性的‘構造暴力’的根本原因。本文通過上述的具體考察,詮釋了『一個人的聖經』的審美要素及因此展現出來的文學意義。

      • 관상동맥 질환 진단에서 심박수와 석회화 정도에 따른 Dual-source CT의 진단적 정확성

        김은영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Objective: To assess the diagnostic accuracy of dual-source computed tomography(DSCT) for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disease (CAD) according to heart rate and calcium score. Materials and Methods: 70 patients (male 39, female 31 mean age; 62.9±9.9 age range 41~87) with CAD underwent both DSCT and invasive coronary angiography.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mean heart rates of <70 bpm, 70~90 bpm, and ≥90 bpm and into Agatston scores of <100, 100~400, and >400.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negative predictive value, and diagnostic accuracy were calculated on a per segment according to heart rate and calcium score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Overall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and accuracy of DSCT for the detection of CAD were 96.9%, 97.2%, 88.1%, 98.8% and 96.8%. In patients with a heart rate <70, 70-90, >90,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accuracy of DSCT on a per-vessel basis were 98.6%, 98.6%, 96.2.8%, 98.8%, 98.4%, and 98.2%, 99.2%, 97.7%, 99.2%, 98.8% and 100%, 98.5%, 100%, 100%, 98.5%. In patients with a calcium score<100, 100-400, >400, sensitivity, specificity, PPV, NPV, accuracy of DSCT on a per-vessel basis were 96.3%, 96.9%, 86.8%, 99.0%, 96.6% and 98.6%, 96.25, 82.6%, 99.2%, 96.1%, and 97.3%, 99.2%, 97.7%, 97.7%, 98.2%. Conclusion: DSCT showed high diagnostic accuracy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regardless of heart rate and calcium score. 목적: 관상동맥 질환의 평가를 위해 심박수와 석회화 정도에 따른 dual-source CT(DSCT)의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DSCT와 침습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함께 시행한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70명(남자 39명, 여자 31명, 평균 연령; 62±9.9 연령 범위; 41~87)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평균 심박수에 따라 70미만, 70이상 90미만, 90이상의 세 그룹으로 구분되었고 Agatston 점수(석회화 정도)에 따라 100미만, 100이상 400미만, 400이상으로 구분하였다.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 그리고 정확도를 심박수와 석회화 정도에 따라 관상동맥 분절별로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결과: 관상동맥 질환의 발견에 있어 전체 환자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와 정확도는 96.9%, 97.2%, 88.1%, 98.8%와 96.8%를 보였다. 또한 50%를 기준으로한 분절별 분석에서 심박수가 70미만인 그룹에서 정확도는 98.6%, 98.6%, 96.2%, 98.8%와 98.4%, 70이상 90미만인 그룹에서는 98.2%, 99.2%, 97.7%, 99.2%와 98.8%, 그리고 90이상인 그룹에서는 100%, 98.5%, 100%, 100%와 98.5%를 보였다. 석회화 점수가 100미만인 그룹에서 정확도는 96.3%, 96.9%, 86.8%, 99.0%와 96.6%, 100이상 400미만인 그룹에서는 98.6%, 96.2%, 82.6%, 99.2%와 96.1%, 400이상인 그룹에서는 97.3%, 99.2%, 97.7%, 97.7%와 98.2%를 보였다. 결론: DSCT는 심박수와 석회와 정도와 상관없이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높은 진단적 정확도와 음성 예측도를 보였다.

      • 재즈피아노 즉흥연주 비교 분석 : -오스카 피터슨, 빌 에반스, 키스쟈렛, 맥코이 타이너를 중심으로-

        김은영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서로 다른 연주 기법 특징을 가지고 있는 재즈 피아니스트들의 즉흥연주기법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이다. 재즈에서 즉흥연주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같은 곡을 연주하더라도 연주자의 개성과 연주 기법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연주가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재즈에서 스윙감은 일정한 박자와 안정된 비트를 사용함으로써 재즈음악임을 구분시켜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스윙(Swing)장르를 선정하였다. 그 중에서 130~230 BPM(Beat Per Minute)인 미디엄 템포(Midium Tempo)에서의 연주기법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은 자신만의 독자적인 색채를 가지고 재즈 피아노계에서 연주력을 인정받은 스윙 재즈피아니스트 오스카 피터슨(Oscar Peterson), 빌 에반스(Bill Evans), 키스쟈렛(Keith Jarrett), 맥코이 타이너(McCoy Tyner) 이 네 명의 연주자가 공통적으로 연주한 재즈 스탠다드 곡 <Autumn Leaves>, <All the things you are>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피아노 악기 특성상 선율, 화성, 리듬을 동시에 연주가 가능하다. 본 논문의 즉흥연주기법은 선율과 화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선율을 주로 전개할 때 사용하는 오른손 연주기법을 분석하기 위해 첫째, 어프로치 노트사용과 둘째, 스케일 사용을 분석도구로 삼고, 화성이 주로 나타나는 연주기법을 분석하기 위해 세 번째로, 왼손 컴핑 보이싱을 분석도구로 삼았다. 본 논문에서 <Autumn Leaves>, <All the things you are> 이 두곡을 분석함으로써 각 연주자들의 어프로치 노트 및 스케일을 사용하는 선호도와 왼손 컴핑 코드 보이싱 분석을 통해 각 연주자들의 즉흥연주 스타일을 조금이나마 알 수 있었다. 또한 연주자들이 자신의 곡을 연주할 때에 어떤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아이디어로 작품을 해석하여 다른 연주자들과 차별성을 두었는지 각 작품의 형식 분석과 작품 해석도 함께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자의 연구가 더 많은 재즈 피아니스트의 연구로 이어지길 바라며 더욱 다양한 각도의 즉흥연주기법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지길 희망한다.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jazz pianist improvisation techniques with different performance techniques. One of the greatest features of improvisation in jazz is that, even if you play the same song, you will be playing in different styles depending on the personality of the performer and the playing technique. Especially in jazz, the sense of swing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distinguish jazz music by using constant beat and stable beat. Therefore, this paper selects the swing genre. Among them, I studied the performance technique in Midium Tempo which is 130 ~ 230 BPM (Beat Per Minute). Oscar Peterson, Bill Evans, Keith Jarrett, and McCoy Tyner, whose swing jazz pianists have their own playing capacities in their jazz pianos with their own unique colors. "Autumn Leaves" and "All the things you are" were analyzed. Due to the nature of piano instruments, melody, harmony, and rhythm can be played simultaneously. The improvisation technique of this paper focuses on melody and harmony. In order to analyze the right hand playing technique used mainly for developing the melody, first, the use of the approach note, the second and the scale use are used as the analysis tool, and the third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technique that is mainly represented by Mars. I used it as a tool. In this paper, by analyzing the two songs of <Autumn Leaves> and <All the things you are>, it is possible to know the improvisation style of each performer a little through the preference using approach notes and scale of each performer and left- there was. In addition, I examined the format analysis and the interpretation of each piece to see whether the performers interpreted the work with some unique and unique ideas when playing their own songs and made a difference from other performers. I hope that the research of this writer will lead to the study of more jazz pianists and I hope that the research on the improvisation technique of various angles will be actively pursued.

      • S. Rachmaninoff Piano Sonata in B♭Minor, Op.36에 관한 연구

        김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러시아 후기 낭만주의의 대가인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Sergei Rachmaninoff, 1873-1943)의「Piano Sonata in B♭minor, Op.36」을 형식, 선율, 리듬, 화성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한 것이다. 이 곡은 1913년 작곡되고 1931년 개작 되었는데, 1931년 판에는 선율, 화성, 리듬, 짜임새, 다이나믹 등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는데 본 논문에서는 1931년 판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형식면에서 전통적인 소나타 형태를 유지한다. 제1악장은 소나타 형식으로 서로 대조적인 두 개의 주제가 변형되어져서 발전, 재현되고 제2악장은 서주와 A-B-A'의 세부분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주제 선율과 1악장의 단편이 변형된 선율이 주를 이룬다. 3악장은 서주와 론도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1악장의 주제 선율이 계속적으로 나옴으로써 곡의 통일감을 느끼게 한다. 이 곡은 전 악장에 1악장의 제 1주제선율이 반복, 변형되어 악장간의 연관성을 부여하는데, 이곡의 큰 특징으로 볼 수 있다. 선율 면에서는 반음계적 선율진행과 빈번한 전조로 색채감을 더해주고 리듬에 있어서는 3잇단음표, 6잇단음표, 당김음, 2:3리듬 등 다양한 리듬 사용으로 곡의 분위기를 생동감 있게 하며 아르페지오 반주형은 음향을 풍부하게 하고 멜로디를 효과적으로 지지한다. 화성 면에서는 중심 조성을 유지하면서 으뜸화음, 딸림화음 외에도 속7화음, 감7화음, 부3화음, 복화음 등 다양한 화음 사용으로 곡의 긴장감에 변화를 주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stylistic features fo Piano Sonata in B flat Minor, Op.36; a masterpiece which was composed by Sergei Rachmaninoff. He was a leading figure of music during the late romantic period of Russia. Although the masterpiece was composed in 1913, many changes, such as its melody, harmony, rhythm, structure and dynamics, were made in 1931.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vised version of 1931. This sonata follows a typical sonata form. The first movement is in the sonata structure where two contrasting themes are shown, modified, developed, and recapitulated. The second movement consists of introduction and A-B-A' ternary form and the theme and the fragment of the first movement become the main motive. The third movement is rondo with an introduction and the continuous appearance of the theme melody from the first movement maintains the uniformity of the whole piece. The first theme motive of the first movement is repeated and modulated throughout the whole piece, and this repetition become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this work. The chromatic progression and frequent modulation provides various colors to the music. The use of triplets, sextuplets, syncopation, and cross rhythm presents more energy to the work rhythmically. The arpeggio-like accompaniment contributes to the richness of the sound and supports the melody effectively. In addition, clear tonality is maintained while the various chords such as diminished seventh chord, secondary triads, poly chord keep the appropriate level of tension in this piece.

      •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과 자율성지원 및 교사의 교직효능감이 아동의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군산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hildren's academic efficacy is influenced by how they perceive support from their local children's center in terms of education and autonomy and how much their teachers perceive themselves efficient as a teacher. The specific research topics are follows.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ing efficacy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teachers and the academic efficacy of children? Second, what are the relations of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autonomy support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o children's academic efficacy? Third, are the children's academic efficaci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of local chidren's centers? Fourth, are the children's academic efficaci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Fifth, are th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i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ing self-efficacy of local chidren's center teacher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to 270 children aged 11 to 13 and 53 teachers attending local children's centers located in Jeonju, Gunsan, Jeongeup, Jinan, and Muju-gun, Jeollabuk-do. The scales used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To measure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from local children's centers, a questionnaire on the programs was made by revising the one used by Jeong Seon-jin(2009), and another scale on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developed based on the one used by Choi Yoon-mi (2010). To measure perceived autonomy support of local children's center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moddifying the ones used by Williams, Freeman and Deci (1996), Kim Eun-young(2014), Jeon Soo-Jin(2018) and Jang(2009). To measure teaching self-efficacy. a questionnaire was develpped by revising the STEBI(Enochs & Riggs, 1990). For the measurement tool for children's academic efficacy used was a revised version of the sclale developed by Kim A-young (2002), based on Bandura's theory of self-efficac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ing self-efficacy of the local children's center teachers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childre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some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y the subscale level. Teachers' teaching efficac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 difficulty, a sub-variable of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guidance self-efficacy, also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In addition learning guidanc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 difficulty. Second,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and autonomy support were positively related tlo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Third,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ies were different between upper and lower groups in terms of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Among academic self-efficacy sub-variables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ion made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Fourth,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ies were different accordy to the perceived autonomy support of teach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The children in the upper group in terms of autonomy support showed higher scores of task difficulty and self-regulation. Fift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children's academic efficacy between the children with higher teaching self-efficacy teachers and those with lower teaching self-efficacy teachers. Taken together, it can be safely said that perceived educational support, autonomy support, and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at local children's centers play an important role for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In particular, educational support had a relatively higher rel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must be increased to enhanc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과 자율성지원 및 교사의 교직효능감이 아동의 학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교직효능감과 아동의 학업효능감 간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 교사의 자율성지원, 아동의 학업효능감 간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에 따라 아동의 학업효능감은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4.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지각된 교사의 자율성지원에 따라 아동의 학업효능감은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5.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교직효능감에 따라 아동의 학업 효능감은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를 위해 전라북도 전주시, 군산시, 정읍, 진안, 무주군에 소재하고 있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 중인 11세-13세 아동 255명과 교사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의 측정을 위해 프로그램과 물리적 환경의 두 가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정선진(2009)이 사용한 프로그램 만족도 10문항 중 지역네트워크(1문항)를 제외한 9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최윤미(2010)가 사용한 물리적 환경 척도에서 위생관리(4문항)를 제외한 공간과 시설설비 7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자율성지원을 측정하기 위하여 Williams, Freedman과 Deci(1996)가 개발하고 Jang등(2009)이 사용한 LCQ를 바탕으로 김은영(2014)이 개발하고, 이후 전수진(2018)이 새로 구축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의 교직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 & Riggs(1990)에 의해 개발된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도구(STEBI)를 바탕으로 이분려(1998)와 김순남(2000)및 박운주(2019)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업무역량 척도로 개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의 학업효능감 측정 도구는 Bandura(1986)의 자기효능감 이론에 입각하여 개발한 김아영(2002)의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교직효능감과 아동의 학업효능감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교직효능감은 아동의 학업효능감의 과제난이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고, 교사의 교직효능감의 학습지도는 아동의 학업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교사의 교직효능감의 학습지도는 아동의 학업효능감의 과제 난이도와 정적 상관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 자율성지원, 아동의 학업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 간의 상관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은 자율성지원과 높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아동의 학업효능감과도 정적 상관을 보고, 자율성지원 또한 아동의 학업효능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아동의 학업효능감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지각된 교육적 지원에 따라 학업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와 자기조절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하위 집단보다 상위집단의 학업효능감이 높았다. 넷째,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자율성지원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아동의 학업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업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자기조절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하위집단보다 상위집단의 학업효능감이 높았다. 다섯째, 지역아동센터 교사의 교직효능감을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여 이에 따른 아동 학업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지역아동센터의 지각된 교육적 지원과 자율성지원 및 교사의 교직효능감은 아동의 학업효능감에 중요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적 지원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아동의 학업효능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교육적 지원을 높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율성지원 또한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 학습된 무기력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연구

        김은영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 성숙도와 학습된 무기력 및 학업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들의 생활지도 및 진로지도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전문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 간에 진로성숙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전문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 간에 학습된 무기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학습된 무기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학업 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5> 고등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 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6>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학습된 무기력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경기도 양평에 소재하고 있는 Y고등학교 1학년 132명, 2학년이 144명으로 구성된 전문계와 일반계학생을 각각 138명씩 표집 하였다. 이들에게 진로 성숙도와 학습된 무기력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학업 성취도는 1학기말 성적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SPSS15.0/WIN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각 변인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의 a계수를 산출하였고 기초통계량을 위해서 집단별 평균(M)과 표준편차(SD) 값을 구했다. 연구가설에 따른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1과 2를 검증하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가설3, 가설4, 가설5를 검증하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고 그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셋째, 가설6을 검증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 간에 진로성숙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전문계 고등학생과 일반계 고등학생 간에 학습된 무기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학습된 무기력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넷째,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학업 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다섯째, 고등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 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여섯째, 고등학생들의 진로 성숙도와 학습된 무기력은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degree of relationship among career maturity,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made as follows : First, there will b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areer maturity and learned helplessnes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ill be meaningful correlation in career maturity and learned languor,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achievements,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career maturity and learned helplessness will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138 students were selected respectively from general and vocational students of a high school located in Yangpyeong, Kyeonggido. The questionnaires of career maturity and learned helplessness were carried out to them and in the area of learning achievements, final results of 1st semester were appli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15.0 programs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research. Cronbach a was calculated to find out the confidence level of each variable. Group average(M) and the standard deviation (SD) were gotten. The statistical methods to test hypotheses were as follows : First, t-tes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hypothesis 1 and 2, 'There will be any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and learned helplessness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hypothesis 3, 4, and 5, 'there will be meaningful correlation in career maturity, learned languor, and learning achievements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hypothesis 6, 'Career maturity and learned helplessness will have a meaningful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between the vacational course and the general course.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ed languor according to the course compared to career maturity. Second, in the correlation and the effect of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achievements, career maturity's influence on learning achievements was outstanding in planning and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in planning and decision. while independence had no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and the effect. Moreover, in the correlation and the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and learning achievements, the effect of learned helplessness to learning achievements was apparently shown. Even though the problems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in our society are not confined to the present, the students who enter the vocational course of high school choose their career not considering their talents and aptitude but their achievements.

      • 유전 알고리듬을 적용한 최대유통문제에서의 k-치명호 결정에 관한 연구

        김은영 전주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k most vital arcs by genetic algorithm in maximum flow problems. The maximum flow problem is the problem to find the path that sends the maximum amount of flow from a source node to a sink node. The problem of finding the k most vital arcs is the problem of finding the set of arcs simultaneous removal from the network results in the greatest decrease in the value of the maximum flow in the network between a source node and a sink node. The best known application for this problem is in a conflict situation where there is a logistics or communications network, defender or user of this system and interdictor. The user wishes to know which arcs are most vital to him so that he can reinforce these arcs against attack, while the interdictor wants to destroy those arcs which most decrease the maximal flow through the network. In this study, we propose to a method which solves the problem by genetic algorithm. For this, we propose genetic algorithm which finds the set of k most vital arcs and propose the express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individuals compatibl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blem, and specify the genetic parameter values of constitution, pop_size, corssover rate, mutation rate and etc. of the initial population which makes detecting efficiency better. At the end, we analyze the detecting efficiency of the optimal solution through computer simulation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 의사 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로 진행하는 초등 영어지도에 관한 연구

        김은영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e study attempted to conduct basic questionnaires about English learning for specific interests.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were monitored in two classroom settings: One where English was both the language of instruction and the target; the other with Korean as the language of instruction and English as the target. The 2 groups were taught for a period of 20 weeks, after which data was obtained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students who learned English through English had an influenced o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ccepted it and understood better than before. The groups were interested in speaking in English outside of class and doing activities which were based question-answer. Aside from writing difficulties, students responded well to listening and speaking domains. Secondly, when the teacher conducted class in English at first, the students found it difficult to understand. But the more students were exposed to English circumstances, the more they were close to the target. In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teaching English through English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ve competence. Students could express their opinion and have a self-confidence to speak in English. Problematic areas that arose included: students could practice only in a classroom and talk with their peers instead of English specialists or foreigners. Furthermore, when they got information wrong, they kept fossilization. If the instructor's English skills are poor, the effectiveness of his/her teaching decreases. The teacher's feedback can influence on enhancing students' communicative compet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에 관 한 수업지도를 알아보는 데에 있다. 먼저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하는 한 학급과 한국어 위주의 영어혼용수업을 하는 한 학급을 선정하여 영어 학습 에 대한 흥미도, 이해도, 표현도에 대한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20주에 걸쳐 각각 학습한 후 학생들의 학습결과를 설문을 통해 알아보았고 영어의 이해도와 표현력을 알아보기 위한 문항을 위주로 만든 자기 평가지를 작성하게 한 뒤 각 두 학급의 학생들의 의사소통 향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 수업의 설문 결과를 통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진행하 는 학생들이 한국어 위주의 영어 혼용 수업의 학생보다 영어에 대한 흥미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았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변화를 가져다주는 요인으로 작 용했다.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영어로 묻고 대답하는 활동을 지속적으로 한 후 수업 시간 이외에도 영향을 미쳐 영어에 대한 관심을 갖았으며 이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게 했다. 쓰기 영역에서는 큰 효과를 보기 어려웠으나 듣기나 말하기의 경우 학생들은 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고, 교사의 교실영 어는 대부분 알아들었으나 한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수업 시간의 모든 내용을 알아들은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영어에 노출되었을 때 의사소통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의사소통 향상을 위한 이해도 면에서는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이 나 한국어 위주의 영어 혼용 수업에서 뚜렷하게 큰 차이를 알 수가 없었으나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보다 영어를 더 쉽게 받아들이고 이해를 했다. 자기 평가지에 나타난 결과를 보면 표현력에 있어서 는 영어로 말하는 능력이 쉽다고 응답으로 보아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을 받은 학생들이 현저하게 표현력이 더 뛰어나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 고, 수업 시간 내의 교사의 영어를 다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 학생들은 전보다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의 자료 분석 결과로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 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보여 진다. 교사가 영어로 영어 수 업을 진행했을 때 이해 면에서 처음에는 대체적으로 학생들이 힘들어했지만 점차 이해하기 쉬워졌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고 학생들은 수업시간에 배운 표현력을 자신만의 언어로 만들어 봄으로써 가족이나 친구, 외국인과의 대화 에서 말하기에 자신감이 생겼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영어로 하는 영어 수업이 연속적으로 수업에 적용되는 데에는 문제 점이 있는데, 단지 교실에서만 영어사용을 함으로써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의 영어의 대한 오류에 대한 정확한 교사의 피드백이 없이 는 학생들에게 화석화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측할 수 없는 교실 현장에서 교사가 자연스럽게 영어를 구사하는 능력이 없다면 영어로 진 행하는 영어수업은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교사의 피 드백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써 매 차시마다 교육 과정에 부합되는 목표와 내용의 다양한 활동과 세밀한 학생들의 관찰이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 에서 필요한 과제로 요구된다. 이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짧은 연구 기간과 두 학급만의 대상으로 비교 대조한 결과 얻은 결론 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을 통한 장기적인 연 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의사소통 향상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의 화석화 현상 을 막기 위한 교사의 영어 능력이 권장되어야 한다고 보고, 교사는 학생들의 표현력에 관심을 갖고 영어의 거부감을 버리고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오류 수정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본다. 셋째, 학생들의 흥미와 영어로 의사소통을 하는 관심을 잃지 않고 능력 향 상을 위해서 교사는 교과서의 영어 학습 내용 외의 다양한 활동을 연구하며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 수업안을 구상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해봄으로서 효율적 인 영어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