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기 초등여교사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김윤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data from 285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sed for analysis. And Stress test tool by Lee Hyang Ran(1992), revised by Han Jeong Min(2006), Self-encouragement inventory,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were used for measurements.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ts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ron and Kenny(1986) model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relative influences on depression were social life and family life order.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of middle-aged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vealed that self-encourage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it discussed about the meaning and limits of the study and suggested future study.

      •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제도의 비교분석

        김윤정 서울시립대학교 세무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기업의 분권화를 위한 수단으로 물적분할과 현물출자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2009년 법인세법이 개정되기 전까지는 현물출자보다는 물적분할이 조세측면에서 보다 유리하였다. 그러나 기업이 다양한 구조조정수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2009년에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가 개정되었다. 이로 인하여 경제적 효과가 유사한 물적분할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와 현물출자에 대한 과세특례제도의 조세효과도 거의 동일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기업구조조정관련 과세제도는 처음 도입할 당시 급박한 국가경제위기를 타개하려는 정책적 목적이 우선시된 결과, 근본적인 과세이론에 대한 충분한 논의를 거치지 못한 채 입법화되었다. 따라서 물적분할제도와 현물출자제도의 운영과정에서 발생하던 과세상 문제점이 많이 부분적으로 개선되었더라도 아직까지 일부 문제점이 발견되는 바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의 과세특례요건 중 사업기간 5년은 사업성장을 위한 기간이다. 그러나 이는 급변하는 경제환경에 적응하기에는 너무 길어서 구조조정의 걸림돌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분할회사 및 출자법인에 대해서만 사업영위기간을 규제하고 이전되는 사업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있어 기업 간의 형평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계속사업기간에 대한 요건은 합병의 규정과 같이 1년 이상으로 하고 이전되는 사업을 1년 이상 계속 영위한 내국법인으로 개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법의 규정으로 인하여 물적분할의 경우에는 분할시 분할신설법인 주식 100%를 보유하도록 하고 있어 분할 후 유상증자를 통해서 해외자본 등의 제3자의 투자유치를 하고 있어 절차상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외자본 등의 투자유치를 지원할 필요가 있으므로 경영 지배력 확보차원에서 현물출자의 규정처럼 분할신설법인 주식의 80%만 보유하도록 요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발생한 자산양도차익은 분할법인 및 출자법인뿐만 아니라 분할신설법인 및 피출자법인단계에서도 과세되는 이중과세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인적분할의 경우와 같이 과세특례요건이 충족하는 물적분할과 현물출자로 인하여 받는 양도가액은 분할등기일과 현물출자일 현재의 분할법인과 출자법인의 순자산 장부가액으로 보아 양도차익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도록 관련 법인세규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경제적 실체의 변동여부가 아닌 분할법인의 존속여부에 따라 이월결손금의 승계가능여부가 결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는 분할법인이 존속하더라도 이월결손금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경제적 실체의 변동이 없는 경우에 이월결손금 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의 승계가능여부로 인하여 물적분할이 현물출자보다 조세부담이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이전되는 자산 및 부채의 세무조정사항승계를 허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물적분할과 달리 현물출자의 경우에는 100% 자회사를 설립하는 경우에는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완전자회사를 설립하더라도 부당행위계산부인규정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세법상 연대납세의무가 상법상 연대책임의 범위보다 넓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대납세의무의 범위를 상법의 규정과 일치시켜서 연대책임의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부가가치세 비과세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현행 부가가치세법에서는 국제적 기준에 맞추어 사업자의 부담완화 및 납세편의를 제고하기 위해서 사업자단위과세를 허용하고 있으므로 현물출자의 경우에도 물적분할과 같이 사업부문별로 사업양도를 하더라도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양도로 볼 수 있도록 개정할 필요가 있다. 아홉째, 현물출자와 관련된 농어촌특별세부과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방식의 기업 구조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현물출자로 이전된 자산의 취득세와 등록세감면분에 대한 농어촌특별세도 물적분할과 같이 비과세할 필요가 있다. As a way of Corporate Division,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has been frequently used. Prior to 2009, when the corporate tax regulations were amended, spin-off offered more tax benefits than investments in-kind did. However, Korean government made it possible for corporations to have more options for corporate restructuring by releasing amended tax regulation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investments in-kind. As a result of the amendment, investments in-kind can achieve the same tax effects as spin-off. It is noteworthy, however, that the Korean tax regulations on corporate restructuring were legislated with a strong focus on ways to cope with economic turmoil Korea was facing, without much discussion on theoretical justification for the legislation. Thus, even though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in tax issues, there are still areas for improvement in the regulations. First, one of the requirements for special tax treatments on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is that a divided company and a investing company should be in that business for a minimum of 5 years. However, the 5-year requirement seems to be too long in this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 addition, the 5-year requirement does not apply to a transferred business, resulting in violation of the principle of taxation equity. It is considered to be reasonable to reduce the requirement for the minimum period of transferred business operation from 5 years to 1 year. It would help ensure taxation equity as corporate planning a merger would be qualified for the special tax treatment if it has been in the business for one year. Second, in case of spin-off, Commercial Code mandates corporate to maintain 100% of the newly established enterprise founded as a result of the spin-off. In order to acquire 100% of share, corporate has to promote investment from 3rd parties involving in complicated procedures such as paid-in capital increase from overseas. Considering the fac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80% of share, not 100%, the requirement for spin-off should be lessened to 80% as well. It would help attract investment from overseas and enhance control. Third, there is a double-taxation issue. Transfer gains from both spin-off and investment in-kind are taxed not only at the divided company and investing company level, but also at the newly established company and the newly invested company. If the regulations changes in a way that no transfer gain is deemed to arise as a result of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providing that the transaction meets the requirement for special tax treatments. It can be done if the selling price collected from spin-off or investment in-kind is net book value of the surviving company (or investing company) as of date of division registration (or at the date of investment). Fourth, there is an issue involving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Under the current regulations,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s allowed only if a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without considering changes in economic substance. It seems logical to allow succession of loss carry-forward if there is no change in economic substance whether the divided company is extinguished or not. The same can be said in case of investment in-kind. Fifth, as tax consequences can vary depending upon whether it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it required changes to the regulations so that corporate adopting investment in-kind is allowed to take over assets and liabilities for tax purposes. Sixth, unlike spin-off, investment in-kind is not subject to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in case corporate sets up a 100% subsidiary. As a preventive measure, the Unfair Transaction Rules should be applied even if a 100% subsidiary is set up. Seventh, the scope of joint and several obligations for tax liability under tax regulations is broader than that of under Commercial Code. It is more rational to match the extent the scope of the liabilities under tax regulations and Commercial Code. Eighth, qualifications for VAT exemption on investment in-kind should be reviewed. Under the current VAT regulations, a company or other corporate body with business units or divisions may be able to register each of them separately for VAT. It is recommended that VAT regulations be amended in a way that divisional business transfer using investment in-kind should be deem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the way business transfer through spin-off is treated as business transfer under VAT regulations. Ninth, it is not appropriate that investment in-kind is subject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In order to encourage various corporate restructuring methods, asset transfers through investment in-kind should be eligible for non-taxable treatment relating to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on the exempted portion for acquisition & registration tax, as asset transfers through spin-off is exempted for Special Tax for Rural Development.

      •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과학-기술-사회(STS)관련 내용 분석

        김윤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the textbooks for the education of the science and curriculum relating STS in chemistry chapters of Middle School first-year on the 7th curriculum. For this study, essential 8 elements in STS course suggested by Yager and type of study activity suggested by SATIA was b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STS education in chemistry chapter of 8 kinds of Middle School first-year science textbooks was showed from 16.3% to 28.4%, average 21.4%. When the STS contents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the number of page related to STS was 82.9. Among them, 47.7 page were, as a major part, dealt with the possible applications of science. STS contents were included only in a few texbooks, impling that the elements related to STS were biased to the certain subjects. Among the subjects about STS in the eight different kinds of science textbooks, 58.9% was for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s a result of analysis by SATIS activity area, as a major part, a model experiment and experiment. The 7th curriculum appears to include somewhat large contents about STS compared with the 6th curriculum'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science textbooks are well prepared for the good educational purpose on the science curriculum. However the diversified subjects related to STS are not still given enough and many parts of the contents. therfore the careful comparative studies and the great efforts should given to develop the outstanding science textbooks which deal the subjects of STS in many possible respects.

      • 기보법의 사회 역사적 동력(動力)에 대한 小考 : 오선 기보법을 통하여

        김윤정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기보법의 사회 역사적 동력에 관한 고찰'을 주제로 하여 썼다. 우리는 기보법을 단지 연주의 지시도구 정도로만 보고 있는 듯하다. 그리고 서양음악에서의 기보법 발달사의 서술들은 대개의 경우 그와 같은 전달수단으로서의 기보법이 어떻게 '진화'되어 왔는가에 관심을 기울였던 듯 싶다. 그러나 기보법은 음악의 단순전달과 보존의 수단으로서만 그치지 않고 음악실제와 그 음악의식에 대해서 상호영향을 주고 받는 적극적 역할을 한다. 기보법을 하나의 사회 문화적 기호로서 관찰해 보자는 의도에서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대표적 기보법인 오선 기보법을 그 대상으로 골라 보았다. 본론은 Ⅰ. 20세기 기보법으로서의 오선 기보법, Ⅱ. 사회적 기호로서의 음악기보법, Ⅲ. 기보법을 바라보는 관점에 대한 반성, 이렇게 크게 3부분으로 나누었다. 본론 Ⅰ에서는 오선 기보법의 발생과 발달, 그리고 그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서양음악사에서의 기보법의 역사를 다 살펴보는 것은 아니고 기보법의 첫 발달단계로 볼 수 있는 네우마 기보법, 음높이와 함께 싯가를 고정하려 했던 16세기 초기까지의 시기, 오선 기보법의 모습을 정비한 1500년대 이후로 몇가지 중요한 변화시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세기에 들어와서 오선 기보법은 서양뿐 아니라 전세계에 보급되면서 주된 기보법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서양의 오선 기보법이 보편적으로 수용됨과 함께 서양의 많은 음악관도 공유하게 된 현실을 보면서 기보법은 음악만 전달하는 것이 아니고 그 기보법을 만든 사회의 생각도함께 반영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본론 Ⅱ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정리하기 위해 '기호'라는' 용어를 빌렸다. 먼저 음악이라는 소리현상이 시각적 기보로 바꾸어지는 과정에서 어떤 측면이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고자 언어와 비교할 것이다. 그리고 음악은 문화의 산물이며 문화적 기호이고, 기보법 또한 문화의 산물이며 문화적 기호라는 생각을 바탕으로 하여 기호는 전달 뿐 아니라 미래의 방향설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문화적 기호로서의 측면을 서술할 것이다. 그런 다음 그런 주장의 이해를 높이고자 그 일례로 프랑코 기보법과 그 당대의 사상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받았는지를 간략히 보려한다. 본론 Ⅲ은 이제까지의 내용을 토대로 우리가 그동안 기보법을 바라본 태도를 반성할 것이다. 기보법을 사회적 기호라고 보는 본론 Ⅱ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기보법은 당대 음악사고의 반영물이자 향후 음악의 발달 방향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성질을 갖는다. 음악역사 속에서 과연 기보법이 음악실제의 보존수단만이 아니고 음악발달에 하나의 방향설정의 역할을 했는지 본론Ⅰ에서 언급한 기보법의 발달사와 연결하여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기보법의 이러한 성격 때문에 서양문화라는 특정 음악관습의 결과인 서양의 오선 기보법으로 다른 음악문화권의 음악을 읽으려는 시도가 수반하게 될 문제점을 마지막으로 생각해 보았다. 이 글을 쓰면서 기보에는 그 사회의 생각이 담겨 있다는 전제가 성립하며, 기보법은 특정의 음악문화가 지닌 관습적 특성을 해석하는 기호일 수 있고, 또한 서양음악에서의 기보법의 역할은 음악의 전달·보존의 기능에서 끝나지 않고 음악관습의 반영임과 동시에 앞으로의 음악발달의 방향성을 유도하는 적극적 역할이다라고 결론지었다. The theme of this paper is 'the Observation of the Social and Historical Momentum of Notation.' We have considered the notation as a mean of directing performance. And our interest of the notation has been focused on the ' evolution' of the notation as a mean of the conveyance. The notation, however, plays an active role in the practice and mind of music and has some effects on them, and vice versa. With the intent to observe the notation as a social and cultural sign, I have selected the staff notation-the representative notation in our times-as the object of this research. The part Ⅰ in the body is focused on the birth,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s of the staff notation. The concern in the part Ⅱ is the notation as a social sign. Comparing to language, I will pay attention to which aspects are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transformation which takes place from sound phenomenon to the visual notation. A sign has some effects on the future direction: this is an aspect of the cultural sign. This view is based on that music is a product of and a sign of culture, and the notation is also a product of culture. As an example of this, I plan to look at how the Franconian notation and its contemporary idea have some effects on each other. In the part Ⅲ, I intend to reflect on our attitude of seeing the notation.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examined in the part Ⅰ and Ⅱ, I will examine how the notation have played a role in making a direction as well as preserving music practice in the history of the notation. I will think of the problem following the attempt in which one try to music within other cultural contexts with the western staff notation, which is also a product of musical custom. In conclusion the notation includes the thoughts of the society, and is a sign with which we can interpret the features of its musical culture, and plays an active role of direction of the way music develop as well as the reflection of musical custom and the mean of preservation of music.

      • 중국 대북정책의 변화에 관한 연구 : 후진타오와 시진핑 정부를 중심으로

        김윤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의 후진타오 정권과 시진핑 정권의 대북정책이 변화한 이유를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중국의 대북정책이 전술적으로 변화하게 된 국제 체제적 요인과 국내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국 대북정책의 변화를 설명한다. 시진핑 정권은 역대 가장 강력한 유엔 결의안 제재에 동참하는 모습을 보이고. 북한과의 고위직 인사 교류를 상당 부분 축소했다. 시진핑 정권의 변화한 대북정책은 근본적인 외교정책의 목표를 수정한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중국의 대북정책이 전술적으로 변하였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진핑 정권의 대북정책이 전술적으로 변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중국의 대북정책에는 미국에 의한 국제 체제적 압력이 주된 독립변수로 작용하며, 국내적으론 지도자의 인식이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에 작용한다. 특히 중국의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미국으로 인해 발생하는 국제 체제적 압력을 정치지도자가 어떻게 인식하는가, 그리고 대북정책이 개인이 보유한 인식을 통해 어떻게 전술적으로 변화하는가를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틀로는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을 활용한다. 신고전적 현실주의는 국가의 외교정책이 국제 체제의 상대적인 힘의 차이에 영향을 받으며, 국내적 요인이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외교정책을 결정한다고 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진핑은 후진타오때보다 더욱 복잡해지고, 미국의 견제가 본격화된 국제환경을 경계하고 ‘위협’이라 인식한다. 둘째, 시진핑은 미국에 의해 나타나는 국제 체제적 압력에 대해 ‘강대국 정체성’으로 대응한다. 그리고 미국이 동아시아 내에서 더 강력해지지 않도록 북한을 더욱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고자 한다. Why Xi Jinping Administration has changed its policy o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 This study uses Neo-Classical realism for answering this question and argues that two main factors influence the China’s DPRK policy. First, the international pressure led by the U.S. is the independent variable. Second, leaders’ perceptions influence as an intervening variable. Especially the perceptions of chinese leaders, Hu Jintao and Xi Jinping, on the pressure of the U.S decide the Chinese foreign policy. This two main factors determine the China’s DPRK policy, an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above two leaders in regard to the two main factors. After Xi Jinping has been appointed as the new leader of China, the China’s DPRK policy has been tactically changed.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agreed on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UNSC) resolution 2094(2013.03.07.) and evaluated it as the strongest terms.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continuously adopted UNSC resolution 2270(2016.03.02.) and 2321(2016.11.30.). Even it implemented the resolution and sanctioned North Korea sincerely. Furthermore, the 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have been strained and the two countries stopped exchanging senior figures after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was constituted. These changes don’t indicate that the China’s DPRK policy has been fundamentally modified, but signify that there have existed tactical changes. This study has two main findings. First, Xi Jinping perceives the present international pressure is much more complex than that in the Hu Jintao era. And this perception leads to such an image that the international pressure surrounding China is ‘Threat’. Second, based on the ‘Threat’ image, Xi Jinping responds to the pressure by the ‘Identity of Super Power’. This ‘Identity of Super Power’ has driven the China’s DPRK policy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