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유학기제를 위한 융합형 음악창작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유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music creation program based on convergence education for free semester system. It has been planed by the need of cultivating people who can think integratively and the creative program for the Free Semester System. For the theoretical base, several programs: ‘Free Semester System program’, ‘education of creativity’ and ‘convergence education’ were scanned through. The Program of this study consisted of fifteen classes of a timetable and its main goal was for students to create new and useful musical creation after completing the whole program. The fifteen classes was comprised of 'introduction(the 1st class)', 'theory and creating music lesson (the 2nd through 7th class)', 'convergence music education(the 8th through 13th class)', and 'closing section(the 14th and 15th class). Every class included discus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resentation which are what Free Semester System pursue as ideal activities in school classes. Evaluation method also followed Free Semester System program’s process-based evaluation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cess-based evaluation included self evaluation, peer evaluation, and teacher observation evaluation. This study suggested fifteen classes of detailed lesson plan and six teaching guidances on the step of ‘convergence music education’. Convergence education is the core of the program that ‘creating music lesson’ was based on Drake’s ‘multidisciplinary.’ Every class consisted of ‘suggestion of situation - creative designing - sensory experience’ steps based on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s lesson frame of referenc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an be to develop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controlled learning abilities according to activities including discussion, cooperative learning and presentation. Second they can be to increase integrative thinking skills and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Third they can be to achieve an high sense of accomplishment and self-efficacy by the process of creating new and useful creations through music. In conclusion, this study is expected not only to develop students' artistic talents and potential abilities which are usually goals of art and physical education in the Free Semester System, but also to train people to have creativity and integrative thinking skill.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되면서 일어난 가장 큰 변화는 자유학기제 도입이다. 자유학기제란 중학교 과정 중 한 학기 동안 학생들이 다양한 체험을 통해 적성과 미래에 대해 탐색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유연하게 운영하는 제도이다(교육부, 2015c). 2016년에 자유학기제가 전면 도입된 후 2018년 현재 모든 중학교에 자유학기제가 시행 중이며 이에 적합한 창의성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을 통한 창의성 계발을 중요시하고 이를 위해 미래지향적 역량함양이 가능한 교육을 자유학기제를 통해 이루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미래지향적 역량함양 교육의 강조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현대사회가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정보를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융합형 인재를 요구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융합적 사고를 가진 인재 양성을 위해서는 현재 여러 교과의 지식을 융합적으로 교육하는 융합 교육의 필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창의적인 프로그램과 융합적 사고를 가진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 교육의 필요성에 의해 자유학기제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융합형 음악창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먼저 자유학기제, 창의성 그리고 융합 교육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본 후 지금까지의 문헌 자료들을 통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자유학기제를 위한 융합형 음악창작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자유학기제를 위한 융합형 음악창작 프로그램’은 총 15차시로 구성했으며 융합형 음악창작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적 과정을 거쳐 새롭고 유용한 창작물을 생성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두었다. 15차시는 크게 도입(1차시)-이론 및 창작 교육(2~7차시)-융합형 음악교육(8~13차시)-정리(14~15차시)의 단계로 구성되며. 모든 수업 내용은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토론, 협동학습, 발표 위주의 활동을 다루었다. 평가방식 또한 교육부의 자유학기제 평가방식인 과정 중심의 평가를 하였으며 활동지를 활용한 자기평가 및 동료평가, 교사의 관찰을 통한 평가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15차시의 구체적인 수업 구성 방안을 제시하고 ‘융합형 음악교육 단계’에 해당하는 8~13차시까지의 총 여섯 개의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융합형 음악교육 단계는 이 프로그램의 핵심이 되는 단계로 Susan M. Drake의 다학문적 융합방식을 토대로 하여 창작 수업을 구성했다. 각 차시는 ‘융합인재교육 학습 준거 틀’에 기초하여 상황제시-창의적 설계-감성적 체험 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자유학기제에서 추구하는 토론, 협동학습, 발표 위주의 활동을 다루면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으며, 융합형 음악교육을 하며 융합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새롭고 유용한 창작물을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높은 성취감과 자기 효능감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결과적으로 ‘자유학기제를 위한 융합형 음악창작 프로그램’은 자유학기제의 예술·체육 교육의 목표인 학생들의 예술적 소질 및 잠재력 개발뿐 아니라 융합형 예술교육을 통해 현대사회에서 필요한 융합적 사고와 창의성을 가진 인재를 기르고 학생들이 창의적 과정을 거쳐 새롭고 유용한 창작물을 생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육추기 턱끈펭귄(Pygoscelis antarctica)의 섭식투자와 새끼의 성장

        김유민 서울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Breeding seabirds need to efficiently manage their energy for feeding their chicks and maintaining their own body conditions at the same time. Chinstrap Penguins (Pygoscelis antarctica), one of the top predators in the Antarctic marine ecosystem, may change their energy consumption for foraging (hereafter, foraging effort) and their foraging sites according to several factors, such as size of the chicks and the marine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ne environments and foraging area selection by breeding Chinstrap Penguin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indicators and parents’ foraging behavior, and to investigate potent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foraging efforts of the breeding adults. The Chinstrap Penguins were expected to enhance their foraging efficiency by selecting a foraging site where the marine productivity was higher than in surrounding areas. The foraging frequency of penguin parents may be correlated to the growth rate of their chicks, while foraging trip duration is not. Furthermore, The foraging efforts of the penguin parents might increase as the guarding period progresses and the marine productivity decreases. Using a tracking survey with remote sensing data, this study examined foraging behavior and site selection and compared marine productivity of the core foraging area and surrounding areas to examine the hypotheses. A total of 106 Chinstrap Penguins rearing two chicks each were tracked by GPS loggers and time-depth recorders (TDR) during 4 breeding seasons from 2015/16 to 2018/19 on King George Island in the South Shetland Islands. The body masses of the chick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elemetry study in 41 nests where both parents were tracked. Phytoplankton concentrations collected by remote sensing data were used as indicators of marine productivity in different seasons. The telemetry study indicated that the Chinstrap Penguins moved 15.05 ± 10.16 km away from the breeding colony for 9.48 ± 5.11 hours for foraging, and the foraging duration of the 2015/16 breeding season was longer than that of the other seasons. The parents performed 182.51 ± 158.80 foraging dives per day, spending 3.85 ± 2.47 hours daily underwater. The marine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the foraging range of the penguins ranged from 0.33 mg/m3 to 2.15 mg/m3 over the study periods. In the early guarding seasons, the core foraging areas had significantly higher marine productivity than the surrounding areas, which means the penguins selectively use the marine space according to the marine productivity. The parents’ total foraging duration had no relationship to the chicks’ growth rate, but the frequency of foraging trips did increase their growth rate. Trip duration of breeding Chinstrap Penguins, an indicator of foraging efforts per trip, decreased as the breeding season progressed. The foraging dive duration per day, indicator of foraging efforts per individual penguin, increased when the marine productivity increased. Marine productivity in the early breeding period, estimated with the marine chlorophyll- a concentration, may reflect prey abundance to the Chinstrap Penguins, especially in shelf areas close to their breeding colony. However, it may not reflect prey abundance in the late guarding season, when the penguins consume more of their food near the colony. The parents’ foraging trip frequency was related to the growth rate of their chicks; however, the relationship was not significant. As the chicks grew older, the parent penguins changed their foraging strategy to shorter and more frequent trips to get more food. In a favorable marine environment, the penguins spend more time in foraging dives. When there is enough food to provision their chicks, the parent penguins are able to find high quality food or maintain themselves with the energy efficient foraging strategy. The antarctic marine environment changes through the seasons, and recent krill fisheries and climate change are no doubt involved in these marine ecosystem changes. Marine environment changes may negatively affect the foraging ecology and population fluctuation of Chinstrap Penguins.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on both marine environment and foraging behaviors of penguins to identify potential threats under predicted changes in marine envrionments in Antarctica. 번식 중인 바닷새는 스스로의 몸을 유지함과 동시에 새끼를 육추하기 위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턱끈펭귄속(Pygoscelis) 펭귄은 남극 해양생태계 내 상위포식자로서, 해양환경을 비롯한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아 먹이활동 장소 및 먹이활동에 투자하는 시간과 에너지(이하 섭식 투자)가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환경과 육추기 턱끈펭귄(Pygoscelis antarctica)의 섭식장소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새끼의 성장에 부모의 섭식행동이 주는 영향과 턱끈펭귄의 섭식 투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턱끈펭귄은 섭식 효율을 높이고, 육추와 개체의 건강유지를 동시에 하기 위해 해양생산성이 높은 지역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또한 턱끈펭귄의 새끼는 부모의 먹이활동 빈도가 증가할수록 성장이 빨라질 것이며, 턱끈펭귄 부모의 섭식 투자는 새끼의 먹이 요구량이 증가하는 육추기 후반으로 갈수록, 또 해양생산성이 낮을수록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추적조사를 통해 턱끈펭귄 부모의 섭식활동과 공간이용을 밝히고, 원격탐사자료를 이용해 주요섭식지와 그 주변 지역의 해양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또한 새끼의 성장률에 영향을 주는 부모의 섭식행동과 부모의 섭식 투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극 남셰틀랜드 군도의 킹조지섬에서 2015/16년 번식기부터 2018/19년 번식기까지 총 4회의 번식기 동안 섭식 및 번식 생태를 조사하였다. 2마리 새끼를 키우는 106개체의 턱끈펭귄에게 위치추적장치와 잠수기록계를 부착하여 추적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또한 해당 개체가 육추하는 41개의 둥지에서 새끼의 무게를 측정하고 그 성장률을 추정하였다. 턱끈펭귄 번식지 주변의 해양환경을 추정하기 위해 원격탐사자료를 통해 해양 표면의 식물플랑크톤 농도(엽록소-a)를 구하였으며, 이를 해양의 일차생산성 지표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적된 턱끈펭귄은 9.48 ± 5.11시간 동안 번식지에서 15.05 ± 10.16 km 떨어진 지점까지 섭식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16년 번식기 섭식이동은 다른 번식기에 비해 길게 이루어 졌다. 턱끈펭귄은 일평균 182.51 ± 158.80회에 걸친 섭식잠수를 통해 매일 3.85 ± 2.47시간을 수면 아래에서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턱끈펭귄 섭식지 내 해양 엽록소-a 농도는 시기에 따라 0.33 mg/m3 – 2.15 mg/m3으로 변화하였으며, 분포가 변화하였다. 그러나 육추 초기 턱끈펭귄의 주요섭식지는 그 주변 해역보다 해양생산성이 높게 나타나, 섭식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부모의 먹이활동 시간에 따른 턱끈펭귄 새끼의 성장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섭식이동 빈도의 증가에 따라 새끼의 성장이 빨라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턱끈펭귄은 육추기 후반으로 갈수록 각 섭식이동이 짧아졌으며, 해양생산성이 높은 시기일수록 개체가 하루동안 섭식을 위해 잠수하는 시간은 증가하였다. 턱끈펭귄의 육추초기 해양 표면 엽록소-a농도로 나타난 해양생산성은 턱끈펭귄의 먹이 환경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육추후기에는 번식집단 내부 경쟁으로 인해 주변의 먹이가 감소함에 따라 해양생산성이 턱끈펭귄의 먹이환경을 직접적으로 반영하기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앞선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턱끈펭귄 새끼의 성장은 부모의 섭식이동이 빈번할수록 빠르게 나타났으나, 적은 표본 수로 인해 그 영향이 미미하게 나타났다. 턱끈펭귄 부모의 각 섭식이동 시간은 육추기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는 새끼의 먹이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짧은 먹이활동을 더 빈번하게 수행하여 새끼의 증가한 먹이요구량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해양생산성이 높은 시기에 턱끈펭귄 부모의 일일 섭식잠수 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이는 먹이가 풍부할 때 섭식에 여유가 생긴 부모 개체가 섭식전략을 변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해양생산성이 높을 시기에 턱끈펭귄 부모는 고영양의 먹이를 선택적으로 섭식하기 위해 더 깊은 잠수를 오랫동안 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육추기동안 단시간에 많은 양의 먹이를 구하는 섭식전략을 취하는 것과 달리 먹이활동 시간을 늘리고 에너지 효율적인 섭식전략을 이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극지 생태계에서 해양환경은 시기에 따라 크게 변동하며, 최근에는 기후변화와 크릴 어업이 턱끈펭귄의 섭식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는 턱끈펭귄의 섭식행동, 나아가 개체군 변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해양환경과 턱끈펭귄의 섭식 및 번식 생태를 모니터링하여 추후 예측되는 해양환경 변화에 따른 턱끈펭귄 개체군 위협 요인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과 양육 불안의 관계에서 사회 비교 경향성과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유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양육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 간의 관계를 사회 비교 경향성과 양육효능감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대구에 거주 중인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3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PROCESS MACRO 4.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사회 비교 경향성, 양육효능감, 양육 불안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양육 불안 관계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양육효능감 각각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양육 불안 관계에서 사회 비교 경향성과 양육효능감 각각의 매개효과의 절대값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어머니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양육 불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과정에서 사회비교 경향성과 양육효능감 두개의 매개 변인을 거치는 경로가 공존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mothers' inability to tolerate uncertainty in childhood and infancy on parental anxiety and to determine whether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parenting efficacy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nxiety and lack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A Googl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17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Daegu, Gyeonggi-do. 312 data were eventually analyzed, excluding 5 copies that were either excluded from the study or responded insincerely.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4.0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n analysis of correlations among major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ack of tolerance for uncertainty, social comparison tendency,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nxiety. Second, each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ative tendencies and parenting efficac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patience with uncertainty and parenting anxiety. Third, difference in the absolute value of each individu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arative tendencies and parenting efficac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ck of patience with uncertainty and parenting anxiety.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two mediating variables of social comparison tendency and parenting efficacy coexist in the process of mothers' lack of patience with uncertainty affecting childrearing anxiet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o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in light of the results.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연구

        김유민 창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 및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2019 개정 누리과정의 현장에서의 성공적인 실행과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1) 연령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2) 학력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3) 기관유형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4) 경력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2)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는 어떠한가? (1) 연령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2) 학력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3) 기관유형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4) 경력에 따른 교사의 관심도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양적자료를 수집하였다. 양적자료 수집의 방법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의 관심도를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공·사립에 근무하는 유치원 교사 195명과 국공립, 민간, 직장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19명 총 314명을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중 300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설문지의 값을 코딩 후,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의 빈도, 백분율, 카이검증을 도출하였고, 개인변인에 따른 관심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과 카이검증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0단계 지각적 관심이 46.7%로 가장 높았으며, 1단계 정보적 관심 20.0%, 6단계 대안적 관심 12.0%, 5단계 협력적 관심 3.7%과 4단계 결과적 관심 1.0%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유아교사들이 0단계 지각적 관심에 속해있었으며, 유아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연령, 학력, 기관 유형, 경력)중 교사의 학력과 기관 유형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관심도에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를 살펴본 결과 0단계 지각적 관심이 53.0%로 가장 높았으며, 1단계 정보적 관심 20.7%, 6단계 대안적 관심 10.0%, 5단계 협력적 관심 2.7%, 4단계 결과적 관심 0.7% 순으로 나타났다. .절반이 넘는 유아교사들이 0단계 지각적 관심에 속해 있었으며, 유아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연령, 학력, 기관 유형, 경력)중 교사의 연령, 기관형태, 경력이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에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2019 개정누리과정의 현장에서의 성공적인 실행과 현장지원자료인 ‘놀이이해자료’와 ‘놀이실행자료’의 보다 적극적인 활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동시에 놀이이해·놀이실행자료에 대한 현장에서의 관심 정도와 활용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심층적인 질적연구로의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material needed to find plans for the active utilization of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ecution data and the successful field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by observing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ecution data and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based on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1) What are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1)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age (2)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3)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type of institution (4)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experience 2) What are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ecution data? (1)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age (2)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academic background (3)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type of institution (4) The stages of concern of teachers according to experience Quantitative data was collected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As a method of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the stages of concern of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pansion data and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were measured using surveys. Surv(1)ey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314 participants including 195 kindergarten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sangnam-do and 119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public, private, and workplace daycare centers, and of these, responses from 300 collected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oding the values of the surveys, deducing the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verification of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pansion data and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and conducting cross analysis and chi-square verification to observe differences in stages of concern according to individual variables, an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bservations of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showed that stage 0 perceptual interest was highest at 46.7%, followed by stage 1 informational interest at 20.0%, phase 6 alternative interest at 12.0%, phase 5 cooperative interest at 3.7%, and phase 4 consequential interest at 1.0%. Most early childhood teachers belonged to stage 0 perceptual interest and among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ge, academic background, type of institution, and experience), the academic background and institution types of the teachers were shown to be variables that caused differences in the stages of concern regarding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Second, observations of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ecution data showed that stage 0 perceptual interest was the highest at 53.0%, followed by stage 1 informational interest at 20.7%, stage 6 alternative interest at 10.0%, stage 5 cooperative interest at 2.7%, and stage 4 consequential interest at 0.7%. A major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elonged to stage 0 perceptual interest and among the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ge, academic background, type of institution, and experience), the age, institution type, and experience of the teachers were shown to be variables that caused differences in the stages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ecution data. The abov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base material needed to find plans for the active utilization of ‘play understanding data’ and ‘play execution data’, which are forms of field support data, and for the successful field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 revised in 2019 and at the same time, they imply the need for approaches towards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on stages of concern in the field regarding play understanding and play execution data and on plans that can increase utilization levels.

      • 청소년기 자아정체성 형성을 위한 자화상 수업연구

        김유민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s suggests for teaching methods utilizing self-portraits as a means to establish the ego identities of teenagers. Adolescence is a critical period for the development of one’s personality. This being said, as various changes take place, young people often feel confused about their identities and lose their way. Education targeted at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identity could helpful in such situations, and might even precede other subjects altogether. I suggest that, in art education, self-portrait classes can have a grea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 ego-identity. The main feature of portrait work is that the ego is being expressed with imagery that is being draw from within the painter, and released onto the canvas as art. Learners who appreciate these arts will find that they often encounter images in portraits which overlap with their own experiences. Intrinsically, other people exist as only themselves, but simultaneously they act as mirrors in which we can catch glimpses of ourselves and gain sympathy for others in those moments. In other words, the learners can reconstitute a new story projecting themselves into the painters story. As a self-portrait takes shape, inner crisis and feelings manifest visually, revealing each artist’s unique story. This kind of work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ose who undertake it, as they are able to move forward within an integrated course work, which helps to maintain consistency. For such reasons, this manuscript puts forth a kind of guidance plan for adolescence which uses the unique structure and features of self-portrait study as the mechanism of guidance. I applied this course to a group of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result. Students often neglect their inner development due to the many educational obligations that are thrust upon them at this age. Through the adoption of the course work the students were given a chance to look within. Through representations of their own stories, not only were they able to see themselves in others, but they were able to independently develop clearer definitions of their own unique identities.

      • 아동의 보호권 침해 경험과 참여권 보장 경험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김유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1989년 유엔총회를 통해 채택된 유엔아동권리협약을 1991년에 비준함으로써 협약의 당사국이 되었고, 이후 아동의 권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졌다. 하지만 많은 시간이 흐른 지금에도 여전히 아동학대와 방임, 학교폭력, 차별과 같은 아동의 보호권이 침해되는 경험들은 지속되고 있으며, 유교적 가부장적인 사회·문화 특성으로 아동을 미성숙한 통제의 대상으로 여기며 이들의 참여권을 유보 또는 제한하는 하는 상황에 있다. 이를 통해 아동은 일상에서 인권과 관련한 다양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 현재 이에 대한 연구들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 않고 있으며, 특히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인권경험들 중에서 아동의 보호권 침해 경험과 참여권 보장 경험이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독립변수의 보호권 침해 경험은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 경험, 학교 폭력 피해 경험, 일상에서의 차별 피해 경험으로, 참여권 보장 경험은 가정에서의 의사결정 존중 경험, 학교에서의 참여 및 정보제공 경험, 사상·양심적 자유 보장 경험으로 조작적 정의하였고, 종속변수는 인권의식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16년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총 3,367명의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 아동의 설문조사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모형에서 보호권 침해 경험 중 부모로부터의 학대와 방임 경험은 아동의 인권의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학교폭력 피해 경험은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일상에서의 차별 피해 경험은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참여권 보장 경험 중 가정에서의 의사결정 존중 경험, 학교에서의 참여 및 정보제공 경험, 사상·양심적 자유 보장 경험은 인권의식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특히, 가정, 학교, 사회에서 아동의 사상·양심적 자유 보장 경험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아동의 긍정적인 인권의식 함양을 위한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인권의식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아동의 보호권 보장을 위해 학교를 포함한 사회 전반에서 폭력 예방 및 친인권적인 환경 조성을 위한 대책들이 적극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의 참여권 보장을 위해서 부모와 자녀간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에 대한 훈련과 교육이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들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절차를 제공하고, 정보접근, 비밀보장 등의 권리 보장을 통해 민주적이고 상호적인 인권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끝으로 아동이 가정, 학교, 사회에서 사상·양심적 자유를 보장 받기 위해서는 아동을 미성숙한 존재로 바라보기 보다는 인권을 가진 하나의 주체로 인정하고 이들의 생각과 행동을 존중하는 사회 문화를 만들기 위한 사회 전체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

      •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인식,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 연구

        김유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인식이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생활체육지도자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전문성 자질을 확인하고 어떤 전문적 요인들이 그들의 임파워먼트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것을 통해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을 강화시키고 직무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를 실시하였다. 과거와는 다르게 생활체육인들의 수준이 즐기는 아마추어 수준에서 벗어나 프로에 가까워지고 있다. 어떠한 스포츠든 선수들은 자신의 지도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와는 달리 생활체육도 즐기고 참여하는 사람들의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과거보다 더 높은 지도자의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인식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강습, 인간관계, 회원관리, 행정업무의 요인으로, 생활체육지도자의 임파워먼트는 의미성, 역량, 자기결정성, 영향력의 3개 요인, 직무만족은 자긍심, 경제만족, 업무만족의 3개 요인으로 연구를 설계하여 진행하였다. 하지만 실제 요인분석 실시결과 직무만족은 자긍심과 업무만족의 2개 요인으로 요인화되었다. 가설은 총 2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생활체육지도자의 전문성 인식은 생활체육지도자의 임파워먼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생활체육지도자의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몇몇 경로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경로가 확인되어서 가설 1과 가설 2 모두 채택 또는 부분 채택으로 분석되었다.

      • 브랜드 경험 특성에 따른 호텔의 공간 표현 : 라이프스타일 호텔을 중심으로

        김유민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 주력 소비 세대에 해당한 베이비부머 세대, X세대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로 소비층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들은 앞선 기성 세대와 달리 자신만의 취향, 흥미, 차별성과 심미성을 중시하며 개인의 가치를 가장 우선시한다. 이렇듯 개인의 개성과 주관을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호텔의 형태도 변화해왔다. 현재 호텔들은 경제적 수준의 개선, 여가시간의 확대 등 사회적 여건이 향상됨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 기존 호텔이 갖는 숙박 개념을 넘어 문화, 예술적 아이콘이 되고 있으며, 그 자체로서의 목적이 되고 있다. 호텔이 다른 경쟁 호텔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 자신들만의 독특하면서 차별적인 요소를 갖추어야 한다는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호텔에서 휴가와 여가를 즐기려는 소비층을 타깃으로 버짓호텔(Budget Hotel) 개념에서 출발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이 급부상하고 있다.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다양화되면서 반 호텔들과 같이 획일화되지 않고 차별성을 강조한 복합적인 문화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소비자들에게 타 브랜드와 차별화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브랜드 이미지는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가치의 중심이 되는 역할을 한다. 이런 브랜드 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긍정적으로 전달하는 마케팅 방법 중 하나로 브랜드 경험을 사용하고 있다.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기업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경험을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브랜드 경험 공간을 구축해야한다. 본 연구는 국내 서울시에 위치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을 중심으로 공간구성에 따른 브랜드 경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브랜드 경험 공간 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문헌조사와 선행연구 등 이론적 고찰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의 개념, 공간구성과 브랜드경험의 개념, 구성요소를 고찰한 후,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적용된 브랜드 경험을 활성화하기 위한 공간 특성을 분석한다. 사례 대상지 6곳의 현장조사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추출한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공간 구성에 따른 브랜드 경험 특성에 대한 설문 조사를 디자인 전공자들에게 실시하였다. 5점 척도를 이용한 설문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공간 구성에 따른 브랜드 경험 특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스타일 호텔이 전체적으로 브랜드 경험 특성이 균등하게 높아야하며, 4가지의 브랜드 경험 특성의 도입으로 효과적이고 복합적인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공간을 디자인해야 한다. 둘째, 공용 공간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에 상응하는 시각, 촉각, 후각등의 감각을 자극할 수 있도록 조형적 요소를 활용한 공간계획이 필요하다. 셋째, 식음 공간에서는 기존의 먹고 마시는 기능 외의 독특한 체험적 요소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부대 공간에서는 휴식의 성격을 나타내는 복합문화공간의 기능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 다섯째, 호텔의 가장 이상적인 객실 공간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감성적 특성의 요소가 개선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앞으로 그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서울 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 또는 해외로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할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브랜드 경험 특성에 분석에 있어 제한된 분석을 진행한 한계가 있어 향후 사용자들의 만족도 또는 인터뷰를 통해 라이프스타일 호텔에 나타난 브랜드 경험에 대한 평가와 의견을 반영하는 질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뇌파 신호 기반 딥러닝을 활용한 감정 분류 기법 : 어텐션 메커니즘 기반 Long-Short Term Memory Network를 이용한 뇌파 신호 기반 감정 분류 기법

        김유민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뇌파, 심전도 등 사용자의 생체 신호에서 나타나는 감정을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는 뇌파와 감정의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아직 해결이 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감정의 전후 상황을 고려하기 위해 이에 적합한 Long-Short Term Memory 네트워크를 사용했고, 특정 순간에서 나타나는 감정 상태에 가중치를 주며 학습을 시키기 위한 어텐션 메커니즘을 적용했다. 별도의 특징 추출 과정을 거치지 않은 뇌파 신호을 사용하여 Valence와 Arousal에 대해 2단계 분류 실험 및 3단계 분류 실험을 수행하였다. 2단계 분류 실험 결과, Valence에 대해서는 90.1%의 정확도를, Arousal에 대해서는 87.9%의 정확도를 보였다. 3단계 분류 실험 결과는 Valence에 대해서 83.5%의 정확도를, Arousal에 대해서는 82.5%의 정확도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CNN 서브 모듈을 가진 네트워크로 진행한 실험에서는 2단계 분류 실험에서 Valence에 대해 90.1%, Arousal에 대해 88.3%의 정확도를 보였고, 3단계 분류 실험에서는 Valence에 대해 85.7%, Arousal에 대해 84.1%의 정확도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