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炭酸飮料 業界의 마아케팅 活動과 市場特性에 관한 硏究

        김옥재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炭酸飮料 製造業은 韓國經濟의 高度成長政策推進에 따른 所得增加와 冷ㆍ藏器機의 大量普給에 힘입어 1970年代 부터 急速한 發展을 거듭하여 왔다. 炭酸飮料製造業은 1970年代 이후 急速한 發展을 거듭하는 課程에서 供給이 需要를 따르지 못하였던 바 同業界에서는 積極的인 마아케팅 活動을 실시하지 않고 消極的인 마아케팅 活動에 그쳐왔다. 그러나 最近 炭酸飮料業界에서는 自然 指向的인 消費者의 기호변화에 따른 類似製品의 급격한 伸張과 消費패턴 다양화에 의한 需要의 變動에 대처하고자 新製品開發을 비롯한 여러가지 측면에서의 마아케팅 活動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이에 本 論文에서는 현재 炭酸飮料業界에서 실시하고 있는 마아케팅 活動과 說問調査에 의한 消費者活動을 考察하여 마아케팅 活動이 效率的으로 이루이지고 있는가를 살펴 보았으며 效率的으로 이루어지지 못한 部分에 대해서는 그에 對한 原因을 파악하여 問題解決을위한 對策을 題示하여 보았다. 本 論文에서는 여러가지 마아케팅 활동중 製品計劃實態, 流通經路實態, 販賣促進實態의 세가지 마아케팅 활동에 중점을 두어 考察해본바 製品計劃實態面에 있어서 消費者들은 現製品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나, 다른 한편 좀 더 다양하고 간편한 製品을 원하고 있어 이에 대한 製品計劃이 필요하며, 流通計劃實態面에 있어서는 1960年代 末에 도입하여 현재까지 실시하고 있는 「루트ㆍ세일」이 오늘에 와서는 流通經路에 있어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販賣員의 관리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어 새로운 流通機構의 開發 또는 도입이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 이에 同業界에서는 최근 「시럽 비즈네스」, 자동판매기 등과 같은 流通體制의 실시로 좋은 效果를 보고 있으며, 몇몇 業體에서는 10여년간 美國ㆍ日本 등지에서 실시하여 정착된 「프리ㆍ세일」을 도입하여 試驗段階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바람직한 활동을 하고 있다. 그리고 販賣促進活動은 消費者를 대상으로 한 활동에 있어서 주로 T.V를 통한 고압광고에 依存하고 있는 바 이는 과다한 費用問題가 항상 대두된다. 이에 同業界에서는 效率的인 廣告를 위한 廣告計劃樹立이 필요하며 새로운 媒體의 開發에 의한 廣告와 廣告가 아닌 다른 측면에서의 販賣促進活動이 적절히 이루어져야 하겠다. 本 論文은 炭酸飮料業界의 마아케팅 活動과 消費者活動을 深層分析하기 보다는 同業界의 마아케팅 活動上의 문제점과 消費者 意識의 方向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對策方向을 제시함으로써 同業界의 마아케팅 政策樹立과 消費者保護에 이바지하고자 하였다. The manufacturing of Korean mineral water industry has continued to develop repidly since the 1970s. This has been due to the increasing of income resulting from the promotion of highgrowth policy in Korean economy and the mass-propagation of cooling machineries. In the process of continual development, the mineral water industry has not satisfied the consumers' demand because the industry has not made positive marketing activities. But recently the mineral water industry has made much efforts for the marketing activities against the rapid extension of similar products resulting from the change of the consumers' tasts who want to have natural foods and keep their bodies in good condition and the variation of demands resulting from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nsuming patterns. Thus here we have looked at the marketing activities which are practised by the mineral water industry and the consumer behavior by means of engaete, and looked at it whether it is done effectively or not. And for the part that is not done effectivey, we have searched for the reason and presented here the answer to solve it. Among many marketing activities , the reality of planning product, circulation, and sales promtoion are chosen here. In the reality of product planning, many consumers a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esent product, but it seems to be desirable for the industry to make a new product plan because the consumers whatn to have more diversitied and more convenient product. In the reality of circulation , the route sale system, which was introducted in late 1960s, has played great role in the growth of the Korean mineral water industry, but today the management of salesman, which have important position in circulation , has appeared. Therefore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or introduce new circulation system. Consequently, the industry has made much profit by the practice of the new circulation, and some industries introduced and are now testing "free sale system" which has been settled in the U.S.A and Japan about 10 years ago. This system seems to be desirable. And the sales promotion for the consumer depends mainly upon the advertisement through T.V set, but this always result in the problem of excessive expenditures. Thus the industry needs to make a plan for the effective advertisement and develop a advertisement by new media and motivate a appropriate sales promotion activity except the advertisements. Here we found out the problems on the marketing activity in the industry and the direction of the consumers' consciousness rather than to analysis the consumer behavior for the purpose of serving for the policy-making on the marketing activity in the industry and the protection of the consumers.

      • 관광객의 성격유형과 해외 여행상품 선택요인간의 관계 연구

        김옥재 동의대학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인간의 심리구조는 욕구, 충동, 동기, 본능과 같은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용어들은 간혹 혼용되기도 하지만 제각각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욕구는 생리적 기관이나 심리적 상황에 긴장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동기는 자극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 행동을 일으키며 이로 인하여 동기를 강화하거나 약화 또는 현상을 유지 시키기도 한다. 인간이 여행 행위에 참가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고자 하는데 가장 큰 목표를 두고 있다. 지금까지 관광객들의 성격에 따라, 해외 여행상품을 어떻게 선택하는가에 대한 논의로 인구·통계적인 변수에 많이 의존하였지만 본 논문은 관광객의 태도와 성격에 따른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의 성격 유형에 따라 해외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하는 관련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에 대한 설문을 작성한 후 설문지의 결과를 기초로 실증 분석을 하였다. 이에 관광객들의 성격 유형을 3종류로 분류하였다. 첫째, 적극적이며 새로운 경험이 추구, 건강과 안전을 추구한 후 자아실현을 추구해 가는 성격을 자기 중심형으로 설정하였고, 둘째, 풍부한 사교성을 가지고 있거나 자기 취미생활을 중시하는 성격을 가지며, 낙천적인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는 성격의 소유자를 자기 향유형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셋째, 가족과의 시간을 더욱 중시하며 원만하고, 평범한 인간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자기가 소속된 집단의 안정을 추구하는 성격을 타인 중심형이라 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3가지 자기 중심형, 자기 향유형, 타인 중심형의 성격이 해외 여행상품을 선택하는 요인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격유형이 해외 여행상품을 선택함에 있어서의 요인으로는 관광지에서는 관광지의 매력성요인·접근성요인 숙박관련 내용으로 편의성, 관리상태, 서비스, 가격요인 교통관련 내용으로 교통수단 서비스, 안전성, 운영의 적절성 요인 식사 및 쇼핑관련 내용에서는 편의성, 환경성, 적절성, 유명도, 가격 및 품질 여행사 서비스에서는 정보성, 경제성, 시간성, 안전성으로 분류한 후 이러한 요인들과의 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에 따라, 피어슨에 의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별 성격 유형에 따라 해외 여행상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여행사 요인간의 관계와 자기 중심형이 해외 여행상품을 선택할 경우에 여행에 관련된 정보성 요인을 중시하고 있었으며, 자기 중심형에서는 자아실현을 추구하려고 하는 항목에 관계가 높이 나타났고, 타인 중심형에서는 여행사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결과로 나타났으며, 자기 향유형에서는 풍부한 사교성과 취미생활을 중시하는 여행사의 시간성에 유의한 관계가 있었고, 특히 신혼여행객과 배낭여행객은 여행사 요인을 무척 중요시하고 있었다. 결국 성격 유형에 따른 해외 여행상품 선택 요인에 관한 관계 연구에서는 성격에 따라 각각의 요인에 다양한 관련성이 있는 성격 유형에 따른 해외 여행상품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focused on the general selecting factors of travel goods by tourist. But, those researches on tourist's personal trait were in the state of a little insufficient. In the past, the research results which depend upon demographic variables had stimulated tourists. But nowadays, tourist's attitudes, personalities, and motivations became decided the tour behavior according to the various and personal trends of tour behavior. To examine this behavior closely, I tried to grasp the tour pattern by tourist's personality style. And also, I made an effort to classify the tour market according to the basic datum. The objectives of this dissertation were focused on retesting the part of personal trait in the previous study and furthermore, executing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selecting factors of overseas travel goods. For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I have examined the concept of tourist behavior and tour motivation, have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ravel, have established the research model needed for empirical analysis after investigating the concept, trait, component of overseas travel goods, and lastly goods by tourist's personal trait. The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was that there was not only personal trait but also social-environmental and cultural factors in selecting tourist's overseas travel goods. The contents of th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environmental factor means family, the family is the basic social unit in human society and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eciding the tourist's travel behavior in this study. Second, the cultural factor was an important one influencing on tourist's travel behavior and it was the most fundamental influence factor. Generally speaking, culture has a low culture and it means nationality, religious group, racial group, region, etc. As the research by the internal factor such as personal travel product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But, the research by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al and cultural factors should be executed in the future,

      • 生態觀光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김옥재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Environmental problems with which we are now confronted are basically differ from the privous one. The prev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fluenced just in a certain area and thus people out of the area had no influence from the problems such as a pollution. Whereas, the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have no regional limits in terms of the influencing power as that kind of problems are proceeded all over the ward. Through the period of industrization, human's life faced severe crisis because they ruled over the nature and desolated the nature by recognizing the nature as an econimic concept only. In view of economics, utilization of nature seems to be a benefits in a short term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recognition, tourist industry needs to introduce new products and the typical case is the Ecotourism. This new product, which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ducts, presents tourists to take a break in the natural surroundings., to enjoy nature itself, to feel harmony with nature, to know and. understand about nature, and to recognize the meaning of conservation of nature. To keep nature in order, all parties corresponding tour industry must; plan and manage all tourism resources in order to preserve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an ecosystem and also to satisfy with tourist's demands. The structural elements of the ecosystem are very diverse and it brings complex causes and effects in reality. That is why we have to find a suitable and efficient solution against ecosystemic's problems. We must proceed a steady and preventive review about that by restraining a temporary and sporadic reacts. Especially, environment problems owing to the distruction of ecosystem will not be limited on the tourism itself but will be expended to regional, national and finally global problem. Therefore, we should have a mind by the quality based pratice of tourism for not a concept of conquering nature but enjoying beauty of nature and using natural resources properly for our descendants conservation of nature to educate , enlighten, and enforce P.R(Public Relations). Futhermore, we should restrain profit-oriented tour development for better realization of conservation of nature.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structures. In chapter Ⅰ , presents a purpose of the study, methods and range of the study. In chapter Ⅱ, presents the substance, the process of growth, the concept, the importance of the ecotouris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nd environment. In chapter Ⅲ, presents the current state and problems of the ecotourism, policy direction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and the details of the their announcement. In chapter Ⅳ, presents roles of each parties for the activation of ecotourism. in chapter Ⅴ, presents a conclusion of the study.

      • 레이저 프로젝터의 좌표추출 기법 비교 연구

        김옥재 湖西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laser projectors are used world-widely to let the best advertizing effects in the various events and commercials. To show a fixed image through a laser projector, we have to display the same image at least 24 times per second. To do this, we need a high speed scanner and it cost too much. So that the low-cost laser projector, we can use a galvanometer as a scanner. The performance of a galvanometer is depend- ent on the coordinate extraction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which extracts the coordinate and direction of any images, and compared it with the 8 directions vector scan method. The experiment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direct coordi- nate extraction method is better than that of the 8 directions vector scan method.

      • 自然染料 活用을 통한 造形性 硏究 : 本人의 作品을 中心으로

        김옥재 大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최근 몇 년 사이에 제작된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 작품 연구 논문이다.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서 자연을 素材로 삼았고, 좀더 자연과 가까이 가기 위해서 자연 친화적인 재료인 自然染料를 사용하게 되었다. 自然染料는 먹물보다도 입자가 작아서 어떠한 바탕제에도 잘 스며들어 바탕제와 하나가 되는 習性이 있다. 또한 자연에서 얻어낸 色은 인공적인 물감에 비해 彩度가 낮아 우리에게 자연스럽고 친숙한 色이 된다. 그러나 우리는 문명의 발달로 만들어진 인공적 色에 지쳐가고 있다. 자연의 色을 모방하려는 인공의 色들은 色의 표현이 자유롭고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지만, 색상의 안정감이나 자연 材料와의 조화에 있어 자연의 色 보다 깊이 있는 色感을 표현해 내기 어렵다. 이러한 표현의 한계를 극복해 보고자 본 논문에서는 자연에서 얻어낸 染料를 應用한 작업들을 바탕으로 自然染料의 特性과 다른 재료들과의 融合을 연구 한 것이다. 그러나 자연에서 染料를 추출 한다는 것은 쉽지 않다. 染劑를 찾아내고 그것을 말리거나 혹은 우려내거나 끓이는 등 많은 시간과 노력 후에 얻어지는 것이다.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재료들의 특징을 알아내었고 이 실험을 基本으로 여러 방법으로 應用해 보았다. 가장 자연적 재료를 통해 자연적 素材를 結合해 보았고, 한지의 元料인 닥섬유에 물을 들여 바탕제로 사용하였다. 또한 자연을 통하여 느꼈던 感性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려 했고, 자연의 造形性을 素材로 삼아 자연적 材料와 가장 자연스럽게 融合될 수 있음을 표현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자연에서 얻어지는 材料의 特性을 파악하고, 자연 材料와 자연 素材의 結合, 재료의 活用 기법과 발전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look into my works of art created recent several years. My works of art take materials from nature, including pro-environment natural dye, in an attempt to take closer access to nature. Natural dye is composed of finer particles than indian ink and can be well spread on the ground, being united as one. Colors from nature has lower chroma than artificial dye, and become more readily associated with us. We get tired with artificial colors made by advancement of civilization. Those artificial colors taking after natural colors come in various colors to allow free expression, but cannot express deeper feeling in their stability or when they are mixed with natural material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of expression, this study delves into distinction of natural dye and its union with other materials, based on works of arts that employed natural dye. It is not easy, however, to get natural dye from nature. Natural dye can be obtained only after the grueling process of finding, dying, soaking out or boiling dye materials over a long time. Through several experiments, distinctions of each material are found and numerous methods are applied based on those experiments. The most natural materials are combined with natural materials, and mulberry texture, a raw material of Hanji, is used as the ground after it is dyed. Sensitivity felt from nature is symbolically represented, and formative character of nature serves as subject matter in creating through natural materials.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stinction of materials from nature, and seek possibility for combination between natural material and natural subject matter, for application of the materials and their future advancement.

      • 국내산 MBA종 포도의 침용 조건에 따른 주스와 와인의 생산연구

        김옥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산 포도 MBA (Muscat Bailey A)종을 이용한 무 알코올 침용에 관한 연구로서, 여러 온도와 시간 조건에서 침용을 진행하여, 주스의 여러 성분들을 분석하고, 동일한 주스를 발효시켜 와인을 제조 후, 와인 내의 여러 성분들을 분석하고, 소비자를 통한 와인 관능검사를 거쳐, 발효 전 장기 침용이 주스와 와인에 미치는 효과에 관해 분석하였다. 파쇄한 MBA 포도 종을 15, 20, 25˚C 3가지 온도에서 0~5 일 차까지 침용 하여 16가지의 샘플을 채취하였고, 0, 3, 5일 차의 포도 주스 7가지, 각 900 mL 발효시켜 와인을 제작 후 샘플을 채취하였다. 채취 된 총 23가지 샘플로 알코올, pH, 폴리페놀, 안토시안닌, 색조에 관해 분석하였고, 발효시켜 만든 7가지 와인을 대상으로, 색, 맛, 향에 관해 관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험과 분석을 통해 알코올 발효 전, 수 일 동안의 침용이 주스뿐만 아니라, 와인에도 효과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알코올은 8.4~9.3%, pH는 3.5~3.7로 통상적으로 유통되는 와인의 범위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폴리페놀 측정 결과 51.1~92.4 mg/L 의 값을 보여주는데, 그래프의 상승곡선을 분석했을 때, 15˚C 조건에서는 4일, 20˚C 이상의 조건에서는 3일 침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 되었다. 안토시아닌 측정 결과 27.7~106.4 mg/L의 값을 보여주며, 그래프의 상승 곡선을 분석하였을 때 폴리페놀과 마찬가지로 15°C 조건에서는 4일, 20°C 이상의 조건에서는 3일 침용이 효과 인 것으로 판명 되었다. 컬러에 있어 Intensty 와 hue의 값을 구하여 분석한 결과, 와인 제조만을 위한 침용 이라면 3일 만으로 충분하지만, 최종 목표가 주스이거나, 혹은 목표가 와인이지만, 일부 주스로 판매할 가능성이 있다면 5일 침용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 되었다. 종합적으로 폴리페놀과, 안토시아닌, 색상을 고려했을 때, 주스를 목적으로, 25˚C 5일 까지 침용을 고려해 볼 만하며, 와인 제조을 목적으로 25˚C 3일 침용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 되었다. 다만, 와인에 있어서도, 추가 침용을 통해 적은 양의 안토시아닌 추가 추출이 가능 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제조 환경과 얻고자 하는 향의 요소 등에 관한 이유로 25˚C 미만의, 20˚C 나 15˚C 의 조건에서 침용을 해야 한다면, 안토시아닌과 폴리페놀 모두로 볼 때, 4일 침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As this study is research on non-alcoholic maceration with domestic MBA species of grapes, and then proceed with the maceration at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 conditions, analyzi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juice, after making wine fermented by the juice, various components in wine through th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 of wine by the consumer, before fermentation long-term maceration is a research analysis on the effect of juice and wine. Crushed grapes of MBA species were maceration under three temperature (15, 20 and 25˚C) for 0 day to 5 days. Among them each seven sample 900 ml of 0, 3 and 5 day grape juices fermented and wine was produced. It analyzed alcohol, pH, polyphenol, anthocyanin and color with a sample of 23 produced by this way. Before alcoholic fermentation, it would be deep maceration more effective and when it was alcoholic fermentation it was not sure it would be effective or not. Bu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ignificant process by experiment. All tests were beyond the safety range for alcohol and pH and maceration of up to 5 day is more effective in order to bring out the dark color but in wine it was not too different between 3 day after increasing the speed of color and 0-3 day after increasing it. In at least chromaticity it may get very clear answer. If it is going through the mace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ine, but sufficient for 3 days, If it is likely to be sold in some juice it proved to be an effective 5 days maceration. When analyze polyphenols and anthocyanins it shows more specific results. Non-alcoholic maceration temperature in the maceration state was found to be effective to at least 4 days for the extraction of anthocyanins if immersion is not 25˚C, but 20˚C. Overally if it is only for juice 25˚C 5 day maceration is considering way and if 25˚C 3 day maceration obtains a result that it is the most economical only for wines. However, if they produce and preserve juice in conjunction juice and wine and if it will b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less than 25˚C manufacturing environment, 20˚C or if the circumstances of 15˚C, this research result will be clearly helpful for them under variable applying.

      • 인쇄매체 광고의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동양화 용묵법(用墨法) 활용에 따른 기호학적 접근의 실증 연구

        김옥재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For message targeting, the basics of advertising communication, there are two approaches: non-verbal communication through language and text and non-verbal communication conveyed through images and charts. The verbal communication has been the main means of advertising for long time, while non-verbal communication area has been as the subsidiary means. In today's digital era, virtually conveyed language is thought as relatively important also in the print media area. The visual communication elements can be divided into illustration, photography and visually expressed typography, which account for greater portion in print media advertising area now having to compete with digital media. The video media advertising area is now positioned as more competitive than print media advertising in the digital era. Its characteristics are to convey the meaning within the short time,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 for advertising in video media, unlike in print media where such characteristics are relatively weakened. In this context, the illustration images will need to be extended to the realm of visual language, to overcome the relative inferiority of the print media. The images of advertisements work through suggestion and go through the process that stimulates associations for target audiences in short moments, whose feedback should be provided to identify how much specific connectivity will be given between such suggestion and consumers' perception of the advertising and how accurately such connectivity can be perceived by consumers. It is pointed, however, that there have been no studies based on the objectively verified imagery communication. To address such issue of imagery communication, this study re-identified the printed advertisement illustration expressed in oriental paintings in terms of Peirce semiotics, and attempted the image map positioning that would match between the intention of a producer and the consumers' associated image, thereby resolving the imagery communication issue. Meanwhile, it will be also verified in this study, how the designs from the point of consumers' view can be achieved. This study first found out the images of oriental paintings employed by the print media advertisements, to classify them in terms of thick and thin ink expression techniques of Yongmuk-beop, figuring out the meaning interpreted from such expression from the aspects of semiotics. The Yongmuk-beop refers to the technique to express the various shades of ink, using the thick and thin degree of ink colors. In this point, it can look into how expression techniques of oriental paintings were employed to the illustration of advertisements, in order to allow for empirical review into what meanings are conveyed to people after their going through the semio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in the appropriately adopted advertisements. The empirical study aims at removing any subjective prejudice as possible and inventing a empirical approach that can test and verify data and hypothesis. Next, the empirical procedures of this study include the first identified Yongmuk-beop technique types and the illustration examples extracted from advertisements published by the print media from 2008 to 2012 in order to look into the results of semiotic interpretation and print media advertisements. Such examples were used to the survey conducted with consumers, to analyze their signification conveyed by such advertisements on the basis of Peirce's semioticial analysis. From the analysis, differential elements were drawn by semantic differential scale, regarding the consumers' impressions on the advertising appealing for consumers as expressed through Yongmuk-beop published by the print media. Further, from the results of establishing the illustration genre realm through image positioning of the icons, indications and symbols where differential elements expressed in associated images in the consumers mind, the possibility was examined of how designing from the points of consumers' view would be processed. From the results of empirical ver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preferable realms and the differential elements of emotional semantics triggered by advertising images, the intention of the advertisement producers and the consumers' associated images can be matched. The achievements of this study lie in this point that the illustration production process was objectified from consumers' viewpoints which have been so far understood in tacit or intuitive ways. 광고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인 메시지 소구에 있어서는 말과 문자에 의한 버벌(Verbal) 커뮤니케이션과 이미지나 도표 등에 의한 전달인 넌버벌(Non-verbal)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두 가지 방법을 취하게 된다. 오랜 기간 버벌(Verbal)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광고의 주를 이루었고 넌버벌(Non-verbal) 커뮤니케이션 분야는 부수적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오늘날 디지털시대에 있어서 인쇄매체분야에서도 시각적인 언어전달이 상대적으로 중요시 되고 있다. 디지털 매체와 경쟁해야하는 인쇄매체광고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일러스트레이션과 사진, 시각 이미지화된 타이포그래피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겠다. 디지털 시대에 와서 인쇄매체광고 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는 영상매체광고의 특징은 광고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의미를 전달해야하는 특성일 것이고 상대적으로 인쇄매체는 그 같은 특징이 열악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인쇄매체의 상대적 열세를 극복하기위해서는 일러스트레이션 이미지의 시각언어로서의 확장일 것이다. 광고는 이미지를 짧은 순간 소구대상을 무의식적으로 연상시키는 과정을 거치는데 그것이 소비자의 광고 인지와 어느 정도 구체적인 연계성을 줄 수 있는지, 그 연계성이 소비자에게 얼마나 정확히 인지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피드백 되어야 하나 아직 이러한 이미지 전달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을 토대로 한 연구 결과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이미지전달 문제의 해결점으로 인쇄매체 광고의 동양화로 표현된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해 퍼스의 기호학으로 재정의 하고 제작자의 기획의도와 소비자의 연상 이미지를 일치시키는 이미지맵 포지셔닝을 시도함으로써 이미지 전달문제를 해결하고 한편으로는 소비자 관점의 디자인 행위가 어떻게 가능한지도 부수적으로 검증될 것이다. 먼저 본 연구는 인쇄매체 광고에 사용된 동양화의 이미지를 찾아내어 용묵법(用墨法)의 농담 표현기법으로 분류 하고, 그 표현에서 해석되어지는 의미를 기호학 측면에서 풀어나가 보았다. 동양화 표현기법 중 용묵법이라 함은 먹색의 농도를 이용하여 농담을 표현하여 먹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방법을 말한다. 이런 점에서 동양화 표현기법과 인쇄매체 광고의 일러스트레이션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를 알아보고, 적절하게 사용되어진 광고물을 대상으로 그 표현에 대해 기호학적 분석과 해석과정을 거쳐 사람들에게 어떤 의미로 전달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된다. 실증 연구는 가능한 주관적 편견을 없애고 자료와 가설을 시험하고 입증하는 경험적인 방법을 고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실증절차를 보면 우선 동양화 용묵법(用墨法)의 유형을 파악하고 인쇄매체 광고와 기호학적 해석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기 위해 2008년부터 2012년까지의 국내 인쇄매체 광고를 대상으로 일러스트레이션 중심으로 예시 사례를 발췌, 소비자들에게 설문조사하여 전달되는 의미를 기호학 분야 중 퍼스의 삼분법을 기준으로 의미작용 분석해 보았다. 분석결과 소비자에게 어필되는 인쇄매체 광고에서 용묵법을 통해 소비자의 광고표현 인상에 대해 의미분별척도에 의한 차이적요소를 도출하였고, 차이적 요소가 소비자의 두뇌에서 연상이미지로 나타나는 도상, 지표, 상징의 이미지 포지셔닝을 통해 일러스트 장르 영역을 구축한 결과 소비자 관점의 디자인 행위가 어떻게 가능한지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광고이미지가 촉발시키는 감성의미의 차이적 요소와 선호 영역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해석한 결과 제작의 기획 의도와 소비자의 연상 이미지를 일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암묵적 또는 직관적으로 이해되던 소비자 관점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 과정을 객관화 해볼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큰 성과로 보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