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놀이 사례분석을 통한 통합예술교육 활용 방안

        김옥경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전통놀이를 활용한 선행 사례들을 수집, 조사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예술교육에서 전통놀이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먼저 통합예술교육의 개념과 전통놀이의 개념에서 민속놀이와 궁중놀이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본 다음, 2002년부터 2019년까지의 선행연구와 교과서 내의 전통놀이를 놀이유형 및 예술적 특성, 효과성, 교육 프로그램연구로 분류하여 통합예술교육 관점에서 전통놀이 사례조사를 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유형 및 특성을 살펴본 결과, 총 31편의 논문 중 52개의 전통놀이가 연구되었는데, 선호도 순위별로 나열하면 제기차기, 긴줄넘기, 비석치기, 굴렁쇠 굴리기, 투호놀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놀이를 복합적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음악, 미술, 무용으로 한정하여 구별할 수 없지만 각 놀이마다 가장 두드러진 예술적 특성을 정리하였다. 둘째, 전통놀이로 인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성 연구를 살펴본 결과, 순차적으로 나열하면 기초체력 향상, 응집력 및 사회성 향상, 자아존중감, 다문화태도 인식, 학교생활만족도, 창의성향상, 인성교육, 전통문화 함양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입증하였다. 특히 기초체력 향상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근력, 지구력, 평형성, 교차성, 민첩성, 유연성, 도약력, 순별력, 공간 구성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셋째, 교육프로그램 및 지도안에 관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전통놀이의 방법을 그대로 사용하였지만 학년과 환경에 따라 약간의 응용을 한 경우가 있었다. 응용한 놀이방법 지도안의 사례로 긴줄넘기, 칠교놀이, 고누놀이, 실뜨기, 공기놀이, 연날리기가 활용되었다. 또한 언어, 논리수학, 공간, 신체운동, 음악, 대인관계, 개인이해의 7가지 교육목적을 가지고 전통놀이를 활용하여 지도한 사례도 있었다. 이렇게 전통놀이 방법에서 음악, 미술, 무용, 언어, 수학을 적용하여 학습한 연구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다양한 예술분야가 함축된 통합예술교육을 진행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놀이 프로그램 연구는 단순히 놀이의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접목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넷째, 궁중놀이 연구를 살펴본 결과, 궁중놀이를 수업에 적용한 연구로 박강희(2009)의 연구와 궁중정재에 놀이적 특성을 분석한 연구는 권미영(2002)과 정가영(2018)의 연구가 있었다. 궁중놀이에 대한 연구는 추후 연구되어야할 것이다. 다음 교과서에서의 전통놀이에 대한 분석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전통놀이 목록을 살펴보고 초등학생들이 좋아하는 교과서 내 전통놀이와 교과서 외 전통놀이로 구하여 정리한 사례가 있었다. 전통놀이 지도내용과 지도상 유의할 점에 대한 연구도 선행되었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여 통합예술교육에서 전통놀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예술적 특성을 활용한 통합예술교육을 위해서는 각 예술 분야와 전통놀이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접목하여 전통놀이 속에서 예술을 체험할 수 있도록 활용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하나의 예술만을 중심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통합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단계별 지도안으로의 접근방식이 필요하여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통놀이를 놀이의 유형과 대상에 맞게 보완하여 모든 전통놀이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전통놀이는 개인별, 단체별로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남녀노소 참여가능하고 이는 나아가 가정에서, 직장에서, 사회에서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활용가치가 있다. 둘째, 교과과정 분석을 통하여 전통놀이를 통한 통합예술교육을 실시하는 것이다. 전통놀이는 예술, 인문, 과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또한 우리 문화에 대한 직, 간접 경험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관과 민족성에 대한 이해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통놀이는 과목간의 연계를 통해 통합예술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업 진행에 있어서 전통놀이 지도자와 각 교과목 지도자간의 통합적인 지도 방법도 필수적이다. 이는 전통놀이와 교과목 간의 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많은 연구와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통합예술교육은 함께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그 효과가 발현될 수 있다. 셋째, 대상별 통합예술교육으로 다문화 대상과 실버 세대에 전통놀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가정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한국의 문화를 쉽게 이해하기 위한 접근 방법 중에 하나로 전통놀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더불어 전통놀이를 접목한 통합예술교육은 우리나라의 문화 뿐만 아니라 서로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 이해하고 다문화 인식, 즉 다문화에 대한 배려, 수용, 존중, 개방 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대한민국 60~70년대 새마을운동, 파독(派獨), 경제개발 세대인 현재 실버세대들이 어린 시절 유일한 놀거리는 전통놀이였다. 전통놀이를 즐겨왔던 많은 실버세대들에게 통합예술교육은 오히려 접근하기가 수월할 것이며, 감성자극이라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조금 더 체계적인 노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예방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넷째,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통합예술교육을 실시하여 지역자치 경제 부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민속문화에는 다양한 놀이가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순한 전통놀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끝나기 보다는 접근성이 좋게 ‘찾아가는 형태의 통합예술교육 프로그램 체험’으로 확장하여 한옥마을, 박물관, 공항 등에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해줄 수 있는 관광 상품가치도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공연, 행사, 문화재를 위한 통합예술교육 관련 전문가들과 지자체 관련 공무원들의 사업계획을 통한 의논이 필요하다. 통합예술교육관련 전문가들의 현장체험경험과 자자체가 확보하고 있는 지역 역사와 문화가 담긴 자료들을 공유하며 함께 모색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 보행환경개선사업의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 대구시 봉산문화 거리를 중심으로

        김옥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1980년대 이전 도시계획은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을 위주로 계획되어 보행보다는 차량통행을 위한 계획이 주로 이루어 졌다. 1980년대 중반부터 도시의 기능적인 측면과 더불어 도시를 구성하는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1990년대 뉴어바니즘 개념이 도입되면서 보행자와 보행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이에 따른 보행환경의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현재의 보행환경개선사업이 등장하였다. 보행환경개선사업을 통해 물리적인 측면에서의 보행환경개선은 이루어졌으나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업추진은 보행자를 위한 시설정비 수준에 그치게 되어 직접 가로를 이용하는 상인이나 이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시설확충이나 환경개선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보행환경개선사업에 있어서 시설정비를 통한 물리적인 환경개선도 중요하지만 가로를 이용하는 상인과 이용자의 의견수렴 및 피드백을 통해 가로활성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성공적인 보행환경개선사업 위해 반드시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대구시 봉산문화거리 보행환경개선사업의 만족도를 조사, 연구함으로써 보행환경개선사업이 가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과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와 그 영향력을 파악하여 향후 보행환경개선사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보행공간과 가로환경개선사업, 문화거리에 대한 개념정리를 통해 보행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다른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봉산문화거리의 상인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인식하는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가로환경개선, 방문객 증가, 매출액 증가에 미치는 영향요인인 쾌적성, 접근성, 편리성, 상징성 등을 높이기 위한 활성화 방안으로 대상지에 대한 정확하고 충실한 조사와 분석작업의 중요성과 가로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차량감소, 불법주차 감소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 보행자 중심의 도로계획, 대상지 가로의 특화된 계획의 필요성, 조성과정에서의 주민참여를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도심의 봉산문화거리를 대상으로 보행환경개선사업의 실태를 조사하여,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Before the 1980s, Urban Plan was planned, which was focused on functional aspects. That's why the main plan was consist of vehicle traffic rather than walking. Since the mid-1980s, interested in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city, and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which are made up the city, are increasing. Through the concept of New Urbanism, which was introduced in 1990s, the pedestrians and walking environment's interests were increasing. For this reason, nowadays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as introduced as the implement of improve walking environment. Through the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physical aspects of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accomplished. But from the supplier-oriented view point, this project is below the level, because it is just maintenance of the pedestrians facilities. So facility expansion or environmental improvement was not accomplished for the merchants and users, who uses sidewalk directly. Though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is important to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he process of sidewalk invigoration is more important and necessary to accomplish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which should be consider gathering opinion and feedback of the merchants and users, who is using the side walk directly. Hereupon, this research would survey and research about 'Daegu Bongsan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ind out which one is influence and satisfaction to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find out its influence to seek the way of the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s the way of research,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about 'walking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oncept about walking space and sidewalk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analyzed the effects of other projects through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lso Compared with both parties satisfaction through the conduct a survey of visitors and merchants at 'Bongsan Cultural stree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e way to vitalize that to increase comfort, accessibility, convenience, symbolism and etc, which influence street environment improvement, increasing visitors and sales, as importance of the accurate and faithful research, and analysis at designation, also to increasing satisfaction of the street environment, it needs necessity of the systematic management to reduce car and illegal parking, pedestrian-oriented street planning, and necessity of the planning sidewalk at designation, and citizen participation during the process. This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the 'Walk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targeted at Downtown Daegu of the Bongsan Cultural Street.

      • Cudrania tricuspidata water extract improves obesity-induced hepatic insulin resistance by the suppression of ER stress and inflammation

        김옥경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비만 및 과잉 에너지 섭취가 간의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을 유발하여 간 인슐린 저항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에 의하여 진행되었으며, 꾸지뽕 추출물이 이러한 가설에서 어떠한 효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비만에 의하여 당뇨가 유발되는 동물모델의 간 조직에서는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 관련 인자들의 발현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꾸지뽕 추출물의 투여는 비만과 당뇨의 발생을 유의적으로 억제시켰을 뿐만 아니라, 간 조직의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꾸지뽕 추출물이 간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소포체 스트레스 유발 HepG2 세포와 감염 유발 HepG2 세포에서 꾸지뽕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꾸지뽕 추출물에 포함된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인 quercetin과 kaempferol의 함량을 측정하여 세포실험에서 꾸지뽕 추출물 효능과 비교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소포체 스트레스 유발 세포와 감염 유발 세포에서 모두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였으며, 꾸지뽕 추출물의 처리는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 관련 인자들의 발현과 인슐린 저항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quercetin과 kaempferol을 처리한 군에서는 부분적으로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 인자들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kaempferol보다는 quercetin의 억제 효능이 더 높았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꾸지뽕 추출물은 간 소포체 스트레스와 감염의 억제 효능에 의하여 인슐린 저항성의 유발을 감소시켰으며 이는 꾸지뽕 추출물의 kaempferol보다는 quercetin의 효과에 의한 결과라고 예상할 수 있었다. The liver plays a unique role in the regulation of glucose homeostasis by maintaining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n a normal range. However, impaired insulin action in the liver determines insulin resistance characterized by an impaired ability of insulin to inhibit glucose output. Obesity is a major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insulin resistance, but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obesity and hepatic insulin resistance are controversial. Recent studies found that inflammatory signals, including those produced by excess lipids, in an obese state can stimulate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and inflammation in several cells and play key roles in insulin resistanc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among hepatic insulin resistance, ER stress, and inflammation in obesity and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CTL) on hepatic insulin resistance induced by ER stress and inflammation in db/db mice. Th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a normal control group (C57BL/6J), a control group (C57BL/6J db/db), a CTL 100 group (C57BL/6J db/db mice fed a dietary supplement of 100 mg/kg of CTL), and a CTL 300 group (C57BL/6J db/db mice fed a dietary supplement of 300 mg/kg of CTL). After 8 weeks, we performed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after which the mice were sacrificed. We measured the levels of serum glucose,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LDL/VLDL cholesterol, and HDL cholesterol. We confirmed the expression of proteins and mRNA associated with ER stress and inflammation by a Western blot and real-time PCR. The C57BL/6J-db/db mice developed obesity and hyperglycemia, and the ER stress response was activated in the livers of the of C57BL/6J db/db mice by increases in phosphorylation of eIF2α IRE1α, and IRS-1 serine, as well as mRNA expression of ATF4, JNK, C/EBPα, and CHOP.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RP, as well as NF-κB phosphorylation, in the 57BL/6J db/db mice. Interestingly, there was a marked decrease in the activation of the hepatic ER stress response in the livers of the C57BL/6J db/db mice treated with CTL due to decreases in the phosphorylation of eIF2α IRE1α, and IRS-1 serine and decreases in the mRNA expression of ATF4, JNK, C/EBPα, and CHOP.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CTL also induc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RP, and NF-κB phosphorylation.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TL can improve hepatic insulin resistance and hyperglycemia by controlling obesity induced-ER stress and inflammation in the liver and that CTL may be a useful agent in treating hyperglycemia. Hepatic ER stress and inflammation are associated with several metabolic conditions, including obesity and hyperglycemi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water extract (CTL) on ER stress and inflammation-induced hepatic insulin resistance in HepG2 cells. The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300 and 500 µg/mL of CTL, followed immediately by stimulation with 100 nM of thapsigargin for ER stress induction or 1 ng/mL of TNF-α for inflammation induction for 24 h.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the activation of the ER stress response in the thapsigargin-stimulated control group and the TNF-α-stimulated control group due to increases in the phosphorylation of eIF2α, IRE1α, and JNK, as well as increases in the mRNA expression of ATF4 and CHOP compared with the normal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NF-κB phosphorylation,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CRP in the thapsigargin-stimulated control group and the TNF-α-stimulated control group. The CTL treatment interrupted insulin resistance by suppressing ER stress, the inflammation response, and the inhibition of IRS signaling in both thapsigargin-stimulated HepG2 cells and TNF-α-stimulated HepG2 cells. We suggest that CTL can protect against ER stress and inflammation-induced hepatic insulin resistance and that it may be a useful agent in treating hyperglycemia. Inflammation-induced ER stress and ER stress-induced inflammation aggravate both ER stress and the inflammation. ER stress and inflammatory pathways directly or indirectly disrupt the metabolic functioning, including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of several tissues. In the present study, we quantitated kaempferol and quercetin in CTL, and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on ER stress and inflammation-induced hepatic insulin resistance in HepG2 cells. In CTL, the concentration of quercetin was 11.20 ± 0.16 mg/g and kaempferol was 5.07 ± 0.08 mg/g.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TL (300 μg/mL and 500 μg/mL) in our previous study, the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1.5 µg/mL of kaempferol, or 2.5 µg/mL of kaempferol, 3 µg/mL of quercetin, or 5 µg/mL of quercetin, followed immediately by stimulation with 100 nM of thapsigargin for ER stress induction or 1 ng/mL of TNF-α for inflammation induction for 24 h. We foun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ctivation of the ER stress respons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thapsigargin-stimulated control group and the TNF-α-stimulated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at in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quercetin treatment interrupted insulin resistance by suppressing ER stress, the inflammation response, and the inhibition of IRS signaling in both thapsigargin-stimulated HepG2 cells and TNF-α-stimulated HepG2 cells. However, kaempferol partially inhibited the ER stress respons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effect of CT on ER stress and inflammation-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the HepG2 cells is due to the effect of quercetin than the effect of kaempferol.

      • 고등학교 사회과 교사의 수행평가 실행 과정에 대한 구조적 이해

        김옥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Performance assessment was introduced in school in the late 1990s in response to the transition to the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emergence of the constructivist view of learning, and reflection of the existing standardized tests. Since then, performance assessment has been accepted as a matter of course and localized through compromise and transformation in the education field of Korea. Nevertheless, it is not responded favorably by all involved parties including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in some cases it is executed superficially apart from the original purpose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his situation, we need to have structural in depth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state of performance assessment that has gone through transformation and compromise. Furthermore, the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required of teachers, who are the main actors in performance assessment as an educational reform. Even if performance assessment is introduced earnestly as an educational reform, it cannot achieve its fundamental goals without individual teacher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atterns of social studies performance assessment executed in Korean high school classroom and to find the reason for difference in the pattern among teachers from the perception and practice of teachers, who are the primary actors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se purposes, we sampled two high school teachers show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execution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conducted in depth interviews with them. The in depth interviews were performed in a semi structured form. The contents of interview were tape recorded and transcribed, and the researchers’ interview diary written after the interview and the case teachers’ performance assessment plans, evaluation criteria, and minutes of meeting were also used as research data.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wo case teachers showed quite different pattern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At the planning stage, the two teacher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inciple of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 A made plans under the principle that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goal of the politics subject. Concluding that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aim at the goal of the politics subject, which is the development of decision making ability and the attitude of a participatory democratic citizen, Teacher A allocated a reflection ratio as high as 40%. In choosing four items of performance assessment as well, he focused on the point that, through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students can experience participation, another goal pursued by the politics subject, and cultivate advanced thinking abilities like critical thinking and decision making. On the contrary, Teacher B planned performance assessment under the principle that there should not be students’ objection to the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He allocated a reflection ratio of 20% on the grounds that disputes with the administrator can be avoided by adopting the ratio that had been used at his school. In choosing two items of performance assessment as well, he focused on preventing the total score of performance assessment from being zero, contributing to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facilitating the evaluation and rating. At the stage of executing performance assessment as well, the two teachers showed difference from each other. Teacher A was dynamic and active, making continuous revisions and supplementations through trials and errors in active interaction with students. Through the attempt to get away from a rigid frame, he provided various meanings to students’ learning and development. On the contrary, Teacher B repeated the plans mad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without trials and errors, and he prevented students’ objections and removed obstacles to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However, these effort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students’ learning and development. Also at the stage of processing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two teachers showed difference from each other. Teacher A perceived that objections to the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are natural, and was confident that such objections can be resolved properly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student if the objectivity of rating is guaranteed. In comparison, Teacher B perceived that an objection to the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a consequence of students’ challenge to the teacher’s evaluation right and their distrust of evaluation results, and thus, he was reluctant to interact with students and tried to eliminate any possibility of objections. Second, the reason for thes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between the two teachers came from various causes includ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objectivity, external context, and internal context. The two teachers perceived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differently. Teacher A regarded objectivity as ‘the evaluator’s reliability’ and made efforts to enhance the objective of evaluation through switching from holistic rating to analytical rating. However, Teacher B misunderstood that objectivity is ‘the absence of objections from students’ in the climate of his school. Therefore, deviating from the essential goal of performance assessment, he evaluated the students defensively by giving a high base score or distributing a problem bank in advance in order to prevent students’ objections. The external context surrounding the two teacher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cause Teacher A took charge of familiar administrative works and an 11th grade class, he was pressed less by administrative and teaching workload, and had sufficient time for performance assessment. Furthermor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or was democratic and students’ support to and interest in the teacher’s educational experiment were also high, so the teacher was able to conduct various types of performance assessment actively. However, Teacher B was in charge of heavy administrative works and a 12th grade class and, therefore, he was pressed by excessive workload and could not secure enough time to conduct performance assessment. Moreover,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or was of authoritarian top down command structure, and students also disapproved the teacher’s educational experiment. As a result, under the pressure to do indisputable performance assessment, Teacher B conducted performance assessment superficially with losing the fundamental purposes of performance assessment. Notable differences were observed also in the internal context created by the two teachers. Teacher A had a belief agreeing upon the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will to practice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continuous self adjustment. Furthermore, perceiving learners to be the partners of open communication based on trust, he recognized students’ progress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was motivated by it positively. On the contrary, Teacher B agreed upon the necess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but lacked material struggles and efforts to carry out his thought. In addition, assuming that it was hard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he blocked interaction with students passively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assessment.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even in the same background of learning the ‘politics’ subject in the classroom of academic high school in Korea, quite different patterns of performance assessment appeared, and the difference was explain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objectivity, external context, and internal context. From these results, we could get some clues to the meaningful implementation of social studies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field despite various practical constraints. Firs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hance the valid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conducting evaluation that is directly linked to student selection under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ocus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the objectivity of evaluation has been overemphasized. Overemphasis on objectivity led to insufficient deliberation on “What are evaluated,” which in turn resulted in lack of reflection on the “validity” of social studies performance assessment. That is, we need to consider what goals social studies pursues, and to focus on the valid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terms of how to measure the achievement of the goals. With efforts to enhance the valid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we can attain the original purpose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not for superficial evaluation but for the right assessment of learning process and students’ development. Second, we need to set teachers free from bindings and constraints such as authoritarian atmosphere emphasizing law and order and pessimistic views of learners’ abilities and motives. The authentic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can be attained when teachers’ specialty and autonomy are acknowledged, teachers’ educational experiments are encouraged openly, and students are perceived to be highly potential and communicable. A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case teachers, its results have a limitation in being generalized. Accordingly, there should be more extensive research on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 of performance assessment. What is mor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pinions of teachers who are performance evaluators, but students’ responses to performance assessment are expected to give a broader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performance assessment. 수행평가는 지식 정보화 사회로의 이동, 구성주의 학습자관의 등장, 그리고 기존의 표준화 검사에 대한 반성 등이 한데 맞물리면서 90년대 말부터 우리 학교 현장에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그 후 수행평가의 실행은 기정사실이 되었으며, 타협과 변형의 과정을 거쳐 한국의 교육 현장에 토착화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도 수행평가의 실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교사, 학생, 학부모로부터 큰 호응을 얻지는 못하는 실정이며, 수행평가의 본래 지향점과 유리된 채 형식적으로 시행되는 사례 또한 발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변형과 타협을 거친 수행평가의 현재 모습에 대한 보다 구조적이고 심층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 혁신과 개선의 수문장이라고 할 수 있는 교사의 입장에서 이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다. 아무리 수행평가가 교육 개혁의 일환으로 요청된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개별 교사의 인식 및 실천과 결합되지 않으면 본질에 합당한 모습으로 구현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우리 고등학교 교실에서 실행되는 사회과 수행평가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며, 교사별로 실행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수행평가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는 교사의 인식과 실천 과정 속에서 발견해 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수행평가 실행에 있어 상이한 특징을 갖는 현직 고등학교 교사 두 명을 사례로 선정하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 면접의 진행은 반구조화된 면담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사전에 준비한 인터뷰 가이드를 바탕으로 상황에 따라 가변적이고 개방적인 질문이 추가되었다. 심층 면접 내용은 녹음 후 전사되었고, 인터뷰 후 연구자가 작성한 면접 일지와 사례 교사의 수행평가 계획서, 평가기준지, 교과 협의록 역시 부가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를 통해 얻은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사례 교사의 수행평가 양상은 수행평가의 전 과정에 걸쳐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계획 단계에서 두 교사는 수행평가의 원칙에서부터 차이가 나타났다. A 교사는 정치 과목의 목표에 부합하는 수행평가를 시행해야 한다는 원칙하에 계획을 수립하였다. A 교사는 정치 과목의 목적인 의사결정능력과 참여하는 민주 시민의 태도를 기르기 위해 수행평가가 적절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40%라는 높은 반영 비율을 결정하였다. 또한 4가지 항목의 수행평가 내용을 선정함에 있어서도 다양한 수행평가를 통해 정치 과목에서 추구하는 목표인 참여의 경험을 학습할 수 있고, 비판적 사고력이나 의사결정능력과 같은 고등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었다. 반면 B 교사는 수행평가 결과에 대한 학생의 이의 제기가 없어야 한다는 원칙하에 계획을 수립하였다. B 교사는 20%로 반영 비율을 결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근무 학교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해 온 비율을 답습함으로써 관리자와의 논쟁 과정을 피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또한 수행평가 내용으로 2가지 항목을 선정함에 있어서도 학생의 수업 태도 통제, 수행평가 총점 0점 방지, 입시 준비에 기여, 실행과 채점에 수월성 확보에 초점을 맞추었다. 수행평가 실행 단계에서도 두 교사는 차이를 보였다. A 교사는 학생과의 활발한 상호 작용 속에서 예상치 못했던 시행착오를 겪어가며 지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실시하는 역동적이고 능동적인 모습을 보였다. 경직된 틀을 벗어나려는 그러한 시도 속에서 학습 과정과 학생 발달에 다양한 의미를 제공하였다. 반면 B 교사는 시행착오 없이 학기 초에 계획한 대로 재현하였으며, 학생 이의 제기 방지와 평가의 객관성 확보를 방해하는 요소에 대한 제거 작업이 교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학습 과정과 학생 발달에 의미 있는 효과를 미치지는 못했다. 수행평가 결과를 처리하는 단계에서도 두 교사는 차이를 보였다. A 교사는 수행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를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인식하고, 채점의 객관성을 확보하면 이의 제기는 학생과의 면담을 통해 잘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고 있었다. 그에 비해 B 교사는 수행평가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는 교사의 평가권에 대한 도전 및 평가 결과에 대한 불신의 결과라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학생과의 상호작용에 거부감을 갖고 있었으며 이의 제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종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수행평가 실행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객관성에 대한 인식, 교사 외적 맥락, 교사 내적 맥락’이라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두 교사는 평가의 객관성에 대한 인식이 달랐다. A 교사는 객관성을 ‘채점자 신뢰도’로 인식하고 있었고, 총체적 채점에서 분석적 채점으로의 변화를 통해 평가의 객관성을 보강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러나 B 교사는 재직하는 학교의 풍토 상, 객관성을 ‘학생의 이의 제기가 없는 것’이라 오해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객관성 확보의 노력 역시 본질과 유리되어 학생 이의 제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기본 점수를 높게 부여하거나, 사전에 문제 은행을 배포하는 등의 방어 과정으로 나타났다. 두 교사를 둘러싸고 있는 외적 맥락 역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A 교사는 익숙한 행정 업무 및 2학년 수업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행정 업무에 대한 부담감 및 진도에 대한 압박감이 적어 수행평가 실행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 관리자와의 의사소통 과정이 민주적이며, 교사의 교육적 실험에 대한 학생의 호감도 및 흥미도 역시 높아 교사가 의욕적으로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B 교사는 과중한 행정 업무 및 3학년 수업을 담당하였기 때문에 업무에 대한 부담감과 진도에 대한 압박감이 커서 수행평가 실행을 위한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지 못했다. 또한 학교 관리자와의 의사소통 과정이 상명하달식의 권위적인 모습이었고, 학생들 역시 교사의 교육적 실험에 대해 거부감을 갖고 있었다. 그 결과 B 교사는 논란의 역지가 없는 수행평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수행평가의 본질적 목표를 상실한 채 형식적인 수행평가를 실시하게 되었다. 두 교사가 만들어 간 내적 맥락 역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을 보였다. A 교사는 수행평가의 필요성에 동의하는 신념을 가졌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자기 수정 과정을 통해 수행평가를 실천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학습자를 신뢰를 기반으로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하는 대상으로 인식하여, 수행평가 과정에서 발견되는 학생의 발전을 민감하게 발견하고 그로부터 긍정적인 강화를 받았다. 그러나 B 교사는 수행평가의 필요성에는 동의하나 실행에 옮기기 위한 구체적인 고민과 노력이 부족했음을 밝혔다. 또한 학습자를 의사소통이 어려운 대상으로 인식하여 수행평가 과정에서 학생과의 상호작용을 수동적으로 차단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의 인문계 고등학교 교실에서 ‘정치’라는 과목을 학습한다는 동일한 배경 하에서도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이 상당히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이유가 객관성에 대한 인식, 교사 외적 맥락, 교사 내적 맥락이라는 다양한 요소의 복합적 작용임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현실적 제약 조건 속에서도 교실 현장에서 사회과 수행평가를 의미 있게 구현하기 위한 작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첫째, 수행평가의 타당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입시 교육 체제에서 학생 선발과 연결되는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평가의 객관성은 지나치다 싶을 정도로 강조되어 왔다. 객관성 학보에 대한 지나친 강조는 ‘무엇을 평가하고 있는가?’에 대한 고민의 부족으로 연결되었고, 이는 사회과 수행평가에서의 ‘타당성’에 대한 성찰의 부족으로 귀결되었다. 즉, 사회과에서 추구하는 목표는 무엇인지 고민하고, 수행평가 역시 그 목표 달성도를 얼마나 잘 판단할 수 있는지의 타당성 측면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수행평가의 타당성을 제고하려는 노력이 선행될 때, 수행평가는 외적 요구에 의해 마지못해 시행되는 형식적 평가가 아니라 학습의 과정과 학생의 발달을 올바르게 평가한다는 본래의 취지를 구현해 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교사를 구속하고 제약하는 분위기의 개선이 필요하다. 학교의 경직되고 관료적인 제도와 문화, 학습자의 능력과 동기를 비관적으로 인식하는 분위기는 교사의 수행평가를 구속하고 제약한다.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인정하고, 교사의 교육적 실험을 장려하는 개방적인 분위기, 학생을 가능성이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존재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질 때, 수행평가는 그 진정성을 확보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두 명의 사례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수행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천에 대한 보다 광범위한 후속 연구들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가 수행평가의 실행자인 교사의 목소리를 통해 이루어졌다는 점도 또 다른 후속 연구를 요청한다. 즉, 수행평가에 실제로 임하는 학생들의 인식과 반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안전한 정보 전송을 위한 홈 게이트웨이 보안 구조 설계 및 구현

        김옥경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이용자의 폭발적인 증가와 기술의 발전, 그리고 여러 대의 PC를 보유하는 가정의 확산 및 인터넷 정보가전 기기의 등장으로 인하여 정보화 사회가 도래하였고 네트워크의 디지털화와 광대역화로의 변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홈 네트워크로 확산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Home Networks)란 개괄적인 개념으로 집안과 집밖을 홈 게이트웨이(Home Gateway)로 연결하여 집안의 각 공간(안방/ 부엌/ 거실/ 현관 등의)에 정보를 전달하고, 가정내의 모든 통신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제어, 감시, 통신하며, 해당 기기들의 정보를 처리, 관리, 전송, 저장하는 총체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통합 지능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데에는 몇 가지 제약조건이 따르는데 그 중 중요한 것으로 사생활 보호를 위한 보안기능 및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홈 게이트웨이는 외부망과 연결되어있어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시 잠재적인 위협에 노출 될 수 있고, 홈 내부의 중요한 정보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외부에 유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위협에 대비하여 홈 게이트웨이는 방화벽(Firewall)과 같은 보안 모듈을 두어 수신되는 정보들을 점검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암호화나 인증에 의해서 안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무선 단말기에 의한 정보 교환은 유선 기반 통신 보다 매체나 정보 유출 측면에서 보안에 더 취약함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홈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네트워크에 있는 무선 단말기 사용자가 홈 네트워크 내부로 정보를 전송하고자 할 때, 공중망에서 안전하게 홈 내부까지 기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중요한 정보가 외부 망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기 위하여 홈 게이트웨이 보안 구조를 제안하고 설계하며 구현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새로운 보안 프로토콜의 필요 없이 기존 방화벽과 IPSec(IP Security Architecture)에 의하여 보안의 90% 이상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악의적인 소스 노드에 의한 홈 내부의 침입은 막을 수 없다. 그러므로 보다 향상된 보안 구조를 제안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응용한 NAT 응용 구조를 도입하였다. 추가적으로 보다 빠르고 안전한 비밀키 교환을 위하여 Son-Of-IKE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AH(Authentication Header)와 ESP(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를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 역시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이용하여 기존의 홈 게이트웨이 보안 구조와 제안한 홈 게이트웨이 보안 구조를 구현한 결과, 제안한 홈 게이트웨이 보안 구조가 성능 및 보안 측면에서 효율적이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me Networking is the collection of elements that process, manage, transport, and store information, enabling the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multiple computing, control, monitoring, and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home. The latest advances in the Internet access technologies, the dropping of PC rates, and the proliferation of smart devices in the home, have drama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intelligent devices in the consumer premises. Advances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e especially introduced in a variety of wireless devices, like PDAs, Web Pads, into the home. The home networking requirement introduces into the market a new breed of products called Home Gateway. The home gateway that exist between the broadband access network and the in-home network was exposed to potential threats and can be stolen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in-home network from malicious attacker. For example, the system of the in-home network can be damaged by malicious E-Mail or file etc. that is received to home gateway. Therefore, the home gateway installs the security API such as the firewall to prepare in malicious threats and inspect about received information. Also, the home gateway should be handle the encryption and the authentication protocol for safety communication. In this thesis, I proposed the security architecture for home networks and security mechanisms for secure packet transmission in home networks. First of all, when user of mobile terminal in the Internet networks transmits packets to the in-home network and when the terminal or user in the in-home network transmits important information to the Internet networks, I applied an IPSec technology in mobile IPv4 tunneling protocol so that secret packets can be transfer safely in public networks and presented various algorithms about the Son-Of-IKE protocol, the AH, and the ESP for more fast process time, safe secret key exchange, the encryption, and the authentication technique additionally. Secondly, I suggested the IP packet filtering firewall, the existing NAT structure, and the proposed NAT applicable structure that improve the existing NAT function for the proposed security architecture additionally. Finally, The proposed security architecture is implemented and the implemented results of each algorithms appeared as following. The effect of the 4-message P-SIGMA protocol among the IKE protocols was excellent, the effect of the AES algorithm among the encryption algorithms was excellent, and the effect of the HMAC-SHA1 algorithm among the authentication algorithms was excellent in execution time and performance. The proposed security architecture of this thesis was excellent performance more than the existing security architecture in home networks. According to the result of performance, the proposed security architecture does safe and fast packet transmission and has low resource dependence in home gateway and terminals more than the existing security architecture.

      •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특성과 지원방향의 연구 : 대전·충남권을 중심으로

        김옥경 목원대학교 산업정보언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이 서로 다른 문화적, 사회적, 생활습관 등의 배경을 가진 결혼이주여성과의 만남에서부터 결혼과정, 결혼 후에 겪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국제결혼이 한국 남성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 지원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의 특성과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로서 참 여자의 인터뷰와 설문 조사를 통해 내용에 충실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 22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연구 참여자의 결혼기간은 최소 2년 4개월에서 최고 20년이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대전, 충남권에 거주하는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을 대상으로 결혼동기, 결혼과정, 결혼 후의 삶을 알아보고 미래의 안정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결혼이주여성에 관 한 다양한 적응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는 데 반해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 들이 결혼생활에서 겪는 갈등과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 는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결혼생활에 중심이 되는 한국 남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해결방법을 함께 찾을 수 있도록 하며, 국제결혼에 대 해 폭넓은 이해와 한국 남성의 지원방안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며,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해 본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이 본국에 계신 부모, 형제, 자녀에게 송금 문제로 남성이 경제적 뒷받침을 해주지 못해서 가정을 지키기보다는 직장에 나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을 때 한국 남성들이 상당한 심리적 부담을 안고 있음을 알았다. 둘째, 국제결혼이 결혼 중개업을 통해서 이루어져 상대 배우자의 정보가 부족하고, 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 제한된 시간 등, 만남에서 결 혼하기까지 횟수가 대부분 2~3회 정도로 짧으며, 더욱이 중개업의 왜곡 된 정보가 한국 남성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내포하고 있다. 셋째, 한국 남성이 결혼 할 때 개인적 문제가 아닌 가족문제가 우선시 되고 있으며, 우리 사회는 아직도 전통적 가족주의 가치관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고, 도시지역보다 읍, 면지역에서 전통적 가치관이 더 많 이 남아 있었다. 넷째, 국제결혼 한국 남성들이 가정생활에서 겪는 갈등과 어려움에 부 딪힐 때 배우자나 가족에게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고, 남성 자신도 배우 자와 의사소통의 한계에 놓이고, 나이차로 인해 세대 차이를 느낄 때 결 혼생활을 지속할 수 있는 믿음과 확신이 생기지 않으며, 이를 극복해 문 제를 해결하기보다는 체념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다섯째, 다문화 사회에 찬성하면서도 다문화 수용 능력에 한계가 있으 며, 다문화 수용과 자 문화 전달에서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의 생활방식, 언어 등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한국문화를 따르는 것이 당연하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후속 연구들이 나오 기를 기대해보며, 또한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을 위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인터넷 식품 구매행동과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김옥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식품구매패턴에 있어 두드러진 특징은 건강•안전 지향화, 고급화, 간편화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식품구매패턴의 변화는 식품구매에서의 정보획득과 편리함의 중요성을 높였고, 이와 같은 소비자의 식품구매에 대한 새로운 니즈와 이를 충족시키는 인터넷 쇼핑의 특성이 결합하여 인터넷 식품쇼핑에 대한 사회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게 되었다. 인터넷 식품 쇼핑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는 가운데, 인터넷 쇼핑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 중 식품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실태파악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소비자, 특히 정보의 흐름이 빠른 인터넷 관련 소비자는 다른 어떤 소비자들보다도 다양한 니즈를 갖고 있을 수 있으므로,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인터넷 식품 소비자의 개별적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식품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을 파악하고, 각 집단의 인터넷 식품 구매행동과 구매만족요인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파악함으로써 인터넷 식품쇼핑 시장에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연구 분야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소비자의 식생활 관련 라이프스타일, 인터넷 매체 이용 관련 라이프스타일, 사회적 가치관을 조사하여 이를 통해 소비자를 유형화 하고, 유형화된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인터넷을 통한 식품구매 행동, 만족요인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분석 했다. 인터넷을 통해 식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여성 소비자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총 261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기술통계, One-way ANOVA, χ²(Chi-square),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터넷 식품 구매행동 특성을 조사한 결과, 연간 구매횟수는 약 24회였고, 인터넷 식품 쇼핑몰에 대한 정보는 직접검색(약 45%)을 통해 얻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구매 시 식품전문 쇼핑몰(약 34%)과 종합쇼핑몰(약 33%)을 비슷하게 이용하고, 구매해 본 식품의 종류 가짓수는 평균적으로 약 6가지였으며,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커피•차•음료(약 69%), 가공식품(62.5%) 순으로 가장 많이 구매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특산물, 유기농•친환경 식품, 수입식품을 구매해본 경험은 전체의 50%가 넘었고, 인터넷 식품쇼핑 시 품질(약 85%)을 가장 많이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터넷 식품구매에서 가격혜택 요인에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식생활 관련, 인터넷매체 이용 관련, 사회적 가치관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 하여 총 11개의 라이프스타일 요인을 도출한 후, 군집분석을 통해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셋째, 집단 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나이, 총소득, 결혼여부, 자녀유무, 최종학력, 직업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집단 별 인터넷 식품구매행동을 파악하기 위한 교차분석과 분산분석 결과, 집단 별 연간구매횟수와 구매식품 종류수의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쇼핑몰에 대한 정보획득경로와 구매해본 식품 종류, specialty food의 구매 경험, 구매 시 고려사항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집단 별 인터넷 식품구매 만족요인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한 분산분석 결과, 고객서비스, 쇼핑경험, 제품지각, 가격혜택, 소비자지각위험 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특히 진보적 성향을 갖고 인터넷에 고관여인 집단은 모든 만족요인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인터넷 식품 쇼핑 세분시장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인터넷 쇼핑 시장에서 식품군을 취급하고 있는 판매자, 마케팅 실무자, 정책 입안자에게 마케팅적 시사점과 소비자를 위한 정책 및 제도적 측면에서의 제안을 하였다. 이 제안은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인터넷을 통해 식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oday, the food consumption pattern is characterized by health and safety-oriented,pursuit for high quality, simplification and convenience. Like this in compliance with the food consumption change, when purchasing the foo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convenience came to be high. The new needs of the consumer about food purchase and characters of Internet shopping combined and the interest of the society about the Internet food shopping increased on a largescale. Inside the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food shopping market, further from the existing research which putsan importance in the actual condition grasp, urgent to grasp the individual purchasing characteristic of Internet food consumer. Consequently,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to investigate and classify the lifestyle type of the Internet food consumer, 2)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Internet food purchase behavior and purchase satisfaction factor between of each group. And this leads,this study provides the data for the marketing which is effective in the Internet food shopping market and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lation area of research. In this study,analyzed Food-Related Lifestyles, Internet usage Lifestyles and Social Values synthetically and classified Internet food consumer types. And analyzed the difference which appears from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ernet food purchase behavior, Internet food purchase satisfaction factor of the consumer who had become type. The sample of study is composed 270 female consumers who have the food purchase experience through internet shopping malls.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261 copies.SPSS win 17.0 program was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χ²(Chi-square),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cluster analysis and Duncantest for post-hoc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ly, the result which investigates Internet food purchase behavior characteristic, the annual purchase frequency was about 24 times. And in order to get information about the Internet food shopping mall, the case which searched directly(about45%) was most. When purchasing, Specialized Food Shopping-Mall(about34%) and Integrated Shopping-mall(about33%) were used similarly. The food type number which was purchase experience was about 6 kind averagely, the coffee•tea•beverage (about 69%) and the processed food(62.5%) were purchased most plentifully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 The sample experience to purchase specialty foods went over 50% of the whole. And when purchasing,food quality(about85%) was considered most plentifully. Also,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the price benefit factor in the Internet food purchase. Secondly, the survey identifies that the sample can be divided into four clusters according to their Food-Related Lifestyles, Internet usage Lifestyles and Social Values. Thirdly, as a resul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were grasped.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to age, total income, marital status, children presence, last educational background and occupation. Fourthly, as a result of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o grasp the differences of Internet food purchase behavior of each group,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to mean value of annual purchase number of times and number of the food type which was purchase experience. Also,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to shopping mall information acquisition course, the food type which was purchase experience, purchase experience of specialty food and consideration of at the time of purchase. Lastly, as a result of Analysis of Variance to grasp the differences of Internet food purchase satisfaction factor,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to all of Internet food purchase satisfaction factors (customer service,shopping experience, product perception, price benefit and consumer perception risk). And especially, 'internet high involvement' group was highest from all satisfaction factor.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can offer marketing implications related with the Internet food shopping to Internet food sale person, marketing practitioners and will be able to propose for the consumer from the policy and the institutional side. Also, this proposal is process to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consum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ultimately in satifaction improvement of Internet food consumers.

      •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

        김옥경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 언어통제유형,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있는 국․공립 어린이집 다섯 기관을 선정하여 5, 6, 7세 유아 161명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유아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김경회(1998)가 제작한 교사용 유아 정서지능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박주희(2000)가 제작한 어머니 양육행동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이경희(1994)가 제작한 것을 수정․보완한 이진성(2006)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을 기준으로 상위 30%는 상위그룹, 하위 30%는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에 따른 유아 정서지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언어통제유형,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났으나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머니 양육행동의 과보호․허용, 거부․방임 행동은 명령적, 지위적 언어통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고, 어머니 양육행동의 온정․격려, 한계설정 행동은 인성적 언어통제와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 양육행동은 온정·격려, 한계설정 행동과는 정적 상관이, 과보호·허용, 거부·방임 행동과는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별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온정․격려, 한계설정의 행동이 높으면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의 이용, 타인정서 인식 및 배려, 교사와의 관계 능력이 높았다.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과보호․허용, 거부․방임 행동이 높을 경우 유아의 정서지능과 부적 상관이 나타나 과보호․허용과 거부․방임의 행동이 낮은 어머니의 자녀의 정서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별로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정서지능을 발달시킬 수 있는 어머니 양육행동과 관련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and verbal control typ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For the research it looked into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verbal control typ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t examined whether difference in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exists or not depending on the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and verbal control type.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61 children of 5, 6, and 7 years old going to 5 national nursery school in Seoul and Gyeonggido and their mothers. In terms of measuring tools, young child emotional intelligence rating scale for teachers created by Kyunghoe Kim (1998) was used and for 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mother parenting behavior survey made by Joohee Park (2000) was used. For the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s, rating scale of Jinseong Lee (2006), revised and supplemented scale of Kyunghee Lee (1994) was applied. To identify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Based on the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it was divided into top 30% as superior group and lower 30% as inferior group. T-test was implemented to find the different in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depending on the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amining correlation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there was significance between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as well as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ce between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such as excessive protection․acceptance and rejection․ignorance behavior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mmending and instructional verbal control.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verbal control and warmth․courage and restricted behaviors. Moreover, mother’s parenting behavior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warmth·courage and restricted behaviors but negative relationship with excessive protection ․acceptance and rejection․ignorance. Second,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sub-factors of parenting behavior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if mother’s parenting behavior, warmth․courage and restricted behavior, is high among sub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use of self-emotion,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 consideration,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re high. I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f excessive protection․acceptance and rejection․ignorance are high its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started to be shown. It was turned ou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having mothers with low excessive protection․acceptance and rejection․ignorance behaviors was high.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difference between sub factors of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there was no significance. To conclude, it was found out that parenting behavior and verbal control type of mothe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have relationship.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the fundamental data for considering parenting education program that can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of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